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C41401> {{{#!wiki style="margin:5px" [[스핏츠|{{{#fff {{{-1 '''스핏츠의 정규 앨범'''}}}}}}]]}}} || || {{{#000,#fff ←}}} ||<|2><#C41401> {{{#fff {{{-1 '''4집'''}}}[br]{{{+1 ''' ''Crispy!'' '''}}}[br]{{{-1 (1993)}}}}}} || {{{#000,#fff →}}} || || {{{#000,#fff {{{-1 '''3집'''}}}[br][[惑星のかけら|{{{#000,#fff {{{-1 ''' ''惑星のかけら'' '''}}}}}}]][br]{{{-1 (1992)}}}}}} || {{{#000,#fff {{{-2 5집}}}}}}[br][[空の飛び方(음반)|{{{#000,#fff {{{-1 ''' ''空の飛び方'' '''}}}}}}]][br]{{{#000,#fff {{{-2 (1994)}}}}}} || ||<-2><#C41401> '''{{{#fff {{{+1 Crisp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rispy!.jpg |width=100%]]}}} || ||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px]] [[1993년]] [[9월 26일]]|| || '''녹음일''' ||[[1993년]] [[4월]] ~ [[1993년]] [[7월]] || || '''장르''' ||[[팝 록]] || || '''재생 시간''' ||43:52 || || '''곡 수''' ||10곡 || || '''프로듀서''' ||사사지 마사노리[br][[스핏츠]]|| || '''레이블''' ||폴리도르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록 밴드 [[스핏츠]]의 네 번째 정규 앨범. == 상세 == 1993년, 스핏츠는 데뷔 3년차 밴드였다. 그러나 싱글, 앨범 모두 상업적으로 성공한게 하나도 없는 무명 밴드였고, 멤버들은 슬슬 결과를 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기 시작했다. 그래서 처음으로 외부 프로듀서를 초청했다. 이 프로듀서가 바로 [[UNICORN(밴드)|UNICORN]]이나 [[PRINCESS PRINCESS]]의 프로듀서로 유명한 사사지 마사노리(笹路正徳)이다. 상업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 이번 작품의 테마로 쿠사노는 '[[팝]]'을 내걸었으며, 사사지의 프로듀싱에 의해, 이번 작품은 명확하게 '스핏츠 역사상 가장 팝적인 앨범'이 되었다. 그래서 [[호불호]]가 상당히 갈리는 앨범이기도 하다. 키보드와 [[신디사이저]], 호른과 스트링 등이 담겨 밝고 화려해진 사운드가 특징이다. 발매와 동시에 이번에도 앨범은 [[오리콘 차트]] 10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당시 [[쿠사노 마사무네]]는 "나의 곡이나 목소리는 일반적으로 대중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구나"라고 생각해서 크게 낙담했다고 한다. 그리고 한 달 뒤 싱글컷한 '네가 추억이 되기 전에(君が思い出になる前に)'가 호평을 받으면서 커리어 처음으로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차트인(33위)을 달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은 100위 안에 등장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로빈슨(ロビンソン)'이 메가 히트를 기록했던 95년에 역주행해서 99위에 차트인했다. 발매된 지 4년 가까이 지난 97년에는 봄 드라마 주제가로 기용된 '꿈이 아니야(夢じゃない)'가 싱글컷됐으며, 여름 무렵에는 CM송으로 기용된 '네가 추억이 되기 전에'가 재발매되면서 이 앨범이 재조명되어 최고 순위인 27위를 기록하고 있다. [[쿠사노 마사무네]]가 모든 곡을 작곡한 최초의 앨범이다. == 트랙 리스트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작사'''}}} || {{{#fff '''작곡'''}}} || {{{#fff '''편곡'''}}} || {{{#fff '''재생 시간'''}}} || || 1 || クリスピー ||<|10> [[쿠사노 마사무네]] ||<|10> [[쿠사노 마사무네]] ||<|10> 사사지 마사노리 [br] [[스핏츠]] || 3:28 || || 2 || 夏が終わる || 4:09 || || 3 || 裸のままで || 4:45 || || 4 || 君が思い出になる前に || 5:02 || || 5 || ドルフィン・ラヴ || 4:06 || || 6 || 夢じゃない || 4:27 || || 7 || 君だけを || 5:26 || || 8 || タイムトラベラー || 4:04 || || 9 || 多摩川 || 3:28 || || 10 || 黒い翼 || 5:19 || === クリスピ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iSXE5TdJE)]}}} || 이 앨범의 타이틀곡이다. 밴드 사운드와 팝적인 멜로디의 균형이 잡혀 있는 노래다. === 夏が終わる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SPLzvQWnnU)]}}} || 앨범이 발매 된 후 '君が思い出になる前に'의 커플링 곡으로 싱글컷됐다. 여름의 끝자락 특유의 나른한 분위기가 표현된 노래다. === 裸のままで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nSryjy5eNw)]}}} || 선행 싱글곡. 프로듀서 사사지 마사노리가 처음으로 프로듀싱한 스핏츠 노래다. 스핏츠가 급격히 팝 노선으로 전환했음을 알 수 있는 노래인데, [[색소폰]]이나 관악기가 전면에 나와 있는 사운드가 특징이다. [[쿠사노 마사무네]]는 "이 노래로 밀리언 간다(100만장을 판다)"라고 자신했지만, 오리콘 차트에서 차트인조차 못했다. 스핏츠 노래중에서 보기 드문 직설적인 러브송이다. === 君が思い出になる前に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rwC2Xu2POs)]}}} || 앨범이 발매 된 후 싱글컷된 노래다. [[테레비 도쿄]]의 정보 프로그램 '더 멋지게!'의 테마송으로 사용됐다. 스핏츠가 처음으로 오리콘 차트에서 차트인을 달성한 기념비적인 노래다. === ドルフィン・ラヴ === 흑인 음악 색깔이 강한 팝 록이다. [[지미 헨드릭스]]를 의식해서 만든 노래다. === 夢じゃな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IWRNAR-Od0)]}}} || 1997년에 싱글컷된 노래다. [[테레비 아사히]] 드라마 '두 사람'의 주제가로 사용됐다. === 君だけを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pK4VvCfbUw)]}}} || 1997년엔 싱글컷된 '夢じゃない'의 커플링 곡이다. 드라마 '두 사람'의 삽입곡으로 사용됐다. === タイムトラベラ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PkNBIGpHog)]}}} || === 多摩川 === 애니메이션 '[[허니와 클로버/애니메이션|허니와 클로버]]'의 삽입곡으로 사용됐다. === 黒い翼 === 코러스에는 기타리스트 쵸시 칸지(町支寛二)가 참가했다. 쵸시는 스핏츠의 소속사 로드 앤 스카이의 설립자인 하마다 쇼고(浜田省吾)와 오랜 파트너로 알려져 있다. [[분류:스핏츠]][[분류:1993년 음반]][[분류:일본의 록 음반]][[분류:팝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