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엘튼 존 노래]][[분류:1973년 노래]][[분류:1974년 싱글]][[분류:1987년 노래]][[분류:1987년 싱글]][[분류:1988년 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6위 노래]][[분류:팝]][[분류:소프트 록]] [include(틀:엘튼 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e9e8 0%, # 20%, # 80%, #ede9e8)" '''Candle in the Wind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순위=347,연도=2004, 순위2=356, 연도2=2010)]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476)] ---- }}} || ||<-2><#fff> [[파일:external/www.eltonjohnitaly.com/candle-brasile.jpg|width=100%]] || ||'''수록 앨범'''||[[Goodbye Yellow Brick Road]]|| ||'''앨범 발매일'''||[[1973년]] [[10월 5일]]|| ||'''녹음일'''||[[1973년]] [[5월 7일]]|| ||'''녹음실'''||[[프랑스]] 에후빌 샤토 드 에후빌 {{{-3 (스트로베리 스튜디오)}}}|| ||'''싱글 발매일'''||[[1974년]] [[2월 22일]]|| ||'''싱글 B면'''||[[Bennie and the Jets]]|| ||'''장르'''||[[팝 음악|팝]], [[소프트 록]]|| ||'''재생시간'''||3:50|| ||'''작사가'''||[[버니 토핀]]|| ||'''작곡가'''||[[엘튼 존]]|| ||'''프로듀서'''||거스 더전|| ||'''발매사'''||DJM (UK), MCA (US)|| [목차][clearfix] == 개요 == [youtube(MYU3F8uUGiw)] [[엘튼 존]]의 1973년 정규 7집 [[Goodbye Yellow Brick Road]]의 2번 트랙이자 4번째 싱글이다. == 1973년판 == 피아노와 보컬로 잔잔히 시작하다가 후렴부터 [[엘튼 존 밴드]]의 연주가 가세하면서 한층 거세지는 발라드 곡이다. 가사는 [[마릴린 먼로]]를 추모하면서도 화려한 명성 속에서 행복한 삶을 보내지 못하고 요절한 인기 연예인들을 다루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71 페이지] 버니 토핀은 'Candle in the wind'라는 말을 항상 좋아했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소설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이 〈Candle in the Wind〉라는 제목의 책을 쓴 적 있고, 미국의 음반 기획자이자 음반 업계의 거물 클라이브 데이비스가 요절한 [[재니스 조플린]]을 가리켜 '바람 속의 촛불'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이 말이 계속 생각났고, 누군가의 삶을 묘사하는 방식이 참 멋지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Elton John: The Biography, 165 페이지] 버니 토핀은 마릴린 먼로는 명성과 요절한 사람들, 방종하다가 요절한 사람들에 대한 은유에 불과하고 [[제임스 딘]]이나 [[몽고메리 클리프트]], [[짐 모리슨]]에 대한 곡일 수도 있고 작가와 배우, 가수 등 경력의 전성기에 생을 마감한 모든 사람에게 해당하는 곡이라고 각종 인터뷰에서 설명했다.[*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news/elton-john-and-bernie-taupin-look-back-at-goodbye-yellow-brick-road-205112/|Elton John and Bernie Taupin Look Back At ‘Goodbye Yellow Brick Road’]][br]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5: Goodbye Yellow Brick Road] 마릴린 먼로 열성 팬이라고 밝힌 엘튼 존과 달리, 버니 토핀은 마릴린 먼로에 열광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http://albumlinernotes.com/EJ_BT_Interview_1990.html|EJ BT Interview 1990]][br][[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news/elton-john-and-bernie-taupin-look-back-at-goodbye-yellow-brick-road-205112/|Elton John and Bernie Taupin Look Back At ‘Goodbye Yellow Brick Road’]][br]Elton John: Goodbye Yellow Brick Road (2001/11/06)] 엘튼 존은 공연에서 부르는 곡들 중에서 유일하게 전율이 돋는 곡이라고 밝혔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5: Goodbye Yellow Brick Road] 《Goodbye Yellow Brick Road》의 수록곡들 작업 시기인 1973년 1월과 5월 사이에 작곡한 곡이다. 버니 토핀은 대부분의 가사를 1972년 겨울에 썼고, 엘튼 존은 앨범 작업을 1973년 1월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시도했을 때 [[펜더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로 대부분의 곡들을 작곡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23 페이지[br]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61 페이지] 킹스턴에서 앨범을 녹음하려고 했지만 열악한 스튜디오 환경으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고, 1972년 정규 5집 [[Honky Château]]와 1973년 정규 6집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를 녹음한 스튜디오이자 18세기 프랑스에 지어진 성 샤토 드 에후빌(Château d'Hérouville)로 가서 앨범을 작업했다. 그 사이에 곡들을 더 작곡하기도 했다. 샤토 드 에후빌에서 녹음을 시작한 첫날 1973년 5월 7일에 녹음한 첫 번째 곡들 중 하나이며, 앞서 3월 23일 영국 런던 에드먼턴의 선다운 극장 공연에서 처음 선보인 적 있다.[* [[https://www.setlist.fm/setlist/elton-john/1973/edmonton-sundown-edmonton-england-4bda8f52.html|1973년 3월 23일 영국 런던 공연 셋리스트]][br][[https://web.archive.org/web/20140503040049/http://www.eltonjohn.com/gybr-song-by-song-candle-in-the-wind/|GYBR Song-by-Song: Candle in the Wind]]] 1974년 2월 싱글로 발매했고 영국 11위, 호주 5위, 뉴질랜드 5위, 아일랜드 8위를 기록했다. 북미에서는 [[Bennie and the Jets]]를 대신 싱글로 발매했기에 한동안 싱글로 발매한 곡은 아니었지만 여타 히트곡들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인기를 누렸다. 《Goodbye Yellow Brick Road》의 수록곡들 삽화 제작에 참여한 아트 디렉터들 중 한 명인 마이클 로스가 제작한 삽화를 싱글 표지로 사용했다.[* [[http://2.bp.blogspot.com/-cvR7WGosHIY/UCPtxuy_8WI/AAAAAAAAD6o/XIehAY3-XTw/s1600/d.jpg|마이클 로스가 제작한 Candle in the Wind 삽화]]] BPI(영국 축음기 협회) 기준으로 영국에서 2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실버 인증을 받았다.[* [[https://www.bpi.co.uk/award/15774-733-1|BPI]]] 2003년 발매된 《Goodbye Yellow Brick Road》의 30주년 디럭스반에는 1993년 정규 25집 [[Duets]]와 1995년 정규 26집 [[Made in England]]에 참여한 프로듀서 그렉 페니가 리믹스한 어쿠스틱 곡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어쿠스틱 기타를 제외한 모든 악기를 덜어냈고 엘튼 존의 보컬과 백업 밴드의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 베이시스트였던 디 머리, 드러머 나이절 올슨의 하모니 보컬만 실린 리믹스 곡이다. 어쿠스틱 리믹스 곡은 2003년 발매된 EP [[Remixed(엘튼 존)|Remixed]]에도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5RhaTI8EYU|Candle in the Wind 어쿠스틱 리믹스 (2003)]]] 2014년 발매된 《Goodbye Yellow Brick Road》의 40주년 디럭스반에는 [[에드 시런]]의 커버곡이 수록되었다.[* [[https://superdeluxeedition.com/reviews/elton-john-goodbye-yellow-brick-road-super-deluxe-edition-box/|2014년 박스 세트]]] 에드 시런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협업 50주년을 기념한 2018년 헌정 앨범 [[Revamp: Reimagin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Revamp]]에 참여하여 이 곡을 불렀고, 2018년 1월 30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헌정 공연에서도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ri0lIFhOn-U|에드 시런 - Candle in the Wind (2018)]][br][[https://www.youtube.com/watch?v=clMElRiPCqE|에드 시런 - Candle in the Wind (2018년 1월 30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 참여자 == * 보컬, 작곡, 피아노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백 보컬 - 데이비 존스턴 * 베이스, 백 보컬 - 디 머리 * 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 프로듀싱 - 거스 더전 == 1987년판 == ||<-2><#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lton_John_-_Candle_in_the_Wind_%281986%29.jpg|width=100%]] || ||'''수록 앨범'''||[[Live in Australia with the Melbourne Symphony Orchestra]]|| ||'''앨범 발매일'''||[[1987년]] [[6월 13일]]|| ||'''녹음일'''||[[1986년]] [[12월 14일]]|| ||'''공연 무대'''||[[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엔터테인먼트 센터|| ||'''싱글 발매일'''||[[1987년]] [[10월]] ^^(US)^^[br][[1988년]] [[1월]] ^^(UK)^^|| ||'''싱글 B면'''||[[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Live)|| ||'''재생시간'''||4:10|| ||'''프로듀서'''||거스 더전|| ||'''발매사'''||MCA (US), Rocket (UK)|| [youtube(NoOhnrjdYOc)] 1986년 11월부터 12월까지 호주에서 멜버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Tour De Force]] 순회공연을 진행했을 때, 마지막 일정인 12월 14일 시드니 공연의 실황을 담은 라이브 앨범 [[Live in Australia with the Melbourne Symphony Orchestra]]를 1987년 6월 발매했고 이 곡의 실황도 앨범에 수록했다. 이날 엘튼 존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로 분장하고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노래를 불렀고, 2절을 불렀을 때 멜버른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단원들이 촛불을 들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5IwEQDjZcc|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공연 영상]]] 미국에서는 1987년 10월 싱글로 발매했고 영국에서는 1988년 1월 발매했다.[* [[http://www.45cat.com/record/mca53196|Candle in the Wind 미국 싱글]][br][[http://www.45cat.com/record/ejs15|Candle in the Wind 영국 싱글]]] 영국 5위, 미국 [[빌보드 핫 100]] 6위, 캐나다 5위, 아일랜드 4위 등 기록했고 [[1988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71위에 올랐다. 1988년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남성 팝 보컬상 후보에 지명되었다.[* [[http://www.awardsandshows.com/features/grammy-awards-1988-236.html|1988년 그래미 어워드 후보자 명단]]] == 1997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andle in the Wind 1997)] == 가사 == >Goodbye Norma Jean >잘 가요, 노마 진 >Though I never knew you at all >당신을 전혀 알지 못했지만 >You had the grace to hold yourself >당신은 주위 사람들이 굽실거릴 때 >While those around you crawled >스스로 품위를 지킬 줄 알았죠 > >They crawled out of the woodwork >그들은 세트장에서 기어 나와 >And they whispered into your brain >당신의 머릿속에 속삭였고 >They set you on the treadmill >쳇바퀴 위에 당신을 올려놓고 >And they made you change your name >당신의 이름도 바꾸게 했어요 > >And it seems to me you lived your life >제가 보기엔 당신은 당신의 인생을 >Like a candle in the wind >바람 속의 촛불처럼 산 거 같아요 >Never knowing who to cling to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누구에게 >When the rain set in >의지해야 할지 몰랐죠 > >And I would have liked to have known you >당신을 알았더라면 좋았겠지만 >But I was just a kid >난 그저 아이에 불과했죠 >Your candle burned out long before >당신의 촛불은 오래전에 타버렸지만 >Your legend ever did >당신의 신화는 영원할 거예요 > >Loneliness was tough >외로움은 견디기 힘들죠 >The toughest role you ever played >당신이 맡았던 가장 힘든 배역이었어요 >Hollywood created a superstar >할리우드는 슈퍼스타를 만들었지만 >And pain was the price you paid >고통은 당신이 치러야 할 대가였죠 > >Even when you died >심지어 당신이 세상을 떠났을 때도 >Oh the press still hounded you >언론은 여전히 당신을 쫓아다녔고 >All the papers had to say >모든 신문이 보도했던 것은 >Was that Marilyn was found in the nude >마를린이 나체로 발견됐다는 것이죠 > >Goodbye Norma Jean >잘 가요, 노마 진 >From the young man in the 22nd row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마릴린 먼로가 아닌, >Who sees you as something as more than sexual >성적 대상 그 이상의 존재로 당신을 바라보는 >More than just our Marilyn Monroe >22번째 줄에 앉은 젊은이로부터 == 라이브 == 1973년부터 자주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Candle+in+the+Wind|Candle In The Wind 라이브 목록]]] * [[https://www.youtube.com/watch?v=GTitKTvxuFU|1973년 12월 22일 영국 해머스미스]] * [[https://www.youtube.com/watch?v=fzO28RSQ9mI|1974년 5월 18일 영국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 * [[https://www.youtube.com/watch?v=PBMwNxkqbRs|1976년 9월 17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 [[https://www.youtube.com/watch?v=p1UgS8uQHp0|1977년 11월 3일 웸블리 아레나]] * [[https://www.youtube.com/watch?v=orQiXhWjK3o|1979년 5월 28일 러시아 모스크바]] * [[https://www.youtube.com/watch?v=v6FLeSP0SS4|1980년 〈올리비아 뉴튼 존: 할리우드 나이츠〉]] * [[올리비아 뉴튼 존]]이 노래를 불렀고, 엘튼 존은 하모니 보컬과 피아노 연주를 맡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XLI-G-a1YZA|1984년 6월 30일 웸블리 스타디움]] * [[https://www.youtube.com/watch?v=JGbKE2oozi4|1985년 12월 18일 영국 런던]] * [[https://www.youtube.com/watch?v=xXv2-u-A6Gs|1986년 2월 21일 프랑스 파리]] * [[https://www.youtube.com/watch?v=bTka4ftsq0c|1987년 12월 25일 BBC]] * [[https://www.youtube.com/watch?v=IAci8UK_b1E|1988년 5월 25일 영국 런던 '로열 갈라']] * [[https://www.youtube.com/watch?v=pIEvDHLoLPg|1989년 4월 26일 이탈리아 베로나]] * [[https://www.youtube.com/watch?v=QYpRbR0fg54|1990년 4월 7일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 미국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팜 에이드가 열렸을 때 참여했다. 1983년 히트곡 [[Too Low for Zero#s-6.1.2|I'm Still Standing]]의 첫 후렴까지 부르다가 "Candle in the Wind"로 변경했다. 이날 [[라이언 화이트]]를 위해 불렀지만 라이언 화이트는 다음 날 사망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uYZDNpOs8yM|1992년 11월 2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https://www.youtube.com/watch?v=uLMgWZcQuD8|1993년 5월 13일 영국 런던]] * [[https://www.youtube.com/watch?v=1JFpVOxBz30|1994년 9월 2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 [[https://www.youtube.com/watch?v=DN0X6hbO66o|1995년 11월 7일 칠레 산티아고]] * [[https://www.youtube.com/watch?v=Fo9Nx0KdHVw|1997년 7월 8일 독일 아샤펜부르크]] * [[https://www.youtube.com/watch?v=Fy8zAQOoutI|1999년 11월 12일 미국 시카고]] * [[https://www.youtube.com/watch?v=LCVdd2FJCfo|2000년 10월 21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 [[https://www.youtube.com/watch?v=ugXHvGdmdVU|2001년 7월 17일 튀르키예 이즈미르]] * [[https://www.youtube.com/watch?v=A_BKJ-acaLM|2002년 10월 31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https://www.youtube.com/watch?v=1gGtFfhMjkI|2004년 2월 2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 [[https://www.youtube.com/watch?v=1CT9v2cUP0o|2007년 6월 16일 우크라이나 키이우]] * [[https://www.youtube.com/watch?v=57g2mhwgpYM|2009년 6월 21일 스웨덴 보로스]] * [[https://www.youtube.com/watch?v=E92tKwIReO4|2012년 6월 30일 우크라이나 키이우]] * [[https://www.youtube.com/watch?v=2PsntanDGKY|2013년 2월 28일 칠레 비냐델마르]] * [[https://www.youtube.com/watch?v=WsGAsyFOHww|2015년 11월 18일 일본 요코하마]] * [[https://www.youtube.com/watch?v=Ml66r8YM240|2018년 10월 12일 미국 디트로이트]] * [[https://www.youtube.com/watch?v=TljTU1d-yzo|2019년 12월 23일 호주 시드니]] * [[https://www.youtube.com/watch?v=pzzxPxN-YuY|2020년 3월 7일 호주 시드니]] * [[https://www.youtube.com/watch?v=llLFw895z-M|2022년 11월 19일 다저 스타디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