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동통신)] [[파일:external/cellphoneunlocking.files.wordpress.com/cdma2000_jinkyb.jpg]] ||||||||||<:>[[이동통신 주파수|한국 통신사 주파수 할당 내역]] - CDMA2000[* CDMA 주파수는 WCDMA - LTE 주파수와는 다르게 아예 다른 밴드로 묶는다. [[http://niviuk.free.fr/cdma_band.php|CDMA 주파수 목록]]에 따르면 SK텔레콤은 Band Class 0, LG U+는 Band Class 4. GSM/WCDMA/LTE 밴드 기준으로 표기한다면 SK텔레콤은 Band 5가 된다. CDMA BC4와 LTE B3은 Duplex Spacing이 다르다.] || ||<:>통신사 ||<:>주파수 ||<:>상향 대역폭 ||<:>하향 대역폭 ||<:>기타 || ||<:>[[SK텔레콤|[[파일:SK텔레콤 로고.svg|width=70]]]] || ~~Band Class 0 800 MHz~~ || ~~5 MHz~~ || ~~5 MHz~~ ||<|3> '''서비스 종료''' || ||<:>[[KT|[[파일:KT 로고.svg|width=30]]]] || ~~Band Class 1.8 GHz~~ || - || - || ||<:>[[LG U+|[[파일:LG U+ 로고.svg|width=70]]]] || ~~Band Class 4 1.8 GHz~~ || ~~10 MHz~~ || ~~10 MHz~~ || [목차] == 개요 == [[CDMA]]의 3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발전형이다. == 상세 == CDMA2000은 2.5G와 [[3G]]의 혼합형 기술로 기존의 [[CDMA]] 방식을 사용한다. CDMA2000은 1xRTT에서는 2.5G 기술로 고려되며, EV-DO에서는 [[3G]] 기술로 고려된다. [[CDMA]]는 미국 군사기술이 원조이고, [[헤디 라마르]]가 만든 이론인데, 당시 기술력으로는 구현이 어려워 밀봉했다가 AMPS의 끝에 만든 것이다. [[https://m.etoday.co.kr/view.php?idxno=1230851|*]] CDMA2000은 모뎀처럼 동시 통신이 불가하여 무선인터넷에 접속되면 음성통화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리비전 A 이전까지인 EV-DO는 셀룰러의 LAN 카드를 추가했다고 투박하게 비유할 수 있을 정도로 순수하게 데이터만 담당한다. 리비전 A처럼 능동적인 분배가 안 되어 용량은 무조건 크게 하여야 한다. 그래서 [[피처폰]]이나 간혹 01X을 이유로 해외 CDMA [[스마트폰]]을 쓰는 사용자들이 이 문제로 고생한다. 능동적인 관리가 안 된다는 뜻은 주파수 자원의 한계 때문에 물량공세가 제한이 있다는 뜻이고, 이는 EV-DO 지원 기지국이 적을 수 밖에 없게 만든다. 그런데다가 대역은 기술적으로 2 Mbps 정도이고 국내는 저 주파수를 여러 안보문제로 다른 곳에 쓰고 있는 듯. 그것도 그렇고 미국이나 유럽 중국처럼 넓은 대역이 필요하지도 않다. 외국이라고 그 대역으로 풀스피드가 나오지도 않고 말이다. 한국의 [[LG U+]][* 공식적으로 CDMA Band Class 4 1.8 GHz로 서비스하는 '''전 세계 유일 이동통신사'''였다. 2011년까지는 KT도 사용했지만 2012년에 서비스를 종료한 후 LTE로 전환하였고, LG U+도 2020년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이 때문에 Band 이름 자체가 '''K'''orea '''PCS'''다.], 칠레의 Entel[* [[LG U+]]와 같은 1.8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다만 비공식 서비스라서 공식적으로는 인정받지 않는다.], 중국의 [[차이나텔레콤]], 일본의 [[KDDI]][* 주파수 자체는 글로벌 통용 주파수였으나 과거에는 상향 대역과 하향 대역을 '''바꿔서 사용'''해 버려서 이쪽도 이름이 '''J'''apan '''CDMA'''였다. 지금은 국제 표준으로 전환했다.] 미국의 [[버라이즌]]과 [[스프린트(기업)|스프린트]] 등이 있다. 참고로 [[ADSL]]처럼 대한민국이 최초로 상용화했다. === 1XRTT === CDMA2000 1xRTT은 CDMA2000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1x, 1xRTT, 또는 IS-2000으로 알려져 있다. "1x"라는 이름은 "1회 무선전송기술"을 의미하며 RF 대역폭은 IS-95와 같다: 1.25MHz 무선 채널 전이중(duplex) 전송. 이는 3xRTT와 다른 점이고 3xRTT는 세 배 넓은 채널 (3.75MHz)를 사용한다. 1xRTT는 64개의 추가적인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여 IS-95에 비해 거의 두 배의 데이터 처리 용량을 갖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높은 데이터 전송률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144kbit/s로 제한하고 있다. 그 밖에 [[IMT-2000]]은 데이터 서비스의 활성화와 QoS를 위해 데이터 링크 계층을 개선하였다. IS-95 데이터 링크 계층은 데이터 및 음성 서비스에 대해서 "best effort delivery"만을 제공했었다. 1xRTT는 공식적으로 [[3G]] 기술로 승인받았지만, 많은 경우 2.5G 또는 2.75G 기술로 인식된다. 그 이유는 일부 대역에서의 [[3G]] 시스템을 제한하는 몇몇 국가에서, 1xRTT는 2G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서킷(종량제)였던 데이터 통화료가 패킷(총량제)으로 바뀌어서 수많은 사람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거기다가 콘텐츠별로 나뉘어 있는 통화료는 덤이다.[* 그걸 '''세계최초로 개발한 통신사가 다름아닌 [[SK텔레콤]]이며''' "차등 과금 시스템"이라고 한다.] 자세한 건 [[데이터 요금제/과거]] 문서를 참고. === EV-DO(=EV-DO Rel.0) ===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Evolution-Data only, EVDO 또는 EV]는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통해 무선 신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표준이다. 각 사용자의 데이터 레이트와 전체 시스템 데이터 레이트 모두를 극대화 하기 위해 시간 분할 다중 접속[*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은 물론 코드 분할 다중 접속을 포함한 다중화 기술을 이용한다. CDMA2000 계열 규격의 일부분으로 3GPP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에서 표준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CDMA]] 네트워크를 구축한 세계 여러 곳의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글로벌 스타 위성 전화 네트워크에서도 사용된다. 2000년대, [[삼성전자]]는 단말기 모델명으로 EV-DO 지원 여부를 나타내기도 했다. 모델명이 SCH-__E__×××(SKT용 셀룰러), SPH-__E__××××(PCS)인 단말기가 EV-DO 지원 단말기였고[* 다만, LGT용은 E가 붙어도 1xRTT만 지원하였다.], 이후에는 E 대신 V[* '''V'''OD.]로 나타내어 Fimm[* 3G 상용화 이후 SHOW 브랜드를 런칭하면서 SHOW 비디오로 바뀌었다.]이나 June 같은 정액형 VOD/MOD 서비스를 지원했다.[* 다만 V 시리즈 일부 단말기(이효리 이서진 폰으로 유명했던 SCH-V420, 권상우 폰으로 유명했던 SPH-V4200, SPH-V4400)는 이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았다.] EV-DO가 아닌 단말기들은 '''E'''나 '''V''' 대신 '''X'''[* 1'''x'''RTT.]나 '''S'''로 시작했다. (예: SPH-__X__9850, SPH-__S__1000) 이후 E, V, X는 B[* '''B'''roadcas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지원.], C[* '''C'''ompact.], S[* 보급형. 1xRTT 전용.]로 통합되었다. 다만, [[PDA]]는 통신 방식에 상관없이 '''M'''[* 과거 삼성PDA 브랜드인 '''M'''ITs]으로 시작했다. LGU+ 3G모델들은 지원여부와 상관없이 '''W'''[* 아무레도 WCDMA가 아니고 E, V는 포화상태다 보니 Wirless로 끼워 맞췄다.]로 시작하는데 원래 '''W'''는 SCH-W***[* Samsung CDMA Handset Wideband]처럼 로비력이 좋고 장인의 뒷배가있는 '''W'''CDMA 단말기에 사용되는 모델명이다. [[LG전자]] 역시 단말기 모델명으로 EV-DO 지원 여부를 구분하였는데, 모델명이 LG-__SV__×××(SKT용 셀룰러)[* 단, LG-SV300 와인폰1의 경우 예외로 1xRTT 단말기이다.], LG-__KV__××××(KTF용 PCS)인 단말기가 EV-DO 지원 단말기이다. 예외라고 하면 LG-__LV__××××(LGT용 PCS)의 경우 1xRTT 단말기이나, 모델명을 다른 통신사와 맞추기 위해 V를 붙였다.[* 2006년 이후 한정, 2005년 이전 까지는 기존처럼 V가 아닌 P가 붙었다.] 다만 Rev.A가 활성화된 시점부터 LGT에서도 EV-DO 지원 단말기기 나왔다. DMB 지원 단말기의 경우 LG-__SB__×××(SKT용 셀룰러), LG-__KB__××××(KTF용 PCS)로 표기하였으며, LGT 역시 LG-__LB__××××(LGT용 PCS)으로 표기하였으나 EV-DO 단말기와 1xRTT 단말기가 섞여있었다. EV-DO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고 무선 사업자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활용될 수 있도록 CDMA2000(IS-2000) 표준의 진화 형태로 고안되었다. 하나의 EV-DO 채널은 IS-95 계열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1.25MHz의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다. 반면, 채널 구조는 매우 다르다. 또한, 완전한 패킷 기반 네트워크로 운영되기 때문에 서킷 스위치 네트워크에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제약을 받지 않는다. 단점은 [[GSM]](GPRS/EDGE)나 [[WCDMA]](UMTS/HSDPA/HSUPA/[[HSPA+]])처럼 데이터와 전화망을 유연하게 쓰는 기술이 없어서 데이터 전용 기지국을 따로 설치해야 했으며 이는 기존에 이통사가 할당받은 대역 내에서 해결해야 했다. 이 때문에 2G망 데이터는 EVDO지원폰이라도 약하거나 없는 구간도 많다. 그냥 무선으로 쏘는 LAN을 장착한 셈이다 CDMA2000은 모뎀에 해당(ADSL처럼 동시통신 불가)한다고 보면 된다. ==== EV-DO Rev.A ==== Rev.A는 기존의 EV-DO에서 한 단계 발전한 기술이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다운로드의 경우 3.1Mbps, 업로드의 경우는 1.8Mbps까지 지원한다. ==== EV-DO Rev.B ==== Rev.B는 기존 EV-DO Rev.A를 멀티 캐리어로 진화시켜 업그레이드 한 기술로, 데이터 전송 속도는 다운로드의 경우 9.3Mbps, 업로드는 5.4Mbps까지 지원한다. 이는 WCDMA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HSPA와 실질적으로 비슷한 속도를 가진다. 이 외에도 EV-DO Rev.A 에서 개선된 내용들이 여럿 있으나 대표적으로, 비대칭적인 다운로드/업로드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배터리 소모가 많아져서인지 [[LG U+]]용 [[갤럭시 S II]] 정도를 제외하고는 아예 지원 자체를 하지 않거나, 칩셋에서 지원하더라도 기본값으로 적용되지 않은 모델이 대부분이다. [[베가 레이서]]는 루팅해서 특정 파일을 수정한 다음, 서비스메뉴를 통해 설정을 변경하는 식으로[* 루팅해서 특정 파일을 수정하지 않으면 해당 설정을 사용할수 없게 비활성화된다.] 활성화가 가능했다. ==== EV-DO Rev.C(개발 취소) ==== 기존 EV-Do Rev.B에서 MIMO/OFDM를 기반으로 업그레이드 한 기술로, 다른 말로는 UMB(Ultra Mobile Broadband)라고 칭한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다운로드의 경우 275Mbps, 업로드의 경우 75 Mbps를 지원하는데 이는 [[LTE]] Cat.6에 가까운 다운로드 속도다. 하지만 최대 물주인 [[퀄컴]]이 2008년에 '''개발 취소'''를 선언하였고, 이후 퀄컴은 [[LTE]]에 올인한다. == 기타 == * CDMA에서 [[SIM]] 카드, 정확히는 R-UIM(Removable-UIM)을 사용하는 회사들도 있다. R-UIM은 퀄컴에서 개발하였으나 중국 사업자들이 애용하면서 많은 CDMA 사업자들에게도 널리 퍼졌다. R-UIM 규격은 GSM SIM 규격과 물리적으로 호환되며 한 카드에 공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주로 동남아시아나 중국 등지의 이동통신사들이 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GSM SIM과 같이 듀얼심 모드로 사용하는 것이 대다수인 상황이다. 예외적으로 단일 심으로만 사용하는 일본의 [[KDDI]] 같은 이동통신사도 있다. 한국의 경우, 로밍용 SIM 슬롯을 지원하는 몇몇 휴대폰에 한해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는데, LG-LV7400은 3G CDMA인데도 SIM이 들어가며, SIM이 없으면 개통이 안 된다. 물론 그 SIM을 WCDMA/LTE/5G 스마트폰에 꽂을 수도 없다. * CDMA의 단점은 이동통신에 적용 시에는 성능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그래서 CDMA 사용 통신사들은 저가 브랜드 전략으로, 같은 가격이라도 통화 시간이나 데이터를 늘리는 공세로 대응한다고 한다. 하지만 미국 [[버라이즌]]의 경우에는 성능이 떨어진다고 저가 브랜드 그런 거 없다.[* 이는 미국 시장의 고질적인 문제다. 미국 이통사들은 음성통화, 문자를 끼워팔고 있으며, 데이터 요금제도 별도로 가입하는 구조이다. 덕분에 미국 통신사들은 [[T-모바일]]을 제외하면 이 문제로 대차게 욕을 먹고 있다.] * CDMA2000 1xRTT는 음성과 데이터 둘 중 하나만 사용할 수 있었고, EV-DO Rev. 0은 데이터와 음성 망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휴대폰 내부 설정을 보면 [[WCDMA]][* UMTS/HSDPA/HSUPA/HSPA+ 모두 하나로 취급하고 있다.]나 [[GSM]][* GPRS/EDGE 모두 하나로 취급하고 있다.]과 달리 CDMA도 있고, EV-DO도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휴대폰을 "CDMA 전용"으로 설정하면 데이터 사용이 안 되고, "EV-DO 전용"으로 설정하면 음성 통화가 안 된다.[* 기본적으로는 1xRTT와 EV-DO 모두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약어부터 데이터전용망이다. 원래 구상대로면 동기식 3G로 화상통화까지 하고 데이터로 음성통화할 예정이었다. 그래서 UMTS/HSDPA/HSUPA/HSPA+ 중 하나만 붙잡고 있는 [[WCDMA]]와 달리, CDMA 디버그 메시지 창을 보면 흡사 1xRTT와 EVDO가 동시에 서비스 되는 것처럼 보인다. 심지어 1xRTT의 수신률과 EV-DO(eHRPD)의 수신률이 서로 다르다. 2013년 7월 이전 출시된 [[LG U+]]의 CDMA 겸용 [[LTE]] 단말기[* [[갤럭시 S4]], [[옵티머스 G Pro]], [[베가 아이언]] 등이 있다.]나 듀얼심 단말기[* [[레노버 ZUK 시리즈]] 등이 있다.]의 디버그 메시지 창을 보면 수신률이 '''1xRTT+EVDO+LTE''' 총 3개다. 당시에는 LG U+에서 광고를 하던 100% LTE가 상용화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VoLTE를 활성화 시키지 않았거나 VoLTE를 지원하지 않는 초창기 LTE 단말기는 음성 통화를 위해서 GSM/WCDMA나 CDMA 둘 중 하나가 반드시 필요했다. 물론 이 단말기에서 EV-DO도 지원하긴 했지만 데이터는 LTE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뒀다.[* 반면, [[SK텔레콤]]과 [[KT]]의 단말기는 3G폰이든 LTE폰이든 UMTS/HSDPA/HSUPA/HSPA+/LTE 중 현재 붙잡고 있는 단 하나의 네트워크만 보여준다. LTE 단말기([[VoLTE]] 미사용시)는 CSFB, 즉 3G 음성통화 중에만 3G 신호를 잡는다.] LG U+가 LTE를 구축할 당시에는 수도권임에도 불구하고 바로 지하로 갔더니 EV-DO만 잡히는 곳도 존재했다. 그리고 LTE가 아예 안 잡히면 1xRTT와 EV-DO 망에 연결을 시도하는데, 1xRTT만 잡혀도 EV-DO인 3G라고 뜨는 폰도 있다. 한 무선망(RAN)에서 음성과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WCDMA와는 다르게 EV-DO는 음성용과 데이터용 RAN이 분리되어 있어서 배치가 더 어려웠다. * 1xRTT로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전화나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다. 이는 1xRTT의 특성상 전화/문자 또는 데이터 중 하나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 한국에서는 피처폰이든 스마트폰이든 3G망까지 EV-DO를 사용하면 이론적으로 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었다. WCDMA는 수익이 떨어진다고 Wavelet 서비스를 탑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해당 통신망부터 '''[[SK텔레콤]]은 ___차등 과금 시스템___이라고 데이터 패킷에 콘텐츠별로 요금을 매기는 미친 정산방식을 개발해서 데이터 요금제를 강요했다.''' [[분류:2세대 이동통신 기술]][[분류:3세대 이동통신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