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목차] == D2 실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699_1.jpg]] || 한글판 명칭 ||'''D2 실드'''|| || 일어판 명칭 ||'''[ruby(D, ruby=ディー)][ruby(2, ruby=ツー)]シールド'''|| || 영어판 명칭 ||'''D2 Shield'''|| |||| 일반 함정 || ||||자신 필드 위에 앞면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해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의 수비력은 원래 수비력의 배가 된다.||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에서 등장. 주용도는 [[아즈텍의 석상]], [[크로스 카운터]]등의 [[암석족]]을 채용한 덱에서 사용해 반사 데미지를 먹이거나, 수비 표시 몬스터를 지키는 용도. 수비력이 높은 몬스터를 뒷면수비로 세트해놓고 상대가 공격할때 데미지 스텝에 이 카드로 꽤 큰 수비력으로 상대에게 전투데미지를 돌려줄 수 있다. 다만 수비력을 원래 수치의 배로 하기 때문에 원래부터 수비력이 구렸던 애들은 써봤자 의미가 없다. 이름만 보면 [[데스티니 히어로|D-실드]]하고는 관계 있을 것 같지만 전혀 관련이 없다. 원작 사용자는 [[후도 유세이]]. [[기황제 와이젤∞]]의 공격에 맞춰 발동해 [[포뮬러 싱크론]]의 수비력을 높이고, 관통 데미지를 줄였다. 여기서는 전투로 파괴당하면 덱에서 1장 드로우하는 효과도 있었다.--하기사 드로우 효과가 없었으면 [[아성의 가디언]]을 쓰면 되는 듀얼이었다.-- 일러스트에 있는 몬스터는 [[잭 아틀라스]]의 [[더블 프로텍터]].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6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6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EN06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리벤지 트윈 소울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RevengeTwinSoul-JP-Anime-5D.png|width=350]] || 한글판 명칭 ||'''리벤지 트윈 소울'''|| || 일어판 명칭 ||'''リベンジ・ツイン・ソウル'''|| || 영어판 명칭 ||'''Revenge Twin Soul'''|| |||| 일반 함정 ||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싱크로 몬스터 2장을 선택하여 게임에서 제외하고, 공격 대상이 된 몬스터의 수비력을 엔드 페이즈 시까지 제외한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 × 100 포인트 올린다. 이 때, 그 수비력이 공격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넘었을 경우,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후도 유세이]]가 [[아포리아]]와 듀얼하기 전, [[잭 아틀라스]]가 패배 직전에 남겨놓은 카드. 유세이가 직접 발동하여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과 [[블랙 페더 드래곤]]을 제외시킨 후, [[슈팅 스타 드래곤]]의 수비력을 [[기황신 마시니클∞]]보다 높게 만들었다. 유세이가 사용하긴 했지만, 정작 진짜 주인인 잭의 덱과는 상성이 최악이다. 묘지에 싱크로가 2장은 쌓여 있어야 하는데, 잭의 듀얼 스타일은 [[레드 데몬즈 드래곤]]과 진화체를 제외하면 다른 싱크로 몬스터를 거의 사용하지 않아서 발동 조건이 잭 한정으로 매우 극악해지기 때문. WRGP 컵의 룰에 따라 패배하더라도 다음 주자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투입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