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G워너비)]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defb, #0D3EA3, #0D3EA3, #0D3EA3)" [[SG워너비/음반 목록|{{{+1 {{{#ffffff '''SG워너비의 음반'''}}}}}}]] }}} || || 정규 2집[br][[살다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F1515" {{{-2 {{{#67E4C2 살다가}}}}}}}}}]][br]{{{-2 (2005.03.23)}}} || {{{+1 →}}} || '''스페셜 앨범'''[br][[Classic Odyssey|{{{#!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364363" {{{-1 {{{#D9C097 Classic Odyssey}}}}}}}}}]][br]{{{-2 '''(2005.09.12)'''}}} || {{{+1 →}}} || 정규 3집[br][[The 3rd Masterpiec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7B0304" {{{-2 {{{#EED9BC The 3rd Masterpiece}}}}}}}}}]][br]{{{-2 (2006.04.08)}}} || ||<-2> '''{{{#364363 SG워너비 2.5집[br]{{{+1 Classic Odysse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5집 Classic Odyssey.jpg|width=100%]]}}} || || '''발매일''' || 2005년 9월 12일 || || '''가수''' || [[SG워너비]] || || '''기획사''' || [[MBK엔터테인먼트|GM기획]] || || '''유통사''' || 도레미 || || '''프로듀서''' || || || '''음반코드''' || DRMCD-2076 || || '''곡 수''' || 16곡 || || '''재생시간''' || 1시간 3분 28초 || || '''타이틀곡''' || 내 마음의 보석상자, 꿈의 대화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364363; color: #D9C097" '''이번 2005년 가을, 주옥같은 70-80 세대의 노래 담은 ‘sg WANNA BE [Classic Odyssey]’'''}}} [br] {{{-2 2005년 가요계의 식을 줄 모르는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SG 워너비! SG 워너비의 이번 가을 앨범 ‘SG 워너비 리메이크 클래식’ 앨범은 ‘내 마음의 보석상자’와 ‘꿈의 대화’등의 추억의 70-80 세대의 히트 곡들을 SG 워너비의 목소리로 들을 수 있다 한편, SG 워너비의 2집 앨범은 출시 된지 4달 째 접어듬에도 불구하고 각종 온오프라인 TOP 10 순위에 현재까지 계속 순항 중이며, 이번 2집 열풍을 그대로 이어갈 이번 가을 ‘sg WANNA BE[Classic Odyssey]’ 앨범에도 많은 음악 팬들이 큰 기대를 걸고 있었던 만큼 심열을 기울여 작업했다고 한다. ‘sg WANNA BE [Classic Odyssey]’ 앨범은 리메이크 앨범제작 비용으로는 이례적으로 10억을 투자. 우리나라 최고의 편곡과 130인조 오케스트라, 코러스를 동원했으며 제작 전부터 화제가 되었던 앨범이다. 70~90년대의 ‘비 오는 날의 수채화’(강인원), ‘내 마음의 보석상자’(해바라기), MBC 대학가요제 대상 수상 곡 ‘꿈의 대화’ 등 주옥같은 곡들을 비롯해 옥주현과 듀엣으로 화제를 모은 ‘유리창엔 비’ 등 10대에서부터 50대까지 함께 즐겨 들을 수 있는 트랙으로 가득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5집 Classic Odyssey 단체사진.jpg|width=100%]]}}}|| ||<#D9C097> {{{#364363 '''Classic Odyssey'''}}} || 2집 활동 도중 발매한 7080 리메이크 앨범. 1978년부터 1993년 사이의 노래들을 SG워너비만의 감성으로 리메이크하여 수록했다. 타이틀곡은 '내 마음의 보석상자'와 '꿈의 대화'. 이 앨범을 계기로 중장년층의 팬들이 생기기 시작했으며, 콘서트7080, 열린음악회 등에도 자주 출연하게 되었다. == 수록곡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비고''' || || 01 || '''내 마음의 보석상자'''[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8222E; font-size: 0.6em; color: #CCC7B4;" '''타이틀곡'''}}} ||<-2> 이주호 || 조영수 || 원곡가수: [[해바라기(가수)|해바라기]] || || 02 || 비 오는 거리 ||<-2> 김신우 || 조영수 || 원곡가수: [[이승훈(가수)|이승훈]] || || 03 || '''꿈의 대화''' (R&B Soul Version)[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8222E; font-size: 0.6em; color: #CCC7B4;" '''타이틀곡'''}}} ||<-2> 이범용 || 조영수 || 원곡가수: 이범용, 한명훈 || || 04 || 사랑의 썰물 ||<-2> 김창기 || 조영수 || 원곡가수: [[임지훈(가수)|임지훈]] || || 05 || 유리창엔 비 ||<-2> 이정한 || 조영수 || 원곡가수: [[햇빛촌]][br]김진호 Feat.수지 || || 06 || 소녀 ||<-2> [[이영훈(음악가)|이영훈]] || 이현승 || 원곡가수: [[이문세]][br]'''채동하 솔로''' || || 07 || 이별 아닌 이별 ||<-2> 오태호 || 김태현 || 원곡가수: [[이범학]] || || 08 || 사랑과 우정 사이 ||<-2> 오태호 || 서재하 || 원곡가수: [[피노키오#s-4|피노키오]] || || 09 || 비 오는 날의 수채화 ||<-2> 강인원 || 조영수 || 원곡가수: 강인원, [[김현식]], [[권인하]] || || 10 || 눈물 나는 날에는 ||<-2> 유영석 || 이현승 || 원곡가수: [[푸른하늘]][br]'''김용준 솔로''' || || 11 || 혜화동 ||<-2> 김창기 || 박덕상 || 원곡가수: [[동물원(밴드)|동물원]] || || 12 || [[종이학]] || [[이범희]] || 이건우 || 서재하 || 원곡가수: [[전영록]] || || 13 || 가을 사랑 ||<-2> 민재홍 || 서재하 || 원곡가수: 신계행[br]'''김진호 솔로''' || || 14 || 단발머리 || 조용필 || 박건호 || 박덕상 || 원곡가수: [[조용필]] || || 15 || 내 마음의 보석상자 (Music Video Edit Version) ||<-2> 이주호 || 조영수 || 원곡가수: [[해바라기(가수)|해바라기]] || || 16 || '''꿈의 대화''' (Acoustic Version)[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8222E; font-size: 0.6em; color: #CCC7B4;" '''타이틀곡'''}}} ||<-2> 이범용 || 조영수 || 원곡가수: 이범용, 한명훈 || === 내 마음의 보석상자 === || {{{#364363 '''〈내 마음의 보석상자〉 M/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RWZx2zEKVY)]}}} || || {{{#364363 '''〈내 마음의 보석상자〉 무대 모음'''}}}[* 영상 제목과 다르게 비 오는 날의 수채화도 나온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SxUKgL3Iho)]}}} || || {{{#364363 '''〈내 마음의 보석상자〉'''}}}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난 알고 있는데 우리는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0100FF 우린 알고 있었지 서로를 가슴깊이 사랑한다는 것을}}} {{{#1DDB16 햇빛에 타는 향기는 그리 오래 가지 않기에 더 높게 빛나는 꿈을 사랑했었지}}} {{{#FF0000 가고 싶어 갈 수 없고 보고 싶어 볼 수 없는}}} 영원 속에서 ,,[{{{#FF0000 김진호}}}, {{{#0100FF 채동하}}}],, {{{#FF0000 가고 싶어 갈 수 없고 보고 싶어 볼 수 없는 영원 속에서}}} {{{#0100FF 우리의 사랑은 이렇게 아무도 모르고 있는 것 같아 잊어야만 하는 그 순간까지 널 사랑하고 싶어}}} {{{#FF0000 가고 싶어 갈 수 없고 보고 싶어 볼 수 없는}}} 영원 속에서 ,,[{{{#FF0000 김진호}}}, {{{#0100FF 채동하}}}],, {{{#FF0000 가고 싶어 갈 수 없고 보고 싶어 볼 수 없는 영원 속에서}}} {{{#0100FF 우리의 사랑은 이렇게 아무도 모르고 있는 것 같아}}} {{{#1DDB16 잊어야만 하는 그 순간까지 널 사랑하고 싶어}}} {{{#FF0000 잊어야만 하는 그 순간까지 널 사랑하고 싶어}}}|| 다소 덤덤한 포크느낌이 강한 원곡을 SG워너비만의 감성으로 재해석해냈다. 오케스트라가 추가되어 원곡보다 훨씬 더 웅장하고 애절한 분위기를 만든다. === 비 오는 거리 === || {{{#364363 '''〈비 오는 거리〉'''}}}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비 오는 거릴 걸었어 너와 걷던 그 길을 눈에 어리는 지난 얘기는 추억일까}}} {{{#0100FF 그 날도 비가 내렸어 나를 떠나가던 날 내리는 비에 너의 마음도 울고 있다면}}} {{{#1DDB16 다시 내게 돌아와줘 기다리는 나에게로 그 언젠가 늦은 듯 뛰어와 미소짓던 모습으로}}} {{{#0100FF 사랑한 건 너뿐이야 꿈을 꾼 건 아니었어 너만이 차가운 이 비를 멈출 수 있는 걸}}} {{{#FF0000 그 날도 비가 내렸어 나를 떠나가던 날 내리는 비에 너의 마음도 울고 있다면}}} {{{#1DDB16 다시 내게 돌아와줘 기다리는 나에게로 그 언젠가 늦은 듯 뛰어와 미소짓던 모습으로}}} {{{#0100FF 사랑한 건 너뿐이야 꿈을 꾼 건 아니었어 너만이 차가운 이 비를 멈출 수 있는 걸}}} {{{#FF0000 사랑한건 너뿐이야 꿈을 꾼 건 아니었어 너만이 차가운 이 비를 멈출 수 있는 걸}}} {{{#1DDB16 너만이 차가운 이 비를 멈출 수 있는 걸}}}|| === 꿈의 대화 (R&B Soul Version) === || {{{#364363 '''〈꿈의 대화〉 M/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3X9pfAtEA8)]}}} || || {{{#364363 '''〈꿈의 대화〉 무대 모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V184Wh5_24)]}}} || || {{{#364363 '''〈꿈의 대화 R&B Soul Version〉'''}}}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땅거미 내려앉아 어두운 거리에 가만히 너에게 나의 꿈 들려주네}}}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FF0000 조용한 호숫가에 아무도 없는 곳에 우리의 나무집을 둘이서 짓는다}}} {{{#0100FF 외로움이 없단다 우리들의 꿈 속에 서러움도 없어라 너와 나의 눈빛엔}}} {{{#1DDB16 마음 깊은 곳에서 우리 함께 나누자 너와 나만의 꿈의 대화를}}} {{{#0100FF 외로움이 없단다 우리들의 꿈 속에 서러움도 없어라 너와 나의 눈빛엔}}} {{{#1DDB16 마음 깊은 곳에서 우리 함께 나누자 너와 나만의 꿈의 대화를}}} {{{#FF0000 외로움이 없단다 우리들의 꿈 속에 서러움도 없어라 너와 나의 눈빛엔}}} {{{#1DDB16 마음 깊은 곳에서 우리 함께 나누자 너와 나만의 꿈의 대화를}}}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꿈의 대화는 R&B 버전과 어쿠스틱 버전이 함께 수록이 되어 있는데, 엠카운트다운, 뮤직뱅크 같은 음악순위 프로그램에서는 R&B 버전을 자주 불렀다. R&B Soul 버전은 정통 R&B Soul과는 약간 거리가 있다. 굳이 따지자면 조영수표 팝 느낌이 가미된 R&B라고 하면 되려나. 뮤직비디오에는 두 버전이 분위기가 다른 두 장면에 섞여서 나오고, 음반에 따로 수록되지 않은 [[https://youtu.be/S3X9pfAtEA8?t=4m40s|발라드 버전]]도 존재한다. === 사랑의 썰물 === || {{{#364363 '''〈사랑의 썰물〉'''}}}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0100FF 차가운 너의 이별의 말이 마치 날카로운 비수처럼 내 마음 깊은 곳을 찌르고 마치 말을 잃은 사람처럼}}} {{{#FF0000 아무 말도 하지 못한 채 떠나가는 너를 지키고 있네 어느새 굵은 눈물 내려와 슬픈 내 마음 적셔주네}}} {{{#1DDB16 기억할 수 있는 너의 모든 것 내게 새로운 의미로 다가와 너의 사랑 없인 단 하루도 견딜 수가 없을 것만 같은데}}} {{{#0100FF 잊혀지지 않는 모습은 미소 짓던 너의 그 고운 얼굴 어느새 굵은 눈물 내려와 검붉은 노을 물들였네}}} {{{#FF0000 다시 돌아올 수 없기에 혼자 외로울 수 밖에 없어 어느새 사랑 썰물이 되어 너무도 멀리 떠나갔네}}} {{{#1DDB16 어느새 사랑 썰물이 되어 내게서 멀리 떠나갔네}}}|| === 유리창엔 비 === || {{{#364363 '''〈유리창엔 비〉'''}}} || ||<:>^^'''{{{#FF0000 김진호//Red}}} {{{#F361DC 수지//Pink}}} 함께//Black'''^^ {{{#FF0000 낮부터 내린 비는 이 저녁 유리창에 이슬만 뿌려놓고서 밤이 되면 더욱 커지는 시계소리처럼 내 마음을 흔들고 있네 이 밤 빗줄기는 언제나 숨겨놓은 내 맘에 비를 내리네 떠오른 아주 많은 시간들 속에 헤메이던 내 맘은 비에 젖는데}}} 이제 젖은 우산을 펼 수는 없는 것 ,,[{{{#FF0000 김진호}}}, {{{#F361DC 수지}}}],, {{{#F361DC 낮부터 내린 비는 이 저녁 유리창에 슬픔만 뿌리고 있네 이 밤 마음 속엔 언제나 남아있는 기억을 빗줄기처럼 떠오른 기억 스민 순간 사이로 내 마음은 어두운 비를 뿌려요}}} 이젠 젖은 우산을 펼 수는 없는 것 ,,[{{{#F361DC 수지}}}, {{{#FF0000 김진호}}}],, {{{#FF0000 낮부터 내린 비는 이 저녁 유리창에 슬픔만 뿌려놓고서}}} 밤이 되면 유리창에 내 슬픈 기억들을 이슬로 흩어놓았네 ,,[{{{#F361DC 수지}}}, {{{#FF0000 김진호}}}],,|| 원래 김진호 & 옥주현 조합의 듀엣곡이었고, 기사도 그렇게 내서 홍보했지만 막판에 다른 사람으로 변경되었다. 이유는 불명. 심지어 아직도 음원사이트의 [[http://music.bugs.co.kr/album/9500211|앨범 소개]]란에 옥주현과의 듀엣이라고 적혀있다(....). 김진호와 듀엣으로 부른 수지는 당연히 그 [[수지(1994)|수지]]는 아니고... 2005년 당시 신인가수였다는 것 외에는 정보가 없다. === 소녀 === || {{{#364363 '''〈소녀〉'''}}} || ||<:>^^'''{{{#0100FF 채동하//Blue}}}'''^^ {{{#0100FF 내 곁에만 머물러요 떠나면 안돼요 그리움 두고 머나먼 길 그대 무지개를 찾아올 순 없어요 노을진 창가에 앉아 멀리 떠가는 구름을 보면 찾고 싶은 옛 생각들 하늘에 그려요 음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속에 그대 외로워 울지만 나 항상 그대 곁에 머물겠어요 떠나지 않아요 노을진 창가에 앉아 멀리 떠가는 구름을 보면 찾고 싶은 옛 생각들 하늘에 그려요 음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속에 그대 외로워 울지만 나 항상 그대 곁에 머물겠어요 떠나지 않아요 음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속에 그대 외로워 울지만 나 항상 그대 곁에 머물겠어요 떠나지 않아요}}}|| 채동하의 솔로곡. 원곡보다는 조금 가벼운 분위기로 편곡이 되었다. 이유는 불명이나 후에 다른 컴필레이션 앨범에도 수록되었다. === 이별 아닌 이별 === || {{{#364363 '''2006. 04. 23. 열린음악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k4hsb23BwY?start=5075)]}}} || || {{{#364363 '''〈이별 아닌 이별〉'''}}}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A52A2A Rap//Brown}}} 함께//Black'''^^ {{{#A52A2A (Touch me) when we were one (Tease me) when we were shine (Hold me) when we were strong (Love me) when we were one Maybe 너를 배려하는 that's his fault Show me 너의 감정을 still i.n.g He still wait still so come in closer before he ain't to change again cold}}} {{{#1DDB16 이제 떠나가는 그대 모습 뒤로 아직도 못다한 나만의 얘긴 흐르지만}}} {{{#0100FF 다시 언제까지 나만의 미련으로 그대를 사랑한다는 말은 정말 하기 싫었어}}} {{{#FF0000 밤 새워 얘기한 우리 서로간의 갈 길로 이별이 아닌 이별을 맞으며 헤어지지만}}} {{{#1DDB16 내 사랑 Goodbye GoodBye 어디서나 행복을 바라는 내 맘은}}} {{{#FF0000 사랑한다는 흔한 말보다 더 진실함을 이해해}}} {{{#0100FF 내 사랑 Goodbye GoodBye 어디서나 행복을 바라는 내 맘은}}} {{{#FF0000 무너진 내 안의 사랑이 번지면 다시 찾을거야}}} {{{#A52A2A Yeah Maybe you stick on his front page Maybe you feel love just like it Think then if I went to get promise each other side (That's right) (He) don't call a lot (yeah I know) (He) don't see a lot (yeah I know) Don´t be disappointed a lot (that's his fault) 독한척 돌아서줘 please please please love}}} {{{#FF0000 밤 새워 얘기한 우리 서로간의 갈 길로 이별이 아닌 이별을 맞으며 헤어지지만}}} {{{#1DDB16 내 사랑 Goodbye GoodBye 어디서나 행복을 바라는 내 맘은}}} {{{#FF0000 사랑한다는 흔한 말보다 더 진실함을 이해해}}} {{{#0100FF 내 사랑 Goodbye GoodBye 어디서나 행복을 바라는 내 맘은}}} {{{#FF0000 무너진 내 안의 사랑이 번지면 다시 찾을거야}}}|| SG워너비가 발표한 곡들 중에 가장 빠른 템포의 곡 중 하나. 워낙 슬픈 발라드를 주로 부르는 그룹이다 보니 이 곡들은 댄스곡으로 느껴진다고 엄살을 부리고 다녔다. 콘서트 뿐만 아니라 SBS가요대전과 콘서트7080, 윤도현의 러브레터 에서도 분위기를 띄우기 위해 빠른 곡이 필요할 때 불렀다. 랩이 들어가 있는데 후반부 랩가사를 구할 수 없고, 랩퍼 이름도 표기되어 있지 않다. === 사랑과 우정 사이 === || {{{#364363 '''〈사랑과 우정 사이〉'''}}}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머리를 쓸어 올리는 너의 모습 시간은 조금씩 우리를 갈라놓는데 어디서부턴지 무엇 때문인지 작은 너의 손을 잡기도 난 두려워}}} {{{#0100FF 어차피 헤어짐을 아는 나에겐 우리의 만남이 짧아도 미련은 없네 누구도 널 대신할 순 없지만 아닌 건 아닌 걸 미련일 뿐}}} {{{#1DDB16 멈추고 싶던 순간들 행복한 기억 그 무엇과도 바꿀 수가 없던 너를 이젠 나의 눈물과 바꿔야 하나 숨겨온 너의 진심을 알게 됐으니}}} {{{#FF0000 사랑보다 먼 우정보다는 가까운 날 보는 너의 그 마음을 이젠 떠나리}}} {{{#0100FF 내 자신보다 이 세상 그 누구보다 널 아끼던 내가 미워지네}}} {{{#1DDB16 멈추고 싶던 순간들 행복한 기억 그 무엇과도 바꿀 수가 없던 너를 이젠 나의 눈물과 바꿔야 하나 숨겨온 너의 진심을 알게 됐으니}}} {{{#FF0000 사랑보다 먼 우정보다는 가까운 날 보는 너의 그 마음을 이젠 떠나리}}} {{{#0100FF 내 자신보다 이 세상 그 누구보다 널 아끼던 내가 미워지네}}} {{{#1DDB16 연인도 아닌 그렇게 친구도 아닌 어색한 사이가 싫어져 나는 떠나네}}} {{{#0100FF 우연보다도 짧았던 우리의 인연 그 안에서 나는 널 떠나네}}}|| 2.5집 수록곡 중 가장 스탠다드한 SG워너비 스타일로 파트분배가 된 곡이다. === 비 오는 날의 수채화 === || {{{#364363 '''<비 오는 날의 수채화>''' }}}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빗방울 떨어지는 그 거리에 서서 그대 숨소리 살아있는 듯 느껴지면}}} {{{#0100FF 깨끗한 붓 하나를 숨기듯 지니고 나와 거리에 투명하게 색칠을 하지}}} {{{#1DDB16 음악이 흐르는 그 카페엔 초코렛색 물감으로 빗방울 그려진 그 가로등불 아랜 보라색 물감으로}}} {{{#FF0000 세상 사람 모두 다 도화지 속에 그려진 풍경처럼 행복하면 좋겠네}}} {{{#0100FF 욕심 많은 사람들 얼굴 찌푸린 사람들 마치 그림처럼 행복하면 좋겠어}}} {{{#1DDB16 음악이 흐르는 그 카페엔 초코렛색 물감으로}}} 빗방울 그려진 그 가로등불 아랜 ,,[{{{#1DDB16 김용준}}}, {{{#0100FF 채동하}}}],, {{{#1DDB16 보라색 물감으로}}} {{{#FF0000 세상 사람 모두 다 도화지 속에 그려진 풍경처럼 행복하면 좋겠네}}} {{{#0100FF 욕심 많은 사람들 얼굴 찌푸린 사람들 마치 그림처럼 행복하면 좋겠어}}} {{{#FF0000 빗방울 떨어지는 그 거리에 서서 그대 숨소리 살아있는 듯 느껴지면}}}|| 콘서트를 제외한 방송에서는 콘서트7080과 뮤직웨이브, 2006 SBS 가요대전 에서 라이브무대를 가졌는데, 부를 때마다 채동하가 "이 곡을 방송에서 부르는 건 처음"이라고 발언했다.(...) 가사에 나오는 '초코렛'은 '초콜릿'이 맞는 표기이지만 발음 그대로 표기한다. === 눈물 나는 날에는 === || {{{#364363 '''〈눈물 나는 날에는〉'''}}} || ||<:>^^'''{{{#1DDB16 김용준//Green}}}'''^^ {{{#1DDB16 우리들 마음 아픔에 어둔 밤 지새우지만 찾아든 아침 느끼면 다시 세상속에 있고 눈물이 나는 날에는 창 밖을 바라보지만 잃어간 나의 꿈들에 어쩔 줄을 모르네 나에게 올 많은 시간들을 이제는 후회 없이 보내리 어두웠던 지난 날을 소리쳐 부르네 아름다운 나의 날을 위하여 사랑이란 사랑이라는 마음만으로 영원토록 기쁨 느끼고 싶어 슬픔 안은 슬픔 안은 날 잠이 들고파 변하지 않는 세상을 꿈꾸며 나에게 올 많은 시간들을 이제는 후회 없이 보내리 어두웠던 지난 날을 소리쳐 부르네 아름다운 나의 날을 위하여 사랑이란 사랑이라는 마음만으로 영원토록 기쁨 느끼고 싶어 슬픔 안은 슬픔 안은 날 잠이 들고파 변하지 않는 세상을 꿈꾸며 변하지 않는 세상을 꿈꾸며}}}|| 김용준의 솔로곡. 김용준의 미성이 잘 돋보이도록 보사노바편곡이 잘 된 곡이다. === 혜화동 === || {{{#364363 '''〈혜화동〉'''}}}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1DDB16 오늘은 잊고 지내던 친구에게서 전화가 왔네 내일이면 멀리 떠나간다고}}} {{{#FF0000 어릴 적 함께 뛰놀던 골목길에서 만나자 하네 내일이면 아무 멀리 간다고}}} {{{#0100FF 덜컹거리는 전철을 타고 찾아가는 그 길 우린 얼마나 많은 것을 잊고 살아가는지}}} {{{#FF0000 어릴 적 넓게만 보이던 좁은 골목길에 다정한 옛 친구 나를 반겨 달려오는데}}} {{{#1DDB16 어릴 적 함께 꿈꾸던 부푼 세상을 만나자 하네 내일이면 멀리 떠나간다고}}} {{{#0100FF 언젠가 돌아오는 날 활짝 웃으며 만나자 하네 내일이면 아주 멀리 간다고}}} {{{#FF0000 덜컹거리는 전철을 타고 찾아가는 그 길 우린 얼마나 많은 것을 잊고 살아가는지}}} {{{#0100FF 어릴 적 넓게만 보이던 좁은 골목길에 다정한 옛 친구 나를 반겨 달려오는데 우린 얼마나 많은 것을 잊고 살아가는지}}}|| === 종이학 === || {{{#364363 '''〈종이학〉'''}}}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1DDB16 난 너를 알고 사랑을 알고 종이학 슬픈 꿈을 알게 되었네}}} {{{#0100FF 어느날 나의 손에 주었던 키 작은 종이학 한 마리}}} {{{#1DDB16 천 번을 접어야만 학이 되는 사연을 나에게 전해주며 울먹이던 너}}} {{{#FF0000 못 다했던 우리들의 사랑 노래가 외로운 이 밤도 저 하늘 별되어}}} {{{#0100FF 아픈 내 가슴에 맺힌다}}} {{{#1DDB16 난 너를 알고 사랑을 알고 종이학 슬픈 꿈을 알게 되었네}}} {{{#0100FF 어느날 나의 손에 주었던 키 작은 종이학 한 마리}}} {{{#1DDB16 천 번을 접어야만 학이 되는 사연을 나에게 전해주며 울먹이던 너}}} {{{#FF0000 못 다했던 우리들의 사랑 노래가 외로운 이 밤도 저 하늘 별되어}}} {{{#0100FF 아픈 내 가슴에 맺힌다}}} {{{#1DDB16 천 번을 접어야만 학이 되는 사연을 나에게 전해주며 울먹이던 너}}} {{{#FF0000 못 다했던 우리들의 사랑 노래가 외로운 이 밤도 저 하늘 별되어}}} {{{#0100FF 아픈 내 가슴에 맺힌다}}}|| 「이별 아닌 이별」과 함께 SG워너비가 발표한 곡들 중에 가장 빠른 템포의 곡 중 하나. 김용준의 파트가 굉장히 많고 잘 어울리는 곡이다. 라이브에서는 후반부 후렴에서 김진호의 애드리브가 폭발하는 걸 볼 수 있다. === 가을 사랑 === || {{{#364363 '''〈가을 사랑〉'''}}} || ||<:>^^'''{{{#FF0000 김진호//Red}}}'''^^ {{{#FF0000 그대 사랑 가을 사랑 단풍 일면 그대 오고 그대 사랑 가을 사랑 낙엽 지면 그대 가네 그대 사랑 가을 사랑 파란 하늘 그대 얼굴 그대 사랑 가을 사랑 새벽 안개 그대 마음 가을아 가을 오면 가지 말아라 가을 가을 내 맘 알려나 그대 사랑 가을 사랑 저 들길엔 그대 발자욱 그대 사랑 가을 사랑 빗소리는 그대 목소리 가을아 가을 오면 가지 말아라 가을 가을 내 맘 알려나 그대 사랑 가을 사랑 저 들길엔 그대 발자욱 그대 사랑 가을 사랑 빗소리는 그대 목소리}}}|| 김진호의 솔로곡. 녹음 당시 30분만에 녹음을 마친 것으로 화제가 되었다. 김진호의 어머니 애창곡이라서 익숙했다고. 실제로도 어머니의 추천과 김진호의 선택으로 수록이 된 것이라고 한다.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5091510481515570&type=1&outlink=1|관련 기사]] === 단발머리 === || {{{#364363 '''〈단발머리〉'''}}}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오늘따라 왜 이렇게 그 소녀가 보고 싶을까}}} {{{#0100FF 비에 젖은 풀잎처럼 단발머리 곱게 빗은 그 소녀 반짝이는 눈망울이 내 마음에 되살아나네}}} {{{#FF0000 내 마음 외로워질 때면 그 날을 생각하고 그 날이 그리워질 때면 꿈길을 헤메는데}}} {{{#1DDB16 음 못 잊을 그리움 남기고 그 소녀 데려간 세월이 미워라}}} {{{#FF0000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오늘따라 왜 이렇게 그 소녀가 보고 싶을까}}} {{{#0100FF 비에 젖은 풀잎처럼 단발머리 곱게 빗은 그 소녀 반짝이는 눈망울이 내 마음에 되살아나네}}} {{{#FF0000 내 마음 외로워질 때면 그 날을 생각하고 그 날이 그리워질 때면 꿈길을 헤메는데}}} {{{#1DDB16 음 못 잊을 그리움 남기고 그 소녀 데려간 세월이 미워라}}} {{{#FF0000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오늘따라 왜 이렇게 그 소녀가 보고 싶을까}}} {{{#0100FF 비에 젖은 풀잎처럼 단발머리 곱게 빗은 그 소녀 반짝이는 눈망울이 내 마음에 되살아나네}}}|| 조용필의 곡을 리메이크했다. 원곡은 조용필의 맛깔나는 가성으로 표현되어서 SG워너비도 녹음할 때 고민을 많이 했지만 결국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고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 내 마음의 보석상자 (Music Video Edit) === Music Video Edit 버전은 원곡에 1분 12초 가량의 전주가 추가되었는데, 정작 뮤직비디오에서는 들을 수 없다(...). === 꿈의 대화 (Acoustic Version) === || {{{#364363 '''〈꿈의 대화 Acoustic Version〉'''}}} ||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땅거미 내려앉아 어두운 거리에 가만히 너에게 나의 꿈 들려주네}}}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0100FF 조용한 호숫가에 아무도 없는 곳에 우리의 나무집을 둘이서 짓는다}}} {{{#1DDB16 흰 눈이}}} {{{#FF0000 (흰 눈이)}}} {{{#1DDB16 온 세상을}}} {{{#FF0000 (온 세상을)}}} 깨끗이 덮으면 ,,[{{{#1DDB16 김용준}}}, {{{#0100FF 채동하}}}],, {{{#1DDB16 작은 불 피워놓고}}} 사랑을 하리라 ,,[{{{#1DDB16 김용준}}}, {{{#FF0000 김진호}}}],, {{{#FF0000 네가 제일 좋아하는 별들이 불 밝히리 네가 제일 좋아하는 창가에 마주앉아}}} 따뜻이 서로의 빈 곳을 채우리 ,,[{{{#1DDB16 김용준}}}, {{{#FF0000 김진호}}}],, {{{#1DDB16 네 눈에 반짝이는}}} 별빛을 헤리라 ,,[{{{#1DDB16 김용준}}}, {{{#0100FF 채동하}}}],, {{{#0100FF 외로움이 없단다 우리들의 꿈 속에 서러움도 없어라 너와 나의 눈빛엔}}} {{{#FF0000 마음 깊은 곳에서 우리 함께 나누자 너와 나만의 꿈의 대화를}}} 외로움이 없단다 우리들의 꿈 속에 서러움도 없어라 ,,[{{{#1DDB16 김용준}}}&{{{#0100FF 채동하}}}],, 너와 나의 눈빛엔 마음 깊은 곳에서 우리 함께 나누자 {{{#FF0000 너와 나}}} {{{#0100FF (너와 나)}}} {{{#FF0000 너와 나만의}}} 꿈의 대화를 ,,[{{{#FF0000 김진호}}}, {{{#0100FF 채동하}}}],,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Yeah Hey Hey Hey Hey|| 음악순위 프로그램에서 많이 부른 R&B 버전과 달리 콘서트 7080 같은 무대에서는 어쿠스틱 버전을 많이 불렀다. 이 곡을 통해 원곡가수인 이범용과 함께 2005년 콘서트7080, 2006년 SBS가요대전에서 각각 1번씩 무대에 올랐다. 어쿠스틱 버전은 원곡의 1절이 생략되었지만 하모니카를 잘 사용해 원곡의 느낌을 잘 살린 편이라고 평가 받고 있다. == 성적 == ||<-6> {{{#FFF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 음반 판매량'''}}} || ||<-2> '''기준''' || '''CD''' || '''MC''' || '''CD+MC''' || '''누적 판매량''' || ||<|5> 2005년 || 9월 || 66,301 || 23,859 || 90,160 (3위) || 90,160 || || 10월 || 24,095 || 7,141 || 31,236 (4위) || 121,396 || || 11월 || 11,848 || 7,000 || 18,848 (8위) || 140,244 || || 12월 || 4,803 || 2,000 || 6,803 (13위) || 147,047 || || 결산 || 107,047 || 40,000 || 147,047 (연간 9위) || 147,047 || ||<|7> 2006년 || 1월 || 2,400 || - || 2,400 (36위) || 149,447 || || 2월 || 12,312 || 4,108 || 16,420 (7위) || 165,867 || || 3월 || 2,021 || 781 || 2,802 (28위) || 168,669 || || 4월 || 1,809 || 819 || 2,628 (31위) || 171,297 || || 5월 || 2,010 || 625 || 2,635 (27위) || 173,932 || || 6월 || 1,566 || 418 || 1,984 (27위) || 175,916 || || 결산 || 22,711 || 7,994 || 30,705 (연간 42위) || 177,752 || 총 음반판매량은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 177,752장[* 2005년 147,047장(9위), 2006년 30,705장(42위).] 한터차트 기준 19만장. 리메이크 앨범에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음에도 4집과 비슷한 판매량을 기록했다. 음원에서도 크게 선전하여 2집과 2.5집 단 두 장으로 2005년 [[멜론]]차트에서 인기곡 TOP 100에 총 7곡을 진입시키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웠다. == 여담 == * 앨범의 제목인 는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0022175|김진호의 어머니 작품]]이라고 한다. * 당시 인터뷰에서 최대한 바이브레이션을 자제한다고 했는데 이에 대해 대중들의 견해는 차이가 있었다. * 발매 전 사전 공개한[[https://youtu.be/E4Hl8gFDA_U|CF 영상]]에 의하면 '그저 바라볼 수만 있어도'도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수록되지 않고 2006년 3.5집에 포함되었다. 그보다 이전에 [[http://lady.khan.co.kr/khlady.html?mode=view&code=5&artid=6537|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산골 소녀의 사랑이야기」도 수록 예정이었던 것 같다. * 이 앨범을 만드는데 제작비용으로 10억원이 들었다고 한다. [[분류:SG워너비/음반]][[분류:2005년 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