[include(틀:릭 라이트)] ||<-2> '''{{{+1 {{{#a46945 Broken Chin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2.bp.blogspot.com/Broken+China.png|width=100%]]}}} || ||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96년]] [[10월 7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97년]] [[3월 25일]]|| || '''장르''' ||[[아트 록]] || || '''재생 시간''' ||59:34 || || '''프로듀서'''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릭 라이트]], 안소니 무어, 로리 라탐 || || '''레이블''' ||EMI(영국) || || '''웹사이트''' ||[[https://web.archive.org/web/20061208034424/http://www.emirecords.co.uk/rickwright/frame.html|링크(아카이브)]] || [목차][clearfix] == 개요 == || [youtube(n5eYVfZQlxk)] || || '''음반 프로모션 영상''' || [[핑크 플로이드]]의 키보디스트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릭 라이트]]의 두번째 솔로 앨범. == 상세 == 라이트가 핑크 플로이드의 [[The Division Bell]] 투어를 마치고 1995년부터 프랑스에 있는 자신의 홈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음반으로,[* 다만 믹싱은 [[데이비드 길모어]]의 스튜디오 아스토리아에서 이루어졌다.] 당시에 라이트의 아내었던 밀리 라이트의 우울증에서 영감을 받은 [[우울증]]을 컨셉으로 잡은 4부로 구성된 [[콘셉트 앨범]]이다.[* 음반 발매 이후 라이트와 밀리는 아들 벤을 가지기도 했지만, (라이트가 사망하기 1년전인) 2007년에 합의 이혼했다.] 전체적인 음반 구성은 핑크 플로이드의 콘셉트 앨범의 구성과 흡사하고, 음반 커버도 핑크 플로이드의 커버 대부분을 담당해온 스톰 쏘거슨(Storm Thorgerson)이 담당했다. 핑크 플로이드 멤버 음반 중 가장 [[앰비언트]] 적으로 기울인 음반이며, 본격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도입한 음반이다. 음반 참여진으론 우선 Division Bell의 라이트가 작곡한 Wearing the Inside Out에서 가사를 썼었던 슬랩 해피(Slapp Happy)의 멤버 안소니 무어(Anthony Moore)가 공동 프로듀서 겸 작사, 편곡,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참여했고, 음반에서 몇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그외 라이트가 [[피터 가브리엘]] 콘서트에서 눈여겨 봤던 드러머 마누 카체(Manu Katché)가 참여했고, 카체의 연줄으로 베이시스트 피노 팔라디노와 기타리스트 도미닉 밀러등 유명한 세션연주자들이 음반에 참여했다. 이외에도 길모어 체제의 핑크 플로이드에서 세션 기타를 연주했던 팀 렌윅도 참여했으며, [[시네이드 오코너]]가 두곡에서 보컬을 맡았다. 출시 직후 평론가들에게 Division Bell 보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차트 성적도 영국 차트 61위([[https://www.officialcharts.com/artist/2107/rick-wright/|출처]]), 스위스 차트 39위, 노르웨이 차트 24위, 스웨덴 차트 52위까지 진입했다.([[https://hitparade.ch/album/Rick-Wright/Broken-China-2417|출처]]) 리처드 라이트의 솔로 음반중에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음반이지만, 현재 다른 라이트의 솔로 음반들과 마찬가지로 다운로드 스트리밍이 막혀있어, 현재 CD로만 구할수 있다. == 트랙 리스트 == ||[[파일:Broken China Tape.png|width=100%]] || || '''카세트 테이프 표지''' ||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릭 라이트/안소니 무어가 작곡한 음악이다. === Breaking Water === [youtube(ld3RzlbBlho)] === Night Of A Thousand Furry Toys === [youtube(mhC3kfQF2oQ)] * [[http://www.dailymotion.com/video/x21fb8v_rick-wright-night-of-a-thousand-furry-toys_music|홍보용 비디오]]도 제작되었다. === Hidden Fear === [youtube(MMLmVk7h7ZM)] 릭 라이트/게리 골든 작곡. === Runaway === [youtube(iVFIzT8vdhE)] 안소니 무어 작곡. * 앰비언트 듀오 [[오브]]가 [[https://m.youtube.com/watch?v=MfVXgMnfcsU|리믹스]] 하기도 했다. === Unfair Ground === [youtube(GBRfXe06xZA)] 릭 라이트 작곡. === Satellite === [youtube(Vmv3FMHW6Kw)] 릭 라이트 작곡. === Woman Of Custom === [youtube(Gh_6FthGEo4)] 안소니 무어 작곡. === Interlude === [youtube(3DbTvspB7g8)] 릭 라이트 작곡. === Black Cloud === [youtube(LvBTBxN6H_0)] 릭 라이트 작곡. === Far From The Harbour Wall === [youtube(3x4x6SQseX0)] === Drowning === [youtube(iaU63TUZS_s)] 릭 라이트 작곡. === Reaching For The Rail === [youtube(N9SKH5rF_c0)] * [[시네이드 오코너]]가 보컬을 맡았다. === Blue Room In Venice === [youtube(kAEDkwiG2cI)] 릭 라이트/게리 골든 작곡. === Sweet July === [youtube(U7ER7B-CK1g)] 릭 라이트 작곡. * [[제프 벡]]의 Where Were You에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원래는 기타연주도 제프 백한테 맡아 달라고 청했으나, 스케줄 문제로 무산되었다. === Along The Shoreline === [youtube(1blbDML2uQ8)] === Breakthrough === [youtube(ZAMDT3jrEK8)] * [[시네이드 오코너]]가 보컬을 맡았다 * [[데이비드 길모어]]가 기타로 녹음하기도 했으나, 최종 믹싱 과정에서 누락되었다. * 이후 2002년 길모어의 콘서트에서 라이트가 게스트로 출연해 이곡을 불렀었다. == 참여진 == *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릭 라이트]] - [[키보드]], [[신디사이저]], [[보컬]], 프로그래밍 * 안소니 무어[* 재즈록 밴드 슬랩 해피의 멤버이다.] -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화목소리 * [[시네이드 오코너]] - 보컬 (12,16) * Tim Renwick[* 1984-85년 [[로저 워터스]]의 투어때,1987-94년 [[핑크 플로이드]]의 세션 기타 멤버였던 인물.] – [[기타]] * Dominic Miller – 기타 * Steven Bolton – 기타 * Pino Palladino – [[베이스 기타]] * Manu Katché – [[드럼]] * Sian Bell – [[첼로]] * Kate St. John – [[오보에]] * Maz Palladino – 세션 보컬 [[분류:1996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리처드 라이트]][[분류:아트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