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ADF-01_FALKEN_Cockpit.png]] [[ADF-01]]의 COFFIN [목차] == 개요 ==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가공의 애비오닉스 기술.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콕핏|조종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현함으로서 [[조종사]]에게 후방과 하방의 영상까지도 포함한 360도 영상을 제공해주어 넓은 [[시야]]를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영상의 촬영에는 상기한 대로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360도 전방위 카메라 시스템이 사용되며, 영상의 시현에는 조종석의 내부 표면에 설치되는 360도 전방위 [[모니터]] 시스템이나 조종사가 [[머리]]에 착용하는 [[HM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사용하는 구조이다. 덧붙여 COFFIN은 ''''Co'''nnection '''f'''or '''F'''light '''In'''terface'의 약자이며, [[시체]]를 넣는 [[관(장례)|관]]을 의미하는 [[영어|영]]단어 'Coffin'으로부터 유래한 [[언어유희]] 내지는 [[역 두문자어]]이다. 극중에서는 [[벨카 공국|벨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로서 등장하며, 꽤나 고급 기술로서 묘사된다.[* 돈 들어가는 단위가 달라지게 된다. 그만큼 전략적 우위는 장담한다. 그 우위를 못 느끼겠다면 다른 일반 기체(시야 장애물이 있는) 와 비교해 보자...] 극중에서 묘사되는 벨카인들의 ~~[[오버 테크놀로지]]~~첨단기술을 중시하는 성향이나 [[독일|모티브가 된 국가]]를 생각해 본다면, 벨카인들의 선견지명을 보여주는 장치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기체에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360도 전방위 카메라 시스템을 설치하여 촬영한 [[영상]]을 [[콕핏|조종석]]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여주는 형태로 [[시야]]를 확보하는 개념으로서 [[조종사]]에게 후방과 하방의 영상까지도 포함한 360도 영상을 제공해주기에 [[공중전]]에서의 사각(死角)이 전혀 없으며, 기체에 설치된 카메라들과 거기에 연동된 디스플레이로 밖을 보게 되므로 콕핏이 꼭 밖이 보이는 유리창이여야 할 필요가 전혀 없다.[* 그래서 모든 기체가 COFFIN 시스템을 사용하는 [[에이스 컴뱃 3]]에서는 모든 기체의 [[콕핏]]이 죄다 [[금속]]으로 막혀 있다. 게다가 이 금속화는 [[스텔스]]성에도 큰 도움을 준다. 괜히 하늘의 깡패 [[F-22]] 랩터가 캐노피에 쇳가루 코팅 바르는 게 아니다...] 기체의 센서가 탐지한 외부 [[영상]]을 표시해 주기 위해서 [[콕핏|조종석]]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는 [[건담 시리즈]]·[[중전기 엘가임]] 등의 [[SF]] 작품에서 많이 볼 수 있는 360도 전방위 [[모니터]] 형식이 일반적이며, [[에이스 컴뱃 3]] 시대 즈음에는 360도 전방위 모니터 이외에도 [[현실]]의 [[전투기]]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HMD]]가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COFFIN 기술이 사용되지 않은 종래의 전투기들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360도 전방위 모니터나 HMD와는 별도로 [[계기판]] 역시 갖추고 있다(다만 계기판은 있어도 [[HUD]]는 없는데, 이는 360도 전방위 모니터나 HMD가 [[F-35|HUD의 역할을 대신 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에이스 컴뱃 3]] 시대로 가면 기술이 극도로 발전되었기에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를 통해서 [[AMS#s-1|신경계에 신호를 직접 전달하는 방식]]인 'ENSI(Electro Neuron Synapse Interface) 시스템'이란 것이 도입되어서[* [[에이스 컴뱃 3]]에서는 인간의 신경 세포와 기체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생각을 통해 기체를 조종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기체의 정보를 인간의 신경계에 바로 전달하는 시스템이라고 설명되었다.] 기존에 사용되던 360도 전방위 모니터와 HMD 그리고 계기판은 모두 다 보조 시스템 정도의 위치가 되었지만... 처음으로 사용된 기체는 [[에이스 컴뱃 5]] 무렵 등장한 [[ADF-01]][* 기체 자체는 [[에이스 컴뱃 2]]에 등장하지만 이때는 COFFIN이라는 명칭은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인공지능|AI]]인 [[Z.O.E.#s-1]]가 조종하는 [[무인기]]였기 때문에 전방위 [[모니터]]로 재현되는 구조가 아니었다.]. 그리고 당시 기체의 성능과 합쳐져서[* [[이스터 에그]] 성의 이벤트였는데... [[SOLG]]를 이 기체로 플레이하면 원거리에서 분해시킬 수 있었다. 이때 당시 파괴력은 스치면 사망 급이었다.] 아주 흉악한 성능을 자랑했다. 이 당시의 초기형 COFFIN에 사용된 전방위 [[모니터]]는 [[곤충]]의 겹눈처럼 육각형 모양의 모니터 패널들이 연결되어서 360도를 커버하는 형식으로 만들어져 있었다. 그 이후에도 시대상으로 이후인 여러 시리즈의 기체([[펜리어]], [[YR-99]], [[YR-302]], [[XR-45]])에서도 이 COFFIN 기술을 사용하게 된다.[* 이 당시의 기체들은 좀 불편한 점이 있는 기체가 있다.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화면 분할이 이루어지는데, 이 화면 분할의 경계가 너무 잘 보이는 경우, "[[SF]] [[장르]]에 등장하는 [[전투기]] 같아 멋지다" 하는 사람들의 "왠지 불안하다" 하는 사람들의 의견이 양분되어 있다.] [[에이스 컴뱃 7]]에서 등장한 [[ADF-11F|ADF-11]]의 경우에도 유인기 모델의 경우 COFFIN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데, 이 기종의 경우에는 [[에이스 컴뱃 3]] 시대 즈음처럼 360도 전방위 모니터 대신 [[HMD]]를 사용하는 방식인 것이 특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아직 채용되지 않았지만 그 이외에는 ADF-11의 시점에서 이미 에이스 컴뱃 3 시대와 비슷한 수준의 기술이 정립되어 있었던 모양이다. 그리고 좀 더 먼 미래인 [[에이스 컴뱃 3]]에서는 '''모든 기체가'''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 본래 COFFIN을 사용하지 않았던 구형 기종들에게도 일괄적으로 [[마개조]] 수준의 개량을 통해 [[콕핏|조종석]]에 COFFIN이 추가되었고, 또한 새롭게 개발되는 신형 기종들은 당연히 처음부터 기본적으로 조종석에 COFFIN을 적용하게 된 것. 그렇기에 에이스 컴뱃 3에서는 새롭게 개발된 신형기들이 중심이 되는 [[뉴컴]]제 기종들만이 아니라 과거의 구형기들(이자 현실 세계에도 존재하는 실존 기종들)의 개량형이 중심이 되는 [[제너럴 리소스]]제 기종들도 포함해서 모든 기종들이 기본적으로 COFFIN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 무렵의 COFFIN은 상기한 대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AMS#s-1|파일럿의 신경을 기체와 연동시키는 기술]]인 'ENSI 시스템'과 결합되어서 [[에반게리온|생각만으로도 기체를 조작할 수 있게 되었고]], 더불어 [[제로 시스템|기체의 센서가 탐지한 정보와 각종 전술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가 파일럿의 신경계에 직접 전송되기에]] 360도 전방위 [[모니터]] 및 [[HMD]]나 [[계기판]] 등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파일럿이 자신이 탑승한 기체가 감지한 [[정보]]를 감각공유에 의해 그대로 자신의 [[감각]]과 같이 느낄 수 있게 되는 등 [[YF-21|더더욱 훌륭한 성능을 자랑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이 제법 매력이 있는지 [[아머드 코어 4]]에서 [[AMS#s-1|비슷한 설정]]으로 등장했고, 이후 [[IS(인피니트 스트라토스)|IS]]에서도 신경계에 신호를 직접 전달하는 '하이퍼 센서'라는 설정으로 비슷한 기술이 등장했다.] 이렇게 COFFIN과 ENSI 시스템을 조합하여 탑재한 항공기들은 기존의 항공기와의 구별을 위하여 특별히 '에어로코핀(Aero Coffin)'이라고 불린다는 설정이 있다.[* 참고로 에어로코핀은 원격조종에 의하여 [[무인기]]로서 기능할 수도 있지만(물론 이 때에도 조종 인터페이스로는 COFFIN과 ENSI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 경우 타임랙으로 인하여 실전에서 먹힐 만한 반응속도가 잘 나오질 않는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조종의 불편함이 있다고 한다. 조종사의 조작이 기체의 실제 거동으로 옮겨지는 데에 미묘한 [[인풋랙]]이 생긴다는 것. 그래서 에어로코핀은 인풋랙이 최소화되어야 하는 전투 상황에서는 주로 유인기로서 운용되는 것이 보통이라는 설정이 있다.] 여담으로, [[영어|영]]단어 'Coffin'은 앞서 말한 대로 [[시체]]를 넣는 [[관(장례)|관]]을 의미한다. 좀 갑갑하다 생각하거나 [[폐소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은 이 시스템을 탑재한 기체들이 정말 무서워질 수도 있겠다. == 현실 == 한편 현실에서도 이러한 컨셉의 애비오닉스 기술은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일례로 '''[[현실]]의 [[미국]]'''은 이제 [[F-35]]에 COFFIN과 유사한 컨셉의 기술인 EO-DAS 시스템을 완성해 넣었다(...). 전방위 열영상 센서와 [[레이더]]를 포함한 5종의 센서를 통해 가시선 탐지보다 더 유리한데다, 자체적인 시스템을 통해 '''뒤에서 쫒아오는 [[비행기]]에 사이드와인더를 발사해 격추 시킬 수도 있다고 한다!''' 이는 사실 [[HMD]]/[[HMS]] 연동 [[미사일]]을 사용할 수 있는 [[전투기]]라면 모두 기본적으로 할 수 있는 전술이긴 하지만,[* [[미사일 만능주의]] 문서에서도 언급되었듯이 미사일 기술이 발전되면서 가능해진 것이다.] 뒤에 있는 [[적]]에 대한 [[영상]][[정보]]를 미사일의 화기관제에 사용하거나 단순히 외부 영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서, 가령 적 레이더의 탐지범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 최적의 침투 경로를 기체의 컴퓨터가 계산하여 그래픽으로 처리해 표시해주는 등 ~~마치 게임을 하듯~~ [[ERS|파일럿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증강현실]] 기술이라고도 볼 수 있기 때문에 F-35의 HMD가 다른 국가 기종들보다 진보한 것은 사실이다. 또한, 필요하다면 [[HMD]]를 통해서 [[조종사]]에게 후방과 하방의 [[영상]]까지도 포함한 360도 영상을 [[증강현실]]의 형태로 제공해줄 수도 있다고 한다.[*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기존의 기종에서는 파일럿이 아무리 고개를 돌려도 캐노피의 프레임이나 기체 구조물 등에 가려서 제대로 보기 어려운 기체 후방의 [[영상]]을 보여주는 것은 물론이고, 기체 밑의 지표면까지도 포함해 360도 전방위 영상을 막힘없이 보여준다는 것. [[조종사]]가 고개를 살짝 좀 돌리면 [[HMD]]를 통해 등 뒤의 영상을 볼 수 있고, 또 고개를 슬쩍 숙이면 [[HMD]]를 통해 시야 장애물이 되는 조종석의 밑바닥을 넘어서 지표면의 영상을 볼 수 있는 정도에 이른 것이다.] 이는 기체 곳곳에 다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조합하여 전방위 [[모니터]] 콕핏 대신, 파일럿의 헬멧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현함으로서 360도 영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현 방법은 다르지만 현실에서 COFFIN과 가장 유사한 컨셉이라 할 수 있다. 다만, EO-DAS도 문제가 있는데, EO-DAS가 F-35의 가장 대단한 기능 중 하나인 것은 확실하지만, 그만큼 개발 난이도가 너무 높아서 오작동이 발견되기도 하는 등,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들이 아직 많다고 한다. [[http://m.aviationweek.com/defense/jsf-program-ditches-tests-protect-schedule?NL=AW-05&Issue=AW-05_20150121_AW-05_620&YM_RID=%60email%60&YM_MID=%60mmid%60&sfvc4enews=42&cl=article_1|참조]]. [[러시아]]도 [[Su-35]]를 시작으로 차세대 [[전투기]] [[PAK-FA]] 시제기 [[수호이 T-50]]에서 기체 곳곳에 소형 전자광학 센서를 심어놓은 모습이 확인되어 러시아판 EO-DAS가 적용될 것으로 추정되나 F-35의 그것과 비교하여 어느정도의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지 상세한 정보는 불명. [[프랑스]]의 [[라팔]]F3의 경우 F-35의 EO-DAS나 러시아가 개발중인 광학장비에 비하면 다소 소박하지만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신형 광학장비 OSF-IT의 부재를 대신하기 위해 주익 끝단의 윙팁 파일런에 장착되는 단거리 [[미카 대공 미사일]]의 IR 센서를 IRST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응용의 원조는 [[미국]]이다. 과거 [[A-10]]에 광학장비가 없을 시절에 [[AGM-65]] [[매버릭]] [[미사일]]의 시커를 통해 표적을 확인하곤 했다.] 다만, 아무래도 미사일에 탑재된 작은 용적의 IR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성능이 떨어진다는 것, 미카 대공 미사일을 이미 발사했거나 탑재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향후 OSF-IT가 완성되더라도 근본적으로는 기존 4세대 기체들에 탑재되던 IRST와 CCD이기 때문에 EO-DAS와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미국의 [[X 실험기 시리즈]]중 X-59 QueSST는 그 설계 때문에 평범한 유리창으론 시야확보가 힘들어서 전면부에 COFFIN과 매우 유사한 기능이 탑제되어있다. 다만 측면은 평범한 유리창이다. [[분류:에이스 컴뱃 시리즈]][[분류:로그 누락 문제 없음]] [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기여자 내역, 문서명=COFF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