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4년 Windows 게임]][[분류:유니티 엔진 게임]][[분류:인디 게임]][[분류:스웨덴 게임]][[분류:호러 게임]][[분류:코미디 공포]] ||<-2> '''{{{+1 콘텐트 워닝}}}'''[br] Content Warning || ||<-2> {{{#!wiki style="margin: -0px -0px" [[파일:contentwarning_banner.jpg|width=100%]]}}} || || '''개발''' ||<|2>[[Landfall Games]][* 개발진은 [[https://twitter.com/erikskog_|Skog]], [[https://twitter.com/BestZorro|Zorro]], [[https://twitter.com/wilnyl|Wilnyl]], Phillip, [[https://twitter.com/thePetHen|thePetHen]]으로 이루어져 있다.] || || '''유통'''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 '''ESD''' ||[[Steam]] || || '''장르''' ||1인칭 [[호러 게임|호러]], [[코미디 공포]], [[코옵 모드|4인 협동]] || || '''출시''' ||2024년 4월 2일 || || '''엔진''' ||[[유니티(게임 엔진)|유니티]] || || '''한국어 지원''' ||부분 지원[* 번역 퀄리티는 그리 좋지 않으며, 미번역된 부분이 많다. 한글 폰트가 영어에 비해 매우 얇아 잘 보이지 않는 단점도 있다.] || || '''스팀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881650/Content_Warning/|[[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1LTS0Me6MR4)] [[Landfall Games]]에서 제작한 4인 협동 공포 게임. [[만우절]] 기념으로 공개되자마자 바로 판매를 시작하였으며 판매 첫 날까지는 무료로 배포되었다. 참고로 Content 뒤에 s가 없으므로, 콘텐트 워닝이 맞지만, 한국에는 s를 붙인 채로 부르는 경우가 보편적이라서[* 오죽하면 Content를 구글번역기에 돌리면 콘텐트가 아니라 콘텐츠라고 번역한다. 이는 콘텐트보다 콘텐츠라는 표현을 많이 쓰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쓰는 표현이 적용된 것이다.] 이 게임도 콘텐츠 워닝이나, 컨텐츠 워닝이라고도 잘못 불리는 경우가 많다. == 요구 사양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 '''운영체제''' || Windows 10 (64-bit) || Windows 11 || || '''프로세서''' || Intel Core i5 @ 2.5 GHz 이상 || Intel Core i5 @ 3 GHz 이상 [br] AMD Ryzen 5 이상 || || '''메모리''' || 8GB || 16GB ||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1050 Ti[br]AMD Radeon R9 380 || NVIDIA GeForce GTX 1060[br]AMD Radeon RX 470 || || '''API''' || DirectX 11 || DirectX 12 || || '''저장 공간''' || 4GB || 6GB || == 게임 플레이 == 최대 4인이 한 조를 짠 [[유튜브 크리에이터|영상 크리에이터]]가 되어, [[다이빙 벨]]을 타고 내려가 어두컴컴한 지하의 폐공장을 탐방하는 [[파운드 푸티지]] 영상을 찍고 올려 최대한 많은 조회수를 버는 것이 주된 목표다. 3일의 기간 동안 일정량의 누적 조회수를 올려야 하며,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그간 했던 내용들이 [[꿈 결말|꿈이었던 것으로 처리되고]] 처음으로 돌아간다. 한 명이 카메라[* 정식 명칭은 카메라지만 외형과 기능은 [[캠코더]]에 가깝다.]를 들고 영상을 녹화해야 한다. 최대 1분 30초 분량까지 찍을 수 있으므로 촬영 시간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이 좋다. 만약 귀환할 때 카메라를 들고 오지 못했거나 팀원이 모두 사망했을 경우 영상을 업로드하지 못한 채 날을 넘겨야 한다. 다만 아직 남은 기간에 여유가 있을 경우 다시 폐공장에 방문해서 전날 사망하거나 카메라를 분실했던 장소를 수색해보면 망가진 카메라를 다시 습득할 수 있고, 이 카메라로 다시 촬영을 할 수는 없지만 촬영된 분량만큼은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회수하는 것이 좋다. 귀환했을 경우 카메라를 특정한 장치에 넣어 디스크를 만들고, 디스크를 집에 있는 대형 모니터에 넣으면 SpookTube에 영상을 업로드하여 이를 재생하고, 조회수와 댓글들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영상이 끝나면 광고 수익을 받게 되며, 카메라로 녹화한 영상은 [[WebM]] 파일로 직접 컴퓨터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어들의 얼굴은 텍스트 [[이모티콘]]의 형태로 직접 쓸 수 있다. 최대 3자까지 쓸 수 있으며 영어, 숫자, 일부 특수문자 외의 문자는 지원되지 않는다. == 괴물 == * 달팽이 좀비 달팽이의 머리와 등껍질이 달려있고 사람처럼 팔다리가 있어 걸어다니는 괴물이다. 가장 흔하게 조우할 수 있으며, 누가 달팽이 아니랄까봐 매우 느린 속도로 배회하기 때문에 따돌리는 것은 매우 쉽다. 가까이 접근할 시 괴상한 소리를 내며 플레이어에게 달라붙어 대미지를 입힌다. 피해는 그리 크지않아서 몇 번 정도는 공격을 허용해도 지장은 없지만, 한번 잡히면 꽤 오랫동안 붙들고 놔주지 않기 때문에 다른 괴물과 같이 있을 때는 주의해야 한다. 후반부로 갈수록 여러 개체가 같이 나오기도 한다. * 거품기 괴물 팔이 없고 몸통과 다리만 달린 채 머리가 거품기로 되어있는 괴물. 플레이어를 마주치면 거품기가 회전하는 소리와 함께 직선으로 달려들어 공격을 시도한다. 속도는 빠르지만, 오로지 직선으로만 달려들기 때문에 옆으로 슬쩍 피하기만 해도 혼자 달리다가 벽이나 지형지물에 부딪혀 바닥을 뒹군다. 하지만 만약 공격을 허용했다면 전체 HP의 90%를 날려먹는 위력을 지녔으므로 방심은 금물이다. * 식칼 유령 자루같은 것을 뒤집어 쓰고 알 수 없는 소리를 연신 중얼거리며 배회하는 괴물로 한손에는 식칼을 들고 있다.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빠른 속도로 달려들어 식칼로 공격한다. 즉사급 공격은 아니지만 신속하게 도망치지 않으면 연속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 로봇 사냥개 4족보행을 하는 로봇이다. 얼굴에는 웃는 표정이 있으며, 붉은색 불빛의 시야로 플레이어를 색적하기 때문에 멀리서 발견하기 쉽다. 처음에는 넓은 범위로 붉은빛을 비추지만, 그 시야에 플레어이가 들어가면 점점 좁아지다가 일직선 형태로 변하고, 그 이후에도 시야를 벗어나지않으면 기관총을 발사한다. * 눈알 괴물 주로 어두운 공간에 혼자 멀뚱히 서있는 커다란 눈이 달려있는 곤충과 비슷한 괴물이다. 어두운 곳에서는 굳이 접근하지 않는 이상 그냥 지나칠 수 있지만, 손전등으로 비추거나, 카메라로 촬영 시[* 촬영시 라이트가 켜지기 때문] 바로 플레이어를 눈치채고 빠른 속도로 달려들어 공격하기 때문에 이 괴물을 빛으로 자극하는 것은 금지. 한번 공격당하면 연속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벗어나기 매우 힘들다. * 그림자 괴물 * 수류탄 맨 * 비명 개구리 말 그대로 깜놀만 하는 괴물이다. 직접적으로 공격은 아니지만 플레이어 한명에게 [[벨튀|가까이 다가가 소리를 지르곤 도망친다]]. * 아이언 메이든 전형적인 [[아이언 메이든]] 처럼 생겼지만 앞부분이 철창으로 되어있고 뒤에 낚싯 바늘이 3쌍 있으며 1쌍의 모니터를 가지고있다. [[우는 천사|시야에]] [[SCP-173|들어오게]] [[Lethal Company/생명체#s-5.7|된다면]] 다가오거나 잡지 않는다. 만약 잡힌다면,앞부분의 철창이 닫친 후 1개의 모니터는 잡힌 사람의 앞쪽에, 다른 모니터는 반대쪽으로 내미는데, 잡힌 쪽의 모니터에는 3번의 기회가 표시 되고, 반대쪽으로 내민 모니터에는 SpookTube의 [[CAPTCHA|CATCHYA]]의 인증 요청이 15초 동안 뜨고, 다른 플레이어가 8자의 특수문자[* 영어 및 특수 문자]를 시간 내로 입력 하지 못하면 기회 1번이 줄어들고, 기회가 전부 소진 되면 3쌍의 낚싯 바늘이 잡힌 플레이어를 죽인다. 모든 특수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철창이 열리며 풀려난후 다신 움직이지 않는다 * 슬라임 * 거미 만나지 말아야 될 적. 초반부터 거미를 만나게 된다면 일단 오래 있을거란 생각조차 못하게 된다. 거미줄을 치는 것 부터 해서 이동속도도 걷는 속도보다 조금 빠른 정도이기에 걸리면 바로 다음 날로 가야 할 정도로 파워가 장난 아니다. 물론 피해 다닐 수 있다면 피해 다니라고 하겠지만 거미줄은 한번 들어가서 걸리면 나올 방법이 없다. 즉 입구 막기에 특화된 적. * 플리커 == 아이템 == 카메라를 제외한 아이템과 이모트들은 상점 [[키오스크]]에서 구매할 수 있다. * '''카메라''': 기본적으로 주어지며 늘 가지고 다녀야 하는 게임의 핵심 아이템이다. 영상을 녹화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확대 / 축소 기능과 [[셀카]] 시점도 지원한다. 필름 분량은 1분 30초까지. * '''조명''' * Old Flashlight (낡은 손전등) / 20$ : 처음 게임을 시작하면 4개가 기본적으로 주어진다. * Flare ([[조명탄]]) / 40$ * Modern Flashlight (현대식 손전등) / 150$ * Long Flashlight (긴 손전등) / 200$ * Modern Flashlight Pro (현대식 손전등 프로) / 500$ * Long Flashlight Pro (긴 손전등 프로) / 600$ * '''도구''' * Reporter Mic (리포터 마이크) / 50$ * Sound Player (사운드 플레이어) / 100$ * Boom Mic ([[붐 마이크]]) / 100$ : 마이크와 가까운 대상의 소리가 증폭된다. * Clapper ([[클래퍼보드|클래퍼]]) / 100$ * Goo Ball (끈적이 공) / 50$ * Shock Stick (충격 막대) / 400$ : 막대기 끝에 전류를 발생시켜 크리쳐 혹은 플레이어들을 경직시킨다. == 이모트 == 감정 표현. 처음에는 이모트가 주어지지 않으며, 최소 하나의 이모트를 가지고 있다면 T 키를 눌러 발동할 수 있다. 구매한 이모트는 책 형태로 드랍되며 책을 사용한 사람 한 명만 이모트를 가지게 된다. * Appulse (박수) / 100$ * Confused (혼란) / 150$ * Workout 1 (운동 1) / 100$ * Dance 103 (춤 103) / 300$ * Dance 102 (춤 102) / 400$ * Dance 101 (춤 101) / 500$ * Backflip p1 ([[공중제비|백플립]] p1) / 600$ * Gymnastics (체조) / 800$ * Caring (배려) / 80$ : 이름은 배려지만 [[생각하는 얼굴(이모지)|생각하는 포즈]]를 짓는다. * Ancient Gestures 3 (고대 제스처 3) / 80$ : [[따봉]] 포즈. * Ancient Gestures 2 (고대 제스처 2) / 220$ : 검지와 중지로 V를 만드는 포즈. * Yoga (요가) / 500$ * Workout 2 (운동 2) / 750$ * Thumbnail 1 (섬네일 1) / 800$ * Thumbnail 2 (섬네일 2) / 900$ * Ancient Gestures 1 (고대 제스처 1) / 1000$ : [[Fuck You|중지를 치켜세우는 포즈]]. == 음악 == Content Warning의 키오스크에서 구매할 수 있는 음악이다. Party Popper (파티포퍼) / 5$ (2024년 4월 4일 소규모 패치에서 도구인 사운드플레이어와 리포터마이크와 같이 추가되었다 ) == 기타 == * 제목인 Content Warning은 공포와 혐오 등의 민감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는 경고를 뜻한다. * 공포 장르의 4인 협동 게임이며, 3일의 기간 내에서 목표치를 달성해야 한다는 점은 [[Lethal Company|리썰 컴퍼니]]의 영향을 받았다. 리썰 컴퍼니의 개발자 Zeekerss도 [[https://twitter.com/ZeekerssRBLX/status/1775064602944160174|이 게임을 플레이한 영상]]을 올렸다. 초자연적인 존재를 촬영하기 위해 위험한 곳에 찾아간다는 부분은 [[Phasmophobia]]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 * 무료 배포 기간 동안 [[https://twitter.com/LandfallGames/status/1775191701771915486|동접자 20만 명, 게임 소장자 620만 명]]의 성적을 올렸다. * 출시 직후 가끔 뜬금없이 [[https://twitter.com/scuffedwolfy_bs/status/1775082623137694037|외설적인 내용의 텍스트]]가 화면 전체를 도배할 정도로 반복해서 출력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었다. 정황상 개발 중 장난으로 집어넣었다가 발매 할 때 미처 비활성화하지 않아 발생한 해프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업데이트로 나오지 않도록 수정되었다. * 출시 당시 굉장한 반향을 불어왔던 만큼 모드 지원도 빠르게 이루어졌다. 여타 Landfall Games 게임들처럼 [[https://thunderstore.io/c/content-warning/|Thunderstore Mod Manager]]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