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엘튼 존 노래]][[분류:1972년 노래]][[분류:1972년 싱글]][[분류:1973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팝 록]][[분류:글램 록]] [include(틀:엘튼 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e9e8 0%, # 20%, # 80%, #ede9e8)" '''차트 성적 및 판매량 인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빌보드 핫 100 1위 곡, 전번_곡=Superstition, 전번_아티스트=스티비 원더, 전번_1위_기간=1주, 이번_곡=Crocodile Rock, 이번_아티스트=엘튼 존, 이번_1위_기간=3주 연속, 후번_곡=Killing Me Softly with His Song, 후번_아티스트=로버타 플랙, 후번_1위_기간=5주 연속)] ----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2153)] ---- }}} || ||<-2><#fff> [[파일:external/www.eltonjohnitaly.com/crocodile-spagna.jpg|width=100%]] || ||'''수록 앨범'''||[[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 ||'''앨범 발매일'''||[[1973년]] [[1월 22일]] {{{-3 (UK)}}}[br][[1973년]] [[1월 26일]] {{{-3 (US)}}}|| ||'''녹음일'''||[[1972년]] [[6월 13일]]|| ||'''녹음실'''||[[프랑스]] 에후빌 샤토 드 에후빌 {{{-3 (스트로베리 스튜디오)}}}|| ||'''싱글 발매일'''||[[1972년]] [[10월 27일]] {{{-3 (UK)}}}[br][[1972년]] [[11월 20일]] {{{-3 (US)}}}|| ||'''싱글 B면'''||[[Elderberry Wine]]|| ||'''장르'''||[[록 음악|록]], [[글램 록]], [[팝 록]], [[로큰롤]]|| ||'''재생시간'''||3:58|| ||'''작사가'''||[[버니 토핀]]|| ||'''작곡가'''||[[엘튼 존]]|| ||'''프로듀서'''||거스 더전|| ||'''발매사'''||DJM (UK), MCA (US)|| [목차][clearfix] == 개요 == [youtube(75r0nQu-hMs)] [[엘튼 존]]의 1973년 정규 6집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의 9번 트랙이자 리드 싱글이다. == 곡 구성 == 피아노와 파피사 오르간 연주를 바탕으로 한 로큰롤 풍의 경쾌한 록 곡이다. 가사는 수지라는 여성과 함께 지냈던 로큰롤 시절을 그리워하는 남성에 대해 묘사했다. 후렴구 가사에는 미국의 로큰롤 밴드 [[빌 헤일리|빌 헤일리 앤 히스 코메츠]]의 1954년 히트곡이자 로큰롤 역사에 큰 획을 그은 "Rock Around the Clock"을 언급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gdufzXvjqw|빌 헤일리 앤 히스 코메츠 - Rock Around the Clock (1954)]]] 엘튼 존은 1960년대 초반의 분위기를 내는 곡을 만들고 싶었고 그 시절의 로큰롤 음악을 즐긴 사람들에게 바치고 싶어 만든 곡이라고 설명했다. [[델 섀넌]] 풍의 보컬을 담았고, 후렴구에서 가성으로 부른 "라~랄라라라라" 보컬은 미국의 가수 팻 분의 1962년 히트곡 "Speedy Gonzales"의 후렴구 보컬을 활용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150 페이지[br][[https://www.youtube.com/watch?v=Ed3wGuNAnis|팻 분 - Speedy Gonzales (1962)]]] 캐나다의 그룹 다이아몬즈의 1957년 히트곡 "Little Darlin'"과 [[닐 세다카]]의 1959년 히트곡 "Oh! Carol" 등 많은 곡들의 조합이며 [[비치 보이스]]의 영향도 있다고 밝혔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55 페이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이 곡을 애착하지 않았다. 버니 토핀은 1970년대 초-중반에 엘튼 존과 함께 수많은 '일회용 팝' 음악을 만들었다고 밝혔을 때 "Crocodile Rock"을 그중 하나에 포함했고, 사람들이 자신을 "Crocodile Rock"으로 기억하는 걸 원하지 않는다고 1989년 〈뮤직 커넥션〉 인터뷰에서 밝혔다.[* [[https://rokritr.com/2019/08/29/bernie-taupin-eltons-write-hand-man/|Bernie Taupin: Elton's “Write” Hand Man]]] 엘튼 존은 마지막 세계 투어 〈Farewell Yellow Brick Road〉를 마치고 나서 이 곡을 부르지 않겠다고 2021년 인터뷰에서 밝혔다.[* [[https://www.nme.com/news/music/elton-john-says-he-will-throw-a-party-when-doesnt-have-to-play-crocodile-rock-again-2937251|Elton John wants to “throw a party” when he never has to play ‘Crocodile Rock’ again]]] == 발매 == 영국에서는 1972년 10월 27일 DJM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고 미국에서는 11월 20일 MCA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다.[* [[http://www.45cat.com/record/djs271|영국 싱글]], [[http://www.45cat.com/record/mca40000|미국 싱글]]] 영국 5위, 캐나다 1위, 호주 2위, 뉴질랜드 1위, 벨기에 3위, 독일 3위, 스위스 1위, 이탈리아 1위, 노르웨이 3위, 아일랜드 10위, 남아프리카 6위 등 세계적으로 10위권 진입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고, 1970년부터 1972년까지의 초기 싱글들 가운데 가장 큰 성공을 거둔 곡이 되었다. BPI 기준으로 영국에서 4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골드 인증을 받았다.[* [[https://www.bpi.co.uk/award/15862-733-1|BPI]]] 엘튼 존의 첫 번째 [[빌보드 핫 100]] 1위 곡이며, [[197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는 7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207위를 기록했다. 이후 1974년 싱글 [[Bennie and the Jets]], 1974년 싱글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1975년 싱글 [[Philadelphia Freedom]], 1975년 싱글 [[Island Girl]], 1976년 싱글 [[Don't Go Breaking My Heart]], 1985년 싱글 [[That's What Friends Are For]], 1991년 싱글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 1997년 더블 싱글 [[Candle in the Wind 1997|Something About the Way You Look Tonight/Candle in the Wind 1997]]까지 빌보드 핫 100 1위를 여덟 차례 더 배출했다.[* [[https://www.billboard.com/artist/elton-john/chart-history/hsi/|엘튼 존의 빌보드 핫 100 차트 역사]]] [[RIAA]] 기준으로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ar=Elton+John&ti=Crocodile+Rock&format=Single&type=#search_section|RIAA]]] 싱글 B면에는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의 3번 트랙 [[Elderberry Wine]]이 수록되었다.[* [[https://www.discogs.com/ko/master/85554-Elton-John-Crocodile-Rock|Crocodile Rock 싱글]]] == 참여자 == * 보컬, 작곡, 피아노, 파피사 오르간, 백 보컬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일렉트릭 기타 - 데이비 존스턴 * 베이스 - 디 머리 * 드럼 - 나이절 올슨 * 프로듀싱 - 거스 더전 == 매체에서 == * [[더 머펫 쇼]]에 출연했을 때 (1977년 촬영, 1978년 방영) 거대한 깃털 의상을 입고 악어들로 가득한 늪지대에서 [[일렉트릭 메이헴]]과 같이 연주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8gowZkMGAM|엘튼 존/일렉트림 메이헴 - Crocodile Rock (1977)]]] *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작사/작곡 협업 25주년을 기념한 1991년 헌정 앨범 [[Two Rooms: Celebrat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에는 [[비치 보이스]]의 커버곡이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GYbvZ7OFX8|비치 보이스 - Crocodile Rock 뮤직비디오 (1991)]]] 정작 엘튼 존은 1973년 곡 [[Harmony(노래)|Harmony]]를 커버하길 원했다고 한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7 페이지] * 2001년 10월 22일 방영된 영국의 애니메이션 [[밥 더 빌더]]의 크리스마스 에피소드 〈A Christmas to Remember〉에서 엘튼 존이 본인 역으로 출연했을 때 이 곡을 불렀다. 다만 말하는 목소리만 맡았고 노래는 원곡을 사용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2xYCKfTf40M|밥 더 빌더에 출연한 엘튼 존 - Crocodile Rock]]] 2001년 10월 5일 발매된 밥 더 빌더의 사운드트랙 앨범 《Bob the Builder: The Album》에는 리믹스 곡이 실렸는데 엘튼 존의 대부분 1970년대 앨범들에 참여한 프로듀서 거스 더전이 새로 녹음한 보컬도 합쳤다.[* [[https://www.youtube.com/watch?v=9uJH-jH4bmw|엘튼 존/거스 더전 - Crocodile Rock (2001)]][br][[https://www.discogs.com/ko/release/2529752-Bob-The-Builder-The-Album|Bob the Builder: The Album]][br][[https://www.youtube.com/watch?v=fP3F30iehMg|A Christmas to Remember]]] * 2001년 곡 [[Original Sin]]의 뮤직비디오에서 미국인 가장 역을 맡은 엘튼 존이 이 곡을 오르간으로 연주하는 장면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ARKPNNjNxQ|Original Sin 뮤직비디오 오프닝, 엔딩 장면]]] * [[터치스톤 픽처스]]와 [[로켓 엔터테인먼트|로켓 픽처스]]가 제작을 맡은 2011년 장편 애니메이션 [[노미오와 줄리엣]]에는 [[넬리 퍼타도]]와 같이 부른 곡을 삽입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oDd6_8Hcy0|엘튼 존/넬리 퍼타도 - Crocodile Rock (2011)]]] * 2019년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에서 엘튼 존([[태런 에저턴]] 분)이 1970년 8월 25일 캘리포니아주 웨스트 할리우드의 트루버도어 클럽에서 첫 번째 미국 공연을 여는 장면에 삽입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엘튼 존이 트루버도어 클럽에서 미국 진출 공연을 열었을 때까지만 해도 "Crocodile Rock"은 작사/작곡되기 2년 전이었다. 〈로켓맨〉에 삽입된 곡들은 실제 발매 시기 및 작사/작곡 시기와 상관없이 작중 흐름에 맞춰 새롭게 재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Pdotum3y9cM|로켓맨 - Crocodile Rock 장면]]] == 가사 == >I remember when rock was young >로큰롤의 초창기가 기억나 >Me and Suzie had so much fun >나와 수지는 정말 신나는 시간 보냈었지 >Holding hands and skimming stones >손을 잡고 물수제비뜨기를 했지 >Had an old gold Chevy and a place of my own >우리의 아지트인 낡은 금색 쉐보레도 있었어 >But the biggest kick I ever got >하지만 그 무엇보다 가장 짜릿했던 건 >Was doing a thing called the Crocodile Rock >크로커다일 록에 맞춰 춤을 춘 거야 >While the other kids were Rocking Round the Clock >다른 애들이 "Rock Around the Clock"에 맞춰 춤출 때 >We were hopping and bopping to the Crocodile Rock >우린 크로커다일 록에 맞춰 신나게 춤을 췄지 > >Well Crocodile Rocking is something shocking >크로커다일 춤은 충격적인 춤이었어 >When your feet just can't keep still >두 발을 잠시도 가만두면 안 둘 정도로 >I never knew me a better time and I guess I never will >그보다 더 멋진 시간은 없었고 아마 앞으로 없을 거야 >Oh Lawdy Mama those Friday nights >오 맙소사, 수지는 그 금요일 밤들마다 >When Suzie wore her dresses tight >몸에 꽉 끼는 드레스를 걸쳤지 >And the Crocodile Rocking was out of sight >그러면서 크로커다일 춤은 사라져 갔어 > >But the years went by and the rock just died >하지만 세월이 흘러가면서 록은 죽어버렸고 >Suzie went and left us for some foreign guy >수지는 어떤 외국 남자를 따라 우리 곁을 떠났지 >Long nights crying by the record machine >레코드판을 틀어놓고 밤새 울었어 >Dreaming of my Chevy and my old blue jeans >나의 옛날 쉐보레와 낡은 청바지들을 꿈꾸면서 말야 >But they'll never kill the thrills we've got >하지만 세월은 우리의 그 짜릿했던 순간들을 없애진 못할 거야 >Burning up to the Crocodile Rock >크로커다일 록에 맞춰 달아오르던 그 순간들 >Learning fast as the weeks went past >세월이 흐르면서 깊이 깨달았지만 >We really thought the Crocodile Rock would last >우린 크로커다일 록이 영원할 거라고 생각했어 == 라이브 == 1972년부터 자주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Crocodile+Rock|Crocodile Rock 라이브 목록]]] * [[https://www.youtube.com/watch?v=KY_AqsdLMJc|1972년 10월 30일 영국 런던 '로열 버라이어티 퍼포먼스']] * [[https://www.youtube.com/watch?v=-8PiA0FAYBI|1973년 9월 7일 할리우드 볼]] * 2010년 은퇴하기 전까지 엘튼 존과 40년 정도 일했던 전직 음향 기술자 클라이브 프랭크스가 악어 가면을 쓰고 오르간을 연주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oEv31IYr7Lg|1974년 12월 24일 영국 해머스미스]] * [[https://www.youtube.com/watch?v=vixBWKr7XkU|1979년 5월 28일 러시아 모스크바]] * [[엘튼 존 밴드]]의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와 함께 진행한 2인조 공연이며, [[비틀즈]]의 곡들 [[Back in the U.S.S.R.]]와 [[Get Back]]을 연결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NWNviy4q8gE|1982년 12월 24일 영국 해머스미스]] * [[https://www.youtube.com/watch?v=SFjRxIfHCTE|1984년 6월 30일 웸블리 스타디움]] * [[https://www.youtube.com/watch?v=Ed3wGuNAnis|1994년 9월 2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레이 쿠퍼와 함께 진행한 2인조 공연들에서는 발라드에서 록으로 바꿔지는 구성으로 편곡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WF5BYyKl1So|1999년 10월 16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 [[https://www.youtube.com/watch?v=JrpI7WbJcO8|2000년 10월 20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 [[https://www.youtube.com/watch?v=nJF-Bkd1DXk|2001년 7월 17일 튀르키예 이즈미르]] * [[https://www.youtube.com/watch?v=MqJRYB6kVqA|2004년 9월 17일 한국 서울]] * [[https://www.youtube.com/watch?v=BMukz8EhL9Q|2007년 3월 25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 [[https://www.youtube.com/watch?v=D3QQYvqHCIQ|2012년 2월 라스베이거스 시저스 팰리스]] * [[https://www.youtube.com/watch?v=XPMgBogZewc|2016년 9월 11일 런던 하이드 파크]] * [[https://www.youtube.com/watch?v=w-NvMb7L93g|2018년 9월 12일 미국 필라델피아]] * [[https://www.youtube.com/watch?v=2c4gZl5Zrd8|2019년 5월 2일 오스트리아 빈]] * [[https://www.youtube.com/watch?v=Aay845aYfMk|2022년 1월 21일 미국 휴스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