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white DD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라이벌들의 카드군)] [include(틀:DD 관련 카드군)] [include(틀:아카바 레이지 덱 관련 문서)] }}}}}} || ||<-6>
<#193e6c> '''{{{#!html DD }}}'''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쫄.png|width=100%]]}}}|| || '''{{{#111111 한국어판 명칭}}}''' ||<-5><#fff> '''[ruby(DD, ruby=디 디)]''' || || '''{{{#111111 일본어판 명칭}}}''' ||<-5><#fff> '''[ruby(DD, ruby=ディーディー)]''' || || '''{{{#111111 영어판 명칭}}}''' ||<-5><#fff> '''D/D''' || ||<-2> '''{{{#111111 속성}}}''' ||<-2> '''{{{#111111 종족}}}''' ||<-2> '''{{{#111111 관련 카테고리}}}''' || ||<-2><^|1><#fff>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메인 덱)[br][[유희왕/속성|다양]](엑스트라 덱) ||<-2><^|1><#fff> [[악마족]] ||<-2><^|1><#fff> {{{#!folding [ 접기 ] 효과[br]융합[br]싱크로[br]엑시즈[br]'''펜듈럼'''[br]링크}}} || [목차] == 개요 == [[유희왕 OCG]]의 카드군. == 설명 == [[V점프]] 2014년 7월 호에 실린 [[유희왕 ARC-V]] 특별 단편에서 [[아카바 레이지]]가 사용한 것으로 최초 공개되었으며, 여기서 나온 카드들이 V JUMP EDITION 11 펜듈럼 V팩에서 최초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용 카드로 등장했다. 애니메이션에서 레이지가 [[의식 소환]]을 제외한 당시의 모든 소환법을 사용하면서 펜듈럼 소환 이외에도 [[융합 소환|융합]]/[[싱크로 소환|싱크로]]/[[엑시즈 소환|엑시즈]] DDD 몬스터들이 공개되었다. 한편 애니메이션에서 첫 선보이는 카드들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에서는 [[부스터 스페셜|SP]] [[레이징 마스터즈]](SPRG)[* 해당 팩에서는 DD 이외에도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젬나이트#젬나이트마스터 다이아|젬나이트마스터 다이아]], [[XX-세이버 가톰즈]] 등 [[레오 코퍼레이션#s-2|LDS]] 소속 학생들이 사용한 카드들이 재록된다.]에서 발매되었다. 공격력 2000 이상이자 레벨 7 이상의 최상급 몬스터 및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엑스트라 덱|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은 이름에 D가 하나 더 붙어서 DDD로 되어있다. 12화 및 [[레이징 마스터즈]] 광고 영상에 따르면 DD는 '''[[이차원|Different Dimension]]'''을 의미하고, DDD는 '''Different Dimension Demon''', 즉 '''다른 차원의 [[악마]]'''를 의미한다. [[D.D. 크로우]] 같은 놈들과 동일한 약자인 것. 코믹스에서의 DD 몬스터는 '''Data Dictionary'''로 '''상대를 관측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설정일 뿐인 것인지 정작 카드에 있는 독음은 그냥 "디디", "디디디"로만 되어 있어서 DDD가 [[데몬(유희왕)|데몬]]에 들어가지는 못한다. 설정에선 [[데스티니 히어로]]의 D에 3가지 뜻이 담겨 있지만, 실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에서는 그냥 데스티니뿐인 것과 비슷하다. 대체로 하급 DD 몬스터들의 경우에는 괴물이나 악마에서 이름을 따오고, 펜듈럼 존 세팅용 펜듈럼 몬스터들인 "마도현자" 시리즈는 [[천문학자]]와 [[물리학자]], [[공학자]]에서 따왔다. [[DDD(유희왕/카드군)|DDD]] 몬스터들은 모두 이름에 "왕"이 붙어 있다는 특징이 있고, 비펜듈럼 몬스터는 유명한 영웅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펜듈럼 몬스터의 경우에는 지옥이나 종말과 관련된 이름이거나, [[아카바 레이지|사용자 본인]]이 모티브인 몬스터도 있다. 또한 이런 DDD 몬스터 중 칭호인 XX왕이 회사의 직책을 말장난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특정 인물을 모티브로 하지 않는 DDD 몬스터 일람 ▼ ||
'''카드명''' || '''말장난에 해당하는 부분''' || '''말장난 이외의 이름 모티브''' || ||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 사위왕(死偉王,시이오우)=[[CEO]] || [[헬]](지옥), [[아마게돈]](종말의 땅) || ||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 극지왕(極智王,쿄쿠치오우)=[[국장]](局長,쿄쿠쵸우) || [[카오스]](혼돈), [[아포칼립스]](세계 종말) || ||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 괴치왕(壊薙王,카이치오우)=[[회장]](会長,카이쵸우) || [[어비스]](심연), [[라그나로크]](신들의 황혼) || || '''[[DDD 사구왕 바이스 레퀴엠]]''' || 사구왕(死謳王,시오우오우)=[[COO]] || [[바이스]](사악한), [[레퀴엠]](진혼곡) || ||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 || 사치왕(赦俿王,샤치오우)=[[사장]](社長,샤쵸우) || [[데스]](죽음), [[데우스 엑스 마키나]](기계장치로 내려온 신) || }}}}}} || 북미판에선 그냥 DD로 발매될 경우 북미판 명칭에 소문자 dd가 들어가는 수많은 카드들[* 예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O'''dd'''-Eyes Pendulum Dragon]], [[엑조디아|Exodia, the Forbi'''dd'''en one]]]과 헷갈릴 수 있기 때문인지, /를 넣은 D/D가 되었다. 다만 [[히어로(유희왕)|카드군 지정에선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때문에]] 카드군 지정 자체엔 문제가 없긴 했다.[* 그러나 이 경우는 히어로만의 특수 재정에 가깝고, 오히려 일부 카드의 경우 말장난이나 어감을 살리기 위해 카드군명을 단어 안에 숨기기도 하는데, 이 경우 카드군의 첫 자가 꼭 대문자일 보장은 없다. [[벨즈]] 카드군이 대표적이다.] === 성능 === 엑스트라 덱을 이용하는 특수 소환법들인 [[융합 소환]], [[싱크로 소환]], [[엑시즈 소환]], [[펜듈럼 소환]], [[링크 소환]][* 당연히 9기 시점에는 없었고 이후 지원을 받았다.]을 모두 다루는 타이틀답게 사용하는 맛은 굉장히 좋은 편이지만, 초기에는 뭔가 2% 부족하다는 평이 대세였다. 하급/상급 DD들을 이용해 소환하는 최상급 [[DDD(유희왕/카드군)|DDD]] 몬스터 개개의 성능이 그다지 넘사벽급이 아니라는 점 때문이었다. 결과적으로 DD 덱은 스타일을 크게 바꾸어 계약서에 의한 안정적인 패, 필드 수급과 라미아의 자체 특수 소환 등 몬스터 효과에 의한 연계로 시너지를 이루면서 전개를 해 나가는 덱이 되었으며, 특히 라미아를 이용한 싱크로 소환을 주력으로, 보조로 융합 / 엑시즈 소환을 추가하는 식으로 엑스트라 덱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이 외에도 제외된 슬라임과 라미아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해 주는 [[PSY프레임로드 Ω]], 주혈왕 사이프리트와 함께 DD 날빌을 책임지는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라미아도 제외되지 않고 필드에 남는 마도현자 케플러도 처리하면서 묘지로 보낼 수 있는 [[삼라#삼라의 희아궁|삼라의 희아궁]] 등이 발매되며 DD는 가끔씩 우승 덱에 이름을 올릴 수 있게 될 정도가 되었다. 이후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지원을 받은 이후 엑시즈 소환을 주력으로 하는 덱이 등장해 기존 싱크로 소환 위주의 덱과 다른 플레이 방식을 보여 주고 있다. === 역사 === 초기의 DDD들은 레이지가 [[아카데미아|적으로 두고 있는]] 융합 소환에 상당히 치우친 편이었는데, 싱크로 소환은 레벨 3 DD 나이트 하울링으로 뽑을 만한 실전적인 몬스터가 많지 않아 아예 버리는 경우가 많았고, 엑시즈 소환은 대부분 레벨이 각기 따로 놀아 소환하기 힘들었다. 펜듈럼 소환은 일단 DD 자체가 엑스트라 덱에 펜듈럼 카드를 쌓기보다는 묘지 자원을 더 선호하는 테마이고, 하이 스케일 담당인 케플러의 펜듈럼 효과에 있는 디메리트가 까다로운 데다 몬스터로서의 계약서 서치 효과가 좋아 펜듈럼 존에 넣기 아까워지는 이유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다. 반면에, 융합 지원 카드는 3장이나 되고, 몬스터 효과로 사용한 공격력 0짜리 약골인 DD 마도현자 케플러를 필드에서 처리하기도 편하며, 열화왕 테무진과 신탁왕 다르크가 상당히 고성능이기도 해서 DD 덱은 융합 소환에 많이 의존했다. 이때는 카드풀 또한 넓지 않았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급으로 프라우드 슈발리에/프라우드 오우거나 제패왕 카이젤 등을 투입해야 했고 변수가 심히 많았기 때문에 성능 또한 애매했다.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에서 DDD 패룡왕 펜드래곤이란 신카드가 나왔으나, 자력으로는 소환할 수 없는 카드였다. 그러다가 [[디멘션 오브 카오스]]에서 슬라임들을 포함한 지원과 [[펜듈럼 도미네이션]]의 발매가 확정되면서 DD는 큰 상향을 받게 되는데, 우선 DD 라미아라는 자체 특수 소환 조건을 가진 튜너와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가 나오면서 싱크로 부분이 해결되었다. 융합 몬스터도 DDD 극룡왕 베어 울프가 나오면서 각각 연계, 타점 및 LP를 담당하는 DD끼리의 융합 몬스터들에 추가로 DDD를 융합해 필드 견제와 공격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으며, 스월 슬라임과 네크로 슬라임으로 빠르고 간편한 융합 소환이 가능해졌다. 이때부터 DD의 주력 소환법은 융합 소환에서 싱크로 소환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그러던 중 2016년 4월 금제가 발표되었고, [[EM룡검사]], [[피안(유희왕)|피안]], [[제왕(유희왕)|제왕]], [[인페르노이드]] 등 대부분의 티어 덱이 몰락한 상황에서 DD는 마침내 티어권 진입에 성공했다. 4월 이후 환경에서는 [[SR(유희왕)|SR]] 피안, [[푸른 눈]], [[클리포트]] 3강 체제 바로 아래에서 [[EM(엔터메이트)|EM]][[오드아이즈]], [[마제스펙터]]와 같이 1.5군 정도로 맹활약했다.[* DD 다음으로 넘어가면 [[제왕(유희왕)|제왕]] 덱이 나오는데, 이 덱의 승수가 DD의 2/3 정도로 통계가 나오고 있다.] [[더 다크 일루전]]에서 나온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의 압도적인 드로우력의 힘으로 4월에서는 완전히 1티어로 부상하다 마침내 원래 점유율이 가장 높았던 푸른 눈을 제치고 점유율 1위가 되었으며, 7월 금제 때 아무런 타격을 받지 않았고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2016년 10월 금제로 스월 슬라임과 라미아가 준제한되어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을 쓸 때 위험성이 좀 더 심해졌고, D.D 크로우의 압박이 심해졌다. 그래도 십이수 독주 아래에서 다른 2티어 덱들과는 그럭저럭 할 만하다. 2017년 4월, [[링크 소환]]이 등장하면서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전개가 크게 제한됨으로써, 기존의 운영법을 링크 몬스터를 추가하여 바꿔야 할 필요가 생겼다. 일단 이 덱의 메인 덱 전개력 자체는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므로 링크 소환을 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기가 매우 쉽다. 이후 7월 금제로 스월 슬라임이 무제한으로 완화되었고, 소년 점프에서 마도현자 케플러를 가볍게 처리할 수 있는 [[링크리보]]와 [[극한의 힘]]에서 범용 하단 링크 마커 3개인 [[쇄룡사-스컬데드]]가 나와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전개하기가 더 좋아졌다. [[링크 브레인즈 팩]]에서는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가, 링크 브레인즈 팩 2에서는 DDD 심연왕 빌가메스가 등장하면서 전개가 더욱 용이해졌다. 2020년 4월 1일부터 적용되는 마스터 룰에서 융합, 싱크로, 엑시즈 몬스터는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되어도 아무 메인 몬스터 존에 놓을 수 있게 되어서 많이 나아졌다. 신 마스터 룰 당시에는 하리파이버의 링크 마커에다가 빌가메스를 소환하면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1장밖에 더 뽑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그런 문제가 사라져 혜택을 보았다. 2021년 4분기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추가 지원을 받았다. 공개된 카드들의 성능은 대체로 호평. 신규 지원인 [[DD(유희왕/카드군)#DD 그리폰|DD 그리폰]]은 기존 전개의 핵심인 스월 슬라임, 네크로 슬라임, 라미아에 의존하지 않고도 엑시즈 기반의 강력한 전개를 쓸 수 있게 되었고, 신규 엑시즈 몬스터인 [[DDD(유희왕/카드군)#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는 간편한 소환 조건으로 퍼미션이 걸린 상황에도 3천대의 타점을 보장해 주며, [[No.77 더 세븐 신즈]]나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등 강력한 엑시즈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 DD의 주력 소환법을 엑시즈로 옮기는 성과를 이뤘다. 물론 기존의 싱크로축 DD도 이들을 채용하며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 특허권의 계약서류라는, [[차원 장벽]]에 버금갈 만한 초특급 소환 방해 카드와 DDD 헤드헌트의 막강한 필드 탈취권 역시 호평을 받는 편. 2022년 7월 금제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가 금지가 되면서 싱크로축 DD가 엄청나게 피해를 입었다. 이후 [[비스테드]], [[크샤트리라]]의 등장으로 각각 묘지와 펜듈럼 존이 카운터당해 여타 덱들과 마찬가지로 사장되었다. 그나마 2023년 1월 금제로 비스테드와 크샤트리라가 금제를 당해 조금 숨통이 트였다. ==== 장점 ==== *'''폭넓은 전개 경우의 수''' 상당히 오래전에 나온 테마이고, 그 카드 수가 굉장히 많은 만큼, 전개의 가짓수나 결과물 역시 천차만별로 달라지고, 그 다양성은 다른 덱들과는 격 자체를 달리할 정도로 다양하고 많다. 단순히 데스 마키나만 세워놓는 간단한 빌드부터, 온갖 DDD 몬스터들이 범람하는 미쳐 돌아가는 꽉찬 필드까지, 그 잠재력과 폭발력은 어지간한 현역 덱 이상으로 현재까지도 이 점에 대해서는 유효하다. *'''전개 테마면서 [[미드레인지|적극적인 운영 싸움이 가능]]''' 위의 장점과 연계되는 것으로, 정말 폭넓은 빌드와 결과물을 바탕으로 해서 상대를 운영 싸움으로 끌고 가기엔 이만한 덱도 드물다. 최소한의 빌드로 강력한 퍼미션을 형성할 수도 있고, 오만가지 DD 몬스터들과 범용 퍼미션 몬스터들을 와장창 쏟아내서 전개 싸움으로 갈 수도 있다. 각자 빌드의 장단점도 명확하게 존재하고, 각 빌드간의 차별성도 지니고 있어서, 상대하는 입장에서도 정말 많은 수를 생각해야 하기에 심리전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잡기도 쉽다. *'''묘지 소생 효과가 많음''' 카드군 내 묘지 소생 효과가 많고 사용하기도 쉽다 보니 빌드가 터져도 다음 턴에 몬스터들을 다시 불러오기 용이하다. *'''복구력이 좋아 상대가 쓸데없는 소모전을 하게 만들음''' 필드를 완성한 상태에서 상대가 뚫으려면 상당한 카드를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칼리 유가의 마함 클린은 상대방에게 상당한 압박을 주면서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저의 턴 제약 없는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는 효과는 그야말로 강력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소모전을 해서라도 뚫으려고 할 수밖에 없지만 복구력이 상당한 DD의 특성을 잘 고려하면 상대방만 소모전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단점 ==== * '''매우 어려운 난이도''' '''유희왕에서 어렵다 하는 덱의 표본'''이나 마찬가지로, 어려운 수준에서는 현재에서도 열 손가락 안으로 꼽을 수 있는 만큼 난이도가 다른 테마들과 비교할 수도 없는 차원이 다른 수준으로 높은 수준이다. 아무래도 전개 경우의 가짓수나 결과물 이런 것들이 너무 폭넓다 보니, 어떻게 전개를 하느냐에 따라서 천차만별로 달라지며, 동일한 덱 구성과 패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역량에 따라 매우 심하게 결과물에 차이가 난다. 이는 DD 말고도 [[퀵댄디|정크도플]], [[인페르니티]] 등 파츠형 날빌 싱크로 덱들의 공통점이기도 하지만, DD의 경우에는 저들과 달리 날빌이 필요 파츠 몇 개와 특정한 전개 결과물이 목표가 되는 한 패턴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목표 빌드 자체의 경우의 수가 엄청나게 많으며 그 상황에 맞는 각각의 파츠가 전부 다르다. 덱 구성도 유저들마다 미묘하게 다른 경우가 많아 덱을 짜는 것도 쉽지 않다. 굳이 비교 대상을 세우자면 전개 루트가 매 듀얼마다 달라진다고 봐도 될 정도로 무한에 가까운 선택지를 가지고 있는 [[세피라]]에 비교할 수 있겠다. 또한 DD의 난이도를 높이는 주범으로 심연왕 빌가메스의 디메리트가 있다. 빌가메스는 효과를 사용하면 DD 몬스터만 소환할 수 있게 제약을 거는데, 그 얘기는 즉슨 DD 이외의 몬스터는 빌가메스 소환 이전에 전부 뽑아놔야 한다는 얘기이다. 전개를 잘못 하면 케플러나 네크로 슬라임 등 필드에 있으면 아무 쓸모도 없는 몬스터를 쓰지 못하고 남아 결과물이 약해지는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이렇다 보니 전개 잘하다가 중간에 실수 한 번이라도 내는 순간 그대로 자멸해 버리는 어이없는 경우도 부지기수. 각각의 카드에 명확한 사용 방법이 정해져 있으므로 익숙해지면 비교적 어렵지 않게 전개가 가능하지만 익숙해질 때까지는 시행착오를 거듭해야 한다. 원작 사용자였던 [[아카바 레이지]]가 [[천재|어째서 CEO였으며 이 덱을 잘 굴릴 수 있었는지]] 비유할 만큼 운영 난이도가 괴랄한 편이다. 그나마 엑시즈 축 DD의 경우 레시피와 전개법이 최적화가 잘되어 있고, DD 몬스터 위주로 굴러가다 보니 빌가메스의 디메리트도 덜 신경 쓰이기 때문에 싱크로 축에 비해 난이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다. 물론 이쪽 역시 난이도가 만만치 않다. * '''서치, 묘지의 의존도가 높음''' 덱 서치와 묘지 샐비지를 자주 활용하기에 이들이 막히면 차후의 플레이가 완전히 꼬일 정도로 서치와 샐비지에 의존하는 면이 크다는 점. 그로 인해 온갖 패 트랩들 하나하나가 치명적이다.[* ex) [[유령토끼]], [[증식의 G]],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저택 와라시]] 등] 또한 덱 자체가 케플러와 계약서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 패에 예비 계약서 혹은 계약서 서치 수단이 준비 안 된 상태에서 계약서가 파괴당하거나 케플러의 효과가 막히기라도 한다면 그 또한 심히 난감해진다. 당연하지만 [[번개왕]]과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라도 만나면 손을 쓸 수 없다. * '''높은 빌가메스 의존도''' 엑시즈 축 DD의 경우 전개 도중에 반드시 DDD 심연왕 빌가메스를 거치게 되는데, 빌가메스가 [[무한포영]] 등에 막혀 버리면 전개가 멈춰 버린다. * '''메인 덱 몬스터들의 능력치가 낮음''' 덱 자체가 엑스트라 덱에 매우 의존하는 성향이기 때문에 엑스트라 덱 소환이 막히거나, 혹은 소환할 몬스터가 전부 떨어지기라도 한다면 마도현자들이나 슬라임들은 그저 공격력 0~200의 초약골 몬스터가 될 뿐이다. 요즘 다른 티어덱 들은 곧잘 잡아내는 [[엘섀도르 미도라시]]조차 DD한테는 매우 위협적인데 저기까지 갈 필요도 없이 [[파슬 다이너 파키세팔로]]같은 저타점 약골 몹 앞에서도 맥을 못 춘다. 예컨대 후턴에 [[차원 장벽]] 맞으면 진짜로 망한다. 열화왕 테무진이 막혀서 할 수 있는게 없다. 운이 좋다면 펜듈럼 소환과 라미아로 어떻게든 전개는 하겠지만 그런 경우는 매우 드물다. 유일한 희망은 케플러나 데스티니 드로우(즉, 운빨)을 이용해 발키리의 계약서를 서치하는 것 정도. * '''격심한 LP 소모''' DD와 계약서 카드군에 존재하는 자신에게로의 효과 데미지가 있는 카드들이 많아 발생하는 단점으로, 보통 1회 효과 사용/발동 or 매 턴 스탠바이 페이즈에 1000 데미지를 받게 된다. 원작 사용자가 기업의 사장이고 계약서라는 카드 이름에 걸맞는 컨셉이라 할 수 있으나, 다른 전개형 테마와 비슷한 빌드를 뽑으려면 2000~3000 정도의 LP가 소모되기에 긍정적으로 볼 수 없는 부분이다. 거기다가 계약서는 자괴하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LP가 일정 수치 이하로 내려간 상태에서 자신의 턴을 맞이하면 게임이 끝난다는 문제도 있다. 코나미에서도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다르크나 레오니다스 같은 카드를 출시했으나 성능이 미묘해서 잘 채용되지 않는다. === 유희왕 듀얼링크스 === [[TRUTH UNIVERSE]]에서 신규 출시됐으며, 당시에는 기회가 오면 스월 슬라임과 나이트 하울링을 이용하여 필드에 DDD 몬스터를 세 개 깔고 상대방을 턴킬 내는 방식으로 주로 활용되어 왔다. ARC-V 월드 출시 이후 첫 캐릭터 획득 이벤트로 레이지의 공개와 함께 EX 스트럭처 "[[D/D/D APOCALYPSE]]"의 출시가 발표되었으며, 방송에서 신규 카드로 DDD 시위왕 헬 아마게돈, 마도현자 케플러/갈릴레오, DDD의 인사권이 공개되었다. 그 후 사위왕 헬 아마게돈이 메인인 미니팩 "[[IDEA OF ARMAGEDDON]]"의 출시 역시 발표되었다. 이후 DD 덱의 방향은 크게 달라지게 되었다. * 펜듈럼 DD(6축 엑시즈, 어음의 연기) 듀얼링크스의 상당한 고성능 6랭크 엑시즈 몬스터들과, 자력으로 겹쳐 부르기가 가능한 디지털 버그 라이노세버스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덱이다. OCG나 기존 DD하곤 굉장히 이질적인 덱으로, 이쪽은 계약서가 덤이며, 엑시즈를 주력으로 사용한다. 6레벨인 DD 프라우드 오우거와 DD 마도현자 니콜라를 엑시즈 소재로, DD 오르토로스와 DD 마도현자 케플러를 펜듈럼 스케일 소환/게약서 서치용으로 사용한다. 그 외에 스월 슬라임도 투입하며, 6레벨인 DDD 열화왕 테무진의 중요도가 7레벨인 다르크에 비해서 급격히 높아지게 된다. 어음의 연기로 인해 계약서의 데미지는 무효화되므로 가능한 덱. 그러나 어음의 연기 스킬이 대폭 너프를 먹으면서 1턴만 발동이 가능해지자 다르크를 강제로 투입하게 되었다. * 2022년 4월 이후의 펜듈럼 DD(펜듈럼 몬스터 위주, 사위왕의 통솔) 상향을 받은 스킬인 사위왕의 통솔로 펜듈럼 존에 카드를 세팅하고, 관통 + 수비력 0의 능력을 가진 제로 맥스웰과 수비 표시 변경 범용 마함으로 비트하는 형식. 이후 같은 달 4월 26일에 DD 도그가 레벨업 보상으로 나오면서 선공 빌드를 더 강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됐다. * 2022년 5월 이후의 펜듈럼 DD(펜듈럼 몬스터 위주, 사위왕의 통솔) 자신 턴에 마함 퍼미션을 걸 수 있는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과 DD 마도현자 토마스와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를 위시한 8레벨 엑시즈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형태. 이전에 사용하던 제로 맥스웰과 범용 카드들은 투입이 감소하거나 빠지게 되었다. * 일반 DD 덱(융/싱 위주, 스킬은 자유) 기존에 펜듈럼 카드들이 지원받기 전의 덱과 거의 동일하다. 차이점이라면 DD 마도현자 케플러를 넣게 되었다는 정도. 다만 케플러가 공격력 0의 몬스터다 보니 일반적으로 서치하는 계약서가 정해지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6랭크 엑시즈 몬스터들의 파워가 너무 강력하다 보니 경쟁에서 밀려나가는 상황. 2022년 5월 이후 펜듈럼 DD가 1티어가 된 이후 두 번의 금제를 거처 사위왕의 통솔 하향 및 DD 마도현자 토마스 1제한, DD 마도현자 케플러 2제한, DD 스월 슬라임 및 지옥문의 계약서 3제한으로 많은 카드가 금제에 올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티어를 사수했고, 그 후로 시간이 좀 더 지난 후에는 티어권에서는 멀어졌지만 쓸만한 덱 수준은 유지하고 있다. 여전히 8축을 사용하는 펜DD가 주력. 이후 2023년 4월 금제에서 지옥문의 계약서가 해제, DD 마도현자 케플러가 3제한으로 완화되었다. 23년 8월 금제에선 케플러 무제 / 지옥문 3제한으로 맞교환하였다. 참고로 전용 소환 연출(3D) 애니메이션은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단 1장만이 존재한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시크릿 팩 [[유희왕 마스터 듀얼/시크릿 팩/ㅇ#이차원의 왕과의 계약|이차원의 왕과의 계약]]에서 관련 카드들을 획득할 수 있다. 마스터듀얼 초기에는 배틀 오브 카오스의 지원 카드들이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이었기에 싱크로 전개 축으로 사용했었다. 이후 2022년 8월 9일에 등장하는 셀렉션 팩 '인빈시블 레이드'에서 배틀 오브 카오스의 지원 카드들의 등장으로 엑시즈 축 형태의 덱 또한 사용된다. 여담으로 다른 테마는 최소 1개 이상은 있는 Live 2D가 단 한 개도 존재하지 않는다. DD가 보통 테마도 아니고 애니 라이벌 테마인 걸 생각하면 굉장히 이례적인 일.[* 물론 마스터 듀얼은 애니메이션 출연 여부에 큰 우위를 두진 않지만 DDD는 유희왕 주역 캐릭터의 테마 중에 유일하게 Live 2D가 없다. 카이토의 갤럭시아이즈나 카이바의 백룡 테마가 3개 이상의 Live 2D를 가지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Live2D 지원을 받지 못한 카드 테마군으로는 [[방계(유희왕)|방계]]가 있는데, 이 쪽은 무려 '''극장판 최종보스가 사용하던 덱'''임에도 크림즌 노바나 크림즌 노바 트리니티에 Live2D를 지원받지 못했다. 도태된 강자임을 생각해보면 안습.] 거기다가 신규 셀렉션 팩에서 수록되었고 비슷한 시기에 패치로 신규 Live 2D가 추가되는 패치까지 했는데 결국 추가 Live 2D를 받지 못해 반응이 좋지 못하다. == 효과 몬스터 (非펜듈럼) == === 레벨 1 === ==== DD 네크로 슬라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09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네크로 슬라임,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ネクロ・スライム, 영어판명칭=D/D Necro Slime,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30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효과2=①: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DDD(디디디)"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이 카드를 포함하는 융합 소재 몬스터를 자신 묘지에서 제외하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5>'''자유자재로 모습을 바꾸는 신비의 소용돌이.'''|| DD와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해 DDD를 융합 소환하는 카드로, 현재도 이 카드는 스월 슬라임과 함께 풀 투입하는 게 요즘 DD 덱의 추세. 스월 슬라임과 마찬가지로 DDD×2 조합인 카이사르 라그나로크는 못 소환한다. 라미아와 함께 DD 초동 전개의 중반을 담당하는 카드로, 묘지의 DD를 융합해 테무진이나 다르크를 소환하여 전개 보조 및 고레벨 싱크로 소재 조달을 행하는 것이 보편적인 사용법. 패 소모 없이 묘지 자원만으로 베오울프 등의 고타점 융합 몬스터를 손쉽게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원턴킬이나 돌파를 위해 고타점이 필요할 때나 후속타를 준비할 때도 애용된다. 이 카드는 필드나 패에서는 그저 공수 300짜리 약소 몬스터에 불과하므로 빨리 묘지로 보내야 한다. 패 / 덱에서의 덤핑 수단이 워낙 많은 덱인 데다가 레벨 1이라 [[링크리보]]의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어 묘지로 보내는 것 자체는 쉽다. 원작에서는 묘지의 이 카드를 코스트로서 제외하고, 필드의 몬스터를 소재로 융합하는 효과였다. 참고로 이 차이 때문에 원작에서 이 카드의 효과로 카이사르 라그나로크를 융합 소환했던 장면은 재현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이라는 조건을 충족할 수 없기 때문. 이후 128화에서는 OCG 효과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 DD 라미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2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라미아,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ラミア, 영어판명칭=D/D Lamia,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1900, 종족=악마족, 효과1="DD(디디) 라미아"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패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중에서\, "DD(디디) 라미아" 이외의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5>'''미래에 흐르고 있는 피'''|| 일반 소환권을 소모하지 않고도 쉽게 필드에 내놓을 수 있는 DD의 하급 튜너이자 중반 전개 요원. DD를 굴리다 보면 정말 사골처럼 우려먹게 되는 카드이다. 날빌을 세우는 형식의 싱크로축 DD에서는 이 카드가 매우 중요한데, 단적으로 말해 라미아를 한 번 더 사용할 수 있느냐의 여부가 DD 날빌의 성립을 좌우한다. 일반 소환권을 써서 일반 소환하거나, 스월 슬라임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하거나, 알렉산더나 테무진 등으로 끝없이 묘지에서 불러내서 골수까지 빨아먹은 이후에야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간혹 패가 말려서 어쩔 수 없이 이른 타이밍에 특수 소환권을 쓰게 될 경우 케플러 같은 카드를 일반 소환으로 꺼내서 랭크 1 엑시즈 소환 이후 소재로 묘지로 보내면서까지 끈질기게 붙들어 놓게 된다. 테무진과 같이 알렉산더를 싱크로 소환하거나 다양한 레벨 8 싱크로 소환을 하는 데 주로 사용한다.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는 강력한 범용 싱크로 몬스터들이 많기 때문에 충분히 강력한 전법. 특히 레벨 8 싱크로 몬스터에는 PSY프레임로드 오메가가 있기 때문에, 이 카드를 소환한다면 다음 상대 턴에 라미아를 묘지로 되돌려보내 라미아를 다시 우려먹을 수 있다. 또는 테무진과 알렉산더의 소생 효과를 이용해 다르크와 튜닝해 사이프리트를, 알렉산더와 튜닝해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동시에 필드에 전개하기도 한다. 정확히 말하면 테무진-다르크 소환[* 보통 스월 슬라임과 네크로 슬라임 콤보를 주로 사용한다.] 이후 테무진 효과로 라미아 소생-테무진과 튜닝으로 알렉산더 소환, 이후 DD특수 소환 후 라미아 소생-알렉산더와 튜닝해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이후 라미아 효과로 소생 후 다르크와 튜닝해 사이프리트를 불러내는 식. 혹은 튜너라는 속성을 아예 버리면 간단히 특수 소환해 필드에 남은 케플러와 랭크 1 엑시즈 소환으로 연계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이렇게 사용하면 필드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제외되는 디메리트까지 피할 수 있다. 반면 배틀 오브 카오스 이후 생긴 엑시즈축의 DD에서는 의존도가 낮다. 마땅히 뽑을 만한 싱크로 몬스터를 거의 채용하지 않다 보니 빌가메스의 소재나 테무진, 괴치왕 등의 특수 소환 트리거 등 싱크로 소환 외의 목적으로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된더. 지옥문의 계약서로 서치가 가능하며 서치한 즉시 지옥문을 묘지로 보내고 특수 소환이 가능하므로, 특수 소환이 쉬운 레벨 1 튜너로서 용병 카드로 채용되기도 한다.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의 상반신과 뱀의 하반신을 가진 반인반수 [[라미아]]. 99화에서 등장. 레이지가 이 카드와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를 소재로 베어 울프와 사이프리트를 융합 / 싱크로 소환했다. === 레벨 2 === ==== DD 스월 슬라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09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스월 슬라임,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スワラル・スライム, 영어판명칭=D/D Swirl Slime,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200, 수비력=20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DDD(디디디)"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이 카드를 포함하는 융합 소재 몬스터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효과3=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3)] ||<-5>'''자유자재로 모습을 바꾸는 신비의 소용돌이.'''|| 마신왕의 계약서 없이 패 자원만으로 순식간에 열화왕 테무진과 신탁왕 다르크 등의 융합 몬스터를 띄울 수 있는 강력한 융합 서포트 DD. 지옥문의 계약서 등의 서치 카드로 보통 1순위로 가져오는 카드. 열화왕 테무진으로 대량 전개를 시작하는 DD는 거의 모든 루트에서 이 카드가 없으면 전개 자체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DD 덱에서 라미아와 함께 날빌 루트의 핵을 담당하고 있는 카드다. 물론 라미아가 없어도 이 카드만 있다면 다르크 등의 고타점 몬스터를 세워 놓는 것 자체는 가능하니 중요도는 이 카드가 우위. ①의 효과는 간단하게 말해 DD 한정 융합. 이 때문에 전개의 시작이 100% 융합 몬스터로 시작하는 DD 덱임에도 융합 카드는 단 1장도 들어가지 않는다. 이 카드와 네크로 슬라임이 융합 카드를 대체하기 때문. 이 효과 자체도 굉장히 중요한 효과지만, DD에서의 전개의 핵심이 되는 효과는 ②의 효과다. ①의 효과로 대다수의 경우 테무진을 불러올 텐데, 테무진이 특수 소환에만 대응하기 때문에 여차하면 이 카드로 패의 DD를 특수 소환해 테무진의 효과를 발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패에 괴치왕 같은 카드만 잔뜩 잡히는 경우 베어울프 소환 후 이 카드를 제외해 괴치왕을 소환하고 베어울프의 소재가 된 DDD를 묘지에서 뽑아내는 식으로 전개도 가능. 융합 대체+패의 DD 1장 뭐든지 특수 소환이라는 효과에 DD 특유의 온갖 소생 효과가 합쳐지면 정말 무궁무진한 전개 방법을 만들어낼 수 있다.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와 함께 DD가 적은 패로 다수의 몬스터를 뽑아낼 수 있게 만드는 실질 공로자. 요약하자면 DD의 초동 전개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①, ②의 효과 모두 적극 활용해야 하는 카드. 날빌을 못 세우더라도 패 자원으로 고성능 융합 몬스터를 한 번에 띄워 운영 싸움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먼저 찾게 된다. 이 카드가 발매되기 이전의 DD는 지옥문의 계약서를 이용한 장기적 서치, 마신왕의 계약서를 이용한 전개의 시작, 발키리의 계약서를 이용한 장기적 견제를 1번에 하지 않으면 스피드를 따라갈 수 없어 불안정했지만 이 카드의 발매로 마신왕의 계약서가 없어도 안전하게 전개를 시작할 수 있어 덱의 안정성이 대폭으로 상승했다. 게다가 괴치왕, 나이트 하울링, 테무진, 알렉산더, 릴리스 등의 효과로 엑스트라 덱보다 묘지 자원을 더욱 많이 활용하는 DD의 특성상 패에서 썩고 있을 몬스터를 바로 묘지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DD 덱의 전개력 및 전개 결과의 다양성을 책임지는 카드라 DD가 티어 덱이었을 당시에는 준제한 카드가 되기도 했다. 티어권에서 DD가 거의 사라진 2017년 7월에 다시 무제한 카드로 복귀했다. ==== DD 고스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2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고스트,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ゴースト, 영어판명칭=D/D Ghost,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600, 수비력=3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고스트" 이외의 "DD(디디)" 몬스터 1장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같은 이름의 카드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카드 중에서\, "DD(디디) 고스트" 이외의 "DD(디디)" 몬스터 1장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묘지로 되돌린다.)] ||<-5>'''어둠에서 꿈틀대는 망령'''||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DD 고스트 메이트.jpg|width=100%]] >'''신비한 빛을 발하는 노란 결정.''' >'''속에 보이는 고양이의 모습은, 어둠에 꿈틀거리는 망령인가......?''' >---- >[[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이트의 [[플레이버 텍스트]] [[맥시멈 크라이시스]]에서 OCG화되면서 '(묘지로 보내진) 이 카드 이외의'에서 "DD 고스트 이외의"로 대상 제한이 카드명 제한이 되었고 ②의 효과가 추가되었다. ①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고스트 이외의 자신 묘지의 DD 또는 계약서와 같은 카드명의 카드를 덤핑하는 효과. DD 덱은 전개를 하고 나면 묘지의 자원이 다 비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는데, 이 효과를 사용함으로 전개에 보충할 파츠나 후속 파츠를 묘지로 보낼 수 있다. ②의 효과는 DD 덱에서 자주 채용되는 어둠의 유혹의 코스트로 이 카드를 제외하여 묘지에 자원을 쌓거나, 네크로 슬라임 또는 바이스 튜폰의 효과로 제외되었을 때 묘지 자원을 쌓아줌으로써 후속을 마련하는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엔 레벨 2 튜너라는 점에서 테무진과 같이 더 적은 자원으로 레벨 8 싱크로 몬스터을 뽑거나, 레벨 8 DD와 같이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를 뽑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심연왕 발매 이후 묘지 자원을 쌓아줌과 동시에 극지왕 P효과의 묘지 코스트를 경감하면서 후속을 남기기 좋다는 시너지가 발견되자 1~2장씩 채용되는 추세이다. 이름의 어원은 유령을 의미하는 고스트(ghost)이며 모티브는 팬텀 쿼츠. 안에 있는 고양이의 모습으로 봤을 때 [[슈뢰딩거의 고양이]]도 의식했을 수도 있다. === 레벨 3 === ==== DD 나이트 하울링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905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나이트 하울링,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ナイト・ハウリング, 영어판명칭=D/D Nighthowl,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300, 수비력=6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0 이 되고\, 그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5>'''어둠을 가르는 포효.'''|| 일반 소환되면 묘지의 DD를 필드로 꺼내 오는 DD. 꺼낸 몬스터의 효과도 무효화되지 않으며 일반 소환 1번으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기에 공격력 / 수비력 0, 파괴 시 1000 데미지, 이후 턴 종료시까지 악마족만 소환 가능하다는 강력한 디메리트가 붙어 있다. 그러나 데미지는 파괴 이외의 효과로 치우면 그만이다. 대표적으로 싱크로 소환이나 융합 소환, 엑시즈 소환, 링크 소환 등 현재 DD 카드군 내의 싱크로 몬스터를 제외하고 이 카드의 효과를 이용해 소환할 수 있는 싱크로 몬스터는 극히 적다. 자기 자신을 끌어올려 엑시즈 소환을 할 수 있지만, 소재 2개의 랭크 3 악마족 엑시즈 몬스터는 [[마인(유희왕)|마인 4종류]]와 DDD 반석왕 다리우스뿐이다. DD 릴리스와 같은 레벨 4 몬스터를 꺼내고 DD 케로베로스나 DD 바포메트로 이 카드를 레벨 4 몬스터로 하면 랭크 4 몬스터를 뽑을 수도 있고, 마침 악마족 랭크 4에는 시저나 [[여휘사 벨즈뷰트]], [[No.80 광장패왕 랩소디 인 버서크]]가 있기에 조금 더 숨이 트인다. 메인 덱 DD는 전원 어둠 속성이므로 [[벨즈 나이트메어]] 및 [[벨즈 타나토스]]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악마족 링크 몬스터인 [[퍼페추얼 킹 데몬]]이 추가됨에 따라 링크 소환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이 제약은 전부 일반 소환 시 효과를 발동할 경우에만 해당하므로, 펜듈럼 소환이나 소생을 비롯한 특수 소환으로 나와 있거나, 일반 소환 후 효과를 발동하지 않으면 그냥 평범한 레벨 3 튜너로 쓸 수 있다. DD 케로베로스로 레벨을 조정하면 레벨 4 튜너도 되기에 싱크로 소환 범위가 넓어진다. === 레벨 4 === ==== DD 릴리스 ==== [[파일:DDリリ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릴리스,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リリス, 영어판명칭=D/D Lilith,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00, 수비력=2100, 종족=악마족, 효과1="DD(디디) 릴리스"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효과4=●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5>'''어둠에서 유혹하는 요부'''|| 앞면 표시로 소환에 성공하면 묘지의 DD 또는 엑스트라 덱의 펜듈럼 DD를 패로 회수하는 DD.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며 자기 자신은 펜듈럼 몬스터가 아니므로, 묘지로 들어간 후 나이트 하울링으로 퍼 올려 묘지의 또 다른 나이트 하울링을 패로 넣고 질풍왕 알렉산더를 싱크로 소환하는 식의 운용이 가능하다. DD 케로베로스를 패에 넣어 또다른 지속 마법 샐비지를 노릴 수도 있고, 쓰다가 날아간 DDD 반골왕 레오니다스를 계속해서 패로 회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장점 외에는 효과가 상당히 미묘한 편이라 자주 채용되지 않는다. 묘지 회수는 DD 특성상 그렇게 자주 쓰일 만한 효과가 아니고 엑스트라 덱 회수는 DD 마도현자 토마스라는 대체재가 생겨서 채용되지 않는 편이다. 모티브는 남자의 정기를 빨아먹는다고 알려진 몽마 혹은 마녀인 [[릴리스]](Lilith). 또한 일단은 リリス는 [[페니키시안 클러스터 아마릴리스]]에서 릴리스로 번역된 사례가 존재. 원작 효과는 패에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묘지의 DD 몬스터를 패에 넣는 효과였다. ==== DD 바포메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08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바포메트,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バフォメット, 영어판명칭=D/D Berfomet,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400, 수비력=18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1턴에 1번\, "DD(디디) 바포메트" 이외의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1~8 까지의 임의의 레벨을 선언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선언한 레벨이 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5>'''검은 날개를 가진 이형의 신.'''|| 다른 DD 몬스터의 레벨을 조작하는 카드로, 이후 DD 몬스터 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가 있다.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다른 DD 몬스터의 레벨을 조정한 뒤 이 카드와 오버레이해서 노도왕 시져나 아니면 몬스터를 더 전개해 쌍효왕 칼리 유가나 저격왕 텔 같은 전용 엑시즈 몬스터를 뽑는 것. 그러나 아쉽게도 본인 레벨은 못 조작하기 때문에 칼리 유가 같은 랭크 8 DDD 엑시즈 몬스터를 소환하려면 레벨 8 DD와, 다른 DD 몬스터, 그리고 이 카드가 있어야 소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 환경에서는 굳이 이렇게 안 해도 칼리 유가의 소환이 매우 쉬운데다 선턴 날빌 조합이 발견된 직후에는 더더욱 넣을 이유가 없어졌다. 여담으로 DM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한 [[유익환상수 키메라|바포메트]]와 공격력, 수비력이 동일하다. 이름도 같기도 하고 오마주인 것으로 추정된다. 원작에서는 자신 필드의 DD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그 몬스터의 레벨을 배로 하는 효과였다. 이 효과로 레벨 2 스월 슬라임을 레벨 4로 만들어 노도왕 시져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 === 레벨 5 === ==== DD 판도라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302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판도라,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パンドラ, 영어판명칭=D/D Pandora,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1700, 수비력=21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필드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5>'''재앙을 가둬둔 도가니.'''|| 자체 특수 소환 수단이 없는 레벨 5 몬스터 주제에 공격력이 레벨 4 DD 케로베로스보다도 못하며, 수동적으로 효과를 발동해야 하며 그 발동도 자신 필드에 카드가 아예 없어야 가능해 효과 발동이 굉장히 어렵다. 상급 몬스터라 펜듈럼 소환을 하자니 펜듈럼 카드가 필드에 남으므로 드로우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DD 덱은 레벨 5 몬스터를 활용할 여지도 거의 없으므로 실전성은 사실상 없는 카드다. 원작에서는 레이지가 40화에서 사용했다. 효과는 발동하지 않고 프라우드 슈발리에와 함께 펜듈럼 소환된 뒤 저격왕 텔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고, 이후 소재를 제거해 슈발리에와 함께 묘지로 간뒤 마신왕의 계약서의 효과로 슈발리에와 함께 신탁왕 다르크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 레벨 7 === ==== DD 바이스 튜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180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바이스 튜폰,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ヴァイス・テュポーン, 영어판명칭=D/D Vice Typhon,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300, 수비력=280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7 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레벨 8 이상의 "DDD(디디디)"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이 카드를 포함하는 융합 소재 몬스터를 자신 묘지에서 제외하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DD 몬스터를 릴리스해 덱에서 레벨 7 DDD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레벨 7의 DDD를 잘 채용하지 않으며 몬스터를 2장이나 릴리스해서 나오는 것치곤 거기에 코스트가 또 붙어있기 때문에 사실상 쓸 상황이 매우 안 나오는 효과라고 외면받는다. ②의 효과는 발동 타이밍은 물론 대상 레벨에까지 제한이 달려있으므로 네크로 슬라임보다 사용하기가 까다로우나, 레벨 7이라는 점에서 라미아와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를 뽑는 게 가능하고, 높은 레벨 덕분에 묘지에 고레벨의 DD를 따로 묘지로 보내지 않아도 이그제큐티브 테무진을 뽑는 게 가능하다는 차별점이 있다.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의 마룡 [[티폰]]. || {{{#white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DDD(유희왕/카드군)|DDD]] 몬스터}}} || || [[DDD(유희왕/카드군)#DDD 제패왕 카이젤|DDD 제패왕 카이젤]][br][[DDD(유희왕/카드군)#DDD 패룡왕 펜드래곤|DDD 패룡왕 펜드래곤]][br][[DDD(유희왕/카드군)#DDD 반골왕 레오니다스|DDD 반골왕 레오니다스]][br][[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br][[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 || {{{#white ②의 효과로 융합 소환할 수 있는 레벨 8 이상의 [[DDD(유희왕/카드군)|DDD]] 융합 몬스터}}} || || [[DDD(유희왕/카드군)#DDD 극룡왕 베어 울프|DDD 극룡왕 베어 울프]][br][[DDD(유희왕/카드군)#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DT-JP017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DT-KR017 ||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DDD 제패왕 카이젤 ==== [[파일:card10003043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DDD(디디디) 제패왕 카이젤, 일어판명칭=DDD(ディーディーディー)制覇王(せいはおう)カイゼル, 영어판명칭=D/D/D Supreme King Kaiser,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21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펜듈럼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의 효과는 턴 종료시까지 무효가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펜듈럼 소환에 성공한 턴의 메인 페이즈에 1번\,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턴에\, 이 카드는 일반 공격 외에도\, 이 효과로 파괴한 카드의 수까지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공격할 수 있다.)] 모티브는 DDD 노도왕 시져와 같은 [[율리우스 카이사르]]. V-점프 특별 단편에서 등장한 비 펜듈럼 DDD. 이 단편에서 아카바 레이지의 에이스 역할을 했다. 모든 효과가 펜듈럼 소환에 집중되어 있지만, 상대 필드를 마비시키는 무효화 효과와 최대 3번까지 가능한 연속 공격 효과는 상당히 강력하다. DD 케로베로스나 프라우드 오우거, 사위왕의 공격력 증가를 사용하면 원턴킬도 가능하다. 다만 은근히 허점도 많은데, 펜듈럼 소환에 성공했을 때의 무효화 효과는 체인 블록을 만드는 강제 유발 효과이기 때문에 효과 발동에 체인해서 소환 대응형 효과를 먹으면 말짱 꽝. 또한 2번 효과에 의해 파괴할 수 있는 카드는 "마법 & 함정 존의 카드"에만 해당하기 때문에, 원래는 펜듈럼 존에 배치된 카드를 그대로 희생해서 [[원턴 킬]]을 내는 전개는 불가능했으나 룰 개정으로 펜듈럼 존이 마법 & 함정 존으로 편입됨에 따라 마함존의 펜듈럼 카드를 파괴해 3연속 공격이 가능해졌다. 베어 울프과 마찬가지로 룰 개정의 혜택을 받은 셈. 일단 이 카드의 최대의 문제점은 DD 덱 자체가 펜듈럼 소환을 적극적으로 쓰는 덱이 아니었기에 쓰기 어려운 카드였지만, 빌가메스 덕분에 스케일 세팅이 간단해짐으로 인해 이 카드도 쓸만한 카드가 되었다. 전자의 효과는 [[CNo.106 용암장 자이언트 핸드 레드]]나 [[벨즈|침략의 범발감염]]등과 같이 "모든"/"currently"이라는 텍스트가 붙어있지는 않지만, [[유희왕/헷갈리기 쉬운 룰|효과 적용 이후에 등장한 앞면 표시 카드도 무효화되는 것은 아니다.]] ==== DDD 패룡왕 펜드래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01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DDD(디디디) 패룡왕 펜드래곤, 일어판명칭=DDD(ディーディーディー)覇龍王(はりゅうおう)ペンドラゴン, 영어판명칭=D/D/D Dragon King Pendragon,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600, 수비력=24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있을 경우\,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의 패 / 필드에서 드래곤족 몬스터와 악마족 몬스터를 1장씩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500 올린다. 그 후\,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오드아이즈 세이버 드래곤]]과 함께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에 동봉되는 신규 한정 특전 카드 중 하나. 모티브는 [[아서 펜드래곤]]. ①의 효과는 자력 특수 소환 효과지만, 소환 조건을 보면 DD에서는 도저히 써먹을 수 없는 카드임을 알 수 있다. 이 카드 하나를 소환하자고 악마족만 있는 DD에 억지로 드래곤족 몬스터를 넣거나, 힘들여 소환한 엑스트라 덱 드래곤족 몬스터를 희생하는 건 말도 안되는 일이다. [[그라비 크러시 드래곤]]으로 계약서 처리하고 상대도 견제한 뒤에 이 카드를 부르라고 추천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도 쉬운 일은 아니고 패만 말린다. 그렇다면 이 카드를 펜듈럼 소환으로 불러내면 된다지만, DD는 DDD 제패왕 카이젤을 펜듈럼 소환하자고 패에 붙들고 있는 것도 힘겨운 카드군인데 이 카드까지 집어넣을 수는 없다. 마법 / 함정 견제효과로 차별화 하려고 해도 몬스터까지 견제해주는 발키리의 계약서가 있다. 다만 이 카드는 발키리의 계약서와는 달리 대상 비지정이다. 소환 조건 때문에 간혹 [[붉은 눈]] 덱에 용병으로 쓰이기도 한다. 효과도 붉은 눈 계열에 부족한 마함견제 능력이라 유용할 때가 있다. 마침 레벨도 7이니 랭크 7 엑시즈 소환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단은 DD 카드군 내의 몬스터라 스월 슬라임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시키거나 융합 소재로 사용한 이 카드를, 테무진이나 알렉산더 등으로 묘지에서 특수 소환시켜 써먹을 수는 있다. 이렇게 자주 까이는 OCG에서와 달리, 카드풀이 좁은 듀얼링크스에서는 많이 투입되는 카드이다. 일단 같은 7레벨인 튀폰을 사용하기에는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이 없기도 하고, DDD라는 점을 살려 베어 울프의 융합 소재로 사용한 뒤 나이트 하울링으로 소생해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의 싱크로 소재로 사용하는 콤보가 있다. 또는 융합 소재로 묘지에 보내고 바이스 튜폰으로 2장째 베어 울프를 세울 수도 있다. 여담이지만,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패룡왕이라면서 악마족이며]], 우연히도 [[패왕룡 즈아크|패왕룡]]과 엮이는 이름이다. 한때 [[오드아이즈 세이버 드래곤]]이 원작에 출현했기 때문에 이 카드도 후에 레이지가 사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지만 끝내 사용하지 않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 다크 레기온 || VS15-KRD00 ||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 다크 레기온 || VS15-JPD00 ||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Dark Legion Starter Deck]] || YS15-ENL00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효과 몬스터 (펜듈럼) == === 레벨 1 === ==== DD 마도현자 케플러 ==== [[파일:DD魔導賢者ケプラ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마도현자 케플러,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魔導賢者(まどうけんじゃ)ケプラー, 영어판명칭=D/D Savant Kepler,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0,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2개 내린다(최소 1 까지). 그 후\,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의 수치 이상의 레벨을 가지는\, "DD(디디)"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DD(디디)"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효과3=●덱에서 "계약서"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마도현자 갈릴레이의 짝. 이름의 유래는 [[요하네스 케플러]]. 형태는 행성들이 타원 궤도로 돈다는 케플러 법칙이 모티브로 보인다. 갈릴레이 같이 굉장히 괴리감이 심한 스케일과 레벨의 차를 지닌다. 시간이 지날수록 스케일이 내려지는 게 특징이고, 그 이상의 DD 이외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해버린다. 펜듈럼 존의 효과가 좋은 편이 아닌지라 쓰고 나면 빨리 처리하는 편이 좋다. 몬스터로서의 효과는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의 DD를 바운스시키거나 덱에서 계약서를 서치하는 효과. 패로 되돌리는 효과의 경우 갈릴레이가 속공성이 훨씬 높은 편이지만, 대신 펜듈럼 소환으로 재활용된 DD 케로베로스 등을 패로 올릴 수 있다. 혹은 펜듈럼 존에 하나 남은 카드를 패로 가져오고 DDD 심연왕 빌가메스의 스케일 세팅 효과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계약서의 서치는 심플하고 강력한 효과. 보통 몬스터로써의 이 카드는 이 효과를 위해 많이 사용한다. 원하는 계약서를 쉽게 뽑을 수 있으며, 지옥문의 계약서로 유사 몬스터 서치 효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일단 나오고 나면 공격력 / 수비력 0의 약체 몬스터라는 점이 문제. 레벨 1밖에 되지 않아 싱크로 / 엑시즈 소재로 치워버리기도 힘들다. 레벨이 1이라 펜듈럼 소환이 안되는데 펜듈럼 몬스터라 묘지로 가기 쉽지 않으므로 재활용하기 힘든 점이 아쉽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헬웨이 패트롤]]의 효과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거나 [[원 포 원]] 같은 카드를 활용하거나 아님 같은 DD 덱의 DD 케로베로스/DD 바포메트의 펜듈럼 효과로 레벨 4로 만든 후 싱크로 / 엑시즈 소환으로 회피 가능하다.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를 투입해서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로 변신시키는 것도 괜찮은 방법. 신 마스터 룰 이후에는 DDD 심연왕 빌가메스, [[링크리보]],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등 링크 소재로 써먹는 일이 많아 신경 쓸 일이 적은 단점이 되었다. 원작에서는 [[아카바 레이지]]가 만든 펜듈럼 카드로 처음 사용할 때는 펜듈럼 효과란이 공백이었다. 자신만이 펜듈럼 사용자라 믿고 있던 유우야에게 충격을 주었지만, 프로토타입의 한계로 다음 턴 갑자기 디메리트 효과가 공란에 생성되면서 헬 아마게돈 2장을 파괴시켰다. 그럼에도 무언가의 핀트를 잡은 레이지는 그 위기에서 펜듈럼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겠다며 선언하지만 듀얼은 그대로 중지. 원작에선 턴마다 스케일을 5개씩 내리고 DD 몬스터 또한 파괴했기에 디메리트가 더욱 강했으며 또한 1턴에 1번,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로 되돌릴 수 있었다. 이후 재대결 시에 OCG 효과와 같아졌다. === 레벨 4 === ==== DD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1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魔導賢者(まどうけんじゃ)コペルニクス, 영어판명칭=D/D Savant Copernicus,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1번만\,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마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 그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다. 그 후\,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외1="DD(디디)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DD(디디)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 이외의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마도현자 뉴턴의 짝. 낮은 스케일에 낮은 레벨이라는 자신의 짝인 뉴턴과 같이 이전에 나온 마도현자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 마도현자. 모티브는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지동설을 의식한건지 중심에 태양이 있고 행성들이 그 주위를 돌고 있다. 펜듈럼 효과는 데미지를 주는 마법 카드의 효과가 발동할 경우 그 효과를 무효로 하고 자기 자신을 파괴하는 효과. 번 데미지라는 페널티를 안고가야하는 DD의 특성상 나쁘지 않고 특히 대부분의 서치를 지옥문의 계약서에 의존하는 만큼 나름 써먹을 만하다고 볼 수 있다. [[흔들리는 눈빛]]도 막을 수 있는 것 또한 확실한 장점. 몬스터로서의 효과는 일반 / 특수 소환에 성공할 경우 DD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는 효과. 대부분의 콤보의 전제가 묘지에 있는 카드에 비례하는 DD의 특성상 굉장히 유용하다고 볼 수 있으며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기 때문에 DD 카드군의 주력 효과라 할 수 있는 소생 효과뿐만 아니라 펜듈럼 소환[* 펜듈럼 효과가 조건만 만족되면 스스로 파괴되어 엑스트라 덱에 쌓이므로]과의 궁합 또한 적절하다. DD의 초동 전개를 여는데 가장 어울리는 효과이기 때문에 코페르니쿠스가 손패에 잡히거나 서치한다면 어떻게든 전개할 수 있는 것이 장점. 128화에서 등장. DD 케로베로스와 같이 펜듈럼 존에 세팅되었다. 이후 129화에서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의 효과로 레이지의 필드의 다른 카드들과 같이 터져나갔다. ==== DD 케로베로스 ==== [[파일:DDケルベロ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케로베로스,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ケルベロス, 영어판명칭=D/D Cerberus,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600, 종족=악마족, P스케일=6,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4 로 하고\, 공격력 / 수비력을 400 올린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서 펜듈럼 소환에 성공했을 때\, "DD(디디) 케로베로스" 이외의 "DD(디디)"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자신 묘지의 지속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5>{{{#!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이차원의 문을 지키는 머리가 세 개인 경비견. 흉포하고 잔인한 모습으로 송곳니를 드러내며 누구의 침입도 용납하지 않는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5>'''송곳니를 드러낸 지옥의 번견'''|| 펜듈럼 존에서 1턴에 1번 필드의 DD를 레벨 4로 하고 공/수를 400 올려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D의 비트 능력을 올려 주는 평범하게 쓸만한 효과. 필드에 나오고 나면 할 일이 없는 케플러나 릴리스 등을 랭크 4 엑시즈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 효과는 영구적이므로 취급에 주의. 몬스터 효과로는 패에서 펜듈럼 소환했을 때 다른 DD 몬스터가 존재하면 묘지에서 지속 마법 1장을 샐비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효과로 묘지의 계약서나 [[보급 부대]]와 같은 고성능 지속 마법들을 계속 퍼 올릴 수 있다. 물론 일반 소환하거나 엑스트라 덱에서 펜듈럼 소환하는 등 다른 방법으로 소환하면 그냥 하급 어태커로밖에 쓸 수 없다. 안타깝지만 [[펜듈럼 도미네이션]] 출시 이후에는 완전히 버려진 듯했으나...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의 지원 이후 엑시즈축 DD에 1장 정도 투입하기도 한다. 주 사용처는 케플러나 라미아를 레벨 4로 만들어서 노도왕 시저의 엑시즈 소재로 삼는 것. 원작에서 첫 등장했을 때에는 펜듈럼 몬스터가 아닌 평범한 효과 몬스터였는데, 이후 실제로 나올 때는 펜듈럼 몬스터가 되어서 [[사카키 유우야]]가 한 것처럼 기존의 몬스터가 펜듈럼 몬스터가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실제로 40화에서 재등장했을 때에는 펜듈럼 몬스터가 되었다. 그리고 41화에서도 등장했다. [[아카바 레이지]]의 회상에서, 궁지에 몰린 세레나를 공격하려는 [[앤틱 기어]] 몬스터들을 박살냈다. 모티브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저승을 지킨다고 알려진 지옥의 파수견 케로베로스 ==== DD 오르트로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2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오르트로스,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オルトロス, 영어판명칭=D/D Orthros,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600, 수비력=1800, 종족=악마족, P스케일=3, P효과1=①: 1턴에 1번\,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과\,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①: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한 턴에\,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에키드나와 티폰 사이에서 태어난 2개의 머리를 가진 개. 지옥의 파수견 케르베로스와 형제이기도 한 [[오르토스]]로, 그래서인지 일러스트가 DD 케로베로스와 유사하다. 펜듈럼 효과는 소소한 마함 파괴 효과. 다르크 등의 데미지 방어 카드가 없어졌을때 계약서를 처리해 자멸을 방지하거나 스케일이 잉여로워진 갈릴레이, 케플러, 몬스터 효과를 사용하기 위해 필드에 공격 표시로 나온 케플러, 코페니르쿠스를 파괴해 코스트를 어드밴티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발키리의 계약서 외의 마함 제거 수단이 부실했던 DD 덱에 상당히 쓸만한 효과. 설사 상기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자기 펜듈럼 존의 카드를 파괴하고 엑스트라 덱에 올려놓은 다음에 바로 펜듈럼 소환할 수도 있다. 몬스터 효과가 상당히 주목할 만한데,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특수 소환하는 효과가 계약서뿐 아니라 아무 효과, 심지어 전투에도 대응하므로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도 발동이 매우 쉽다. 대개 데미지를 받은 후 특수 소환해서 튜닝을 하는 식으로 쓴다. 또한 특수 소환을 하기만 하면 악마족 몬스터만 소환을 할 수 있게 하는 디메리트를 걸기에 범용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많이 사용하는 DD 덱 특성 상 조심해야 한다. 일반적인 펜듈럼 덱에서라면 싱크로 소환을 무한 반복시킬 수 있는 '''펜듈럼/튜너'''인 카드가 디메리트도 없이 나온 건 이례적이지만, 정작 묘지 자원을 굉장히 능숙하게 사용해 묘지로 가는 게 더 높은 메리트인 DD에서 묘지로 가지 않고 엑스트라 덱으로 가는 펜듈럼 몬스터는 굉장히 치명적이다. 오죽하면 괴치왕, 케플러, 오르토로스 등을 펜듈럼 몬스터로 내놓은 게 코나미가 DD에 가한 가장 치명적인 금제라는 우스갯소리마저 나올 지경(...) 랭크 8 엑시즈 소환 외에는 딱히 릴리스할 필요가 없어 어지간해선 묘지로 가 재활용하는 어비스 라그나로크와 달리 절대 다수의 경우 튜닝 용도로 사용하는 이 카드는 거의 무조건 엑스트라 덱으로 가기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다 보니 대세인 '''비'''펜듈럼 DD 덱에서 이 카드는 사실상 '''특수 소환이 쉬운 1회용 튜너''' 취급. 때문에 아예 안 넣는 덱도 상당했었다. 그나마 빌가메스가 출시된 이후로는 덱에서 스케일 세팅이 가능해지면서 활용하기가 편해져 자주 채용된다. 엑시즈축의 DD에서는 꽤나 쓸만한 카드이다. 4레벨 튜너라는 점은 노도왕 시저와 주혈왕 사이프리트 소환 양쪽에 대응하고, 열화왕 테무진과 튜닝해서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뽑기도 한다[* 주의할 점은 특수 소환하면 디메리트에 걸려 뽑는 게 불가능하니 무조건 일반 소환으로 뽑아야 한다.] 싱크로축 DD와 달리 펜듈럼 소환도 잘 사용하기에 펜듈럼 몬스터라는 단점도 잘 느껴지지 않는다. 악마족만 소환 가능하다는 디메리트도 어처피 자기 카드군 위주로 덱이 굴러가다 보니 신경이 덜 쓰이는 편. 심지어 펜듈럼 효과로 자신 필드의 시저나 텔을 부숴 효과를 발동시키는 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DD 아크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9년)] [[파일:DDアー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아크,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アーク, 영어판명칭=D/D Ark,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2=①: 상대 필드의 펜듈럼 소환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DD(디디) 아크" 이외의 앞면 표시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유희왕 ARC-V/코믹스|코믹스]]에서 등장한 DD. 원작에선 펜듈럼 몬스터를 1장만 소환할 수 있는 대신 소환에 필요한 스케일 수치를 무시할 수 있었는데 생판 다른 효과가 되었다. 희한하게도 실제 OCG로 나온 카드는 어째선지 원작에서 한 세트로 나왔던 DD 이블의 일러스트에 DD 아크의 능력치로 나왔다. 때문인지 이후 발매된 아래의 DD 이블은 원작에서 아크의 일러스트에 이블의 성능을 가지고 나왔다. 일러스트가 서로 바뀐 셈. 다만 각 DD들의 생김새로 봤을 때 카드 디렉터가 헷갈렸다기보단 작가가 이름을 서로 바꿔서 잘못 낸 듯하다. 모티브는 방주 Ark인데, 이 카드의 이름과 카드군의 D를 붙여놓으면 Dark, 즉 어둠이 된다. ==== DD 이블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9년)] [[파일:DDイービ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이블,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イービル, 영어판명칭=D/D Evil,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200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①: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1번만\, 상대가 몬스터의 펜듈럼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펜듈럼 소환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1=이 카드명의 ②의 몬스터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자신 필드에 다른 "DD(디디)"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효과3=②: 상대 메인 페이즈에\, 상대 필드의 펜듈럼 소환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한 쌍인 아크와 마찬가지로 정기구독 특전으로 OCG화. 위에 이야기했듯 이 카드의 일러는 원작에선 아크의 일러스트였다. OCG화되면서 서로 일러스트가 바뀌어서 OCG화된 셈. 다만 생김새를 보면 이쪽이 더 이블이란 이름에 어울리고 아크도 OCG판 일러가 아크란 이름에 어울리는 걸 봐선 코믹스 쪽에서 작화 실수를 한 듯하다.[* 사실 미요시 나오히토는 제알 코믹스 때부터 종종 이런 실수를 하곤 했다. 예를 들면 [[캡틴 콘]]이 쓴 콘 그물의 효과라던가..] 아크와 마찬가지로 카드명과 카드군을 붙여놓으면 Devil이 된다. ==== DD 그리폰 ==== [[파일:DDグリフォ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그리폰,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グリフォン, 영어판명칭=D/D Gryphon,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2=①: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자신의 필드 / 묘지의 "계약서" 마법 / 함정 카드의 종류 × 500 올린다. 그 후\,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몬스터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자신 필드에 "DD(디디)"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②: 이 카드가 펜듈럼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패에서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4=③: 이 카드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DD(디디) 그리폰" 이외의 "DD(디디)"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모티브는 [[그리폰]]. 펜듈럼 효과는 필드 / 묘지의 계약서의 종류에 비례해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 공격력 증가 효과도 효과지만 자신 턴에 펜듈럼 존에서 능동적으로 터질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렇기 때문에 빌가메스로 덱에서 스케일 세팅된 뒤 자괴하고 펜듈럼 소환해서 ②의 효과를 사용하거나, 마도현자 토마스로 패로 가져와서 ①의 효과를 사용할 수도 있다. ①의 효과는 DD 몬스터가 필드에 있으면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이 카드가 등장하기 전까지 DD 덱에서 패에서 몬스터를 바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는 라미아, 오르트로스, 묘지로 간 스월 슬라임의 효과 등이 있었지만, 이들에 비해 디메리트도 없고 특수 소환하는 조건이 간편하기에 필드 소재를 늘리는 데 유용하다. ②의 효과는 펜듈럼 소환되면 DD 혹은 계약서 카드를 버리고 카드를 드로우하는 효과. 묘지로 가야 진가를 발휘하는 네크로 슬라임, 고스트 등을 묻는 데 사용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면 DD를 서치하는 효과. 효과는 좋지만 이 카드는 펜듈럼 몬스터라서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사용하거나, 패나 덱에서 묘지로 보내 버려야 할 필요가 있다. 주로 스월 슬라임의 효과로 융합 소재로 보내거나, 다른 레벨 4 DD와 함께 노도왕 시져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하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다양한 효과로 DD 덱의 전개를 더욱 다양하고 강력하게 만들어 준 만큼 출시된 이후 3장 전부 투입되고 있다. === 레벨 5 === ==== DD 프라우드 슈발리에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5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프라우드 슈발리에,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プラウド・シュバリエ, 영어판명칭=D/D Proud Chevalier,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2000, 수비력=700, 종족=악마족, P스케일=6, P효과1=①: 1턴에 1번\, 500 LP를 지불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내린다., P효과2=②: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DD(디디)"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은 5 가 된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의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5>'''긍지 높은 기사여.'''|| V점프 특별 단편에서 등장한 펜듈럼 몬스터. 이후 40화에서도 등장했다. 이때는 단순히 레벨 5 몬스터가 필요해서 사용된 듯한 모습만 보였다. 프라우드 오우거와 세트로 맞추는 카드. 그 2장으로 펜듈럼 소환한다면 딱 7로 카이젤을 뽑을 수 있다. 펜듈럼으로서의 효과는 500 LP를 지불해서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며, 프라우드 오우거와 마찬가지로 다른 DD 카드가 펜듈럼 존에 없으면 스케일이 5가 된다. 다만 더 낮은 스케일의 DD 몬스터들이 나타나면서 오우거와 짝을 이룰 일은 별로 없게 되었다. 아예 동일한 스케일에 전략적 활용도는 대부분 더 높은 DD 케로베로스도 있기에 펜듈럼으로 쓰기에는 몹시 애매해졌다. 몬스터로는 일반 소환에 성공 시 엑스트라 덱의 어둠 속성 펜듈럼 1장을 패에 넣알 수 있다. 다만 상급 몬스터인지라 제물이 필요하고, 필드에 나오고 나서도 공격력이 2000밖에 되지 않는다. 게다가 정작 이 카드를 소환하는 시점에서 패의 펜듈럼 몬스터가 1장 줄어드니 펜듈럼 소환하려면 미리 준비가 필요하다는 맹점이 있다. 게다가 DD를 대상으로는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며 엑스트라 덱은 물론 묘지에서도 패로 회수할 수 있는 릴리스가 있으므로 몬스터로 쓰기에도 애매하다. DD가 아닌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그것도 엑스트라 덱보다 패에서 월등히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몬스터가 나오기 전까지는 차별화하기 매우 어려운 카드가 되었다. === 레벨 6 === ==== DD 마도현자 니콜라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500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마도현자 니콜라,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魔導賢者(まどうけんじゃ)ニコラ, 영어판명칭=D/D Savant Nikola,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8,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1턴에 1번\, 패에서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버리고\, 자신 필드의 레벨 6 이하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2000 올린다., 효과외1="DD(디디) 마도현자 니콜라"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주인의 패로 되돌리고\,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를 2장까지 골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그 카드의 펜듈럼 효과는 이 턴에 발동할 수 없다.)] 마도현자 토마스의 짝. 천문학자들을 모티브로 삼았던 지금까지의 마도현자 시리즈와 달리, [[니콜라 테슬라]]가 모티브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격력 / 수비력도 0/0이 아니고, 펜듈럼 스케일도 1~10으로 극단적이던 기존 마도현자와 비교할 때 8이란 상당히 이질적인 수치며, 마도현자 토마스와 더불어 모티브가 된 인물의 성이 아닌 이름이 쓰였다. 펜듈럼 효과는 패를 1장 버리고 레벨 6 이하의 DD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2000 올려 주는 효과. 전개력은 좋지만 능력치가 허약한 테무진을 보조하는 데 쓰면 좋을 듯 하다. [[분보그]] 005/006처럼 펜듈럼 존에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이 효과로 원작에서 카오스 어포컬립스 + 마계진자의 계약서의 무한 콤보를 걸어 로제를 골로 보내버렸다. 펜듈럼 효과를 발동할 수는 없게 되지만, 펜듈럼 소환 자체는 가능하므로 엑스트라 덱에서 자고 있는 케플러를 깨우는 데 쓰면 좋다. ==== DD 프라우드 오우거 ==== [[파일:DDプラウド・オーガ.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프라우드 오우거,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プラウド・オーガ, 영어판명칭=D/D Proud Ogre,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300, 수비력=1500, 종족=악마족, P스케일=8, P효과1=①: 1턴에 1번\, 500 LP를 지불하고\,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P효과2=②: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DD(디디)"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은 5 가 된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의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V점프 특별 단편에서 등장한 펜듈럼 몬스터. 프라우드 슈발리에와 함께 세팅되어 DDD 재패왕 카이젤을 펜듈럼 소환했다. 높은 수치의 스케일을 가지고 있지만, 반대편에 DD 카드가 없으면 스케일이 5가 된다. 펜듈럼 효과는 500 LP를 지불해서 DD 몬스터의 공격력을 500 올리는 효과. 소소하지만 나쁘진 않다. 갈릴레이와 함께 사용하면 대부분의 DD를 커버하는 스케일이 되며, 케플러처럼 스케일이 좁아질 일도 없다. 그 외에도 케로베로스, 헬 아마게돈이나 레오니다스처럼 같이 나온 슈발리에보다 궁합이 더 잘 맞는 카드가 많다. 몬스터로는 일반 소환 시 엑스트라 덱에서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소환할 수 있다. 사실상 모의 펜듈럼 소환. 하지만 이 카드 자체가 상급이며,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 이 턴 DD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기에 썩 좋은 효과라 하기는 힘들다. 일단 DD 펜듈럼 몬스터를 제물로 소환하면 바로 되찾을 수 있고 엑스트라 덱에 있는 케플러는 레벨 1이라 펜듈럼 소환으로는 꺼내는게 힘들기 때문[* 불가능은 아니다. GO-DDD 신령왕 갓 레이지가 스케일이 0이기 때문.]에 차별화할 만한 점은 있지만, 일반 소환을 쓰자니 케플러 본인이나 릴리스, 나이트 하울링과 같이 소환 시 효과가 발동하는 다른 몬스터에게 밀리기 십상. 타점도 결코 좋다고 할 수는 없는지라 제물을 때려 박고 일반 소환하기는 더더욱 꺼려진다. ==== DD 도그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20년)] [[파일:DDドッ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도그,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ドッグ, 영어판명칭=D/D Dog,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3, P효과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2=①: 상대 필드의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그 후\,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가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앞면 표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작중에선 레이지가 3장 사용. 유우야가 사천룡을 소환할 때마다 '도플러 데몬 다우징'의 효과로 덱에서 튀어나오고, 바로 효과를 사용해 무력화시켰다. 이후 GO-DD WORLD에 의해 GO-DD 몬스터가 되고, 제로 갓 레이지의 효과를 위해 릴리스된다. 이 때의 카드명을 영문명으로 풀면 GO-DD DOG로, 회문이 된다. 발매 이후에는 잘 쓰이지 않다가 2022년 1월 기준 한 장 정도 투입된다. 주된 목적은 일반소환된 오르트로스와 싱크로 하여 바로네스를 띄우거나, 효과가 빠진 테무진과 엑시즈하여 노도대왕을 띄우는 용도로 사용된다. 효과명은 데블 하울링. === 레벨 7 === ==== DD 마도현자 뉴턴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1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마도현자 뉴턴,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魔導賢者(まどうけんじゃ)ニュートン, 영어판명칭=D/D Savant Newton,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0,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1번만\,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 그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다. 그 후\,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와1="DD(디디) 마도현자 뉴턴"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DD(디디) 마도현자 뉴턴" 이외의 자신 묘지의\,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의 짝. 높은 스케일과 높은 레벨이라는, 자신의 짝과 같이 이전에 나온 마도현자와는 대비되는 특징을 가진 새로운 마도현자. 모티브는 [[아이작 뉴턴]]. 뉴턴의 진자 모형을 의식하고 만든 모습이다. 펜듈럼으로서의 효과는 데미지를 주는 함정의 효과가 발동할 경우 1번만 그 효과를 무효로 하고 자신을 파괴하는 효과. 계약서 때문에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지속적인 번 데미지를 받는 페널티를 가지고 있는 DD에게 적절할 뿐만 아니라, 파괴륜 같은 파괴와 번을 겸하는 카드를 상대가 지르는 것도 무효로 할 수 있다. 또한 케플러와는 달리 스케일 변동이 없어서 레벨 8인 사위왕이나 괴치왕을 부담없이 펜듈럼 소환할 수 있다. 몬스터로서의 효과는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묘지에 있는 DD나 계약서 1장을 샐비지 해오는 것. 패에서 버리는 행위가 성립되기만 하면 버려지는 카드가 가는 곳이 묘지든 제외 존이든 상관 없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으며, 마침 샐비지 효과는 펜듈럼과 엑시즈를 병행하는 DD한테 특히 필요한 효과였기 때문에 DD쪽에서는 상당히 환영받을 효과이기도 하다. 그 밖에도 이 카드를 소재로 랭크 7 엑시즈 몬스터를 뽑는 전술도 고려해 볼 수 있다. DD는 레오니다스, 다르크, 극지왕 등 이미 소환이 쉽고 운용하기도 좋은 레벨 7 몬스터들이 차고 넘치므로 충분히 눈독을 들일 만한 전법. ==== DDD 반골왕 레오니다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926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D(디디디) 반골왕 레오니다스, 일어판명칭=DDD(ディーディーディー)反骨王(はんこつおう)レオニダス, 영어판명칭=D/D/D Rebel King Leonidas,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6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P스케일=3, P효과1=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파괴하고\, 또한 이 턴에\, LP에 데미지를 주는 효과는\, LP를 회복하는 효과가 된다., 효과1=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받은 데미지의 수치만큼만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이 받는 효과 데미지는 0이 된다.)] 헬 아마게돈의 뒤를 이어 등장한 펜듈럼 DDD. 모티브는 [[레오니다스]] 왕. 스케일 3에 레벨 7이라 DD 프라우드 오우거, DD 케로베로스와 함께 서로서로를 펜듈럼 소환할 수도 있고, 몬스터 효과를 이용해 계약서의 페널티로도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얼굴을 보기 쉽다. 공격력도 2% 부족하지만 DDD답게 출중해 메인 어태커로 사용되는 등, 유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그러나 이후 [[DD(유희왕)#DDD 신탁왕 다르크|DDD 신탁왕 다르크]]의 발매로 인해 사실상 실업자가 된 비운의 카드. 특수 소환이 워낙 쉬워 묘지나 엑스트라 덱보다 패에 잡혀야 더 좋은 카드이므로 바운스에도 어느 정도 강한 편이지만 엑스트라 덱에서 나오는 다르크의 효과와 타점이 더 우월하고 나오기도 훨씬 편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다르크가 없을 때의 보험용으로 가끔 쓰이긴 한다. 특히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 봉인으로 다르크를 쓸 수 없다면 이 카드가 도움이 되주기도 한다. 또한 계약서의 데미지 리스크를 없애는 카드이며, 계약서의 페널티로도 특수 소환할 수 있기에 소환이 매우 쉽다. 주의할 점은 특수 소환시는 어디까지나 복구이기 때문에, 데미지로 LP가 0이 되면 그대로 끝. 시져의 출현으로 계약서뿐만이 아닌 DD 몬스터들과도 접점이 생겼고, 이 카드 자체도 DD인지라 지옥문의 계약서로 서치가 가능하다. [[혁작룡 마스카레이드]], [[전황(유희왕)#전황의 폭-동영|전황의 폭-동영]] 등 라이프를 '''지불'''하게 만드는 효과는 효과 대미지가 아니기에 막을 수 없다. [[트릭스터(유희왕)|트릭스터]]가 상위권일 시기에 효과 대미지 방어와 타점 모두 준수한 덕에 사이드 덱에 채용되기도 했다. ====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 ====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 === 레벨 8 === ==== DD 마도현자 토마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77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마도현자 토마스,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魔導賢者(まどうけんじゃ)トーマス, 영어판명칭=D/D Savant Thomas,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1800, 수비력=2600, 종족=악마족, P스케일=6, P효과외1="DD(디디) 마도현자 토마스"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외1="DD(디디) 마도현자 토마스"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존의 "DD(디디)"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레벨 8 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1)] 마도현자 니콜라의 짝. 천문학자들을 모티브로 삼았던 지금까지의 마도현자 시리즈와 달리, [[토머스 에디슨]]이 모티브인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그의 대표 발명품인 전구의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공격력 / 수비력도 0/0이 아니고, 펜듈럼 스케일도 1~10으로 극단적이던 기존 마도현자와 비교할 때 6이란 상당히 이질적인 수치며, 마도현자 니콜라와 더불어 모티브가 된 인물의 성이 아닌 이름이 쓰였다. 펜듈럼 효과는 엑스트라 덱의 펜듈럼 DD를 회수하는 효과. 케플러를 회수해서 다시 일반 소환하거나 레오니다스를 회수해서 데미지를 땜빵하는 등의 활용이 기대된다. 몬스터 효과는 펜듈럼 존의 DD를 파괴하면서 덱에서 레벨 8 DDD를 리크루트하는 효과. 수비 표시로 소환하는데다가 효과도 무효화되고, 그 턴에 받는 전투 데미지도 절반이 되지만 이 카드 역시 레벨 8이므로 곧 바로 랭크 8 엑시즈 소환이 가능해진다. 첫턴에 타이타닉 갤럭시를 세워 날빌을 도와줄 수도 있고 칼리 유가 역시 쉽게 소환이 가능하다. 처음 발매되었을 때는 다소 애매하다는 평을 들으며 잘 채용되지 않던 카드였으나 7월 환경부터는 [[트레이드 인]]에 대응하는 레벨 8, 칼리 유가나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엑시즈 소환에 도움되는 몬스터 효과, 샐비지하고 다시 콤보로 잇는 펜듈럼 효과 등을 좋게 평가받으며 많이 보이고 있다. 이후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새로나온 고성능 하급 펜듈럼 몬스터 DD 그리폰을 토마스의 펜듈럼효과로 엑스트라덱에서 회수할 수 있다보니[* 빌가메스로 그리폰과 토마스를 세팅하고 펜듈럼 소환 후 그리폰의 펜듈럼 효과로 자괴, 토마스로 패로 가져온 후 그리폰의 몬스터 효과로 특수 소환해서 전개를 이어나갈 수 있다.] 투입률이 더더욱 늘어 나게 되었다. 99화에 등장. DD 마도현자 니콜라와 같이 세팅되었다가, 무한 루프의 파츠로 파괴되고 재세팅되고를 반복한다. 별개로 이름이 토마스인것과, [[아카바 레이지|사용자]]의 성우인 [[호소야 요시마사]]가 전작에서 맡았던 역이 [[IV(유희왕)|IV]]인 탓에 공개 이후 한국, 일본 둘 다 개드립이 나왔다. 여담으로 토마스의 얼굴은 위쪽에 사람 얼굴 같은 부분이 아닌 아랫쪽에 눈과 입 조형이 붙은 부분이 얼굴이다.[* 애니에서 DD 마도현자 토마스와 DD 마도현자 니콜라의 얼굴이 클로즈업 될 때 보면은 토마스만 아랫쪽 부분을 클로즈업한다.] 윗쪽 얼굴은 그냥 장식. ====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 ====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 [[파일:card10018118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D(디디디)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일어판명칭=DDD(ディーディーディー)壊薙王(かいちおう)アビス・ラグナロク, 영어판명칭=D/D/D Oblivion King Abyss Ragnarok,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2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4,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이 "DD(디디)"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턴에\,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신들의 황혼에 심판을 내리는 최고의 신!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神々の黄昏に審判を下す最高神! DDD壊薙王アビス・ラグナロク!)'''|| V-JUMP 에디션에서 새롭게 등장한 DDD이자, 펜듈럼 소환을 대표하는 또다른 DDD 몬스터이다. 레이지의 애니메이션 에이스인 헬 아마게돈과 대비되는 듯한 몬스터로, 둘 다 레벨 8의 펜듈럼 몬스터이고, 이름이 저승을 의미하는 헬↔어비스/종말을 의미하는 아마게돈↔라그나로크로 대칭을 이루며, 사위왕은 공격력이, 괴치왕은 수비력이 3000이다.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 DD를 특수 소환하면 묘지의 DD를 추가로 특수 소환해주는 효과. 테무진이나 알렉산더와 연계하면 순식간에 필드를 전부 채울 수 있다. 대신 자기가 1000 데미지를 받고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가 절반이 되는 디메리트가 있는데, 전자의 디메리트는 레오니다스나 다르크를 사용해서 커버할 수 있지만, 후자의 전투 데미지 절반은 전투가 주요 딜링수단인 DD에게는 약간 아쉬운 디메리트. 펜듈럼 스케일은 5인데, 프라우드 오우거를 펜듈럼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을 빼면 6인 DD 케르베로스와도 차별하기 어렵다. 스케일보다는 펜듈럼 효과를 우선시해야하는 카드. 참고로 이 효과로 데미지를 회복으로 바꾸는 다르크나 데미지를 0으로 만드는 레오니다스를 소환해볼 생각을 해볼 수 있는데, 처리가 동시라서 데미지가 그대로 들어간다. ||'''Q:'''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①: 자신이 "DD(디디)"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턴에,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펜듈럼 효과로 "DDD 신탁왕 다르크"를 특수 소환한 경우, 효과 처리는 어떻게 됩니까? '''A:'''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펜듈럼 효과는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처리와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처리가 동시 취급입니다. ("이 턴에,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효과도 적용됩니다.) "DDD 신탁왕 다르크"의 "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는, 자신의 LP를 회복하는 효과가 된다." 효과는 지속 효과이므로, 질문하신 상황에서는 "DDD 신탁왕 다르크"가 특수 소환에 성공한 후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펜듈럼 효과로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처리는 통상대로, 데미지로 처리됩니다. ("DDD 신탁왕 다르크"의 몬스터 효과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http://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5&fid=13506&keyword=&tag=-1&request_locale=ja|#]] || 몬스터 효과의 1번 효과나 2번 효과나 굉장히 유용한 효과인데, 1번의 경우 묘지의 DDD를 소생시키는 강력한 효과. 라미아가 튜닝을 통해 DD의 몬스터 풀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면, 괴치왕은 스월 슬라임과 함께 필드에 몬스터를 다수 늘어놓는데 굉장히 강한 면모를 보인다. 2번 효과 또한, DD 1장을 릴리스해서 상대 몬스터 하나를 제외하는 효과인데, 1번과 달리 2번은 카드명 지정 제한이 아니므로 괴치왕이 2장 있다면 상대 몬스터를 2장이나 치우는 게 가능하다. 제외가 치명적이지 않은 테마는 드물기 때문에 강력한 견제 효과. 또한 코스트가 릴리스여서 펜듈럼 몬스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 효과 견제가 부족한 DD엔 굉장히 유용한 효과. 괴치왕을 일본어로 읽으면 카이치오ː(かいちおう, kaichiō)정도가 되는데, 이는 "회장(会長, かいちょう, kaichō)"과 발음이 비슷하다. 말장난. 이 때문에 한때 처음 공개됐을 땐 [[아카바 레오|이 캐릭터]]와 관계가 있는 거 아니냐는 설이 있었지만, 작중에선 아무런 연관성도 제시되지 않았다. 참고로 이름에 있는 薙는 목련 치, 깎을 체라는 뜻이 있어서 정발 전엔 괴치왕, 괴체왕으로 비공식 표기가 갈렸다. 카이사르 라그나로크가 먼저 '노도괴치왕'으로 번역되었고, [[펜듈럼 도미네이션]]에서야 정발된 이 카드 또한 '괴치왕'으로 번역되었다. 다만 '무너뜨리고 깎아내는 왕'이라는 뜻을 살리려면 '괴체왕'이 맞는 번역. '괴치왕'은 '무너뜨리는 목련의 왕'이라는 애매한 호칭이다. 원작에선 51화에서 등장해, ①의 효과로 노도왕 시져를 소생시켰고, ②의 효과로 네크로 슬라임을 릴리스하고 유우야의 [[룬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제외했다. 이후 86화에서 오랜만에 재등장했다. 아카바 레이지가 사용하는 고능력치 몬스터 중 하나일 뿐이라 특별한 비중을 차지하는 카드는 아니지만, 이 카드를 소재로 한 노도괴치왕, 쌍효왕이 그 비주얼을 이어받는 등 DD 안에서 '의자에 앉은 왕'이라는 독자적 이미지를 확립하는 카드이기도 하다. ==== [[DDD 사구왕 바이스 레퀴엠]] ==== === 레벨 10 === ==== DD 마도현자 갈릴레이 ==== [[파일:DD魔導賢者ガリレイ.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디디) 마도현자 갈릴레이,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魔導賢者(まどうけんじゃ)ガリレイ, 영어판명칭=D/D Savant Galilei,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2개 올린다(최대 10 까지). 그 후\,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DD(디디)"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외1="DD(디디) 마도현자 갈릴레이"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자신 필드의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마도현자 케플러의 짝. 케플러 같이 굉장히 괴리감이 심한 스케일과 레벨의 차를 지닌다. 시간이 지날수록 스케일이 올라가는 게 특징이고, 그 이하의 DD 이외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해버린다. 펜듈럼 존의 효과가 좋은 편이 아닌지라 쓰고 나면 빨리 처리하는 편이 좋다. 이름의 유래는 [[갈릴레오 갈릴레이]]. 형태의 모티브는, 실제 갈릴레이가 직접 제작한 망원경으로 보인다. 몬스터로서의 효과는 자신의 DD나 계약서를 바운스시키는 것. 자기 자신을 패에서 버려야 하는지라 엑스트라 덱에 가지 못하지만, 어차피 레벨이 10인지라 스케일이 10을 넘지 못하는 DD에서는 펜듈럼 소환이 안되므로 그냥 묘지에 있는 편이 더 좋다. 몬스터로 존재하는 DD 펜듈럼 몬스터를 주워와 펜듈럼 존에 놓거나,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가 오기 전에 계약서를 되돌릴 수 있다.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몬스터에게 제외나 덱 바운스 같은 영 좋지 못한 일이 벌어질 것 같으면 패로 후퇴시키는 용도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케플러나 릴리스의 효과가 [[데먼즈 체인]]이나 [[이펙트 뵐러]]와 같은 무효계열의 카드들에게 막힐 때 체인하여 몬스터에게 써주면 무효화를 무시하고 발동이 되는 전략도 있다. 이쪽 또한 케플러처럼 처음엔 펜듈럼 효과가 공백이였으나 불안정한 탓에 스케일 변동이 일어났으며 변동 수치 또한 턴마다 2배가 되는 식. 이후엔 재조정에 성공했는지 OCG 효과와 같아졌다. 또한 원작에선 전투 시에 펜듈럼 존의 공격력 합계를 자신에게 더하는 효과가 존재했다. ====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 ====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 ==== === 레벨 12 === ==== [[DDDD 초차원통황 제로 패러독스]] ==== == 융합 몬스터 == === 레벨 6 === ==== DDD 열화왕 테무진 ==== [[파일:card10004326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D()D()D() 열화왕 테무진,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れっ)()(おう)テムジン, 영어판명칭=D/D/D Flame King Genghis, 속성=화염,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1500, 종족=악마족, 효과1="DD(디디)" 몬스터 × 2, 효과2="DDD(디디디) 열화왕 테무진"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3=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DD(디디)"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4=②: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5>'''저승에서 소용돌이치는 빛 속에서, 지금 하나가 되어 새로운 왕을 태어나게 하라! 융합 소환! 탄생하라, 레벨 6! DDD 열화왕 테무진!(冥府に渦巻く光の中で、今ひとつとなりて新たな王を生み出さん! 融合召喚! 生誕せよ、レベル6! DDD烈火王テムジン!)'''|| [[레이징 마스터즈]]에 등장하는 융합 DDD. 모티브는 [[칭기즈 칸]]의 본명인 테무진. DD 빌드 전개의 핵심. DD의 전개는 일단 이 몬스터를 소환하는 것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다른 DD가 특수 소환되었을 때 묘지의 DD를 특수 소환하고, 전투, 상대 효과로 파괴되면 묘지의 계약서를 회수하는 융합 DDD. 융합 소재가 굉장히 느슨하기에 아무나 섞어서 뽑을 수 있고, 추가적인 전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스월 슬라임과 네크로 슬라임이 출시되고나서는 더 더욱. 그 대신 뽑기 쉽고, 묘지의 몬스터들을 전개시킨다는 장점 때문인지 전투력이 굉장히 낮으므로 상대 턴에는 목숨을 장담할 수 없다. 이 단점은 발키리의 계약서로 보충하거나 그냥 파괴되게 내버려두고 묘지에서 뽑아올 계약서들로 다음 턴을 도모하도록 하거나, 다른 소재로 써버리자. 비슷한 효과인 알렉산더와 타점과 일반 소환에는 대응하지 않는 점에서 밀려보이지만, 서로 소생시키는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차별화가 가능하다. 또한 DD 덱은 1축, 7축, 8축이 주가 되기 때문에, 후공을 잡아 6장으로 시작하여 스월 슬라임, 네크로 슬라임, 라미아+@(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다양한 선택지를 고를 수 있어 플레이 스타일에 따른 전개가 다양하다는 것도 있다. 1축으로 [[삼라|삼라의 희아궁]]을 뽑아 몬스터 덤핑/마함 서치를 하여 초동에 후속을 예고한다든지, 7축으로 [[붉은 눈의 강염룡]]으로 효과 데미지 유도, 혹은 [[No.11 빅 아이]]를 뽑아 몬스터를 강탈한다든지, 8축으로 [[신룡기사 펠그란트]],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등으로 견제하거나 혹은 원턴킬이 가능한 상황에 칼리 유가를 뽑아 마함을 다 날리고 공격하는 것 등등 선택지가 다양하며 굳이 엑시즈 소환이 아니더라도 싱크로 소환을 축으로 굴린다면 스월 슬라임으로 테무진을 뽑고 [[정크 싱크론]]으로 스월 슬라임을 불러서 [[TG 하이퍼 라이브러리언]]을 뽑아 싱크로 대량 전개를 하거나 라미아+테무진으로 알렉산더를 소환한 다음 2번째 라미아나 효과를 쓰지 않은 라미아를 이용해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으로 상대를 견제하는 등 DD의 [[인페르니티 데몬]]과 같은 존재이기도 하다. [[레이징 마스터즈]]에서 [[시크릿 레어]]로 나오는데다가 주요 카드 중 유일하게 [[펜듈럼 도미네이션]]에서 재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쌌다. 한때 평균적으로 '''장당 3.0'''을 호가했으며 그마저도 레이징 마스터즈가 한, 일 양국에서도 생산이 끝났기 때문에 돈이 있더라도 매물이 없어서 구하질 못해 [[푸른 눈의 아백룡]]보다 높은 시세를 형성했었다. 이후엔 [[디멘션 박스]]에서 재록. 덕분에 가격이 대폭 내려가서 구하기 매우 쉬워졌다. 기존 시크릿 레어도 DD가 티어에서 사라지고 수요가 많이 내려가면서 가격이 대폭 하락했다. 원작에서는 첫 등장 당시 소생 조건이 DD'D' 몬스터가 특수 소환했을 경우이며, 계약서 회수 효과도 없었다. 이후 2차전에서 OCG 효과와 같아졌다. 공격명은 '''파이어 스트로크(Fire Stroke)'''. === 레벨 7 === ==== DDD 신탁왕 다르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85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DDD(디디디) 신탁왕 다르크, 일어판명칭=DDD(ディーディーディー)神託王(しんたくおう)ダルク, 영어판명칭=D/D/D Oracle King d'Arc,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소재="DD(디디)" 몬스터 × 2,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는\, 자신의 LP를 회복하는 효과가 된다.)] >'''진정한 왕으로 태어나라! 융합 소환! 나와라! 신의 위광을 전도하는 왕! DDD 신탁왕 다르크!''' >'''真の王と生まれ変わらん! 融合召喚! 出でよ、神の威光伝えし王! DDD神託王ダルク!''' >'''지금 하나로 녹아들어 진정한 왕으로 거듭나라! 융합 소환! 나와라, 신의 위력을 전하는 왕! DDD 신탁왕 다르크!''' >---- >듀얼링크스에서 레이지 대사 테무진에 이어 2번째로 나온 융합 DDD 몬스터. 모티브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잔 다르크]]. 뿐만 아니라 [[잔느(유희왕)|기존에 있었던 잔느 몬스터]]와 같은 공격력과 수비력, 그리고 유사한 일러스트를 가지고 있다. 잘만 지키면 1턴에 LP가 1000~3000씩 쭉쭉 회복되는 걸 볼 수 있다. 효과 데미지를 입지 않게 되므로 DD의 일부 전략, 특히 레오니다스의 사용이 봉인돼 추가 전개가 힘들다는 점에 유의하며 운용해야 하지만, 일단 소환도 레오니다스보다 훨씬 쉬울 뿐더러 이 카드의 공격력이 레오니다스를 넘어서기 때문에 단기적 관점에서 큰 손해는 아니다.[* 여차하면 레오니다스와 같이 운용해도 된다. 이 카드를 못 쓰면 레오니다스로 갈아타는 것이 있다.] 저 2800이라는 공격력은 테무진으로 막을 수 없는 고 공격력의 몬스터를 잡기에 충분하여 마신왕의 계약서가 한정적인 상황에서만 쓰이는 애물단지 신세에서 벗어나게 해줬다. 또한 이 카드는 DD가 원턴킬 당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막아준다. 대부분의 원턴킬이 8000을 1턴만에 깎는 걸 목표로 하는데 DD가 다르크로 효과 데미지를 회복해버리면 그렇게 회복한 LP까지 다 깎아내야 하기 때문에 1턴만에 끝내는 게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멍멍이!?]]를 2장 써서 LP를 4000 회복하거나 하면 상대는 정말 울고 싶을 거다. 특히 [[트릭스터(유희왕)|트릭스터]]나 [[붉은 눈]] 같은 번 계열 덱에는 그야말로 최악의 카운터로 군림할 수 있다. 다만 번 트릭스터는 웃으면서 받아치는 것이 되나 비트 트릭스터는 조금 위험해서 다른 카드들하고 연계는 필요하다. 이 카드의 또 다른 장점은 테무진처럼 DD 2개라는 느슨한 소환 조건으로 인해 정말 쉽게 툭툭 튀어나올 수 있다는 것. 덕분에 사용이 간편한 튜너인 DD 라미아와 병행하여, 7+1로 각종 레벨 8 싱크로를 소환하는데 발판 역할로 주로 쓰인다. 물론 2800의 강력한 공격력과 계약서의 디메리트를 메리트로 바꾸는 효과는 결코 장식이 아니다. 선턴에 꺼내놓을 수만 있다면 [[D.D.다이너마이트]]같은 번덱도 전혀 무서울게 없다. 특별한 정규 소환 제약이 없고, 효과도 DD 전용이 아닌 범용성 효과인지라 데블 프랑켄이나 왕가의 신전을 이용해서 융합 몬스터를 비정규 소환할 수 있는 덱이라면 번 덱 대항용으로 기용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참고로 원작에서는 데미지를 무효로 하고 발동하는 효과였으며 상대에게 가는 효과 데미지에도 적용 가능했다. 40화에서 마신왕의 계약서의 효과로 묘지의 프라우드 슈발리에와 판도라를 융합하여 첫 등장. 바렛이 함정 카드를 발동해 융합 몬스터를 파괴하고 소재가 된 몬스터들을 묘지에서 특수 소환해 그 소재의 몬스터의 공격력의 합, 즉 3500 데미지를 양쪽 모두에게 줘 무승부로 만들 생각이었으나 레이지가 다르크의 효과를 사용. 효과 데미지를 무효로 하고 무효한 수치만큼 LP를 회복해 200밖에 없었던 LP를 단숨에 7200으로 회복했다. 효과명은 '''라이프 이레이션(Life Erasion)'''[* 아쉽게도 지속효과라 듀얼링크스에서는 외치지 않는다.], 공격명은 '''오라클 차지(Oracle Charge)'''. === 레벨 8 === ====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7년)] [[파일:card10013380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れっ)()(だい)(おう)エグゼクティブ・テムジン, 영어판명칭=D/D/D Flame High King Genghis, 속성=화염,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종족=악마족, 효과1=레벨 5 이상의 "DD(디디)" 몬스터 + "DD(디디)" 몬스터, 효과2=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3=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DD(디디)"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4=②: 1턴에 1번\, 자신 턴에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한다.)] 테무진의 강화형. "이그제큐티브"는 "고위"를 의미하는 형용사이기도 하지만, 회사와 관련된 DD의 말장난답게 "경영자"라는 뜻도 갖고 있다. ①의 효과는 원본인 테무진과 같은 효과이나 테무진과는 달리 일반 소환에도 효과가 적용된다. ②의 효과는 자신 턴의 마법 / 함정의 발동을 무효로 하는 효과. 자신 턴에만 막을 수 있기에 퍼미션으로서의 역할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상대가 함떡 덱이면 활용하기 좋으며, [[무한포영]]의 등장과 점차 몬스터 위주의 환경에서 벗어나 다양한 견제를 걸어오는 경우가 늘어나 안정적인 전개를 할 수 있어 비중이 늘었다. 원작에서는 소생 효과에 카드명 제약이 없었으며, ② 효과가 DD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의 마법,함정의 효과를 다음 자신 턴까지 무효로 하는 기동 효과였다. 이 효과로 자크의 패왕문에 의한 라이프 회복 콤보를 막았으나, 어째 레이지가 패배하고 나서도 무효가 적용되어 자크가 데미지를 받았다. ==== DDD 극룡왕 베어 울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6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D()D()D() 극룡왕 베어 울프,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こく)(りゅう)(おう)ベオウルフ, 영어판명칭=D/D/D Dragonbane King Beowulf,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악마족, 효과1="DDD(디디디)" 몬스터 + "DD(디디)" 몬스터, 효과2=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의 "DD(디디)"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3=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서로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5>'''용마저도 쓰러뜨릴 용사가 되어라! 융합 소환! 생탄하라! 레벨 8, DDD 극룡왕 베어 울프!(竜をも倒す勇者となれ!融合召喚!生誕せよ!レベル8、DDD剋竜王ベオウルフ!)'''|| ||<-5>'''지금 하나가 되어 용마저 쓰러트리는 용사가 되어라! 융합 소환! 탄생하라! 레벨 8, DDD 극룡왕 베어 울프!''' - 듀얼링크스에서 레이지 대사|| 모티브는 [[베오울프]]. 국내판의 '베어' 울프는 명백한 오역이다.--곰 늑대-- ①의 효과는 자신의 DD 전체에 [[관통(유희왕)|관통]] 효과를 부여하는 심플하고 강력한 효과. ②의 효과는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하기 때문에 타임 래그가 발생하나 매 턴마다 태풍을 발동하는 좋은 효과. 계약서 비용 지불이 부담스러울 때도 질러줄 수 있다. 단, 상대의 마함을 파괴하기 위하여 사용할 경우엔 반대로 계약서를 희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그리고 필드 마법은 건드릴 수 없으니 주의할 것. 펜듈럼 존은 기존에는 파괴가 불가능했으나 [[링크 소환]]으로 인해 필드가 개정되면서 펜듈럼 존이 마법 & 함정 존에 편입된 덕에 파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카드의 최대 의의는 DD의 융합 몬스터 라인을 완성시켰다는 것. DDD와 DD를 1장씩 요구하는 조건은 신탁왕 다르크로 상대할 수 없는 몬스터가 있지만 DDD가 모자라서 카이사르 라그나로크를 소환할 수 없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해준다. 3000이라는 공격력도 적절한 수준. 그리고 레벨도 8인지라 괴치왕으로 소생시켜 엑시즈로 이을 수 있다. 원작에서는 99화에서 소환되어, [[쟝 미셸 로제]]의 앤틱 기어 데블을 파괴한 뒤 관통 데미지를 먹여버렸다. === 레벨 10 === ====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 [[파일:card10002619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とう)(かい)()(おう)カエサル・ラグナロク, 영어판명칭=D/D/D Wave Oblivion King Caesar Ragnarok,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32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효과1="DDD(디디디)" 몬스터 × 2, 효과2=①: 1턴에 1번\,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리고\, 이 카드와 전투를 실행하는 몬스터 이외의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골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3=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올린다.)] ||<-5>'''신들의 황혼을 부수고, 들이닥치는 파도같은 기세로 새로운 세계를 열어라! 융합 소환! 출현하라! 극한의 독재자!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神々の黄昏を打ち破り、押し寄せる波の勢いで、新たな世界を切り開け! 融合召喚! 出現せよ、極限の独裁神! DDD怒涛壊薙王カエサル・ラグナロク!)'''|| ||<-5>'''모든 것을 깨부수고,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여라! 융합 소환! 어서나와라, 극한의 독재신!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 듀얼링크스에서 레이지 대사|| 최초로 등장한 DDD 몬스터를 소재로 삼는 융합 몬스터. 그래서인지 이름이 작중에서 융합한 노도왕 시저와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이름으로 섞여있다. 51화에서 레이지가 사용하였다. 처음 등장해서 비스트아이즈를 쓰러뜨리지만 바로 다음 턴에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에게 파괴당한다. 이 때, 몬스터 효과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장착해 공격력을 올려 데미지를 줄였고, 코스트로 케플러를 패로 되돌려 스케일 디메리트도 회피하는 플레이를 선보였다. 대상 비지정으로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으며 단독 능력치 또한 높기에 어태커로서 강한 카드. 다만 DD 입상 덱에서는 자주 채용되지 않는데, 슬라임으로 소환할 수 없기 때문에 마신왕의 계약서를 이용해 융합해야 한다는 점, 어태커 이상의 입지를 가지지 못한다는 점 때문이다. 다만 간간히 상대 몬스터 장착을 위해 튀어나오는 편. 공격명은 '''디 엔드 오브 저지먼트(The End Of Judgement).''' 일러스트에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소환될 시 의자에 앉은 모습이 보인다. ====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 ==== == 싱크로 몬스터 == === 레벨 7 === ==== DDD 질풍왕 알렉산더 ==== [[파일:card10004326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D()D()D() 질풍왕 알렉산더,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しっ)(ぷう)(おう)アレクサンダー, 영어판명칭=D/D/D Gust King Alexander,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효과1="DD(디디)"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2="DDD(디디디) 질풍왕 알렉산더"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3=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DD(디디)"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5>'''어둠을 가르는 포효여. 질풍의 속도를 얻어 새로운 왕의 울음소리가 되어라! 싱크로 소환! 생탄하라, 레벨 7 DDD 질풍왕 알렉산더!(闇を切り裂く咆哮よ. 疾風の速さを得て新たな王の産声となれ! シンクロ召喚! 生誕せよ、レベル7! DDD疾風王アレクサンダー!)'''|| ||<-5>'''긍지 높은 질풍왕.'''|| ||<-5>'''어둠을 가르는 외침이여, 질풍같은 움직임으로 새로운 왕을 탄생시켜라! 싱크로 소환! 탄생하라, 레벨 7! DDD 질풍왕 알렉산더!''' - 듀얼링크스에서 레이지 대사|| [[레이징 마스터즈]]에 등장하는 싱크로 DDD이자 처음으로 나온 싱크로 DDD다. 모티브는 [[알렉산드로스]]. 다른 DD가 소환되었을 때 하급 DD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싱크로 DDD. 나이트 하울링 한 장으로 바로 소환될 수 있기에 소환은 간편하지만, 나이트 하울링에다가 이미 일반 소환을 써버렸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일반 소환에도 대응하는 점은 빛을 보기 힘든 점이 아쉽다. 효과 자체는 노코스트로 DD의 전개를 가속화시키는 성능이므로 가능하다면 자주 뽑게 될 것이다. 이 카드와 테무진으로 자체적으로 콤보가 가능하다. 어느 한 쪽이 있을 경우 다른 한 쪽을 소환하면 필드 위에 있었던 쪽의 효과로 DD 몬스터가 소생, 그리고 필드에 나온 상태로 DD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으므로 나머지 한 쪽도 효과가 격발해 몬스터 1장을 소환했는데 묘지에서 2장이 더 튀어나오는 광경을 볼 수 있다. 테무진은 마신왕의 계약서로 묘지 자원만으로 나올 수 있고, 이쪽은 나이트 하울링의 일반 소환만으로 바로 나올 수 있기에 은근히 쉽다. 패에 릴리스, 나이트 하울링, 필드에 마신왕의 계약서, 그리고 패 또는 필드에 적당한 DD가 하나 있다면, 마신왕의 계약서로 릴리스와 DD 1장을 융합→ 테무친 융합 소환→ 나이트 하울링 일반 소환→릴리스 특수 소환→효과로 묘지 또는 엑스트라 덱의 DD 몬스터 1장을 패로→싱크로→알렉산더 싱크로 소환→각각 효과로 나이트 하울링과 릴리스 특수 소환 여기에 만약 패로 건져온 DD가 DD 케로베로스라면 효과로 나이트 하울링을 레벨 4로 만들어서 시저까지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멘션 오브 카오스]] 발매 이후로는 이 콤보를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적은 패로 사용이 가능한데 준비물과 과정은 아래와 같다. ||조건: 패에 스월 슬라임, 바포메트, 나이트 하울링[br]1. 패에서 스월 슬라임의 효과 발동. 패의 DD 바포메트와 융합.[br]2. 테무진 융합 소환[br]3. 나이트 하울링을 일반 소환, 효과 발동, 묘지에서 바포메트을 특수 소환.[br]4. 알렉산더 싱크로 소환.[br]5. 테무진과 알렉산더. 각각의 몬스터의 효과로 묘지에서 바포메트과 나이트 하울링을 특수 소환.[br]6. DD 바포메트의 효과로 나이트 하울링의 레벨 4로 조정.[br]7. DDD 노도왕 시저 엑시즈 소환|| 이 외에, 노도왕 시저를 채용하지 않는 덱에서 패 3장으로 사이프리트/크리스탈윙을 부르는 콤보가 있는데, ||1. 패에서 스월 슬라임의 효과 발동. 패의 네크로 슬라임과 융합.[br]2. 테무진 융합 소환[br]3. 라미아를 일반 소환.[br]4. 알렉산더 싱크로 소환.[br]5. 묘지의 네크로 슬라임과 묘지로 간 테무진을 융합해 다시 테무진을 융합 소환.[br]6. 알렉산더의 효과로 묘지의 라미아를 소생.[br]7.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를 싱크로 소환.[br]8. 테무진의 효과로 묘지의 알렉산더를 소생.[br]9. 묘지의 라미아의 효과를 발동해 필드의 테무진을 묘지로 보내고 라미아를 소생.[br]10.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 원작에서는 소생할 수 있는 몬스터의 레벨 제한이 없었고,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추가로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었다. 상당히 너프된 카드. 2차전에서 재등장할 때는 효과가 OCG와 같아졌다. 이 카드도 시크릿 레어라 상당히 구하기 어려웠지만, 디멘션 박스에서 테무진, 칼리 유가와 함께 재록되었다. === 레벨 8 === ====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6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D()D()D() 주혈왕 사이프리트,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じゅ)(けつ)(おう)サイフリート, 영어판명칭=D/D/D Cursed King Siegfried,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200, 종족=악마족, 효과1=튜너 + 튜너 이외의 "DD(디디)" 몬스터 1장 이상, 효과2="DDD(디디디) 주혈왕 사이프리트"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3=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효과는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까지 무효화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4=②: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은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의 수 × 1000 LP 회복한다.)] ||<-5>'''그 홍빛으로 물든 검을 내세워, 영웅들의 시체산을 넘어가라!! 싱크로 소환!! 생탄해라! 레벨 8,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その紅に染められし剣を掲げ、英雄たちの屍を越えていけ!シンクロ召喚!生誕せよ!レベル8、DDD呪血王サイフリート!'''|| ||<-5>'''붉게 물든 그 검을 앞세우고 영웅들의 시체를 넘어서 가라! 싱크로 소환! 탄생하라! 레벨 8,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 - 듀얼링크스에서 레이지 대사|| 알렉산더 이후로 소식이 뜸했던 DD의 새로운 싱크로 몬스터. 모티브는 [[지크프리트]] 혹은 [[시구르드]]로 추정되며, 둘의 이름을 합친 것일 수도 있다. 영판은 아예 지크프리트라고 썼다. 1번 효과는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1장을 지정해 무효로 하는 효과. 정말 위험한 순간에 계약서의 효과를 무효로 해 번 데미지를 잠시 피하거나, 상대가 발동하는 마법 / 함정을 틀어막을 수 있다. [[No.22 프랑켄]]과 비슷한 효과로, 마법 / 함정 카드만 무효화가 가능하지만 디메리트가 없다. '무효 후 파괴'가 아니기 때문에 [[스타더스트 드래곤]] 등의 파괴 무효 효과도 흘려넘길 수 있고, [[배너티 스페이스]] 등을 켜둔 후 이 카드의 효과로 자신의 턴엔 무효화해 실컷 특수 소환하고 상대 턴엔 효과를 유지시켜 특소를 봉인하는 악랄한 짓거리도 가능. 프랑켄처럼 지나치기 쉽지만 이 카드는 지속 마법/함정이 아니라도 발동되는 순간에는 필드에 앞면 표시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속공 마법도 발동에 체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1회용 마함 퍼미션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단 데미지 스텝에 발동하는 마함에 체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주의. 전개덱의 최대 천적인 [[명왕결계파]], [[금지된 일적]]도 막을 수 있는데, 정확히는 명왕결계파 또는 일적에 속공 마법이나 함정 카드[* DD 덱에서는 주로 발키리의 계약서, DDD의 인사권을 사용한다.]를 체인하고 여기에 이 카드의 효과를 체인해서 명왕결계파, 일적을 무효화시키면 된다.[* 다만 일적의 경우에는 몬스터 마법 함정을 전부 버리면 못 막는다.] 2번 효과는 전투 혹은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필드의 계약서 수 × 1000만큼의 LP를 회복하는 효과로, 이미 LP 관련 효과가 굉장히 많은 DD지만 DD의 특성상 LP를 잃는 경우가 많은 만큼 쓸만한 효과. 수세에 놓여있을 때의 보험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물론 계약서 수만큼 LP를 회복한다는 건 곧 다음 자신의 턴에 그 계약서의 수만큼 LP를 잃게 되는 것이므로 사실상 계약 비용을 1턴 무료로 하는 효과인 셈이지만, 일단 계약서 효과로 자멸할 가능성이 사라진다는 것으로도 값어치는 한다. 파괴된 후 계약서 데미지를 받기 전에 상대가 계약서를 부수기라도 하면 단순한 LP 이득이 되고. 원작 99화에서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와 DD 라미아를 소재로 싱크로 소환되어 [[장 미셸 로제]]가 사용한 앤틱 기어 데블이 장착한 앤틱 기어 매직 실드의 효과를 무효로 해, 베어 울프로 데블을 파괴하고 이 카드의 직접 공격으로 피니시를 낸다. === 레벨 10 === ==== DDD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172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D()D()D()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しっ)(ぷう)(だい)(おう)エグゼクティブ・アレクサンダー, 영어판명칭=D/D/D Gust High King Alexander, 속성=바람, 레벨=10,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악마족, 효과1=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2=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3=①: 필드에 "DDD(디디디)" 몬스터가 3장 이상 존재할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3000 올린다., 효과4=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DD(디디)"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알렉산더의 강화형. 원작에서는 소환 조건의 튜너가 DD 튜너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그제큐티브"는 "고위"를 의미하는 형용사이기도 하지만, 회사와 관련된 DD의 말장난답게 "경영자"라는 뜻도 갖고 있다. ①의 효과를 통하여 무지막지한 깡공격력을 지니게 된다. 이 카드가 DDD이긴 하지만, 그래도 DD가 아닌 'DDD' 2장이 모여있어야 하므로 조금 까다롭긴 하지만. ②의 효과는 진화전과 같은 발동 조건이지만 레벨 제약이 사라져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도 얼마든지 부활시키는 게 가능해져 열화대왕과 함께 있는 상태에서 아무 DD나 일반소환하면 두 몬스터의 효과로 상급 DD까지 2장을 살려올 수 있게 되었다. 레벨 6 DD가 2장 묘지에 있다면 곧바로 살려와 노도대왕으로도 이을 수 있다. 테무진과 마찬가지로 진화하면서 상향된 셈. 소환의 경우 용병 튜너를 투입해 덱의 통일성을 깨지 않는단 전제 하에, 기존에 투입되던 라미아는 레벨 1이라 레벨 9짜리 소재를 마련해야 하니 매우 힘들고, 고스트+레벨 8 DD 몬스터 조합이 주가 될 것이다. 그 외에 레벨 6인 테무진에 레벨 4인 오르토르스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의외로 소재 제한은 없어서 다른 덱에서도 쉽게 소환 가능하지만 효과가 저래서야 사실상 DD 전용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JP040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 || COTD-KR040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EN040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3 === ==== DDD 반석왕 다리우스 ==== [[파일:card1000463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D()D()D() 반석왕 다리우스,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ばん)(じゃく)(おう)ダリウス, 영어판명칭=D/D/D Stone King Darius, 속성=땅, 레벨=3, 공격력=1900, 수비력=1000, 종족=악마족, 효과1=악마족 레벨 3 몬스터 × 2, 효과2=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3=②: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그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데미지 계산 후에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상대에게 500(듀얼링크스 : 250) 데미지를 준다.)] ||<-5>'''난공불락의 무적의 왕이여! 지금 유구의 시간을 넘어 강림하라! 엑시즈 소환! 생탄하라! 랭크 3! DDD 반석왕 다리우스!(難攻不落の無敵の王よ。今、悠久の時を超え、降臨せよ!エクシーズ召喚!生誕せよ、ランク3!DDD磐石王ダリウス!)'''|| ||<-5>'''함락할 수 없는 무적의 왕이여! 지금 유구한 시간을 뛰어넘어 강림하라! 엑시즈 소환! 탄생하라! 랭크 3! DDD 반석왕 다리우스!''' - 듀얼링크스에서 레이지 대사|| DD 최초의 땅 속성 몬스터이자 4번째 엑시즈 몬스터. 모티브는 왕조의 기틀(반석)을 다진 [[다리우스 1세]]. [[맥시멈 크라이시스]]에서 OCG화. ①의 효과가 계약서를 덱에서 서치하는 것에서 1장 드로우로 변경되었지만,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게 되었다. 드로우 효과는 쓸만하지만, 랭크 때문에 DD 덱에서 쓰는 것이 매우 힘든 카드. 애초에 DD 카드군 내의 레벨 3 몬스터는 나이트 하울링 달랑 1장이다. 그걸 고려해서인지 소재가 DD 2장이 아닌 악마족인데,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로 쉽게 뽑는 게 가능은 하지만 일반 소환권을 써 가며 뽑아야 할 정도로 이 카드의 효과가 좋은 것도 아니다. 원작 카드답게 역시 쓰기 힘든 카드인데다 레어도가 슈퍼 레어/시크릿 레어로 징그럽게 높아 유저들의 원성을 산다. 오히려 DD보다는 엑시즈 소재가 레벨 3 악마족 몬스터 × 2 라는 점을 이용해 피안 덱에서 준필수 카드로 써먹고 있다. 이후 사치왕 데스 마키나가 등장한 후 사치왕 혹은 4소재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를 사용하기 위한 악마족 전용 범용 몬스터로 활악하고 있다. === 랭크 4 === ==== DDD 노도왕 시져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4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6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D()D()D() 노도왕 시져,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とう)(おう)シーザー, 영어판명칭=D/D/D Wave King Caesar, 속성=물, 레벨=4, 공격력=24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효과1=악마족 레벨 4 몬스터 × 2, 효과2="DDD(디디디) 노도왕 시져"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3=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파괴된 몬스터를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자신 묘지에서 가능한 한 특수 소환한다.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자신은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수 × 1000(듀얼링크스 : 5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4=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계약서"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5>'''이 세상의 모든 것을 총괄하기 위해, 지금 세계의 정상에 강림하라! 엑시즈 소환! 생탄하라! 랭크 4 ! DDD 노도왕 시저!(この世の全てを統べるため、今 世界の頂に降臨せよ! エクシーズ召喚! 生誕せよ、ランク4! DDD怒濤王シーザー!)'''|| ||<-5>'''들이닥치는 파도같은 기세.'''|| ||<-5>'''세상의 모든 걸 지배하기 위해 지금 이 세계의 정상으로 내려와라! 엑시즈 소환! 탄생하라! 랭크 4! DDD 노도왕 시져!''' - 듀얼링크스에서 레이지 대사|| V점프 2014년 9월호 동봉으로 수록된 엑시즈 DDD. 모티브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한국판 애니메이션 더빙판에서는 모티브를 그대로 따라 시저가 아닌 카이사르로 번역되었지만 정식 OCG 명칭은 노도왕 시져로 번역.[* 다만 [[외래어 표기법/일본어]]를 따르면 시'''"져"'''가 아닌 시'''"저"'''로 번역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흔히 알려진 표기법도 시저 쪽이 더 유명하다. 아마도 Scissor([[가위]])의 한글 표기인 '시저'(일어 표기로는 'シザー' )와 구분하기 위한 조치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OCG에선 '시져'라고 쓰고 더빙판에선 '카이사르'라고 읽는다.]] 여담으로 일본어 기준으로 '노도왕'이 '''노동왕'''과 발음이 비슷하다. 이 턴 중 파괴된 몬스터를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가능한 만큼 되살리는 대신 다음 턴에 데미지를 받는 효과와, 묘지로 보내지면 계약서 1장을 서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효과 자체는 강하긴 한 편. 다만, DD 4레벨 몬스터는 하필이면 펜듈럼 몬스터가 대다수고, 그 외엔 잘 안 쓰이는 릴리스나 바포메트밖에 없기 때문에 부르기가 귀찮은 편이었다. 일단 이 턴에 파괴되었기만 하면 부활시키는 몬스터에 제약은 없는지라 융합이나 싱크로 DDD 몬스터들이 좋은 타겟이 된다. 상대 턴에도 발동이 가능하긴 하지만 상대가 아예 배틀 페이즈를 실행하지 않으면 말짱 꽝. 소생 시점도 배틀 페이즈 종료인지라 메인 페이즈 2에서 튀어나와 대량으로 부활시킬 수도 없다. 또한 부활시키고 나면 계약서마냥 스탠바이 페이즈에 1000 단위로 LP가 째지는 것도 감안해야 할 부분. 그래도 데미지이므로 피할 방법은 찾아보면 많고, 기본적으로 부활은 물론 LP 회복으로 바꿔주는 다르크와의 조합이 효과적이다. 이 카드가 필드에 올라와 있는 상황에서 파괴될 필요는 없으므로, 자신의 메인 페이즈 1에 [[격류장]]을 날리고 이 카드를 뽑거나, [[스크랩 드래곤]]으로 파괴를 일삼은 후 이 카드로 되돌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되돌리는 타이밍만 배틀 페이즈 종료시일 뿐이지, 이 카드의 효과의 발동은 그 전에라면 언제든지 좋으므로 상대의 제거에 체인해 효과를 발동해놓고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자신의 효과로 자기가 돌아오는 것도 가능하다. 상대가 필드를 클린시키고 공격 들어올 때 [[엑시즈 리본]]으로 배틀 페이즈 중에 갑툭튀시키면 상대의 표정은... 2번 효과는 계약서 서치 효과. 어떻게든 필드에서 묘지로 가기만 하면 계약서가 하나 들어온다. 상기한대로 자신이 자신을 부활시키는 것이 가능하기에 1턴에 1번의 제약이 붙어 있긴 하지만 이대로 다음 턴까지 필드에 남아 있기만 하면 그만. 이미 효과를 쓰지 않았다면 소생시킨 후 테무진의 융합 소재로 써버려도 좋다. 효과를 썼다면 저격왕 텔에 겹쳐 엑시즈 소환에 쓰는 것도 고려할 만 하다. 초창기 발매 이후 전혀 사용되지 않다가 DD 그리폰의 발매 이후 채용되기 시작되었는데, 펜듈럼 몬스터인 그리폰을 묘지로 보내기 위해서는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하는 방법이 거의 유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카드나 겹쳐서 X소환이 가능한 텔은 전부 묘지로 보내질 시 발동하는 서치/덤핑 효과가 있어서 후속 전개에 도움이 되어준다. 거기다가 여건만 된다면 연속 엑시즈 소환으로 6소재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소환도 가능하다. 물론 소환 제약은 악마족 뿐이고, 소생시키는 몬스터에도 제약이 없는지라 악마족 레벨 4 2장만 마련할 수 있다면 다른 덱에 출장나가도 된다. 2번째 효과는 사용하기 어려워지지만 주로 사치왕이나 아제우스 소재 셔틀이 될 테니 문제는 없다. 텍스트 자체는 OCG/애니 모두 토씨하나 틀리지 않고 같지만, 애니에선 OCG 재정과 달리, ①번 효과로 소생시킨 몬스터가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필드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데미지를 회피할 수 있었다. 현실의 재정상으로는 그럴 경우에도 데미지를 받으니 주의.[* Q:①の効果で特殊召喚したモンスターが次のスタンバイフェイズにフィールドに存在しない場合でもダメージを受けますか?A:はい、その場合でもバトルフェイズ終了時に特殊召喚したモンスターの数×1000ダメージを受けます。(번역 : Q :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가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필드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데미지를 받나요? A : 예, 그 경우에도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수 × 1000 데미지를 받습니다.)(14/07/21)] 원작에선 첫 등장시엔 계약서 서치 효과가 없었다. 이후 2차전에선 OCG와 동일해졌지만 왠지 선언하지 않고 오봉의 계약서를 서치했다. 미국 더빙판에서 공개된 공격명은 '''타이달 토런트'''. 이후 듀얼링크스에 편입되었다. === 랭크 5 === ==== DDD 저격왕 텔 ==== [[파일:DDD狙撃王テ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D()D()D() 저격왕 텔,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げき)(おう)テル, 영어판명칭=D/D/D Marksman King Tell,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23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효과1=레벨 5 몬스터 × 2, 효과2=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랭크 4 의 "DDD(디디디)"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3=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은 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1000 내리고\,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4=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5>'''영웅의 이름을 물려받은 자여, 심연의 대의를 가지고 이 세상 모든 걸 꿰뚫어라! 엑시즈 소환! 강림하라, 랭크 5 DDD 저격왕 텔!(英雄の名賜りし者、深遠なる大義もて、この世の全てをいざ射抜かん! エクシーズ召喚! 降臨せよ、ランク5! DDD狙撃王テル!)'''|| ||<-5>'''영웅의 이름을 받은 자여, 깊고 원대한 뜻으로 이 세상의 모든 것을 꿰뚫어라! 엑시즈 소환! 강림하라, 랭크 5! DDD 저격왕 텔!'''- 듀얼링크스에서 레이지 대사|| 2번째로 등장한 DD 엑시즈 몬스터. 모티브는 [[윌리엄 텔]]. 애니와는 달리 랭크 4 DD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서 소환이 가능한 효과를 내장해 OCG화되었다. 또한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덱에서 DD 또는 계약서 1장을 묘지로 매장하는 효과도 추가되었다. DD 프라우드 슈발리에나 DD 판도라를 쓸 일은 거의 없을 테고, 랭크 4의 DDD라고 해봐야 시저밖에 없으니 보통은 DDD 노도왕 시저 위에 얹어져 소환하게 된다. 다만 이렇게 하면 타점이 100 줄어들지만, 아무런 조건 없이 DD 몬스터인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는 점에서 테무진 등으로 연계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①의 효과는 나쁘지 않은 효과지만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아야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쓰긴 힘들다. 초동에 활용하기에도 힘든게, 보통 DD덱은 계약서의 디메리트로 효과 데미지를 받지만 이는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되므로 그 전까지 효과를 발동할 방법이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펜듈럼 효과 말고는 딱히 없다. 차라리 노도왕 시저의 엑시즈 효과로 필드 복구를 노리는 게 낫다. 참고로 자신의 몬스터를 지정하여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므로 조건부 [[가가가 간맨]]같은 운용도 일단 가능은 하다. ②의 효과는 DD 한정 묘지 덤핑 효과. 패에 추가하는 게 아니라 덤핑이다보니 대개 DD를 덤핑하게 되며, 괴치왕이나 타 엑스트라 덱 DD 몬스터로 특수 소환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나쁘지는 않다. 대개는 패에 잡히면 곤란하지만 묘지에 묻으면 괴치왕으로 소환이 쉬운 사위왕이나 특소 효과가 있는 스월 슬라임 등이 묘지로 가지만,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몬스터를 묻는 편. 애초에 나이트 하울링이라는 특소 요원 덕분에 묘지 자원의 상태에 따라 묻어야 좋은 카드가 천차만별로 달라지니 상황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필이면 이 카드가 '''울트라 레어'''로 출시된 덕분에 팩을 뜯으면 나와야 할 울레 카드 자리를 이 카드가 차지하다보니 '''지뢰왕 텔'''이라고 불리며 팩을 뜯던 많은 듀얼리스트들을 빡침으로 몰아넣었다. 카드 자체의 위상이나 작중활약상을 보면 다르크가 [[울트라 레어]]를 먹을 줄 알았지 아무도 이 카드가 [[울트라 레어]]가 될 거라 생각하지 않았다. DD의 전개가 융합/싱크로 축으로 넘어가고 칼리 유카를 제외한 DDD 엑시즈 몬스터는 전혀 사용하지 않기에 그렇게 쓸만하지 않은 효과와 더불어 완전히 지뢰가 되었다. [[배틀 오브 카오스]]에 DD가 지원받으며 DD 그리폰 덕분에 랭크 4인 DDD 노도왕 시저의 소환 난이도가 완화됐으며, 묘지로 갔을때의 덤핑 효과로 좀더 전개에 유동성을 주고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의 엑시즈 소재를 늘리기에도 용이하기에 엑시즈 축의 DD덱에선 1장씩 채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른 DDD 카드들과는 달리 이 카드는 소재에 제약이 없기에 DD 이외의 덱에서도 사용할수 있다. 때문에 범용 랭크 5 몬스터로도 활용은 가능. 물론 이 카드보다 범용성이 좋은 랭크 5 몬스터들이 많기에 채용하기엔 애매하다. 다만 Em처럼 효과 데미지를 능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테마라면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반석왕, 노도왕과 마찬가지로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셔틀로도 좋다. 원작에서는 레이지가 40화에서 소환했다. OCG와의 차이는 ①에 1턴에 1번 제약이 없는 대신에 '계약서'에 의한 데미지일 필요가 있었다는 점. 마신왕의 계약서의 효과로 데미지를 받고 난 차례에 엑시즈 소재 2개를 제거하면서 [[비스트보그 팬서 프레데터]]의 공격력을 2000 내리고 바렛에게 2000 데미지를 주었다. 효과명은 '''피어싱 애로우(Piercing Arrow)''', 공격명은 '''포비든 브레이크 슛(Forbidden Break Shoot).''' === 랭크 6 === ==== 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167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とう)(だい)(おう)エグゼクティブ・シーザー, 영어판명칭=D/D/D Wave High King Caesar, 속성=물, 레벨=6, 공격력=2800, 수비력=1800, 종족=악마족, 효과1=악마족 레벨 6 몬스터 × 2, 효과2=①: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포함하는\,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그 후\,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몬스터와 이 카드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1800 올릴 수 있다., 효과3=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계약서"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시져의 강화형. "이그제큐티브"는 "고위"를 의미하는 형용사이기도 하지만, 회사와 관련된 DD의 말장난답게 "경영자"라는 뜻도 갖고 있다. ①의 효과는 살아있는 [[신의 경고]]. 단순히 특수 소환하는 효과 뿐만 아니라 [[매크로 코스모스|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포함]]하고 있으면 얼마든지 무효로 하고 파괴가 가능하다. 거기다 파괴 후 자신과 그 이외의 DD 몬스터의 공격력을 그 턴동안 무려 1800이나 올려준다. 상대 턴에는 공격력을 올려 살아남기 쉽고 자신의 턴엔 4600의 어태커로 쓸 수 있는 매우 강력한 효과. 여기에 '''1턴에 1번 제한도 없다'''. 다만 공격력을 올리려면 자신 이외의 DD가 있어야한다는 게 조금 까다롭다. 원작에서는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하면 무효화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였고 대신 추가적으로 소재를 1개 더 제거해서 이 카드의 공격력이 올라간 만큼 다른 DD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려줄 수 있었다. 저 1800이라는 수치 역시 원작에서 무효로 했던 [[패왕권룡 다크브룸]]의 공격력과 같은 수치이다. 또 코스트로 드는 소재가 하나 줄었고 마법, 함정 카드의 효과를 무효화해도 공격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원작보다 꽤 버프를 먹었다. ②의 효과는 시져의 계약서 서치 효과를 계승했다. 다만 기존의 효과들이 대폭 강화되었던 다른 이그제큐티브와 달리 딱히 강화되지 않았다. 효과가 우수한 몬스터지만 소환 난이도가 발목잡는다. DD에는 레벨 6 몬스터가 프라우드 오우거, 마도현자 니콜라, 테무진뿐이며 바포메트를 쓴다고 치더라도 다른 몬스터가 하나 더 필요하다. 하지만 언급한 몬스터 중 테무진을 제외하면 DD에서 사용하지 않는 카드들이라 DD에서는 매우 쓰기 어려웠으나 DD 그리폰 이후로 열화왕 테무진 2장으로 소환하는 전개법이 만들어졌다. 후에 DD 도그가 출시되며 소환 난이도가 조금 내려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JP042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코드 오브 더 듀얼 리스트]] || COTD-KR042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EN042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랭크 8 === ==== [[DDD 쌍효왕 칼리 유가]] ==== ====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 === 랭크 10 === ====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 ==== [include(틀:유희왕 타 소환법 펜듈럼 몬스터)] [[파일:赦俿王デス・マキナ UR.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DDD(디디디) 사치왕 데스 마키나, 일어판명칭=DDD(ディーディーディー)赦俿王(しゃちおう)デス・マキナ, 영어판명칭=D/D/D Deviser King Deus Machinex,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30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0,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카드가 존재할 경우\, 자신의 필드 / 묘지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대상의 펜듈럼 몬스터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소재=악마족 레벨 10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DDD" 몬스터 위에 겹쳐서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1=①: "DDD(디디디) 사치왕 데스 마키나"는 자신 몬스터 존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상대 필드의 몬스터 카드가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1번까지).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거나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 1장을 파괴하고\, 그 상대의 카드를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3=③: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어원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 이름의 사치왕은 일본어 독음 시 사치오가 되는데 이는 사장의 일본어 발음인 사쵸와 유사한 걸 이용한 말장난이다. 첫 랭크 10의 악마족 엑시즈 몬스터이자 2번째 엑시즈 / 펜듈럼 몬스터로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과 마찬가지로 엑스트라 덱 앞면 표시 상태에서 펜듈럼 소환이 불가능한 몬스터이다. 소환 조건은 악마족 레벨 10 × 2로 다소 빡세나 '''자신 필드의 아무 DDD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기에 사실상 장식이라 봐도 좋다. 종류를 안 가리기에 전개를 끝낸 융합 몬스터인 테무진, 싱크로 몬스터인 알렉산더를 비롯한 타 엑스트라 덱 소환법 몬스터나 빌가메스는 물론 어비스 라그나로크 등 메인 덱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도 가능하다. 함께 나온 DDD 헤드헌트의 효과로 상대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된 몬스터를 빼앗아오면 DDD 몬스터로 취급되기에 그대로 이 카드를 겹쳐 먹튀할 수도 있다. 특히 효과를 다 쓰고 놀고 있는 빌가메스의 위에 겹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다른 카드 한 장 쓰지 않고 자유롭게 괴치왕이나 열화왕, 질풍왕의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①의 효과 때문에 사치왕 위에 다른 사치왕을 겹쳐 소환할 수는 없다는 점에 주의. ②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 효과 발동 시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거나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 1장을 파괴하고 그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하는 것. 효과를 무효화할 순 없으나 상대의 전개를 방해하는 용도로 쓰거나 에이스 몬스터의 효과를 쓰는 걸 망설이게 할 수 있기에 나쁘지 않은 편. 계약서만 있으면 소재가 없어도 쓸 수 있는 효과이기에 빌가메스의 유언 효과로 불러내도 사용할 수 있는 점 역시 장점. 턴 제약이 없고 그렇게 먹은 엑시즈 소재도 효과 발동을 위해 묘지로 보낼 수 있기에 한 장으로도 여러 번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카드로 인해 DD 테마군 내에서 후공에 DD 4레벨 몬스터 2장으로 노도왕 시저, 저격왕 텔, 사치왕 데스 마키나, 더 세븐 신즈를 거쳐가며 6소재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를 쉽게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2번 효과에 몬스터 라고 명시되어있기에 필드의 몬스터만 소재로 할 수 있어 보이나, 정확히는 몬스터 '''카드'''를 지정하고 있어서, 펜듈럼이나 유니온 몬스터 같이, 펜듈럼 스케일, 장착카드로써 마법/함정 존에 놓여진 몬스터 카드가 발동했을 때에도 소재로 할 수 있다. 덕분에 펜듈럼을 주 기믹으로 활용하는 덱은 이 카드를 만나면 꽤나 뼈아픈 셈. 반대로 마법/함정 카드가 몬스터 카드 취급일 때는 체인이 불가능하다. 펜듈럼 효과는 펜듈럼 존에 다른 한쪽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필드 / 묘지의 펜듈럼 몬스터 하나를 그 존에 놓는 효과. 주로 어비스 라그나로크를 불러와 추가 전개 및 제거를 하는 용으로 쓰일 듯하며 파괴되어 펜듈럼 존에 세팅된 초사위왕들도 불러올 수 있다. 한번 파괴되면 펜듈럼 소환이 불가능한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도 펜듈럼 존에 세팅한 후 이 카드로 특수 소환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이 카드도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과 마찬가지로, 펜듈럼 소환이 불가능하다. 어차피 DD 내에선 스케일의 최대치가 10이기도 하고 소환 조건이 워낙 쉽기 때문에 크게 신경쓸 필요없다. == 링크 몬스터 == === 링크 2 === ==== DDD 심연왕 빌가메스 ==== [[파일:DDD深淵王ビルガメ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D()D()D() 심연왕 빌가메스,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しん)(えん)(おう)ビルガメス, 영어판명칭=D/D/D Abyss King Gilgamesh, 속성=어둠, 레벨=2, link1=, link3=, 공격력=1800, 종족=악마족, 효과1="DD(디디)" 몬스터 2장, 효과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3=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카드명이 다른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2장을 골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고\,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효과를 발동한 턴에\,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4=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의 공격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골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에 이어 [[펜듈럼 소환]]을 지원하는 2번째 링크 몬스터이자 DD 최초의 링크 몬스터. 심연왕(신엔오)라는 별칭은 이니셜을 땄을 때 CEO가 되며, 빌가메스는 [[길가메시]]를 수메르어로 읽은 것이다. 무기를 몸에 주렁주렁 달고 있는 것은 [[길가메쉬(파이널 판타지 시리즈)|파이널 판타지의 길가메시]]의 영향을 받은 듯. ① 효과는 특수 소환하면 덱에서 DD 펜듈럼 몬스터 2장을 펜듈럼 존에 놓고 1000 데미지를 입는 효과. 바로 링크 마커와 스케일이 마련되어서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할 수 있게 된다. 발동하면 DD 몬스터만 소환 가능한 디메리트가 걸리지만 발동 후 걸리는 것이니 그 전에는 링크 소환이 아니라 특수 소환이기에 묘지에서 소생시켜도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 펜듈럼 존에 무조건 카드를 2장 놓아야 하기에 펜듈럼 존에 다른 카드가 있거나 해서 한 칸이라도 막히면 발동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를 펜듈럼 존에 놓아도 1000 데미지는 그대로 들어오고, 반골왕 레오니다스를 놓으면 바로 레오니다스의 펜듈럼 효과를 사용할 수 없다. ② 효과는 링크 소환된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면 묘지나 엑스트라 덱에서 DD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경우 앞면 표시의 카드도 소환 가능하며, 펜듈럼 소환이 안 되는 엑스트라 덱의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사치왕을 재활용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부를 경우 소생 제한 룰에 걸린다는 점,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처음에는 평가가 엇갈렸다.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과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를 못 세운다는 점에서는 혹평이 있지만 맹세 효과는 아니기 때문에 손해보지는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이 경우 자신의 턴에 주혈왕 사이프리트를 세우고 상대 턴에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슈팅 라이저 드래곤]]-액셀 싱크로로 강력한 싱크로 몬스터를 세우는 것을 골자로 하는 빌드를 짠다. 덕분에 있으나 마나 취급받던 극지왕 카오스 아포컬립스가 어느 정도의 실용성을 갖게됐다. 현재의 평가는 잘 나온 지원이라는 평. 빌드를 짜는 전개 루트가 더 많아 졌으며, 괴치왕 펜듈럼 효과의 소생 효과도 거의 노려볼수 있다. 제약이 걸린다는 것도 빌가메스가 나오기 전에 몬스터를 뽑거나 하리파이버로 상대턴에 새비지같은 퍼미션 몬스터를 뽑으면 그만. 또한 펜듈럼이라는 카테고리가 사실 상 디메리트나 다름 없던 DD에서, 펜듈럼 소환이 쉽게 이뤄지게 보조해주기 때문에 묘지에서 계속 우려먹지 못해 아쉬웠던 점이 스케일을 알아서 조달한다는 점은 상당한 개선점. 유언 효과도 테마 내에 최대 수비력이 3000이란 점을 생각하면 나쁘지 않은 벽 역할이자 압박이 될 것이다. 물론 상대에 의한 전투와 효과에만 반응하는 조건은 무엇보다도 주의할 점.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지원을 받은 후의, 엑시즈 축 DD는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등의 용병 카드의 의존이 낮아지고 테마 내 카드 만으로 덱이 굴러가면서 이 카드의 디메리트가 방해 요소가 되지않고 덱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마술사의 엘렉트럼처럼 전개 도중에 반드시 거처가는 핵심 몬스터이며, [[이펙트 뵐러]], [[무한포영]]을 아프게 맞는 것도 비슷하다. 세팅하는 몬스터의 짝은 일반적으로 오르트로스 + 괴치왕, 그리폰 + 토마스[* 그리폰을 간접 서치하기 위한 짝. 필드나 묘지에 계약서가 있을 경우, 그리폰의 펜듈럼 효과로 필드의 빌가메스 등을 지정한 후 자괴하고, 토마스의 펜듈럼 효과로 그리폰을 패에 넣는다.], 제로갓 레이지 + 케로베로스[* 엑스트라 덱의 케플러나 패의 네크로 슬라임, 라미아를 펜듈럼 소환한 후 케로베로스의 펜듈럼 효과로 이들을 레벨 4로 만든다.] 등이 있다. [[DDD 사구왕 바이스 레퀴엠|바이스 레퀴엠]]과 특허권의 계약서류의 텍스트를 통해 이카드 이외 DDD링크 몬스터가 더 추가될 가능성이 생겼다. 듀얼링크스에서는 이 카드 소환 대사가 빠져있다. 더 늦게 출시된 갓 레이지는 정상적으로 수록되었고, 거기에 레이지의 스킬인 '사위왕의 통솔'이 DD 카드를 스케일에 세팅하는, 사실상 이 카드와 비슷한 컨셉의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고려하면 의도적인 제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듀얼링크스에 브레인즈 월드가 업데이트 되고, 링크 소환이 추가된 후에 어떻게 될진 모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2|| LVP2-JP066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 2 || LVP2-KR066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DD 리크루트 === [[파일:DDリクルー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DD(디디) 리크루트,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リクルート, 영어판명칭=D/D Recruits, 효과1="DD(디디) 리크루트"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 수가 자신 필드의 몬스터보다 많을 경우\, 그 차의 수까지\,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또는 "계약서"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상대 몬스터가 자신 몬스터보다 많을 경우 묘지의 DD와 계약서를 패로 되돌릴 수 있는 카드. 기본적으로 자신이 몬스터가 없고 상대가 몬스터가 1장만 있어도 1장을 가져올 수 있고, 제거와 대량전개가 흔한 현 환경에서는 기대 이상의 샐비지 효과를 보일 수도 있다. 상대의 소환에 반응해 제거 카드를 쓰고 그것에 체인해 주면 샐비지는 샐비지대로 챙기고 소환된 몬스터를 치우는 등의 운용도 가능하다. 일러스트에는 "[[왕궁(함정 카드)]]" 카드군에 나오는 왕 앞에 4명의 인물이 있는데 왼쪽부터 각각 [[D・D・M]], [[D.D.어세일런트]], [[이차원의 전사]], [[이차원의 여전사]]로 전원 [[이차원]] 계열의 몬스터들이다. DD의 약자가 Different Dimention, 이차원이라는 이름 장난이다. 순서대로 마법사, 전사, 용사, 도적의 이차원 파티. === DD 리빌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6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DD(디디) 리빌드, 일어판명칭=DD(ディーディー)リビルド, 영어판명칭=D/D Reroll,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는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이 카드 이외의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DD(디디)" 카드를 3장까지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계약서를 지키는 효과와 묘지에서 제외하여 제외된 DD카드를 덱으로 회수하는 2가지 효과를 가진 카드. 1번 효과로 계약서는 '상대' 효과로만 파괴되지 않기에 자기 효과로는 파괴할 수 있다. LP가 간당간당할 때 자기 계약서를 베오 울프 같은 걸로 터뜨려야 할 순간이 왔을 때 방해되지 않도록 한 조치. 자체 내성이나 다른 카드에 내성을 줄 수단이 전무한 DD 입장에서, 상대 입장에선 어떻게든 치워야 하는 지옥문, 발키리를 사수하기에 유용한 카드. 2번 효과는 스월 슬라임이나 네크로 슬라임, 마신왕의 계약서 등등으로 제외한 카드를 덱으로 되돌릴 수 있는 유용한 효과로, 예시들을 보면 알다시피 소재를 제외할 일이 많은 융합 주축의 DD 덱에서 특히 잘 써먹을 수 있다.자체 효과로 제외된 라미아를 회수하는 것도 가능. 패에 넣거나 묘지로 되돌리는 효과가 아니라는 점은 좀 아쉽지만 어차피 도미네이션 시점까지도 DD 덱은 제외된 카드를 직접 활용하는 카드는 없으므로 결국 손해볼 일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일단 이 카드는 계약서를 지켜주는 효과가 있다지만 함정이라서 느리고, 덱으로 되돌리는 것 빼고는 딱히 아드를 벌어주지 못한다. 결정적으로 DD에서는 악마족 특소 제약이 없는 턴이라면 덱이 아니라 활용이 쉬운 묘지로 되돌려 주는 PSY프레임 오메가를 쉽게 뽑을 수 있다. 1장이지만 다음 턴에 바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데다가 생존력도 그럭저럭 되고 비트도 할 수 있는 오메가와는 성능 면에서 차원이 다르다. 제외된 카드를 되돌린다는 점만 놓고 보면 속공성에서 이 카드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 데다가 묘지로 되돌리는 [[이차원에서의 매장]]이 있다. 일러스트는 아래의 DDD의 인사권의 다음 장면. 뒤에는 간식들이 놓여져 있는데 그중 [[모케모케]] 모양의 간식이 반쯤 녹은채로 놓여져 있다. === DDD의 인사권 === [[파일:DDDの人事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D()D()D()의 인사권,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じん)()(けん), 영어판명칭=D/D/D Human Resources, 효과1=①: 자신의 패 / 필드 /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및 자신 펜듈럼 존의 "DD(디디)" 카드 중에서 합계 3장 고르고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덱에서 "DD(디디)" 몬스터 2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자신 소유의 DD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DD 몬스터를 서치하는 함정 카드. 펜듈럼 존에 놓인 카드는 몬스터로 취급하지 않기에 따로 텍스트가 붙었다. 효과만 보자면 [[탐욕의 항아리]]의 상위 호환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 묘지는 물론 패나 필드, 그리고 펜듈럼 존에서마저 DD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릴 수 있고, 그 후 덱에서 어떤 DD 몬스터든지 2장이나 서치해오는 엄청난 교환율을 지니고 있다. 덱으로 넣는 것이 먼저이므로 묘지의 DD를 간접적으로 2장이나 샐비지하는 것도 가능. 우월한 스케일을 지녔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애물단지가 되는 펜듈럼 존의 갈릴레이나 케플러도 쉽게 처리할 수 있고, 상황에 맞춰 원하는 DD를 아무나 가져올 수 있다. 함정 카드인지라 속공성이 떨어지지만, 대신 상대의 제거 카드에 체인해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마냥 필드의 몬스터를 포함해 되돌리고 서치를 하는 것도 가능. 그런데 서치라면 지옥문이 있기 때문에 아주 가끔 쓰이긴 해도 사실상 버려진 카드. 만약 제외 존까지 포함해 되돌릴 수 있었다면 채용 가능성이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원작에서는 필드에서 DD도 아닌 DDD만 되돌릴 수 있었기에 시저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테무진, 알렉산더, 시저를 덱으로 되돌리고, 케플러와 갈릴레이를 패에 넣었다. OCG화되면서 파격적으로 상향된 셈.[* 그러나 현 DD몬스터들은 DD덱에서는 묘지에 남아있는 경우보다 효과나 코스트등으로 제외되기 바쁜실정이라 DDD 몬스터들이 묘지에서 조건을 만족할 확률이 더높다. 상향이라고 보기에도 하향이라고 보기에도 애매한상황.] 그냥 DD만을 지정하고 있는 이 카드의 이름이 'DDD'의 인사권이 된 건 이 원작에서의 효과 때문이다. 일러스트에 나와있는 몬스터는 DDD 열화왕 테무진, DDD 노도왕 시저,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DD 케르베로스, DD 릴리스, DD 프라우드 슈발리에, DDD 질풍왕 알렉산더. 여담으로 일러스트의 아저씨가 [[아카바 레이지]]를 닮았다. === DDD의 계약변경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31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D()D()D()의 계약변경,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けい)(やく)(へん)(こう), 영어판명칭=D/D/D Contract Change,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자신 묘지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제외한다. 공격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효과로 제외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린다., 효과3=●덱에서 레벨 4 이하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50화에서 사용한 카드. 상대의 공격 선언 시에 묘지의 DDD를 갈아넣어 공격력을 낮추거나, 하급 DD 펜듈럼을 서치해오는 카드. 첫 번째 효과는 주로 엑시즈 DD인 시져를 갈아넣게 될 것이고, 두 번째 효과로 서치할 수 있는 카드는 계약서 서치 요원인 케플러와 축복받은 4축인 케르베로스가 있으니 초반이거나 자잘한 공격에는 이 쪽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원작에서는 효과가 조금 달라서, '①: 상대 몬스터가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가장 공격력이 높은 "DDD" 몬스터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 데미지를 무효로 하고,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라는 효과였다. 이 효과로 질풍왕 알렉산더를 제외하고, 케플러를 서치했다. OCG화되면서 전반부 효과는 제외하는 몬스터의 공격력 제약이 없어지는 대신 효과가 너프되었고, 전반부/후반부 어느 한 쪽의 효과밖에 못 쓰게 되었다. 상당히 너프된 셈. === DDD 헤드헌트 === [[파일:DDDヘッドハン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D()D()D() 헤드헌트, 일어판명칭=D(ディー)D(ディー)D(ディー)ヘッドハント, 영어판명칭=D/D/D Headhunt, 효과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①: 자신 필드에 "DDD(디디디)"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다음 턴의 엔드 페이즈까지 얻는다.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공격 선언할 수 없다.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몬스터가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일 경우\, 그 몬스터는 "DDD(디디디)" 몬스터로도 취급한다.)] 자신 필드에 DDD가 있을 경우, 상대 몬스터를 다음 턴까지 컨트롤하는 함정 카드. DD판 [[대대적 체포작전]]으로 볼 수 있지만, 이 쪽은 뺏어온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기에 [[섬도희#섬도기-위도우앵커|섬도기-위도우앵커]]마냥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탈취했다면 DDD로 취급하기에, 다른 DDD의 융합 소재로 먹거나 사치왕으로 겹치는 것도 가능. 헤드헌트는 외부의 유능한 인재를 스카우트해오는 용어. 그 이름대로 [[암흑 마계의 패왕]]이 [[이차원의 전사]]와 [[이차원의 생환자]]를 스카우트하고 있다. 후일 이차원의 전사가 [[암흑차원의 전사]]가 되고, 이차원의 전사가 등장한 DD리쿠르트의 왕이 들고 있던 계약서 같은 게 리스 론더링에서 불태우는 걸 보면 무슨 문제가 생긴 듯. == 서포트 마법 카드 == === 지옥문의 계약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5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지옥문의 계약서, 일어판명칭=地獄門(じごくもん)契約書(けいやくしょ),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Gat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3)] DD판 [[염무-천기]]. 1턴에 1번, 원하는 DD를 서치해오는 강력한 서치 카드. 아예 '(이름)의 효과는 1턴에 1번'으로 제약을 걸어놓았기 때문에 [[검은 선풍]]처럼 여러 장을 깔아놓거나 [[안개 골짜기의 신풍]]마냥 패로 되돌린 후 재활용할 수 없게 만들어 놓았다. 물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생하는 데미지를 피하기 위해 효과를 쓰고 난 후 미리 패로 되돌릴 수는 있다. 원작에서는 1턴에 1번의 제약이 이름으로 걸린 것이 아니었기에 유우야와의 듀얼에서 레이지가 첫턴에 2장을 발동해 융합 소재를 충당했다. 이후 OCG화되면서 갈릴레이와 케플러를 비롯한 [[BF-정예의 제피로스|악]][[안개 골짜기의 팔콘|용]]을 막기 위해 이름으로 턴 제약이 붙었다. 그래도 효과 데미지만 감수한다면 매턴 필요한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는 고성능 카드란 사실에 변함은 없다. 그 강력한 효과 덕분에 현재 DD 덱이 제재를 받는다면 그 1순위로 거론될 만큼의 강력한 효과를 자랑한다. 그리고 효과 데미지는 신탁왕 다르크가 있다면 오히려 회복하는 기적이 일어난다. 물론 지속 마법인 관계로 [[염무-천기]]의 단점 또한 공유하는데, 바로 '''발동에 체인당해 제거되면 답이 없어진다.''' 천기가 1턴에 1장 발동 제한이 붙은 것처럼 지옥문의 계약서 또한 서치 효과에 카드명을 지정해 제한이 걸려 있기 때문에 효과 발동이 마함 제거로 불발되면 2장째를 깔아도 효과를 쓸 수가 없어진다. [[레이징 마스터즈]] 슈퍼 레어 중에 봉입률이 극악이었던 카드로 악명높았으나, [[펜듈럼 도미네이션]]에서 재록되었다. 이후 [[레전더리 골드 박스]]에서 또 재록되며 사정이 나아졌다. === 마신왕의 계약서 === [[파일:魔神王の契約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마신왕의 계약서, 일어판명칭=魔神王(ましんおう)契約書(けいやくしょ),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Swamp King, 효과외1="마신왕의 계약서"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에서 악마족의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DD(디디)"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할 경우\, 자신 묘지의 몬스터를 제외하고 융합 소재로 할 수도 있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일러스트에는 [[늪지의 마신왕]]이 그려져 있다. 마신왕처럼 융합 마법을 대체하는 효과. DD 몬스터를 융합할 경우 묘지에서 제외 융합도 가능하다. 다만 DD 융합 몬스터를 제외한 악마족 융합 몬스터는 그냥 [[다크 퓨전]]을 쓰는 편이 훨씬 낫다는 문제가 있다. 애초에 이들의 태반을 차지하는 몬스터들이 [[이블 히어로]]인지라 다크 퓨전으로만 융합 가능하고,[* 이후 [[패왕성]]이 다크 퓨전 외의 다른 카드로도 이블 히어로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나왔기에, 실제로 이 카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퍼니멀]]쪽에 속하는 데스완구들도 다크 퓨전의 대상 내성이나 서치가 더 용이한 일반 [[융합(마법카드)|융합]]을 쓰는 편이 낫다. 즉, 실질적으로 DD 전용의 융합 카드. 하지만 이 카드는 지속 카드이다. 페널티는 크지만 제외가 아닌 지속 융합 카드로서 차별화가 되기는 한다. DD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펜듈럼 몬스터들은 필드에서 묘지로 가면 대신 엑스트라 덱으로 보내져 재활용이 용이하며, [[미러클 퓨전|묘지에서 제외하는 융합]]역시 매우 강력하다. 더군다나 이 2가지 방법을 섞어서 소재로 할 수 있다는 것은 융합 가능한 범위가 굉장히 넓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효과 자체는 훌륭하다 할 수 있다. 특히 스월 슬라임과 네크로 슬라임이 하지 못하는 노도괴치왕의 소환을 할 수 있다는 것도 포인트. === 마신왕의 금단계약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90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마신왕의 금단계약서, 일어판명칭=魔神王(ましんおう)禁断(きんだん)契約書(けいやくしょ), 영어판명칭=Forbidden Dark Contract with the Swamp King,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효과를 무효로 하고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악마족의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포함하는 융합 소재 몬스터를 자신의 패 /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효과3=③: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2000 데미지를 받는다.)] 받는 데미지도 2배에 묘지 융합도 삭제되어서 스월 슬라임/원본 마신왕의 계약서에 비해 좋은게 뭐냐는 악평을 듣고 있다. ①의 효과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 봤자 수비 표시라 그 턴에는 공격도 못 하고 효과도 무효화되기에, 꺼내서 이득을 볼만한 어비스 라그나로크도 활용을 못한다. 심지어 원작에서는 레벨 5 이상의 악마족으로 널널했던 ①의 효과의 특소 대상도 "DDD"로 대폭 줄여버렸고, 표시 형식도 자유였는데 OCG에선 수비 표시만으로 너프. 실질적으로 융합 자체보다는 엑스트라 덱 자원을 쌓아주는 펜듈럼 소환 지원 카드라 보는 게 맞다. 그런데 정작 그 DD는 펜듈럼 소환을 잘 안 쓰고 오히려 묘지 자원을 더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펜듈럼 몬스터는 필드 위에서 묘지로 가게 될 때 묘지가 아닌 엑스트라 덱으로 가므로 묘지 자원이 쌓이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오히려 마이너스. 한편, 이 카드의 등장으로 다른 'OOO의 금단계약서' 카드가 나올까 하는 예상도 있었다. 물론 이 카드처럼 기존 계약서보다 하등 나을 게 없을 거라는 절망적인 예측이 많다. === 암흑 마계의 계약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5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암흑 마계의 계약서, 일어판명칭=(やみ)()(かい)(けい)(やく)(しょ),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Yamimakai, 효과1="암흑 마계의 계약서"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3=●자신 묘지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효과4=●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효과5=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일러스트에 있는 건 "암흑 마계" 소속인 [[암흑 마계의 패왕]]과 그의 명령을 받고 있는 [[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 칠흑의 전투용. 두 암흑 마계 출신 카드의 관계와 함께, 군주의 위엄을 보이는 암흑 마계의 패왕을 확인할 수 있다. 효과는 전폭적으로 펜듈럼 세팅을 보조하는 리크루트 카드. 터져버리면 재활용도 힘든 라그나로크나 케플러, 혹은 엑시즈 소재로 써버렸거나 패에서 코스트로 버린 뉴턴과 갈릴레이를 세팅해 펜듈럼 소환이나 효과 사용으로 우려먹을 수 있다. 단 묘지에서 세팅하는 경우라면 DD는 묘지아드도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덱이므로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사실상 지옥문의 계약서의 약화판. 그렇지만 마도현자 시리즈가 점점 늘어나는데다가 마도현자의 특성상 펜듈럼 존을 깨고 재구성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지옥문과 차별을 둘 여지는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펜듈럼 도미네이션|ペンデュラム·ドミネーション]] || SD30-JP024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 [[펜듈럼 도미네이션]] || SD30-KR024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펜듈럼 도미네이션|PENDULUM DOMINATION]] || SDPD-EN024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 version=56)] === 이형신의 계약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22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이형신의 계약서, 일어판명칭=()(ぎょう)(しん)(けい)(やく)(しょ),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Entities,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이하의 종류의 "DDD(디디디)" 몬스터가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되었을 때\, 각각의 효과를 1턴에 1번씩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융합: 자신은 1000 LP 회복한다., 효과3=●싱크로: 특수 소환된 그 몬스터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효과4=●엑시즈: 자신 또는 상대의\, 필드 / 묘지의 카드 1장을 골라 제외한다., 효과5=●펜듈럼: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하고\, 그 후 패를 1장 골라 버린다., 효과6=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2000 데미지를 받는다.)] [[디멘션 박스]]에 등장한 새로운 계약서. 일러스트에 그려진 계약서(?)는 [[TRPG]] [[크툴루의 부름 RPG]]의 캐릭터 시트고, 거기에 그려진 것은 [[외신 나이알라]]다. [[메타파이즈 호루스 드래곤]]이나 [[성사의 입김]]와 비슷하게 자신 필드에 정해진 몬스터의 수가 많을 수록 효과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다. 문제라면 DD에서 주로 채용하는 DDD 엑시즈 몬스터는 칼리 유가 뿐이라 소환한 턴에 이형신의 엑시즈 효과를 쓰기는 힘들다는 점. 가장 강력한 효과인 1드로우 1버림은 펜듈럼 소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펜듈럼 몬스터이기만 하면 된다. 즉, 초사위왕을 소환하면 두 효과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뜻. 하지만 지불해야 하는 LP가 마신왕의 금단계약서와 같은 2000이라 부담되는 디메리트다. 융합의 경우 자주 나오기는 하나 LP 회복이 그렇게 좋은 것도 아니고, 회복 수치도 1000으로 그리 높지 않다. 싱크로의 경우 융합보다는 사정이 나아서 주혈왕에게 대상 지정 내성을 줄 수 있지만 저게 발동하는 효과라서 저 효과에 체인되는 건 대응할 방법이 없다. 그리고 엑시즈 쪽은 칼리 유가가 뽑히는 때가 대부분 확실한 마무리용인 것을 생각해 볼때 실전성은 없다. 펜듈럼 역시 마찬가지.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 이라는 조건이 붙어 있어서 스월 슬라임 등으로 특수 소환한 괴치왕이나 [[죽은 자의 소생]]으로 부활한 DDD 엑스트라 덱 몬스터가 효과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현 DD 덱의 운용을 완벽하게 비껴나간 쓸모 없는 카드다. 이후 DDD 엑시즈 몬스터면서 소환 조건이 간편한 [[DDD(유희왕/카드군)#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가 등장했지만, 역시 안 쓰이는 것은 똑같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디멘션 박스 리미티드 에디션]] || DBLE-JP023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특허권의 계약서류 === [[파일:特許権の契約書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특허권의 계약서류, 일어판명칭=(とっ)(きょ)(けん)(けい)(やく)(しょ)(るい),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Patent License, 효과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자신 필드의 "DDD(디디디)" 몬스터와 같은 종류(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의 몬스터를 상대가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이 턴에\, 이 카드가 필드에 존재하는 동안\, 상대는 그 특수 소환한 몬스터와 같은 종류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3=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의 몬스터 및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 중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등장한 계약서. 계약서이긴 하지만 필드 마법이며 사용자에게 디메리트를 주지도 않는다. 이름처럼 계약보다는 특허권 행사에 가까운 카드. ①의 효과로 DDD와 같은 종류의 몬스터를 상대가 소환했을 시 그 이후의 소환을 봉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드 토커]] 등 한 종류의 소환법을 사용하는 덱에서 큰 제약이 될 수 있다. 물론 첫 소환은 가능하기에 소환된 몬스터가 제거 효과를 가지고 있다면 도루묵이 되나, 최근의 돌파형 에이스들은 거의 다 자신과 같은 소환법의 몬스터를 소재로 요구하기에[*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액세스코드 토커]], 신염룡이나 낙인룡을 소재로 나오는 [[빙검룡 미라제이드]] 등.] 생각보다 잘 박힌다. ②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지면 묘지의 몬스터 및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 중에서 DD 몬스터 1장을 가져오는 효과. 패, 덱에서 묘지로 보내도 발동해서 계약서를 코스트로 삼는 DD 몬스터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효과이다. 특허권이라는 이름과 봉쇄 효과를 보아 원작의 독점 봉인의 계약서를 염두에 둔 카드. 서류가 쌓인 모양도 레오 코퍼레이션 본사와 비슷하다. 특이하게도 융합, 싱크로, 엑시즈는 물론 원작에도 없던 링크는 있는데 정작 펜듈럼과 의식은 없다. 의식이야 DD 카드군에 존재하지 않는 소환법이니 그렇다고 쳐도 펜듈럼 몬스터는 DD에도 많음에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 아무래도 [[사카키 유우야|펜듈럼 소환의 창시자]]가 따로 존재해서 펜듈럼은 안 적혀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작품 설정상에서도 스탠다드 차원에서 융합/싱크로/엑시즈가 상위 클래스고 언급된 반면 펜듈럼은 아예 클래스가 없기도 하고..... == 서포트 함정 카드 == === 발키리의 계약서 === [[파일:戦乙女の契約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발키리의 계약서, 일어판명칭=戦乙女(ヴァルキリー)(けい)(やく)(しょ),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Witch, 효과1="발키리의 계약서"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패에서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3=②: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의 공격력은 상대 턴 동안 1000 올린다., 효과4=③: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름은 전처녀라고 쓰고, 발키리라고 읽는다. 1턴에 1번, 패의 DD나 계약서를 1장 묘지에 보내고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는 지속 함정. [[썬더 브레이크(유희왕)|썬더 브레이크]]와 같이 앞, 뒷면이나 종류를 가리지 않고 파괴할 수 있기에, 마함을 상대로 사용하는 편이 더 유용하다. 견제 카드가 부족한 DD에게는 가뭄의 단비같은 효과. 묘지로 보낼 카드로는 대부분 DD, 그것도 일반적으로는 묘지로 가지 않는 펜듈럼 몬스터인 헬 아마게돈 등을 보내고 테무진의 효과로 끌어올리거나, 나이트 하울링을 위한 타겟을 미리 마련해 놓는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지속 함정이므로 효과 선언을 한 직후 싸이크론이나 트위스터 등에 체인당하면 스펠 스피드 탓에 상당히 암울해진다. 효과 선언 후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등으로 패로 띄워져도 파괴 효과는 불발이 되어 패만 버리는 수가 있으니 주의. 다른 효과로, 상대 턴에 자신의 악마족 몬스터의 공격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함정 카드인지라 데미지 스텝에 기습적으로 발동해 상대를 낚아줄 수도 있다. 또한 상대 턴에 DD 몬스터들의 공격력이 대부분 3000을 넘기게 되어 쉽사리 전투로 파괴당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여러 장을 한꺼번에 발동해 상대 턴에 폭발적인 공격력 상승을 얻는 것도 가능하지만, 여러 장이 패에 잡혔다간 전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니 보통 1장 정도만 투입한다. 아쉽게도 자신 턴에는 공격력 상승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일러스트에는 이름대로 [[마법의 지배자]]때 나왔던 일반 몬스터인 [[발키리(유희왕)|발키리]]들이 그려져 있다. 뒷 배경은 [[신의 거성-발할라]]로 보인다. 원작에서는 파괴 효과가 없었다. === 오봉의 계약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3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오봉의 계약서, 일어판명칭=()(ふう)(けい)(やく)(しょ),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Errors,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에 "DD(디디)"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함정 카드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일러스트에 그려져 있는 카드는 [[데먼즈 체인]]. 칼이 데먼즈 체인을 가리키고 있고, 체인이 압정에 박혀 있는 걸 봐서는 무효화시키겠다는 뜻인 듯 하다. 효과도 계약서판 [[트랩 스턴]]이다. 자신 턴에 사용해서 발키리의 계약서의 디메리트를 정지시키고 카운터 함정마저 무효화할 수 있는 고성능의 카드다. 그러나 지옥문이나 마신왕의 계약서와 달리, 이 카드는 일단 전개가 완성된 뒤 굳히는 용도로 쓰이기 때문에 자칫하면 패말림을 초래할 수 있어 채용률은 그리 높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DD는 상대의 전개를 철통처럼 틀어막는 사이프리트-크리스탈윙 또는 타이타닉 갤럭시-크리스탈윙 콤비가 있기 때문.] 다만 필드의 모든 함정을 무효화할 수 있으므로, [[배너티 스페이스]]나 [[왕궁의 칙명]]과 같은 강력한 함정 카드를 무효화시켜 자신은 실컷 전개하고 상대 턴에는 멀쩡해진 배너티 스페이스와 왕궁의 칙명의 효과로 견제할 수 있어 고려할 만 하다. === 상암의 계약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8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상암의 계약서, 일어판명칭=(とこ)(やみ)(けい)(やく)(しょ),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Eternal Darkness, 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존에 "DD(디디)" 카드가 2장 존재할 경우\, 상대는 필드의 몬스터를 마법 / 함정 카드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으며\, 어드밴스 소환의 릴리스로 할 수 없고\,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도 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펜듈럼 존에 DD 카드가 2장 존재할 시,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싱크로, 엑시즈 소환을 못하게 막아주며, 어드밴스 소환 봉쇄 및 마함의 효과 대상으로 못 하게 하는 효과를 지닌 견제 카드이다. 조건만 만족하면 엑스트라 덱의 사용을 봉인하는 강력한 카드가 되지만, 함정 카드라 발동이 느리며, [[링크 소환]]은 전혀 견제할 수 없고, 이 카드 자체가 필드에 벗어나거나 펜듈럼 존의 DD 카드가 1장만 사라지더라도 애물단지가 되기 때문에 견제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필드'''의 몬스터를 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막으므로, 덱이나 패, 묘지에서 융합 소재를 충당하거나 묘지에서의 싱크로 소재 사용은 막을 수 없다. ==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 === 메인 덱 몬스터 === DD몬스터만으로 전개를 굴려야 하며, 덱 특성상 원핸드 등의 간편 전개가 어려워 많은 핸드를 요구하는 덱 특성상 그렇게 많은 타 카드군 몬스터가 들어가진 않는다. * [[파괴수(유희왕)|해귀파괴수 가메시엘]] 레벨 8이라서 트레이드 인에 대응하며 공격력이 2200으로 파괴수 중 가장 낮다. 이외에도 어둠의 유혹에 대응하는 라디안이 있지만 공격력이 2800이라 몇몇 몬스터를 제외하면 의외로 제대로 처리 못 해 쩔쩔맬 수 있다. * [[배너티 데블]] 슈팅 라이저 드래곤를 채용할 시 같이 채용한다. 주로 슈팅 라이저 드래곤 효과로 묘지로 보내지는 역할이지만 가끔 어드밴스 소환되어 특수 소환을 막아버리기도 한다.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본디 DD덱은 DD 라미아를 활용한 연속 싱크로로 각종 싱크로 퍼미션 몹을 꺼내는것이 일반적이었으나, DD 그리폰의 발매로 오히려 엑시즈 쪽이 더 활용하기 쉬워지고, 엑스트라 덱도 DDD 몬스터 위주로 투입하게 됨에 따라 엑스트라덱 몬스터의 형태가 크게 바뀌게 되었다. * '''[[플뢰르 드 바로네스]]''' 싱크로를 사용하는 테마 대부분이 채용하는 카드이기에, 튜너몬스터를 3종이나 보유중인 DD 역시 해당 카드를 안넣을 이유가 없게 되었다. 주로 열화왕 테무진 + 오르트로스나 열화대왕 테무진 + 케플러 + 라미아의 방법으로 레벨 10을 맞추며, 니비루 등의 강력한 카드를 견제함과 동시에 파괴효과로 노도왕 시저나 저격왕 텔을 자괴해 서치 효과를 발동시키기도 한다. 딱 5번째 소환을 실행하는 시점에 플뢰르를 꺼내는 루트[* 손패에 DD 그리폰, DD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 DD 스월 슬라임 3종을 확보할 수 있을때 가능하다. 스월슬라임과 그리폰으로 열화왕 테무진을 융합(1소환) -> 슬라임을 제외하고 코페르니쿠스 특소(2소환) -> 테무진의 효과로 그리폰 특소(3소환)해 오르트로스 서치 -> 오르트로스 일소(4소환) -> 플뢰르 드 바로네스(5소환)]도 있어 니비루에 대한 견제 자체도 쉬운 편. *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No.77 더 세븐 신즈]]''' 엑시즈 주축 덱의 필수카드 네가로기어 아제우스와 DD 특유의 애매한 타점을 채워주는 세븐 신즈다. 세븐 신즈의 경우 어떤 DDD 몹이던 겹치고 소환이 가능한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 덕분에 손쉬운 소환이 가능하며, 이로인해 오른 타점을 활용해 네가로를 겹쳐 소환, 최종적으로 4레벨 두마리 위에 네번 겹쳐 간편히 6소재 아제우스를 부를 수 있게 된다. DD 덱의 후공 돌파를 책임지는 만큼 필수적인 카드. * [[바렐스워드 드래곤]] 강력한 피니시 카드. 다수의 융합/싱크로/엑시즈 소환을 일삼아 엑스트라덱이 부족한 DD에게는 액세스코드 토커보다 활용하기 쉽고, 엄청난 전개력으로 인해 깡으로 네마리를 바치고 소환 가능하며,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효과로 인해 상대에게 주는 데미지가 절반으로 줄어들어 단기결전이 어려운 DDD에게 결단력을 주는 카드. 일반적으로 채용되진 않지만 자신의 플랜이 단기결전을 자주 사용한다면 투입할만 하다. ---- 아래의 카드들은 2022년 2월 23일 기준으로 DD 덱에서 빠지는 추세임에 주의. *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주혈왕이나 이그제큐티브 테무진과 함께 첫 턴에 세워 상대 행동을 대부분 차단시킨다. 셋 이상의 몬스터를 동시에 소환하기는 몹시 어렵기 때문에 크리스탈윙-사이프리트, 타이타닉 갤럭시-사이프리트 빌드로 상대의 마법, 함정과 몬스터 효과를 한 번씩 무효로 하는 것을 노리는 정도로도 상당히 강력한 집짓기가 완성된다.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의 경우, 묘지에 링크 몬스터가 있어야 하므로 [[쿠로시프]] 같은 소재가 간단한 몬스터를 미리 쌓아두자. *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필드에 남은 하급 몬스터를 다크 로우로 변신시켜 상대를 견제하는데 쓰인다. 주로 소재로 쓰이는 것은 효과를 쓰고 잉여가 되어버린 케플러. 이 또한 [[마스크 체인지|마스크 체인지 세컨드]]가 제한 카드가 됨에 따라 투입하기 애매해졌다. 다만 여차할 때 공격력 0~300의 저타점 몬스터를 패 1장으로 2400에 강력한 메타 카운터 효과를 2개나 지닌 몬스터로 바꿔먹을 수 있는 점은 매우 매력적이니 보험용으로 1장 정도는 넣어볼 만도 하다. 다행히 DD는 묘지 자원을 굉장히 잘 활용하는 덱이라 코스트로 버리는 패가 오히려 이득이 되는 경우도 많다. * [[PSY프레임로드 Ω]] 효과를 사용하고 제외된 라미아나 슬라임들을 묘지로 묻어서 재활용하는 용도로 쓰인다. 그것 외에도 굉장히 우수한 몬스터인지라 주혈왕 사이프리트를 소환할 때 망설이게 만드는 대체재 중 하나. 또 후술할 [[이차원에서의 매장]]과는 달리 얘는 욕탐으로 제외된 뒷면 표시 카드도 되돌릴 수 있다. *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최소 패 2장으로 편하게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투입된다. 주로 테무진+스월 슬라임+라미아 / 다르크+라미아+케플러를 소재로 싱크로 소환된다. * [[포뮬러 싱크론]] 라미아와 네크로 슬라임, 케플러와의 싱크로로 쉽게 나올 수 있고, 그 자리에서 패 1장을 벌어 준다. 그 후 상대 턴 트리슈라[* 단 이쪽은 '~때, 할 수 있다.' 이기 때문에 체인 2 이상에서 소환되면 효과 발동이 안 되므로 주의]나 PSY프레임로드 Ω, 주혈왕 사이프리트 등을 [[액셀 싱크로 소환]]해 상대를 엿 먹여줄 수도 있다. *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펜듈럼 존에 있는 괴치왕이나 사위왕을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괴치왕을 소환하면 묘지의 DDD를 소환하는 간접 특수 소환 효과로도 사용 가능.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펜듈럼 존의 DD 카드는 토마스의 효과의 제물로 랭크 8 엑시즈 소환이 더 유용한 경우가 많고, 이 카드의 효과를 사용하면 정작 이 카드가 공격할 수가 없어 손해를 보는 경우도 있다. * [[삼라|삼라의 희아궁]] 라미아 루프를 돌리면 각이 잘 잡힌다. 랭크 1 엑시즈 몬스터 중엔 가장 강하고, 묘지에 몬스터를 덤핑하거나 계약서를 패로 가져올 수 있어 쓰이기도 한다. 다만 사용에 운이 좀 따르는 편이다. 마스터 룰 4가 도입되자 투입률이 급감했다. *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초융합]] 소재가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 × 2"라는 매우 가벼운 조건인지라 대부분의 몬스터들이 어둠 속성인 DD 덱에서는 쉽게 소환이 가능하니 충분히 투입 가능하다. 단 필드에서만 융합이 가능해 효과 다 쓴 케플러나 코페르니쿠스등을 [[초융합]]으로 처리하는 식으로 융합 소환해야 한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초융합이 역으로 DD의 카운터로 적용된다는 소리기도 하다. 최근에는 엑스트라 덱에 견제용으로 베어 울프 및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을 넣는 덱들이 은근히 있으니 더더욱. * [[마왕룡 베에르제]] DD에서 자주 쓰이는 튜너인 라미아와 오르토르스가 어둠 속성이라 어둠 속성 튜너를 요구하는 베에르제와 잘 맞고 완전 파괴 내성과 스스로 강화하는 효과 덕에 칼리 유가로도 어떻게 할 수 없는 녀석들을 혼자 처리할 수 있어 투입을 고려해 볼 만하다. * [[룡검사|폭룡검사 이그니스터 P]] 싱크로 소재 제한이 있긴 하지만 라미아+레오니다스, 오르스토스+코페르니쿠스의 조합으로 소환이 가능하고 강력한 제거 효과로 약체가 된 케플러나 코페르니쿠스등을 보호하면서 필드를 견제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 [[크리스트론|크리스트론 피니키시온]] [[포뮬러 싱크론]]과 알렉산더의 조합으로 소환이 가능하며, 소환했을 경우 상대 필드 / 묘지의 마법 / 함정을 모두 제외하여 상대를 견제할 수 있다. *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2장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어, 잉여가 된 케플러나 코페르니쿠스를 소재로 하고 소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대 필드나 묘지에 있는 강력한 몬스터 효과를 배낄 수도 있고, 이미 묘지에 있는 테무진 또는 알렉산더의 효과를 배껴서 전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후 모든 몬스터에게 관통 효과를 부여하는 건 덤. 참고로 카드명도 배끼므로, DD 몬스터를 지정했다면 칼리 유가를 소환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 [[패왕권룡 클리어윙]]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 라미아, 극지왕 + 라미아, 코페르니쿠스 + 오르트로스로 소환할 수 있다. 싱크로 소환에 성공할 시 [[번개(유희왕)|번개]] 효과를 발동할 수 있으며, 마술사 덱이 그러듯이 상대 턴에 하리파이버를 통해 소환하는 경우도 있다. *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튜너인 라미아를 우려먹는 덱이고 연속 소환 특화 테마인 만큼 이 카드 역시 잘 써먹을 수 있다. 상대 턴에는 싱크로 튜너를 불러 상대 필드를 견제한다. 2022년 7월 금제로 금지. * [[No.42 스타쉽 갤럭시 토마호크]] 랭크 7 몬스터의 신성이자 링크 전개에 특화된 엑시즈 몬스터. 기존 랭크 7 엑시즈 소환이 다소 불편하다는 점은 바이스 튜폰의 투입으로 해결 가능하다. * [[크리스트론#크리스트론-그리온간드|크리스트론-그리온간드]] 주로 포뮬러 싱크론 + 케플러 + 테무진이나 슈팅 라이저 드래곤 + 라미아 + 극지왕 등으로 소환한다. 상대 턴에 하리파이버를 통해 소환해서 상대 카드를 프리 체인으로 날려 버리는 역할. 밑의 새털라이트 워리어와 이 카드 중 하나만 채용한다. * [[새털라이트 워리어]] 주로 포뮬러 싱크론 + 주혈왕 사이프리트의 조합으로 소환한다. 이 경우 소환되자마자 카드를 2장 파괴하고 공격력이 4500이 되며, 전개 과정에 따라 카드를 파괴하는 수와 공격력 증가량이 늘어난다. * [[쿠로시프]] 링크 소재의 제약이 없어 소환이 간편하고 무조건 테무진을 소환하게 되는 덱 특상 상 하급 몬스터 소생까지 시켜준다. === 마법/함정 카드 === * [[어둠의 유혹]] 메인 덱에 사용되는 모든 DD 몬스터들은 어둠 속성이므로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DD 고스트, PSY프레임로드 오메가 등으로 제외된 몬스터도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디메리트도 더는 것이 가능. *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DD는 결국 파츠를 모아서 날빌 세우는 덱이기 때문에 파츠를 간단히 모아주는 욕탐이 대부분 채용된다. 어둠 속성인 패의 DD 몬스터를 제외해서 덱에서 2장 드로우하는 어드밴티지 0의 카드인 [[어둠의 유혹]] 또한 2장씩 투입 하기에 큰 페널티를 감수하고서라도 아드를 늘려주는 이 카드는 거의 필수 부스팅 마법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 현 DD 덱 특성상 어유, 갑부 고블린 등의 드로우 카드를 대거 투입하기 때문에 이런 카드들이 욕탐으로 인해 핵심 파츠 대신 제외되어 비교적 적은 디메리트로 아드를 벌 확률을 기대하기도 한다. 다만 신 마스터 룰 이후로는 하리파이버, 빌가메스가 덱에서 카드를 바로 불러오기에 함부로 쓰다가 전개가 꼬일 가능성이 높아저 투입이 줄어들었다. *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 중에 자주 써야 할 게 많아서 사용하기 힘든 편이지만, 쌍효왕, 바로네스, 세븐 신즈 등 그나마 자주 사용하지 않는 몬스터를 코스트로 쓰고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처럼 쓰기도 한다. 어처피 드로우를 막는 디메리트는 그리폰 아니면 드로우 효과를 쓰지 않고, 전투 데미지 절반 디메리트는 괴치왕하고 겹쳐 덜 신경쓰인다. * [[원 포 원]] 덱에서 케플러를 특수 소환하여 간접적으로 계약서를 서치해 올 수 있다. * [[멍멍이!?]] 케플러나 라미아 등의 레벨 1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 케플러, 라미아, 네크로 슬라임 등 가져올 수 있는 것이 많다. DD가 파츠를 하나 더 잡느냐 마느냐에 따라 원턴킬의 성립 여부가 달라지므로 원턴킬 각이 나온다면 2000쯤은 아깝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이 카드를 사용한 뒤 다르크를 띄우고 턴을 마치면 오히려 2000을 회복할 수 있어 디메리트를 메리트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원 포 원으로 특수 소환한 뒤 같은 이름의 카드를 일반 소환해 디메리트를 회피하고, 희아궁으로 엿 바꿔 먹는 것도 노려 보자. 하지만 욕탐의 발매 이후 이 자리를 욕탐이 대체하면서 멍멍이!? 투입률은 극히 저조해진 상황이다. * [[트레이드 인]] DD 메인 덱 몬스터에는 괴치왕이나 토마스 등 레벨 8 몬스터가 꽤 많기 때문에 토마스의 투입량을 늘리고 이 카드를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 * [[잭 인 더 핸드]] 1레벨 몬스터가 3종 들어가는 만큼 사용이 가능하다. 멍멍이와 비교하자면 디메리트가 더 적다는 점이 장점. * [[피리 레이스의 지도(유희왕)|피리 레이스의 지도]] 마도현자 몬스터들, 아크, 신령왕 갓 레이지를 서치할 수 있다. 사실상 케플러 전용 서치 카드로 취급된다. 다만 사용 시 라이프를 절반 날려버려서 계약서랑 괴치왕 , 심연왕 등을 조심해서 써야 한다. 주의할 점은 메인 페이즈 개시 시 발동이라 어둠의 유혹처럼 이후 추가로 패에 들어올 경우에는 발동할 수 없다. * [[밸리언츠#VV-진라만상|VV-진라만상]], [[밸리언츠#VV-쾨니히 비센|VV-쾨니히 비센]] 패에 있는 케플러 등을 특수 소환하여 일반 소환권을 아끼고 빌가메스를 부를 수 있게 해 주며, 빌가메스로 덱에서 끌고 온 스케일 세팅 된 펜듈럼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대 필드에도 필드 마법이 깔려 [[무한포영]]의 패 발동을 막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 == [[DD(유희왕/카드군)/OCG화 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D(유희왕/카드군)/OCG화 되지 않은 카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계약서(유희왕), version=100)][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DDD(유희왕/카드군), version=158)] [[분류:유희왕/OCG/카드군|DD]][[분류:유희왕/OCG/악마족|DD]][[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