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COMAC의 항공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020171023424360959098.jpg|width=100%]]}}}|| || '''공식 렌더링'''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항공기 제작사 [[COMAC]]이 러시아 방산업체 [[통합항공기제작사|UAC]]와 합작하여 개발중인 광동체 여객기. == 개발 == 원래 2022~2023년에 첫 비행을 거쳐 2025년에 인도를 진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개발이 지연되었는데, 원래는 서방제 [[롤스로이스 Trent|Trent 1000]] 또는 [[제너럴 일렉트릭 GEnx|GEnx-1B75]] 엔진을 사용할 예정이였으나 러시아측이 합작사로 들어오면서 러시아제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이런 변경이 미국의 대중국 엔진수출 금지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으나 항공기용 엔진 만큼은 미국이 다른나라에 비해 압도적인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오히려 미국이 중국에 판매하는데 더 적극적이다. C919나 ARJ21에도 미국 GE제 엔진이 장착되었다. 미중 무역전쟁을 일으킨 트럼프 측도 대중국 엔진수출을 막는 미국 상무부에 대중국 엔진수출을 허가하라고 호통을 쳤을 정도다. [[https://www.reuters.com/article/us-usa-trade-china-idUSKBN20C1ZV|#]] ] 장착할 러제 엔진으로는 [[아비아드비가텔]]이 2028년부터 양산할 예정인 PD-35으로 결정되었다. == 제원 == ||<-5> '''COMAC CR929''' || ||||<:> '''형식''' ||<:> '''CR929-500''' ||<:> '''CR929-600''' ||<:> '''CR929-700''' || ||||<:> '''승무원''' ||<:><-3> 2 || ||||<:> '''최대 좌석 수[* 모두 이코노미 좌석으로 배치하였을때를 말한다.]''' ||<:> ? ||<:> 405(32") / 440(30") ||<:> ? || ||||<:> '''길이''' ||<:> ? ||<:> 63.755 m ||<:> ? || ||||<:> '''폭''' ||<:> ? ||<:> 35.92 m||<:> ? || ||||<:> '''날개 길이''' ||<:> ?||<:> 63.86m ||<:> ? || ||||<:> '''동체 폭''' ||<:> ? ||<:> 5.92 m ||<:> ? || ||||<:> '''높이''' ||<:> ? ||<:> 17.9 m ||<:> ? || ||||<:> '''최대 연료 탑재량''' ||<:> ? ||<:> 103,700 kg ||<:> ? || ||||<:> '''공허중량'''[* Operation Empty Weight] ||<:> ? ||<:> 245,000 kg ||<:> ? || ||||<:> '''최대 적재 중량''' ||<:> ? ||<:> 50,400 kg ||<:> ? || ||||<:> '''최대 이륙 중량''' ||<:> ? ||<:> 244,940 kg ||<:> ? || ||||<:> '''엔진''' ||<:><-3> 2 x [[아비아드비가텔]] PD-35 || ||||<:> '''항속거리''' ||<:> 10,000km ||<:> 12,000 km ||<:> 14,000km || ||||<:> '''추력''' ||<:><-3> 77,000 lbf || == 이미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fd781d578ef7fae3cdb4c8136a0976d.jpeg.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cd2447ec697e9299cbf57f7f4999202.jpeg.jpg|width=100%]]}}}|| || '''객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52d975230d0e4dcc4651d1cd75b75df.jpeg.jpg|width=100%]]}}}|| || '''프로토타입 조종실'''[* [[사이드스틱]]의 생김새, 엔진 쓰로틀 레버 옆에 위치한 [[FMC]]와 뒤에 위치한 플랩, 스포일러 레버 등 전반적으로 [[에어버스]] 기종들의 조종실 배치와 유사하다.] || == 경쟁 기종 == *[[에어버스]] - [[A330neo]] *[[보잉]] - [[보잉 787 드림라이너|]] CR929-600 기준으로 좌석수는 405~440석으로 [[A330neo|에어버스 A330-900]](최대 460석) 및 [[보잉 787|보잉 787-10]](최대 440석)과 경쟁 구도가 세워지며, 항속거리로는 [[A330neo]] 대비 1000km 이상 짧고, 보잉 787-10보단 살짝 길다. 물론 아직 카탈로그 스펙이니 비교하긴 이르며, 일부에서는 특히 서방제 엔진을 사용하지 못해 러시아제 엔진을 사용해야 하는 점은 단점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다만 러시아도 엔진개발에 노하우가 꽤 많은 만큼, 이 비행기에 넣을 PD-35 엔진이 어느정도인지 성능은 두고 봐야 알 수 있다. [[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