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체인(유희왕), other1=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룰의 일부, rd1=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체인 시스템)] [[분류:유희왕/OCG/카드군]][include(틀:유희왕/OCG/테마)] || 한글판 명칭 ||'''[ruby(C, ruby=체인)]'''|| || 일어판 명칭 ||'''[ruby(C, ruby=チェーン)]'''|| || 영어판 명칭 ||'''Iron Chain'''||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카드군. 'C'라고 쓰고 루비로 '체인'으로 표기된 것만을 지명하므로 다른 '체인' 표기는 카테고리에 해당되지 않는다.[* [[유희왕 5D's]] 한국 방영판에서는 그냥 '체인'이라고만 표기되었다.] 따라서 영어권 발매판에서는 'Iron Chain'으로 살짝 변경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유희왕 5D's]]에서 [[타카스]]가 사용한 카드군. [[혼돈의 교차]] 팩을 통해 [[유희왕/OCG]]에 데뷔했다. 모든 몬스터가 땅 속성이다. 기본적으로는 덱 파괴를 컨셉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전투를 보조하는 비트 다운부터 효과 데미지까지 방향성이 너무 중구난방한데다, 그마저도 제대로 된 시너지가 부족하고 성능도 저열해서 사실상 카드군으로서의 기능은 불가능한 수준이다. 발매 시기를 감안해도 효과의 질이 너무 낮아 체인 드래곤, 잘 쳐줘야 코일 정도가 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스테이터스만 살려 용병으로 쓰이는 데에만 그쳤다. 원작 사용자가 일개 단역인데다 심각한 비호감 캐릭터로 나왔다보니, 인기도 처참해서 사후 지원 가능성도 없다고 보면 된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2 === ==== C·슈터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IronChainBlaster-CSOC-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ruby(C, ruby=체인)]·슈터'''|| || 일어판 명칭 ||<-4>'''[ruby(C, ruby=チェーン)]・シューター'''|| || 영어판 명칭 ||<-4>'''Iron Chain Blast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전사족]] || 1100 || 0 || ||<-5>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C(체인)"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한다. 상대 라이프에 800[*듀얼링크스 4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캐논 솔저]]처럼 [[사출#OCG에서|사출]] 효과가 있지만, 1턴에 1번 제약도 없이 아무 카드나 사출이 가능해서 금지당한 캐논 솔저와 달리 턴 제한이 붙은 데다 코스트로 필요한 대상이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그나마 명칭 지정이 없는 점이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체인 몬스터라고만 지정되어 있는 덕분에 스스로를 사출하고 리페어러로 소생을 반복할 수는 있다. === 레벨 3 === ==== C·스네이크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IronChainSnake-CSOC-JP-R.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ruby(C, ruby=체인)]·스네이크'''|| || 일어판 명칭 ||<-4>'''[ruby(C, ruby=チェーン)]・スネーク'''|| || 영어판 명칭 ||<-4>'''Iron Chain Snak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파충류족]] || 800 || 1200 || ||<-5>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수비력은 800 포인트 내린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장착 몬스터의 컨트롤러 덱 위에서 그 몬스터의 레벨과 같은 매수의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혼돈의 교차]]에서 등장. 이 카드를 사용해서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낮춰 반격을 가하고 동시에 덱 파괴도 이룰 수 있다. 고레벨 몬스터에 장착하면 많은 양의 덱 파괴를 노릴 수도 있지만 레벨이 없는 엑시즈 / 링크 몬스터에게는 소용이 없다. 하지만 장착 효과는 필드에 불러야만 쓸 수 있다는 점과 덱 갈이가 전투 파괴에만 대응한다는 점, 공수 감소치가 체인 덱의 입장에선 애매하기 짝이 없는 800이라는 점이 걸린다. 그리고 덱 갈이 자체가 현 환경에선 꺼려지는 일인 것도 한몫하는건 덤. [[유희왕 5D's]]에서는 [[타카스]]의 덱 파괴 주력 카드로 등장. C·리페어러와 콤보로 유세이의 몬스터를 약체화시키며 [[후도 유세이]]를 괴롭혔다. ==== C·코일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IronChainCoil-CSOC-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ruby(C, ruby=체인)]·코일'''|| || 일어판 명칭 ||<-4>'''[ruby(C, ruby=チェーン)]・コイル'''|| || 영어판 명칭 ||<-4>'''Iron Chain Coil'''|| ||<-5> [[싱크로 소환/튜너|튜너]]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기계족]] || 1100 || 1600 || ||<-5>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C(체인)"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300 포인트 올린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강화 효과는 수수하지만, 지속적이므로 여러 번 발동하는 데 성공하면 그럭저럭 위협적일 수는 있다. 원작에서는 레벨이 4였다. 발매 당시 OCG 환경은 레벨 4 이상의 튜너를 극도로 경계하여 거의 반드시 디메리트를 추가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저렇게 조정된 것. 따라서 원작처럼 슈터와 같이 튜닝해서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하는 건 불가능하고, 스네이크를 사용해야 한다. === 레벨 4 === ==== C·리페어러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IronChainRepairman-CSOC-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ruby(C, ruby=체인)]·리페어러'''|| || 일어판 명칭 ||<-4>'''[ruby(C, ruby=チェーン)]・リペアラー'''|| || 영어판 명칭 ||<-4>'''Iron Chain Repairma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전사족]] || 1600 || 1200 || ||<-5>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때, 상대 라이프에 3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1턴에 1번,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C(체인)·리페어러" 이외의 "C(체인)"이라는 이름이 붙은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혼돈의 교차]]에서 등장. 공격력은 특출나게 높지는 않아 전투 파괴를 노리기도 어렵고 번 수치도 낮아 의미가 없다. 제2의 효과인 소생 효과야말로 이 카드의 진정한 가치. 락 계열로 공격을 봉쇄하고 콤보 카드를 쓸 수 있으며, 레벨 3 체인 코일을 부활시켜 패 1장으로 [[블랙 로즈 드래곤]] 등의 레벨 7 싱크로 소환을 하거나, 체인 슈터를 소생해 데미지를 주는 등의 전략도 가능하다. 전사족이라 서치 및 재활용도 쉬운 편. 체인 몬스터들로 덱을 꾸리고 싶다면 이 카드가 유일하다시피 한 차별점이 된다. [[유희왕 5D's]]에서는 [[타카스]]가 사용한 체인 덱의 키 카드로 등장. 유세이의 몬스터를 차례차례로 박살 내고 C·스네이크 등을 되살리며 유세이를 압박했으나, 결국 [[반란 용병 부대]]의 효과로 파괴되었다. == 싱크로 몬스터 == === 레벨 6 === ==== [[C·드래곤]] ==== == 서포트 카드 == === 포이즌 체인 === [[파일:external/img15.shop-pro.jp/51313704.jpg]] || 한글판 명칭 ||<-4>'''포이즌 체인'''|| || 일어판 명칭 ||<-4>''' ポイズン・チェーン'''|| || 영어판 명칭 ||<-4>'''Poison Chain'''|| ||<-5> 지속 마법 || ||<-5>자신의 턴에 전투를 실행하지 않을 경우, 엔드 페이즈시에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C(체인)"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낼 수 있다.|| 덱 자체가 전개력이 매우 부족한 편이라서 기껏해야 1 ~ 2장 정도가 최선이고, 어렵게 필드를 모두 채운다고 가정해도 6장이 최대라서 준비 과정에 비해 리턴값이 굉장히 초라하다. 게다가 덱 몬스터들이 대부분 전투를 실행하면서 발동하는 효과인데, 정작 그 중요한 전투를 포기해야 된다는 괴상한 [[모순]]점을 지니고 있어서 되려 역시너지만 일으키는 문제까지 안고 있다. 전투가 불가능한 상황일 때 차선책으로 압박하는 용도로 쓸 수 있겠지만, 겨우 덱 몇 장 까고 마는 효과로는 오히려 남좋은 일만 시켜주고 끝날 것이다. [[파일:풰이즌췌인~.png]] 원작에서는 몬스터의 수가 아닌, 레벨의 합계에 따라서 묘지로 보내는 효과였다. 이런 효과를 반영하여 원작의 일러스트에는 각 몬스터의 레벨 숫자와 그 합계가 그려져 있었으나, OCG화로 효과가 저렇게 바뀌면서 사실상 무의미한 표기가 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발매되었을 때는 숫자가 전부 삭제되었다. 다만, 덱에서 카드를 뽑는 장수는 7장으로 동일해서 여전히 일러스트와 효과가 충돌하는 사소한 옥의 티가 있다. === 패럴라이즈 체인 === [[파일:external/shop.yellowsubmarine.co.jp/csoc-jp054.jpg]] || 한글판 명칭 ||<-4>'''패럴라이즈 체인'''|| || 일어판 명칭 ||<-4>'''パラライズ・チェーン'''|| || 영어판 명칭 ||<-4>'''Paralyzing Chain'''|| ||<-5> 지속 마법 || ||<-5>카드의 효과에 의해서 상대의 덱에서 카드가 묘지로 보내질 때마다, 상대 라이프에 300[*듀얼링크스 15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카드에 매수에 비례하지 않는 수수한 번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