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드캡터 사쿠라)] ||<-3>
'''{{{#000000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 || ||<-3>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파일:heisei_anisong_taisho.png|width=40%]]]] || ||<-3> {{{#white '''1989년~1999년'''}}} || ||<-3> {{{#c8ac25 '''유저투표상'''}}} || ||<-3>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슬램덩크(TVA)/음악#君が好きだと叫びたい|{{{#000000,#ffffff 君が好きだと叫びたい}}}]]』 ||{{{-3 BAAD }}} ||{{{-3 TV 애니메이션 『[[슬램덩크(TVA)|{{{#000000,#ffffff SLAM DUNK}}}]]』 OP테마}}} || || 『[[Catch You Catch Me|{{{#000000,#ffffff Catch You Catch Me}}}]]』 ||{{{-3 GUMI(グミ) }}} ||{{{-3 TV 애니메이션 『[[카드캡터 사쿠라(TVA)|{{{#000000,#ffffff カードキャプターさくら}}}]]』 OP테마}}} || || 『[[1/3の純情な感情|{{{#000000,#ffffff 1/3の純情な感情}}}]]』 ||{{{-3 [[SIAM SHADE|{{{#000000,#ffffff SIAM SHADE}}}]] }}} ||{{{-3 TV 애니메이션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1996년 애니메이션)|{{{#000000,#ffffff るろうに剣心 -明治剣客浪漫譚-}}}]]』 ED테마}}} ||}}}}}} ||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gpcPYDkPdg)]}}}||{{{#!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5KGGFRdaWg)]}}}|| ||
{{{#ffffff '''히나타 메구미의 오리지널 버전'''}}} || {{{#ffffff '''[[키노모토 사쿠라|{{{#fff 키노모토 사쿠라}}}]]의 성우인 [[탄게 사쿠라|{{{#fff 탄게 사쿠라}}}]]가 부른 버전'''}}} || 국내에서도 더빙 [[카드캡터 사쿠라(TVA)|방영]]한 일본 애니메이션 [[카드캡터 사쿠라]](카드캡터 체리)의 1기 [[오프닝]]곡. GUMI[* [[본명]]은 히나타 메구미(日向めぐみ). 현 [[란티스]] 소속의 [[일본]]의 [[여성]] [[싱어송라이터]], [[작사가]], [[작곡가]]이다. GUMI(グミ)로의 활동 이후 혼성듀엣 g.e.m. 으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그녀의 명성을 알리고 현재와 같은 유명 싱어송라이터로서 크게 성장하게 된 계기는 [[오카자키 리츠코]]와의 듀엣 멜로큐어의 멤버로서의 활동이다. 그 이후 meg rock 이라는 이름으로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요즘엔 애니송 작사, 작곡자로 잘 알려져 있고, '''[[하늘빛 날들]]''', '''[[연애 서큘레이션]]'''을 작사했다. 애니메이션 [[이야기 시리즈]]의 수많은 인기곡을 작사하여 [[이야기 시리즈]]에 있어선 [[하타 아키]] 같은 존재.]가 부른 원판과 [[장숙희]], [[정여진]]이 부른 한국판(SBS)은 제목만 같고 완전히 다른 노래이다. == 원곡 == ||<-3>
{{{#ffffff '''OP 1[br]Catch You Catch Me'''}}} || || {{{#ffffff '''영상'''}}}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DezQD57h-g)]}}} || || {{{#ffffff '''가수'''}}} ||<-2> 히나타 메구미(日向めぐみ) || || {{{#ffffff '''작사'''}}} ||<|2><-2> [[히로세 코미]](広瀬香美) || || {{{#ffffff '''작곡'''}}} || || {{{#ffffff '''편곡'''}}} ||<-2> 혼마 아키미츠(本間昭光) || || {{{#ffffff '''사용 회차'''}}} ||<-2> 1화 ~ 35화 || ||<-3><:> {{{#!folding 가사 ▼ ||
'''일본어 가사''' || ||<:>あいたいな あえないな せつないな このきもち 아이타이나 아에나이나 세츠나이나 코노 키모치 만나고 싶어 만날 수 없어 안타까워 이 기분이 いえないの いいたいの チャンス のがしてばかり 이에나이노 이이타이노 챤스 노가시테 바카리 말할 수 없어 말하고 싶어 기회를 놓치고만 있어 だって だって つばさ ひろげ ふたりで 닷테 닷테 츠바사 히로게 후타리데 그치만, 그치만, 날개를 펼치고 둘이 함께 そらを マラソン ゆめを ユニゾンしたい 소라오 마라손 유메오 유니존 시타이 하늘을 달리며 꿈을 함께하고 싶어[* 원어의 마라손은 [[마라톤]](marathon), 유니존은 [[유니즌]](unison)이다. 이걸 그대로 직역해버리면 한국말로 보기엔 상당히 어색하므로 의역하였다.] ほら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まって 호라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맛테 봐봐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기다려 こっちを むいて すきだと いって 콧치오 무이테 스키다토 잇테 이쪽을 보고 좋아한다 말해줘 そう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きっと 소오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킷토 그래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분명 あたしの おもい あなたの ハ-トに とんで とんで とんでゆけ 아타시노 오모이 아나타노 하-토니 톤데 톤데 톤데 유케 내 마음은 당신의 가슴 속으로 날아 날아 날아 갈거야 マ·ヨ·ワ·ナ·イ! 마 요 와 나 이! 망설이지 않아! たまにね なくなっちゃう からだの バッテリ― 타마니네 나쿠낫챠우 카라다노 밧테리- 가끔 말이야, 떨어지곤 해. 내 몸의 배터리가. あなたの えがおで いつも じゅうでん マンタン パワ― ばくはつしちゃえ 아나타노 에가오데 이츠모 쥬우덴 만탄 파와- 바쿠하츠 시챠에 네 미소로 언제나 충전 만땅 파워 폭발해버려 おねがい おねがい まずは おともだちから 오네가이 오네가이 마즈와 오토모다치카라 부탁이야 부탁이야 일단은 친구부터 시작해서 わらって みつめて たのしい まいにちに したい 와랏테 미츠메테 타노시이 마이니치니 시타이 웃으며 바라보며 즐거운 하루하루를 보내고 싶어 ほら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ゼッタイ 호라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젯타이 봐봐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무조건 うんめいだって おにあいだって 운메-닷테 오니아이닷테 운명이라니까 어울린다니까 そう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きっと 소오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킷토 그래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분명 だれにも まけない あなたに せかいで いちばん いちばん いちばん いちばん 다레니모 마케나이 아나타니 세카이데 이치방 이치방 이치방 이치방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정도로 너를 세상에서 제일 제일 제일 제일 コ·イ·シ·テ·ル! 코 이 시 테 루! 사랑하고 있어! ほら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まって 호라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맛테 봐봐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기다려. こっちを むいて すきだと いって 콧치오 무이테 스키다토 잇테 이쪽을 보고 좋아한다 말해줘 そう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きっと 소오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킷토 그래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분명 あたしの おもい あなたの ハ-トに とんで とんで とんでゆけ 아타시노 오모이 아나타노 하-토니 톤데 톤데 톤데 유케 내 마음은 당신의 가슴 속으로 날아 날아 날아 갈거야 マ·ヨ·ワ·ナ·イ! 마 요 와 나 이! 망설이지 않아! ほら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ゼッタイ 호라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젯타이 봐봐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무조건 うんめいだって おにあいだって 운메-닷테 오니아이닷테 운명이라니까 어울린다니까 そう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きっと 소오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킷토 그래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분명 だれにも まけない あなたに せかいで いちばん いちばん いちばん いちばん 다레니모 마케나이 아나타니 세카이데 이치방 이치방 이치방 이치방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정도로 너를 세상에서 제일 제일 제일 제일 コ·イ·シ·テ·ル! 코 이 시 테 루! 사랑하고 있어!|| }}}|| 보컬은 [[오카자키 리츠코]]와 멜로큐어로 활동하는[* 과거형이 아니라 현재형인 이유는 히나타 메구미가 [[오카자키 리츠코]]의 사후에도 1인 밴드로라도 멜로큐어 활동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했으며 현재까지 이를 충실히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에도 멜로큐어를 소개함에 있어 히나타 메구미의 멜로큐어가 아닌 오카자키 리츠코와 meg rock인 히나타 메구미라고 자신을 소개한다.] 히나타 메구미(통칭 meg rock). 영상은 TV판 9화부터 1기 마지막까지의 오프닝. 1기 최종화인 35화의 엔딩에서도 쓰였다. [[싱글(음악)|싱글앨범]] B사이드의 노래 [[https://youtu.be/zQqg5dL-x8w|'ヒトリジメ (독점)']]는 작중 34화와 40화에 삽입곡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번안되지 못했다. SBS판의 경우 SBS판 오프닝이 대신 들어갔으며, 투니버스판의 경우 MR로만 삽입되었다.] 오프닝 영상 연출은 [[아사카 모리오]]. 작화감독은 [[타카하시 쿠미코]]. TVA 오프닝 영상의 경우 두 가지 버전이 있다. 방영 초창기인 1화 ~ 8화까지는 오프닝 중반에 (아마도) 사쿠라를 촬영하고 황홀한 표정을 짓는 [[다이도우지 토모요|토모요]], 만두를 들고 웃는 [[츠키시로 유키토|유키토]], 자전거를 들고있는 [[키노모토 토우야|토우야]], 팬케이크를 뒤집는 사쿠라의 아버지 [[키노모토 후지타카]], [[타코야끼]]를 한입에 먹어버리는 [[케르베로스(카드캡터 사쿠라)|케로]]의 모습이 순차적으로 나온다. 8화부터 [[리 샤오랑|샤오랑]]이 등장함에 따라 9화 ~ 35화까지는 후지타카 대신 샤오랑이 부적에 불 붙이는 장면으로 대체된 오프닝을 방송했다.[* 하단의 SBS판 영상이 샤오랑으로 대체된 오프닝 영상이다.] 하지만 인터넷도 그렇고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것은 후지타카가 나오는 오프닝. 훨씬 오랜 기간 방영했음에도 불구하고 샤오랑이 등장한 오프닝이 묻혀버렸다. 어느정도냐면 1기 오프닝에 '''샤오랑이 나오는 것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 [[아이돌 마스터]]의 [[MASTER ARTIST 3]] [[호시이 미키]] 앨범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ZrgVUpm0fjA|커버본]]이 수록되어 있다. 누군가가 [[Blender|Blender(블렌더)]]로 [[https://www.youtube.com/watch?v=PiR7KYIQv9U|3D 버전 팬영상]]을 만들었다. 심지어 [[개그콘서트]]에서도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이태선밴드]]가 연주한 적이 있다. 원곡은 차트 성적은 그닥이었지만 의외로 일본 현지에서는 고평가 받는 곡이다.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에도 들어갔을 정도. == 한국판 == === SBS === ||<-3>
{{{#ffffff '''OP[br]Catch You Catch Me'''}}}[* 2020년 3월 27일 원 가수인 [[정여진]]이 풀버전을 다시 불러 업로드했다.][* 아래 영상은 어떤 유튜브 유저가 자체 제작한 것인데, 단순히 고화질로 새로 만든 것뿐만 아니라 자막 스타일까지 1999년 SBS에서 방영했던 당시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고증해서 다듬었다.][* 크로우 카드 편(1~2기)에 사용된 오프닝이다. 사쿠라 카드편(3기)에서는 [[https://www.youtube.com/watch?v=rKNDr1w9g_s|플라티나의 영상]]이 사용되었다.] || || {{{#ffffff '''영상'''}}}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6uygzzqV48)]}}} || || {{{#ffffff '''가수'''}}} ||<-2> [[장숙희]], [[정여진]] || || {{{#ffffff '''작사'''}}} ||<-2> [[배숙현]], 김주희 || || {{{#ffffff '''작곡'''}}} ||<|2><-2> [[방용석(작곡가)|방용석]] || || {{{#ffffff '''편곡'''}}} || || {{{#ffffff '''음원'''}}} ||<-2> [[http://www.genie.co.kr/detail/albumInfo?axnm=80529928|[[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width=20]]]] [[https://vibe.naver.com/album/494415|[[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width=20]]]] [[http://music.bugs.co.kr/album/488050?wl_ref=list_tr_11|[[파일:벅스 아이콘.png|width=20]]]] 2019년 5월 23일 기준으로, 모든 사이트에서 음원 정보가 사라짐. || ||<-3><:> {{{#!folding 가사 ▼ ||
'''한국어 가사''' || ||<:>만날 수 없어 만나고 싶은데 그런 슬픈 기분인걸 말할 수 없어 말하고 싶은데 속마음만 들키는 걸 내 사랑의 마법의 열쇠가 있다면 그건 바로 이 세상이 아름다운 이유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이제 숨바꼭질은 그만 (그만) 우울한 건 모두 파란 하늘에 묻어 버려 오늘도 너에게 달려가는 이 마음 난 정말 정말 너를 좋아해 눈을 감으면 누군가 내 곁을 스쳐가는 느낌인걸 눈을 떠보면 바람같은 너의 향기만이 가득한걸 내 순수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면 어디서도 한눈에 널 알아볼 수 있어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이제 숨바꼭질은 그만 (그만) 우울한 건 모두 파란 하늘에 묻어 버려 오늘도 너에게 달려가는 이 마음 난 정말 정말 너를 좋아해|| }}}|| [[https://youtu.be/liQ4tgjWljw|풀버전]] 원판과는 제목만 같고 [[방용석(작곡가)|방용석]]이 처음부터 끝까지 아예 새로 만든 노래다.[* 가사의 경우 노래 제목이나 첫 부분 및 후렴구 부분 등으로 미루어보아 원판 1기 오프닝을 어느 정도 참고한 듯.] 덕분에 두 노래간의 느낌이 매우 차이난다.[* 원판이 발랄하고 경쾌한 분위기라면 한국판은 좀 더 잔잔하고 서정적인 순정만화풍.] 실제 방영 중후반부 들어 판권자 명칭이 나왔으며, 샤오랑이 기술을 쓰는 장면이 새로 삽입되기도 했다. 추억의 만화 노래 후보에 빠지지 않고 언급된다. 대학내일 선정 '''봄'''하면 떠오르는 노래 베스트3에 벚꽃 엔딩과 함께 당당히 선정되었다. 원판의 1기 오프닝보다 [[순정만화]] 분위기를 잘 살려 좋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1기 시점에는 순정만화 요소가 적다.] 한국에서 카드캡터 '''체리'''를 봐왔던 시청자들은 원판 오프닝보다 더 좋은 곡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원판과 SBS판 모두 한 시대를 풍미한 명곡이지만, 한국에서는 SBS판을 접한 사람들이 더 많고, 여기에 [[추억보정]]까지 더해지면서 원판이 못하다고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다.] 2020년 1월 3일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3]]에 [[정여진]]이 출연하여 자신이 부른 만화 주제가 부르면서 같이 불렀다. 작사가 [[김이나]]는 "띵곡"이라며 감격해했고, 노래를 몰랐던 [[유희열]]과 [[뮤지]]도 노래가 끝난 다음 노래가 좋다, 감성적이다라며 호평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Wb3S6Pn5Ptk|1분 23초부터]] 이 노래를 부른 장숙희와 정여진은 이후 [[디지몬 시리즈]] 음반에 참여하게 된다. 장숙희는 1기 [[디지몬 어드벤처]]의 엔딩 안녕! 디지몬을, 정여진은 2기 [[파워 디지몬]]의 엔딩 to my wish를 불렀다. 노래 대부분은 장숙희의 목소리이며 정여진은 코러스 정도이다. [[능력자들]]에서 [[정은지]]가 만화비디오 능력자와 같이 불렀다. 한때 이 노래가사를 언어적으로 해석한 글이 인터넷에 돌아다니며 수많은 고3 및 고3 경험자들의 입에 쓴웃음을 번지게 했다. 어쩐지 모의고사 답안 같은 진지한 해석이 압권이다. 해석의 형태는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과 유사하다.[* 임에 대한 사랑과 독립에 대한 열망을 중복적으로 표현해 놓았다고 한 점이라든가.] ==== 여러 버전 ==== * 2015년 12월 [[아이유]] [[https://youtu.be/yUIW1zwqwPY?t=117|버전]]. * 2021년 5월 [[AB6IX]] [[전웅]] [[https://youtu.be/GvYhh7G1tHM|카드캡터 웅이]] * 2016년 10월 15일 SNL [[더빙극장]]에서 [[권혁수(배우)|권혁수]]가 [[http://tvcast.naver.com/v/1175288|패러디했다.]] * 2017년 2월 11일 [[새벽공방]]의 싱글 '카드캡터체리'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gZU1L9gdiR8|리메이크됐다.]] * 2017년 2월 17일~19일 동안 [[SK핸드볼경기장|SK올림픽핸드볼경기장]]에서 열린 [[TWICE|트와이스]]의 첫 단독 콘서트 [[TWICELAND]] The Opening에서 트와이스가 부르기도 했다. * TJ 노래방에서는 없었다가 드디어 추가 되었다. 번호는 5850이다. 금영은 64974. * 2018년 9월 30일, 폭8전야에서 패러디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hYaNiYa8DQ|보러가기]] * 2020년 5월 29일 [[성악가]]가 성악 버전으로 커버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5q9nOJNTKQs|보러가기]] * 1절 뿐이지만 한국판 OP를 영어로 부른 버전도 존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G6XpYo2SXsw|보러가기]] * 남자버전도 존재한다. [[https://youtu.be/vMOrBKk2sRE|보러가기]] * [[아라찌]]도 패러디했다. [[https://youtu.be/5ThAuSlPE7I|보러가기]] * 오래전에 심영과 붕탁물을 합성한 [[https://blog.naver.com/seok8289mg42/220707148817|심영캡터 빌리]]도 존재한다 === 투니버스 === ||<-3>
{{{#ffffff '''OP[br]Catch You Catch Me'''}}} || || {{{#ffffff '''영상'''}}}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n89SbrsZ3k)]}}} || || {{{#ffffff '''가수'''}}} ||<-2> [[김가령]][* 본작에서 [[다이도우지 토모요|신지수]] 역을 맡았다.] || || {{{#ffffff '''작사'''}}} ||<|2><-2> [[히로세 코미|Hirose Kohmi]] || || {{{#ffffff '''작곡'''}}} || || {{{#ffffff '''번안'''}}} ||<-2> 박시하, 류정혜 || || {{{#ffffff '''사용 회차'''}}} ||<-2> 1화 ~ 33화 || ||<-3><:> {{{#!folding 가사 ▼ ||
'''TVA판'''[* 원판 기준 35화 엔딩 직전에 2절 부분까지 BGM으로 깔리기 때문에 풀버전이 등장할 가능성도 존재했으며, 그에 해당하는 재더빙판 33화에서 실제로 등장했다.] || ||<:>보고 싶어 볼 수 없어 이건 뭘까 쓸쓸한 기분 두근두근 말해볼까 어떡해! 숨길 수가 없는 걸 이젠 이젠 새하얀 날개를 활짝 펴고 하늘을 달려가 분홍빛 봄을 넘어서 저기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잠깐 솔직하게 이제는 말해 줄래? 안녕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굿바이 반짝이는 마음을 너에게만 전할래 정말 정말 진짜 진짜 너·를·좋·아·해! || || 2절 포함 가사[br]([[https://www.youtube.com/watch?v=JgTfoVtvoKE|TVA 33화(일본 35화)]], 엔딩 직전의 삽입곡) || ||<:>보고 싶어 볼 수 없어 이건 뭘까 쓸쓸한 기분 두근두근 말해볼까 어떡해! 숨길 수가 없는 걸 이젠 이젠 새하얀 날개를 활짝 펴고 하늘을 달려가 분홍빛 봄을 넘어서 저기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잠깐 솔직하게 이제는 말해 줄래? 안녕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굿바이 반짝이는 마음을 너에게만 전할래 두근 두근 너를 향해 날·아·갈·거·야! 저기 Catch You Catch You Catch Me Catch Me 정말 운명이야 잘 어울리는 나니까 안녕 Nice to Meet You Good to See You 굿바이 내 마음을 받아줄래 세상에서 누구보다 정말 정말 진짜 진짜 너·를·좋·아·해! || }}}|| 2018년 투니버스에서 신작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카드캡터 체리 클리어 카드 편]] 방영에 앞서 구작 전편을 재더빙하면서 예전 SBS판 오프닝을 쓰는 대신 원판 1기 오프닝을 번안했다. 또한 투니버스는 원판 전체 오프닝 & 엔딩곡을 모두 번안하여 SBS판이 1곡으로 OP & ED를 때우는 것에서 완전히 벗어났으나, 상술했듯이 SBS판을 접한 사람들이 많다보니 원판 오프닝보다 SBS판 오프닝에 점수를 더 쳐주는 경향이 크다. == 의외의 진실 == 비디오 매체로 출시될 당시 전권 구입 특전으로 제작된 3편의 단편 애니메이션[* 1편 : LD,VHS 1~9권 구입 특전, 2편 : DVD 1~9권 구입 특전, 3편 : LD,VHS,DVD 10~18권 구입 특전. 이후 발매된 DVD 박스셋과 블루레이 박스셋에는 기본 수록되었다.]이 있다. 그 중 첫 번째 편인 '멋져요 사쿠라 짱! 토모요의 카드캡터 사쿠라 활약 비디오 일기!'에서 1기 오프닝에 나오는 장소나 상황이 그대로 나왔는데, 이후 충격적인 진실이 밝혀진다. 본편에서 토모요가 캠코더로 열심히 찍은 영상은 작품화되어 TV를 통해 방영될 예정이며, 특전 1편에서 '''[[http://blog.naver.com/zt777/20179922374|토모요가 찍은 영상]]'''은 그 작품의 1기 오프닝이 된다는 것이다. 즉,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 된 셈.[* 중간에 사쿠라가 노래를 부르려다 실수해서 가수를 쓰자고 하는 장면이 있는 등 사쿠라의 성우 탄게 사쿠라와 PD의 관계를 우화적으로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작 중의 배경 시간대는 방영 시점인 1998년 이전으로 볼 수 있다. 노린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투니버스 재더빙판에서는 지수 성우가 1기 오프닝을 불렀다. 위의 내용과 연결지어 생각한다면 (투니버스 재더빙판 한정으로) 이런 일이 있을리라 생각하고 미리 부탁해뒀다는 프로 가수의 정체가 사실 지수 본인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지수가 화자라고 생각하고 가사를 다시보면 뭔가 묘해진다.--그야말로 궁극의 덕질--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드캡터 사쿠라, version=487, paragraph=7.1)] [[분류:카드캡터 사쿠라/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 음악]][[분류:애니메이션 음악/한국 창작곡]][[분류:정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