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DFI BLADES)] [include(틀:카트라이더 프로게임단)] ||<-7> [[파일:DFI BLADES_logo.png|width=300]] || ||<-7> '''{{{#FFFFFF {{{+1 디에프아이 블레이즈}}}}}}''' || ||<-7> '''{{{#000,#28B4C8 {{{+1 DFI BLADES }}}}}}''' || ||<|2> '''{{{#fff 창단}}}''' ||<-6>[[2019년]] [[6월 4일]]|| ||<-6>[[2022년]] [[6월 29일]] || || '''{{{#fff 해체}}}''' ||<-6>[[2023년]] [[1월 7일]] || || '''{{{#fff 팀명}}}''' ||<-6>[[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한화생명e스포츠]](2019~2021)[br]BLADES(2021~2022)[br]'''DFI BLADES(2022)'''|| || '''{{{#fff 모기업}}}''' ||<-6>[[두펀잉|[[파일:doo_logotype_Graphic_.png|height=20]]]] || || '''{{{#fff CEO}}}''' ||<-6>구남인 || || '''{{{#fff COO}}}''' ||<-6>김덕윤[* 前 [[E-STATS Esports]] 대표] || || '''{{{#fff CCO}}}''' ||<-6>홍승표[* T1 리그 오브 레전드 아카데미 팀 감독 [[홍승표(1984)|홍승표]]와는 동명이인이다.] || || '''{{{#fff 감독}}}''' ||<-6>[[문호준]] || || '''{{{#fff 주장}}}''' ||<-6>[[최영훈]] || || '''{{{#fff 약칭}}}''' ||<-6>{{{+1 '''{{{#FFFFFF DB}}}'''}}} || ||<-7> [[https://kart.dfiesports.com//|[[파일:DFI BLADES_logo.png|height=20]]]] [[https://www.instagram.com/blades_kart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https://twitter.com/esportsdfi?s=21&t=GjjB9-x7xRwNCB9Htbvjo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7> '''{{{#000,#28B4C8 우승 기록}}}''' || || {{{#fff '''팀전'''[br](4회) }}} ||<-6>[[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2020-1]][*HLE 한화생명e스포츠 시절 달성],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2020-2]][*HLE],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2021-SC]],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2022-1]] || || {{{#fff '''개인전'''[br](2회) }}} ||<-6>[[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2020-1]][*HLE] ,,[[문호준]],,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2021-1]][*HLE] ,,[[유창현(프로게이머)|유창현]],, || ||<-7> '''{{{#000,#28B4C8 마지막 시즌 당시 로스터}}}''' || ||<-7>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fff ACTIVE}}}''' ||<-3> SPEED ACE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유창현]] ||<-3> RUNNER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배성빈]] || ||<-3> MIDDLE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 ||<-3> SWEEPER [[파일:crwn.png|width=15]][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영훈]] ||}}}}}}}}}}}} || ||<-7> '''{{{#000,#28b4c8 팀 컬러}}}''' || ||<-7>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fff 팀 컬러}}}''' || ||<-2> {{{+5 {{{#28B4C8 ■}}} {{{#fff ■}}} {{{#000 ■}}}}}} ||}}}}}}}}}}}} || [include(틀:DFI BLADES)] [목차] == 개요 == || '''DFI BLADES'''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_SC_team_DB.jpg|width=100%]]}}}|| || '''{{{+1 #DBWIN}}}''' || 팬 비즈니스 플랫폼 운영을 준비중인 스타트업 두펀잉이 운영했던 카트라이더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DB'''.[* 전신인 한화생명e스포츠 시절은 '''HLE''', BLADES 시절은 '''BD'''] == 주요 기록 == ||<-5> {{{+1 [[틀:카트라이더 리그 역대 대회|[[파일:logo_kart.png|width=100]]]] [br] [[카트라이더 리그]] {{{#b2a529 '''역대 팀전 우승 팀'''}}}}}} || || [[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width=20]] '''[[Liiv SANDBOX/카트라이더|{{{#373a3c,#ddd SANDBOX Gaming}}}]]'''[br]{{{-4 박인수 · 유창현 · 박현수 · 김승태}}}[br]{{{-2 [[2019 KT 5G 멀티뷰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8086a0 (2019-2)}}}]]}}} || {{{+1 →}}}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20]]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373a3c,#ddd Hanwha Life Esports}}}]]^^,,V1,,^^'''[br]{{{-4 문호준 · 최영훈 · 박도현 · 배성빈}}}[br] {{{-2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0-1)}}}]]}}} ||{{{+1 →}}}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20]]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373a3c,#ddd Hanwha Life Esports}}}]]'''[br]{{{-4 문호준 · 배성빈 · 박도현 · 최영훈 · 강석인}}}[br]{{{-2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8086a0 (2020-2)}}}]]}}} ||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20]]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373a3c,#ddd Hanwha Life Esports}}}]]'''[br]{{{-4 문호준 · 배성빈 · 박도현 · 최영훈}}}[br] {{{-2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0-1)}}}]]}}} ||{{{+1 →}}}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20]]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373a3c,#ddd Hanwha Life Esports}}}]]^^,,V2, 2연속,,^^'''[br]{{{-4 문호준 · 최영훈 · 박도현 · 배성빈 · 강석인}}}[br]{{{-2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8086a0 (2020-2)}}}]]}}} ||{{{+1 →}}} || [[파일:SANDBOX_Gaming_2020.png|width=20]] '''[[Liiv SANDBOX/카트라이더|{{{#373a3c,#ddd SANDBOX Gaming}}}]]'''[br]{{{-4 박인수 · 정승하 · 박현수 · 김승태}}}[br]{{{-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1-1)}}}]]}}} ||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Liiv SANDBOX/카트라이더|{{{#000 Liiv SANDBOX}}}]]'''[br]{{{-4 박인수 · 정승하 · 박현수 · 김승태}}}[br] {{{-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8086a0 (2021-2)}}}]]}}} || {{{+1 →}}} || [[파일:BLADES logo.png|width=20]] '''[[DFI BLADES|{{{#000 BLADES}}}]]^^,,V4, 2연속,,^^'''[br]{{{-4 최영훈 · 유창현 · 배성빈 · 김지민 · }}}[br] {{{-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8086a0 (2021-S)}}}]]}}}, {{{-2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2-1)}}}]]}}} || {{{+1 →}}}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Liiv SANDBOX/카트라이더|{{{#000 Liiv SANDBOX}}}]][br]{{{-4 박인수 · 정승하 · 박현수 · 김승태 · NEAL}}}[br] {{{-2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8086a0 (2022-2)}}}]]}}} || ||<-5> {{{+1 [[틀:카트라이더 리그 역대 대회|[[파일:logo_kart.png|width=100]]]] [br] [[카트라이더 리그]] {{{#bebebe '''역대 팀전 준우승 팀'''}}}}}} || || [[파일:Flame.png|width=20]]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000 Flame}}}]]'''[br]{{{-4 문호준 · 박도현 · 배성빈 · 최영훈 · 이은택}}}[br] {{{-2 [[넥슨 2019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19-1)}}}]]}}} || {{{+1 →}}}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20]]'''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000 Hanwha Life Esports}}}]]'''[br]{{{-4 문호준 · 유영혁 · 강석인 · 최영훈 · 이은택}}}[br]{{{-2 [[2019 KT 5G 멀티뷰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8086a0 (2019-2)}}}]]}}} || {{{+1 →}}} || [[파일:ROX-Gaming-logo.png|width=20]] '''[[ROX Gaming/카트라이더|{{{#000 ROX}}}]]'''[br]{{{-4 이재혁 · 송용준 · 한승철 · 김승태 · 사상훈}}}[br]{{{-2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0-1)}}}]]}}} || || [[파일:ROX-Gaming-logo.png|width=20]] '''[[ROX Gaming/카트라이더|{{{#000 Seongnam ROX}}}]]'''[br]{{{-4 이재혁 · 송용준 · 신종민 · 한승철 · 사상훈}}}[br] {{{-2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8086a0 (2020-2)}}}]]}}} || {{{+1 →}}}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20]]'''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000 Hanwha Life Esports}}}]]'''[br]{{{-4 최영훈· 유창현 · 배성빈 · 박도현}}}[br] {{{-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1-1)}}}]]}}} || {{{+1 →}}} || [[파일:BLADES logo.png|width=20]] '''[[DFI BLADES|{{{#000 BLADES}}}]]'''[br]{{{-4 최영훈 · 유창현 · 배성빈 · 김지민}}}[br] {{{-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1-2)}}}]]}}} ||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20]]'''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000 Hanwha Life Esports}}}]]'''[br]{{{-4 최영훈 · 유창현 · 배성빈 · 박도현}}}[br] {{{-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1-1)}}}]]}}} || {{{+1 →}}} || [[파일:BLADES logo.png|width=20]] '''[[DFI BLADES|{{{#000 BLADES}}}]]'''[br]{{{-4 최영훈 · 유창현 · 배성빈 · 김지민}}}[br] {{{-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1-2)}}}]]}}} || {{{+1 →}}}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Liiv SANDBOX/카트라이더|{{{#000 Liiv SANDBOX}}}]]'''[br]{{{-4 박인수 · 박현수 · 정승하 · 김승태}}}[br] {{{-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8086a0 (2021-S)}}}]]}}} || ||<-5> {{{+1 [[틀:카트라이더 리그 역대 대회|[[파일:logo_kart.png|width=100]]]] [br] [[카트라이더 리그]] {{{#CD7F32 '''역대 팀전 3위 팀'''}}}}}} ||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Liiv SANDBOX/카트라이더|{{{#000 Liiv SANDBOX}}}]]'''[br]{{{-4 박인수 · 박현수 · 정승하 · 김승태}}}[br] {{{-2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8086a0 (2022-1)}}}]]}}} || {{{+1 →}}} || [[파일:DFI BLADES_logo.png|width=20]] '''[[DFI BLADES|{{{#000 DFI BLADES}}}]]''''''^^,,2연속,,^^'''[br]{{{-4 유창현 · 배성빈 · 김다원 · 최영훈}}}[br] {{{-2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8086a0 (2022-2)}}}]]}}}, {{{-2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8086a0 (2022-S)}}}]]}}} || {{{+1 →}}} || ''리그 개편[br]([[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 한화생명의 네이밍 스폰이 종료된 뒤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가 문호준에게 팀의 소유권을 양도한 것이기 때문에, '''한화생명 시절의 기록을 모두 승계한다.''' == 스폰서 == || [[두펀잉|[[파일:두펀잉 로고.png|width=120]]]] || [[파일:BYRONIC ESPRESSO.png|width=120]] || [[파일:FIELDER LOGO.png|width=120]] || || [[두펀잉|{{{#fff '''dooFuning'''^^모기업^^}}}]] || {{{#fff '''BYRONIC ESPRESSO'''^^메인^^}}} || {{{#fff '''FIELDER'''^^의류^^}}} || || [[파일:STARTUP CODE.png|width=200]] || [[파일:유앤이치과 로고.png|width=200]] || [[파일:Scheherazade.png|width=200]] || || {{{#fff '''STARTUP CODE'''}}} || {{{#fff '''유앤이치과'''}}} || {{{#fff '''셰에라자드'''}}} || || [[파일:법무법인 한중 로고.png|width=200]] || [[팬심|[[파일:팬심 로고.svg|width=200]]]] || || || {{{#fff '''법무법인 한중'''}}} || [[팬심|{{{#fff '''FANCIM'''}}}]] || || == 창단 == ===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한화생명e스포츠]] === 블레이즈의 전신인 한화생명e스포츠의 창단부터 네이밍 스폰 종료까지의 역사는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s-3|한화생명e스포츠 카트라이더 팀]] 문서에 서술되어 있다. === BLADES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에서 팀전 준우승을 한 이후, 5월 25일 문호준 감독의 방송에서 박도현의 휴식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박도현의 휴식과 대체 선수 영입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한화생명e스포츠 카트라이더 팀]] 문서에 서술되어 있다.] 그리고 '''스폰서가 바뀔 수 있으며,''' 6월 1일 자신의 방송에서 관련된 내용을 제일 먼저 공개할 테니 그때까지는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의 방송에서 이와 관련 내용을 묻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 || [youtube(5iNjWdSzmcQ)] || || Farewell Our Champions || 그리고 6월 1일 17시 30분, 한화생명e스포츠에서 공식 유튜브를 통해 한화생명의 네이밍 스폰이 종료되었음을 알렸다. [[파일:blades 임시.png]] [[파일:블레이드스 창단로스터.jpg]] 이어서 예고대로 켜진 문호준 감독의 개인 방송을 통하여 [[김지민(프로게이머)|김지민]]의 영입을 공개했고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에서 팀을 양도받아 문호준 본인이 감독 겸 구단주인 BLADES의 창단을 발표했다.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는 공식적으로 팀에서 손을 떼게 되었지만 [[http://m.kukinews.com/newsView/kuk202106010274#_DYAD|팀 운영을 도와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화생명의 네이밍 스폰이 빠진 뒤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가 문호준에게 팀을 매각한 뒤에 창단한 팀이기 때문에 한화생명의 역사를 승계하며, 스폰서만 없을 뿐 아마추어 팀이 아니라 프로 팀이다.][* 문호준 본인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창단 발표 방송에서 BLADES를 해체 후 재창단한 팀으로 발표했으나, 하루 뒤 오피셜 기사에서 역사 승계로 정정되었다.] 워낙 궁금증을 많이 모은 이번 스토브리그의 가장 뜨거운 화제의 소식이었던 만큼 전례가 없던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문호준의 6월 1일 방송은 시청자 수 '''10000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다만 대기업의 네이밍 스폰이 끊어진 뒤 사실상 '''문호준의 사비'''로 팀을 운영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재정 문제를 걱정하는 팬들이 많다. 서브 스폰서가 4곳 있기는 하나, 구단 재정에서 가장 중요한 네이밍 스폰이 끊어진 이상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다. 앞으로 문호준은 구단을 운영하면서 선수들의 월급만 주는 게 아니라 구단에 속한 매니저 및 SNS 관리자를 포함한 모든 직원의 인건비 및 사무실/연습실 임대료,[* 이 문제는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 사무실에 마련되어 있는 연습실을 사용하고, 직원을 두지 않음으로써 해결했다.] 지방에서 올라오는 유창현의 교통비를 포함한 비용을 혼자서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다. 당장 문호준의 아버지 문성민 감독은 10년 전 기준으로 개인전 선수 6명으로 이루어진 팀을 운영하는 데에 한 달에 약 2000만 원 가량 사용한 적이 있으며 사비로 팀을 운영한 박인재 감독도 5000만 원 가량을 사용한 적이 있는 만큼 구단 운영비는 결코 만만하지 않다. 오죽하면 문호준 본인도 돈이 부족하면 [[포르쉐]] 다시 팔면 된다고 자학개그까지 했을 정도. 문호준 본인은 자신이 직접 구단주가 되는 게 꿈이었다고 방송에서 밝혔지만 그렇게 안 하면 팀이 해체가 되기 때문에 스스로를 희생했다고 생각하는 팬들이 많다.[* 실제로 [[강동훈]] 감독 사비로 팀을 운영하던 [[Incredible Miracle]]은 사비만으로 운영하기에 재정 문제가 너무 커서 스폰서를 물어오느라 고생한 적 있으며, 스폰서가 팀 운영에 깊게 관여하다 보니 본인이 구단주임에도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스폰서에 휘둘리다가 결국엔 보복성 경질당한 바 있다. 특히 이 팀을 지원하는 회사랍시고 눌러앉은 곳이 그리핀 LOL팀을 날려먹은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이기 때문에 뒤에서 논란을 더 일으키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많다.] 문호준이 직접 뛰어다녔는데도 스폰서를 구하지 못했으니[* 문호준이 뒤풀이 방송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국내에서 이름값이 높은 팀들인 [[T1]], [[DWG KIA]], [[Gen.G Esports]] 같은 팀들의 스폰서들은 글로벌 경쟁력과 국제 대회가 진행되는 리그를 기준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만 운영되는 카트라이더 리그에 스폰을 할 의사가 없다고 한다. 심지어 저 팀들은 국제 대회가 진행될 예정인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도 전혀 참가할 계획이 없기에 원래 카트라이더 시장에 관심이 없었다고 볼 수 있다.][* 한화생명 시절에 스폰을 같이 해주던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가 구단 운영을 도와주기로 했지만, 이게 한화생명 시절만큼 자체적으로 운영을 해주면 좋겠지만 문호준을 도와주는 선에서만 그치면 재정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리그 흥행과 질적 하락을 우려하는 팬들도 있다. 다만 21-2에 --[[GEHENNA SWEEPERS]]--, [[NTC CREATORS/카트라이더|NTC CREATORS]], 수퍼컵에서 [[Team GP]] 등이 신규 창단된 것을 보면 카트라이더에 관심이 있는 e스포츠 스폰서 구단들은 더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스폰을 받지 못한 것은 문호준이 밝힌 대로 결승전 이후 시간이 너무 촉박하여 제대로 된 스폰을 구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측되며, 위 각주에 있는 문호준의 발언을 보면 유명 구단들에게 문의한 사실은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불발된 이후 차라리 본인이 이전부터 구상했던 직접 구단을 운영하는 방향으로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 DFI BLADES === 2022 시즌 1 시작 전, 서브 스폰서 4곳의 지원이 끊기면서 문호준은 '''시즌 종료 후에도 스폰서를 도저히 못 구하면 팀을 해체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시즌 종료 시점까지도 새로운 스폰서가 들어오지 않았지만, 스토브리그 과정에서 결국 팀을 인수할 기업을 찾았다. 2022년 6월 29일, 신생 스타트업 두펀잉[* 2022년 5월 15일에 설립한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https://gall.dcinside.com/kart/3175159|#1]][[https://gall.dcinside.com/kart/3175298|#2]]]이 공식적으로 팀을 인수하였다.[[https://www.dailyesports.com/view.php?ud=2022062909351640574bcc1e038_27|#]] 또한 바이러닉 에스프레소와 메인 스폰서 계약을 맺었으며, 수많은 서브 스폰서가 들어오게 되었다. 2023년 1월 7일, 감독을 포함한 멤버 전원과의 계약이 해지되었음을 알렸다. 하지만 새로운 로스터를 구성한다는 소식은 들려오지 않았다. 새롭게 열리는 [[KDL]] 프리시즌 1의 팀 지원 프로젝트를 신청하지 않았고, 공식 인스타 등의 갱신 또한 중지된 상태기 때문에 사실상 게임단 운영을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 역대 시즌 == [include(틀:DFI BLADES/카트라이더/역대 시즌)] == 역대 상대 전적 == ||<|3> {{{#fff '''팀'''}}} ||<-14> '''{{{#fff 정식 창단 이후 DFI BLADES 팀전 팀별 역대 상대 전적}}}''' || ||<-4> {{{#fff '''총 전적'''}}} ||<-4> {{{#fff '''스피드 전적'''}}} ||<-4> {{{#fff '''아이템 전적'''}}} ||<-2> {{{#fff '''에결 [br] 전적'''}}} || || '''경기 승''' || '''경기 패''' || '''세트 승''' || '''세트 패''' || '''세트 승''' || '''세트 패''' || '''트랙 승''' || '''트랙 패''' || '''세트 승''' || '''세트 패''' || '''트랙 승''' || '''트랙 패''' || '''승''' || '''패''' ||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height=30]]]][* 前 SANDBOX Gaming] || 10 || 8 || 21 || 22 || 6 || 12 || 33 || 51 || 9 || 9 || 39 || 44 || 6 || 1 || || [[KWANGDONG FREECS/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height=30]]]][* 前 Afreeca Freecs] || 10 || 5 || 27 || 15 || 11 || 5 || 41 || 28 || 11 || 5 || 42 || 24 || 5 || 5 || || '''{{{#white 아마추어팀}}}''' || 22 || 0 || 44 || 2 || 23 || 0 || 69 || 13 || 22 || 2 || 66 || 20 || 2 || 0 || || {{{#white '''해체된[br]프로팀'''}}} || 18 || 1 || 37 || 9 || 16 || 3 || 56 || 27 || 14 || 5 || 47 || 29 || 7 || 1 || || {{{#fff '''총 전적'''}}} || 60 || 14 || 129 || 48 || 56 || 20 || 199 || 119 || 56 || 21 || 194 || 117 || 20 || 7 || {{{#!folding [ 해체된 프로팀과의 전적 ] ||<|3> {{{#fff '''팀'''}}} ||<-14> '''{{{#fff 해체된 프로팀과의 팀전 팀별 역대 상대 전적}}}''' || ||<-4> {{{#fff '''총 전적'''}}} ||<-4> {{{#fff '''스피드 전적'''}}} ||<-4> {{{#fff '''아이템 전적'''}}} ||<-2> {{{#fff '''에결 [br] 전적'''}}} || || {{{#000 '''경기 승'''}}} || {{{#000 '''경기 패'''}}} || {{{#000 '''세트 승'''}}} || {{{#000 '''세트 패'''}}} || {{{#000 '''세트 승'''}}} || {{{#000 '''세트 패'''}}} || {{{#000 '''트랙 승'''}}} || {{{#000 '''트랙 패'''}}} || {{{#000 '''세트 승'''}}} || {{{#000 '''세트 패'''}}} || {{{#000 '''트랙 승'''}}} || {{{#000 '''트랙 패'''}}} || {{{#000 '''승'''}}} || {{{#000 '''패'''}}} || || [[OZ Gaming/카트라이더|[[파일:OZ_Gaminglogo.png|height=30]]]] || 1 || 0 || 2 || 0 || 1 || 0 || 3 || 0 || 1 || 0 || 3 || 0 || 0 || 0 || || [[E-STATS Esports/카트라이더|[[파일:E-STATS_Logo.png|height=30]]]] || 2 || 0 || 4 || 1 || 1 || 1 || 4 || 4 || 2 || 0 || 6 || 3 || 1 || 0 || || [[ROX Gaming/카트라이더|[[파일:ROX-Gaming-logo.png|height=30]]]] || 8 || 1 || 17 || 5 || 8 || 1 || 28 || 14 || 6 || 3 || 20 || 17 || 3 || 1 || || [[SGA 인천/카트라이더|[[파일:SGA Inchon.png|height=30]]]] || 3 || 0 || 6 || 2 || 2 || 1 || 8 || 5 || 2 || 1 || 8 || 5 || 2 || 0 || || [[NTC CREATORS/카트라이더|[[파일:NTC Creators White.png|height=30]]]] || 1 || 0 || 2 || 1 || 1 || 0 || 3 || 1 || 0 || 1 || 0 || 3 || 1 || 0 || || [[Team GP/카트라이더|[[파일:Team_GP_logo 하얀 테두리.png|height=30]]]] || 3 || 0 || 6 || 0 || 3 || 0 || 10 || 3 || 3 || 0 || 10 || 1 || 0 || 0 || }}} 블레이즈는 포지션이 명확한 팀 답게 아마추어팀을 상대로 성적이 매우 좋은 것을 볼 수 있으며[* 그러나 내실을 따지면 결코 긍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0-1에서는 아마추어팀을 상대로 에이스 결정전까지 갔으며, 20-2에서는 최약체 MOTO 에게 아이템전을 3:2까지 가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21-1에서는 전부 6-0으로 압살하여 개선이 되었나 싶다가, 21-2에서 경쟁팀들 간 유일하게 트릿에게 트랙 패배가 나왔다. 또한 22-1에는 최약체 DDK에게 20-2가 재림한 것 마냥 2실점을 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4강권 프로팀의 락스, 프릭스를 상대로도 매우 좋은 성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많은 팀들에 대한 성적이 좋아서 결승에 자주 진출하고 있다. 물론 기복이 있는 팀컬러답게 뜻하지 않게 불의의 일격을 맞을 때도 있었다. == 팀 컬러 == 프로팀들 중에서는 포지션이 명확한 팀으로 뽑혔다. 한화생명 시절에 스피드 에이스 문호준, 러너 배성빈, 스위퍼 박도현, 하이브리드 최영훈, 아이템 에이스 강석인까지. 5명은 '''자신들의 피지컬을 극대화하는 경기전략'''[* 박인재 감독의 결승 분석 영상을 보면 한화생명의 밴픽은 순수 피지컬로 겨룰 수 있는 맵들을 선호한다고 한다.]으로 경기를 치렀다. 추가로 한화만의 독특한 팀 컬러중 하나를 꼽자면 1티어급 아이템 에이스 강석인과 그 뒤를 잇는 최영훈-문호준이 받쳐주는, 경쟁권인 프로팀 전체를 통틀어서 가장 압도적으로 평가받는 아이템전이 있다. 또한 '''에이스 결정전과 역스윕 등에서 엄청난 강점'''을 보이는데 이는 문호준 선수 개인의 장점이 팀 컬러에 영향을 끼쳤던 부분도 있기에 20-2 시즌 이후 문호준이 은퇴함에 따라 한화생명 또한 어떤 스타일 변화를 할 지 추이를 보아야 한다. 시즌 초반에 삽질(?)을 해야 우승을 하는 징크스가 있다. 2020 시즌에는 두 시즌 모두 '''2연속 개막전 0:6'''으로 대표되는, 경기력과 팀워크가 늦게 올라오는 슬로우 스타터 팀의 모습으로 우승을 한 반면, 시즌 초반 분위기가 최소 무난했고 시즌 첫경기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보여줬던 다른 시즌에서는 모두 우승하지 못했다. 물론 우승하지 못했다는 두 시즌 모두 개막전에서 강적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샌드박스 게이밍]]을 만난 것도 있겠지만, 그 이후로도 프로팀이던 아마추어팀이던 꽤나 고전하며 아슬아슬하게 승리하는 모습이 나타나면서 이를 지켜보는 팬들을 불안하게 하기도 했다.[* 20-2시즌을 예시로 들면, 락스전까지만 해도 GC부산을 제외하면 프로팀을 상대로 스피드전 세트 전패를 기록중이었고 심지어 역대 최약체로 거론되는 MOTO에게는 아이템전에서 두 트랙이나 졌다. 주로 스피드전을 잘하면 아이템전이 발목을 잡고, 아이템전을 잘하면 스피드전에서 발목이 잡히는 모습] 그런데 개막전 떡집을 연속으로 당했음에도 끝내 폼을 올려 우승하자 아예 '''[[https://m.dcinside.com/board/kart/2375969?recommend=1|개막전을 망해야 우승하는 팀]]'''이라는 드립이 나왔고, 심지어 2연속 우승 직후인 21-1시즌에서 개막전을 압승한 뒤 [[전승준]]을 달성하면서 드립을 넘어 팀 컬러로 고정되어 가는 중이다. 심지어 최근 우승한 수퍼컵도 첫 개막전에서 아이템전에서 삽질하면서 에결에서 겨우 승리하거나 그 이후 프릭스에게 첫 패배를 당하는 상당히 불안한 경기력을 보였지만 끝내 우승을 했고, 2022-1도 첫 경기부터 아마추어팀인 악셀즈에게 에결을 끌려가는 다소 불안한 경기력에도 불구하고도 끝내 결승전에서는 압도적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2022 시즌 2에서도 개막전 6:0 승리를 시작으로 8강 풀리그 전승을 기록하는 등 좋은 분위기를 시즌 초부터 가져갔으나 이후 포스트시즌에서 에이스 결정전 2연패를 기록하고 3위로 미끄러져 이러한 팀 컬러가 더욱 확고해졌다. 이후 문호준, 강석인이 로스터에서 빠지고 유창현을 영입함에 따라 팀컬러가 유창현의 스타일에 따라 안정적이고 경기운영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로 인해 생기는 변화를 보는 것도 다음 시즌을 기대하는 포인트가 될 것이다. 21-1부터는 스피드 같은 경우, 유창현과 배성빈이 앞으로 치고 나가는 러너 역할, 최영훈과 박도현, 김지민이 스위핑와 미들 역할을 하는 전략으로 각자의 역할이 잘 나뉘어져있다. 스피드와 아이템의 전체적인 밸런스 같은 경우에는 아이템 에이스를 공석으로 놔두고 사실상 4인 하이브리드의 체제를 갖춰, 위에서 언급한 스피드-아이템 간의 포지션의 명확성이 상당히 옅어졌다. 사실 아이템 에이스를 영입하기도 뭐한 것이 21-2 이후 BLADES는 선수 월급이 전부 '''문호준 지갑에서''' 나오는 것이다 보니 5인 체제를 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매우 크다. 그러나 문호준이 밝힌 바에 따르면 돈문제보다는 5인체제 자체를 싫어한다고 밝혔다. 5인체제로 하게 되면 연습할때 한명은 딴짓하고 있어야 되는데 그게 싫어서 5인체제를 선호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두펀잉에서 인수창단된 시점에서도 5인체제로 할 가능성은 적어보인다. === 스피드전 === 2019년 시즌 2 팀 창단 이후 부터의 한화의 스피드전 전략은 보통 최영훈이 아랫순위를 터트리고 묶는동안 배박듀오가 앞으로 치고나가며 그걸 문호준이 뒤를 받쳐주고 어떻게든 역전을 시도하는 상대 선수들을 막아주는 구도가 가장 이상적이고 많이 쓰는 작전이였다. 실제로도 한화가 순위싸움을 쉽게 가져갔을 경우 이러한 장면을 자주 볼 수 있는 편이다. 혹여나 이 순위에서 1, 2, 3위 선수 중 한 명이 혼자 실수를 한다고 할지라도 다른 선수가 1, 2위를 그대로 가져가기 때문에 거리 유지와 적절한 작업으로 순위를 회복할수있고 쉽게 승리할수있다. 또한 스위핑을 담당하는 최영훈이 다른 팀원들의 실수 혹은 사고로 본인이 높은 순위에 위치해있을경우, 상대 선수를 적절하게 커버하다가 사고에서 회복해 올라온 팀원을 1위로 보내고 자신이 2위 혹은 미들로 내려와 다시 상대의 라인을 막고 팀원의 주행을 보조해주는 편이다. 하지만 무조건 이러한 상황과 순위가 만들어질리는 없고,[* 경기 하나하나로 따지면 2~3명의 선수가 실수를 범해 7,8위 고정이나 하위권에서 올라오지 못할 때, 크게 보면 경기 당일 컨디션이 좋지 않은 경우] 특히 우승 경쟁을 하는 프로팀들 간의 경기에서 상대팀이 미들을 선점해버리면 이러한 전략들은 무조건 상대가 실수하길 바라야 하는 기도메타에 가까워진다는 점이 2020시즌부터 부각되고 있다. 그래서 2020시즌 1 후반기부터는 문호준의 강력한 주행 능력으로 치고나가 1위를 선점하고 뒤쪽의 상대를 몸으로 막거나 라인을 흐트려서 뒷순위에 있거나 뒤쳐저있는 팀원들이 올라오게 만드는 전략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시즌 2부터는 스위퍼 최영훈의 스피드전 폼이 러너급으로 올라옴에 따라 최영훈이 뒷 선수를 막는 대신 주행을 계속 하면서 상위권에서 순위를 지키고 배성빈이나 박도현이 내려와 스위핑을 담당하는 전략도 선보이고 있는 중. ---- 2020시즌 부터 배박듀오의 극심한 기복이 부각되고 있다. 시즌 1에서는 그 기복의 횟수가 적고 잘 보이는 편은 아니였지만, 시즌 2에서 기복이 부쩍 늘어나고 그 기복이 눈에 보일정도가 되어버렸고 그로 인해 패배의 원인으로 자주 지목되자 큰 문제가 되었다. 하지만 2020 시즌 2에는 문호준이 그 자리를 다 채워주고 최영훈까지 슈퍼플레이를 펼친 덕에 당장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2020 시즌 2를 기점으로 '''문호준이 은퇴를 선언하며''' 한화의 큰 약점으로 자리잡았다. '''팀의 경기력에 상관없이 1인분, 더 나아가 홀로 4-5인분을 해내는 문호준을 대체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을 넘어 대체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문호준이 단순히 실력이 좋아서 계속 카트라이더의 원탑으로 서있는게 아니다. 문호준은 '''같은 팀에게는 존재만으로도 큰 힘이 되며 상대 팀 입장에서는 존재만으로 압박이 되는 선수이다.''' 여기에 뛰어난 스타성, 멘탈, 코칭 능력 등은 덤이다. 즉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문호준을 완벽히 대체할수있는 선수는 없다는것이 중론.] 현 주장인 최영훈의 경우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기복이 심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생각했을 때 배박이 스스로 기복을 고치는 것이 2021년을 위한 큰 숙제가 되었다. ---- 2021시즌에는 유창현을 영입하며 기존의 스피드전 전력은 어느정도 유지하며 한시름 덜게 되었다. 은퇴한 문호준의 빈자리를 완벽하게 메우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포스트 문호준'''이라는 소리를 들었던 선수이기에 완벽에 가깝게 공백을 메울수 있을거라 예상된다.[* 완전히 메우는 것은 당연히 힘들다. 다른 선수도 아니고 문호준이 빠진 일이다보니 완벽하게 메우는 것을 기대하는 것 자체가 말도 안되는 일이다.] 다만 한차례 리그를 건너 뛴 것이 우려되는 점으로 뽑힌다. 또 주목해야할 점은 '''에이스 결정전'''. 과연 누가 에이스 결정전에서 한화를 살려낼 것인가에 주목할 필요가있다. 지난 시즌까지는 그 역할을 문호준이 해내며 좋은 모습을 보이며 우승컵까지 손에 넣었는데, 이제 문호준은 감독이다. 그렇다면 문호준이 누구를 에이스카드로 키워낼것인가를 예상해본다면 현재까지는 에결 경험이 있는 선수는 최영훈이 1번, 유창현이 2번 경험해봤고,[* 최영훈은 2016년의 버닝타임, 유창현은 2017년 듀얼 레이스 시즌 2 4강 승자전, 2018년 듀얼레이스 X 시즌에 에이스결정전을 치뤘기에 출전경력이 있음에도 불안하다.] 배성빈은 3회[* 2020년 시즌 2에서 세차례 경험] 출전했다. 그리고 박도현은 에이스결정전 경험이 아예 없는 선수이다. 일단은 스피드에이스인 유창현이 나갈 가능성이 크지만, 확실한 에이스카드가 필요한 상황이다.[* 프로팀들인 샌드박스, 락스, 프릭스, 부산은 각각 박인수, 이재혁, 유영혁, 전대웅이라는 확실한 에결 카드가 있다. 에결에서 박인수는 슬럼프를 겪고 있긴 하나 그럼에도 위협적인 선수임에는 틀림없으며 이후로도 박인수가 나올 확률이 크다.] 2021 시즌1의 8강 풀리그 모든 경기가 끝난 시점에서 한화의 스피드전 전략은 기존의 전통적인 포지션을 지키는[* 최영훈이 상대를 휘젓고 유창현과 배성빈은 러너로써 치고나가며 박도현은 호시탐탐 미들에서 버티며 기회가 생기면 상위권으로 올라가는 플레이] 전략을 기반으로 사고가 나거나 혹은 실수를 하는 위기상황에서는 4명 모두가 유기적으로 포지션을 바꾸어가며 캐리를 해주며 리그 최고의 스피드 전을 보여주고있다. 이는 4명의 스피드전 폼이 고르게 좋아서 더욱 시너지를 발휘하고 있는데,[* 최영훈이 직전 시즌이였던 2020 시즌 2부터 개인전 결승에 올라갈만큼 피지컬이 올라온 영향도 크다.] 초반에는 한 시즌을 쉬고온 유창현이 기복있는 모습을 보였지만[* 8강 풀리그가 끝난 시점에서는 기존의 우리가 알던 스피드전의 폼이 올라온 모습을 보여줬다.] 절정의 폼을 자랑하는 최영훈이 이를 커버하며 경기 도중 러너역할을 해주며 경기력을 올려갔다. 배성빈과 박도현 역시 이전의 기복이 있는 모습을 완벽히 지우지는 못했지만 꾸준하게 순위를 먹어주며 7전 전승을 거두는 데에 큰 힘을 보탰다. 또한 시즌 전 다른 팀들보다 에이스결정전 나갈 확실한 선수가 애매해 프로팀과의 대결에서 에이스결정전을 치루게 된다면 패배 할수도 있다라는 예상을 들었었다. 그러나 2020년 시즌 2 문호준 아래에서 에이스결정전 경험치를 차곡차곡 쌓았던 배성빈이 이번 시즌 에이스결정전에서 전승을 거두며[* 우승경쟁을 해야하는 다른 프로팀들의 에이스결정전 선수인 이재혁과 박인수를 모두 이겼다. 그 중에서도 지난 시즌 이재혁과의 에이스결정전에서 졌던 것을 되갚은 것이 배성빈이 주저하지 않고 에이스결정전을 나가는 자신감의 이유 중 하나로 추정된다.] '''에결중독자'''라는 별명과 함께 한화의 에이스결정전의 확실한 카드가 생기며 스피드전이나 아이템전을 내주어도 에이스결정전에서도 다른 팀과 붙어도 이길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보게 되었다. 2021년 슈퍼컵 이후로는 유창현을 1번러너로 밀어주고, 배성빈을 2번러너로 보내면서 최영훈과 김지민이 스위핑 하는 그림이다. 2022 시즌 1 이후 김지민 대신 김다원을 영입하면서 기존처럼 유창현을 1번러너로 밀어주고, 배성빈을 2번러너로 보내면서 최영훈과 김다원이 스위핑 하는 그림이다.[* 김다원이 영입됐을 당시 포지션이 RUNNER였으나 MIDDLE로 변경되었다.][* 정확히는 유창현을 1번러너로 밀어주고 배성빈을 2번러너로 보내고 3번러너로 김다원을 보내면서 최영훈이 스위핑 하는 그림이다.--러너만 3명이다.--] === 아이템전 === 아이템전의 경우 2020 시즌 1까지 함께한 기존 멤버였던 이은택이 팀을 나가고 강석인이 들어오면서[* 프릭스 소속이었던 강석인이 한화로, 한화 소속이었던 이은택이 프릭스로 가면서 묘하게 1:1 트레이드 된 느낌이 든다.] 팀 전략에서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일단 이은택은 전략적인 포지션으로 주로 뒤로빠져 물폭탄 아이템을 주력으로 상대방을 최대한 묶어두는게 주된 플레이라고 한다면 강석인은 주로 선두에 서서 자석, 사이렌 등으로 상대방을 치워버리고 스스로 플레이메이킹을 하는게 주된 플레이다.[* 이러한 플레이스타일의 차이로 인해 둘의 오더에도 차이가 있다. 이은택의 주된 오더는 "가봐, 뒤는 끊어줄게, 뒷 둘 묶어뒀어, 가 봐." 식으로 본인이 나서기보단 주로 팀을 지원하는 형식의 오더가 주된 오더이며, 따라서 팀 호흡이 잘 맞아갈수록 이은택의 변수 창출력이 강해지게 된다. 하지만 그렇기에 만약 팀의 호흡이 극심하게 맞지 못하거나 상대팀에 비해 아군이 별로 치고나가지 못하면 그 판은 매우 불리한 양상으로 흘러가버린다.[* 그 예시가 2020 시즌 2의 아프리카인데 아프리카의 시즌 초중반, 나머지 선수들이 아이템전에서 너무 부진하자 철벽같았던 이은택이 약점을 드러냈으며 스스로 러너역할을 해야만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반면 강석인은 "비켜봐, 내가 해볼께, 내 뒤만 정리해줘." 식의 오더를 자주 하는데, 팀 전체의 순위가 좋지 못하거나 팀 자체가 부진할때 본인이 직접 나서서 캐리하는 스타일이다. 하지만 이런 플레이스타일을 상대팀도 파악하고있고 강석인을 내버려두면 아이템전이 높은확률로 폭파되는걸 알기에 필연적으로 공템견제가 심할수밖에 없다. 보통은 뛰어난 컨트롤로 금방 다시 올라오지만 만약 회복이 어려울 정도로 공템을 일점사당해 극심하게 묶여버리면 그 판은 매우 높은 확률로 진다. 이렇듯 강석인과 이은택은 둘 모두 아이템전의 최강자로 꼽히지만, 그 스타일은 많이 다른 편이다.] 아무래도 강석인은 같이 팀을 했던 선수들이 있어 적응을 빠르게 하였고 많은 스크림을 통해 같이 게임을 하면서 공식 대회를 준비하고 있다. 스크림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카트를 맵에 따라 변경하는 실험도 하며 실제 경기에서 가장 이상적인 조합을 찾고 있는 모습도 특징 중 하나이다.[* 대표적으로 강석인 선수가 평소에 자주 타지 않았던 물차 [[웨이브 X]]를 스크림에서 타는 모습이 대표적이다.] 팀원 교체이후 우려되었던 점은 아무래도 리그에 같은 팀으로 자주 나갔던 [[강석인]], [[최영훈]], [[문호준]] 선수 간의 합은 말할 필요가 없으나[* 참고로 이 셋은 리그에서 같은 팀으로 많이 출전한 것을 떠나서 사석에서도 많이 만나는 사이다. 2019 시즌 1이 끝나고 나서도 같이 여행을 다니기도 했고, 강석인의 생일날 만나서 술도 같이 먹을 정도로 친하기 때문. 평소에도 워낙 잘 지내는 사이다 보니 팀합을 맞추는 건 일도 아니다.] 배성빈 선수가 강석인 선수의 스타일에 적응하고 또 오더를 잘 따르는 것이 관건으로 보였는데, 최근 공개 스크림에서는 배성빈 선수를 칭찬도 하고 지적도 하면서 실수를 줄여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은택이 있는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아프리카 프릭스]]와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샌드박스 게이밍]]과의 최근 스크림에서는 좋은 성적을 내며 아이템에서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 근데 또 차기 시즌은 '''강석인 없이 가야 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박도현은 아이템전에 부담감을 느끼고 최영훈이 아이템전을 잘하는 선수 중 하나이긴 하지만 배성빈이 기복이 좀 존재하는 편이라 최영훈 홀로 아이템전에서 배성빈을 잡아줘야하는 부담이 클 것이라는 것이 중론.[* 현재 카트판에서 아이템 천상계들이라 불리는 강석인, 이은택, 유창현, 최영훈, 박천원 중에 최영훈 혼자 팀에 남을 가능성이 커졌다. 박천원은 리그 정지에 강석인, 유창현은 무기한 휴식에 들어갔고 이은택의 경우 나이를 생각하면 군입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남은 매물이 유창현 정도 밖에 없는 상황이라 한화생명 e스포츠와의 링크가 있어 유창현의 복귀 가능성도 커뮤니티에서 나오는 상황이며, 이은택도 그랑프리를 돌리면서 다음 시즌을 준비하는 것을 보아 나올 확률이 커지면서 천상계 중 최영훈 혼자 남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 시즌 결승전에서 ROX 선수들이 아이템전 실력이 떨어진 박도현과 배성빈을 집중공략한 덕에 문호준과 최영훈에 부담이 가중되었고, 결국 무기력하게 0:4로 무너져 버렸다.] 그러나 2021시즌 유창현이 영입되면서 아이템전 또한 걱정을 덜게 되었다. 리그 최고의 하이브리드로 평가받기에[* 최영훈은 아이템전에 강한 하이브리드 타입의 선수라면, 유창현은 스피드전에 강한 하이브리드 타입의 선수라고 평가받는다. 물론 말이 저렇지 유창현과 최영훈 모두 아이템전과 스피드전도 잘하는 편에 속한다.] 문호준과 강석인이 동시에 빠진 아이템전도 어느정도 커버가 가능해보인다. 다만 박도현이 아이템전에 큰 부담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좋은 실력을 보여주지 못하기에 비시즌 기간동안 많은 연습이 필요로 할 것같다. 알다시피 박도현의 아이템 실력은 그리 뛰어나지 못한 편이고 박도현은 심지어 '''아이템 에이스 강석인'''의 자리를 대신하는 것이기에 느끼는 부담감도 전보다 더 클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박도현은 아이템전에서의 부담감을 극복해내는 멘탈과 센스, 이 두가지는 강하게하게 키워야 할 것이다. 2021 시즌1 한화의 아이템전에서의 큰 변수는 한 시즌을 쉬고 온 유창현이 아니라 박도현의 아이템전 실력이였다. 시즌 전 스크림에서는 삐걱삐걱거리는 모습이 있었지만 시즌이 시작한 후에는 기존의 팬들이 알고있던 실력보다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시즌 초에는 러너형 카트인 [[베히모스 X|베히모스]]와 [[바스테트 X|바스테트]]를 탔으나 아마추어팀 챌린저팀을 만난 이후로는 특수 물차인 [[웨이브 X|웨이브]]와 [[히드라 X|히드라]]를 번갈아 타며 팀물을 치는 듯 적응에 긴 시간이 걸리는 듯 했으나 위기의 순간마다 물로 상대를 묶어내며 적응을 끝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의 최영훈과 배성빈 그리고 유창현까지 고른 활약을 펼치며 꾸준히 아이템전에서 트랙을 가져오고 있다. 2022년 시즌 1 에는 최영훈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배성빈이 데뷔 초에 비해서 아이템 실력이 많이 상승했고, 하이브리드라는 수식까지 붙을 정도이다. 최영훈과 유창현은 리그에서 손꼽히는 최고의 하이브리드이고, 김지민 선수도 블레이즈 이전에(E-STATS) 하이브리드로 뛸 만큼 아이템을 잘했고, 배성빈 까지 아이템을 잘하니 리그 내에서 블레이즈를 뛰어넘을 팀은 없는것으로 보인다. 2022 시즌2 블레이즈의 아이템전에서의 큰 변수는 김다원의 아이템전 실력이다. 단기간에 얼마나 아이템전 실력이 향상되는가에 달렸다. == 팀 복지 == *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는 구단의 소유권은 양보했지만 여전히 팀 운영을 도와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 6월 1일 방송 마지막에 밝힌 내용에 따르면, 선수들의 월급은 한화생명 네이밍 스폰 시절과 동급 내지는 이상으로 지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브이로그 영상은 문호준 감독의 개인 유튜브에 업로드된다. * 승리 라이브는 문호준 트위치에서 방송된다. * 이후 다른 스폰서를 구해 다른 팀명으로 참가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2021-2시즌이 너무 촉박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제대로 타 구단을 알아볼 겨를이 없었다. 수퍼컵까지는 그대로 BLADES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다른 구단과 계약에 성공한다면 2022-1시즌 스토브리그 및 예선전 이전에 문호준이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 2021년 10월 12일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가 e스포츠 팀 운영에서 완전히 손을 뗐기 때문에 팀의 운영권은 문호준에게 완전히 넘어갔다. 이후 2022-1 시즌 시작 전 비시즌 기간에 문호준이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와 계약을 종료한 후 [[샌드박스 네트워크]]로 소속사 이적을 하는 바람에, 라우드 커뮤니케이션즈의 팀 운영 지원 마저도 끊겼다고 밝히면서 팀의 존속이 불투명해졌다. 만약 2022-1 시즌 이후 팀을 인수하거나 지원해주는 구단이 없다면 사실상 해체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될 경우 최영훈 배성빈 유창현 김지민은 자동으로 FA가 된다. * 2월 19일 문호준이 개인 방송을 통해 플래닛을 포함한 기존의 서브 스폰서들 마저 모두 끊겼다고 밝히면서 팀의 존속이 더 불투명해졌다. 22-1시즌의 유니폼은 21 슈퍼컵 당시의 유니폼인 것으로 보인다.[* 아직 희망은 있는 것이, 22년에는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나겠다는 ROX라던가 재정비에 들어갔다던 SGA가 블레이즈를 통째로 인수하면 가능성 있을 것이고, 22년 예선에 탈락했지만 KGA, GP 2팀도 있는 만큼 카트 리그에 관심 있는 스폰서들이 아직 아예 없는 것도 아니다.][* 실제로 우승횟수를 등번호로 썼던 [[유창현]]과 [[최영훈]]은 등번호를 바꾸지 못하고 전 시즌 우승 횟수를 등번호로 달고 있다.] * 2022-1 시즌 우승을 하면서 우승 상금으로 운영비를 충당할 계획으로 보인다. 문호준은 성적이 좋지 않았으면 팀 해체까지 갈 수 있었지만, 우승을 했기 때문에 일단 '''한 시즌은 더 할 수 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7&aid=0000162444|우승 이후 인터뷰]] * DFI 기업에 인수 창단되면서 22시즌 2부터는 DFI 블레이즈로 출전한다. == 우승 기념 카트바디 == ||<-7> [[DFI BLADES/카트라이더|[[파일:blades_logo.png|width=80]]]] || ||<-7> {{{#000 {{{+2 '''2022 시즌 1'''}}}}}} || ||<-7> [[파일:BLADES V1 W4.png|width=20%]] || ||<-7> '''[[BLADES V1 W4|{{{#000 BLADES V1 W4}}}]]''' || == 여담 == * 팀명이 한화생명e스포츠였던 시절 [[한화 이글스]] 야구단과 비교당하는 일이 많았다. 가령 2020년 5월 23일 한화생명이 첫 우승을 하자, 같은 날 NC에게 0:3으로 참패를 당한 [[한화 이글스 갤러리]]에서는 별의 별 드립이 터져나왔다. 21년 만의 우승이라느니[* 한화 이글스의 마지막이자 유일한 우승은 1999년이다.], 문호준이 야구 쪽에서 코치나 감독을 해야한다느니,[* 여담으로 문호준은 [[KIA 타이거즈]]팬 이고 상당한 야빠라고 한다. 어릴 때 부터 야구장을 많이 가서 야구에 대한 애정이 타 구기 종목보다 남다른 듯 하다. 팀 동료들과 팀 매니저와 같이 스크린 야구장에 가서 타율을 .625뽑기도 한거 보면 나름 실력도 좋은 것으로 추정. 본인은 군산에 태어나서 자연스럽게 KIA 타이거즈의 팬이 되었다고 밝혔다.] [[이성열(1984)|이성열]]이나 [[송광민]]에게 카트를 시키자느니...[* --그럴 리 없겠지만 진지빨고 설명하자면-- 문호준 나이쯤에 프로야구팀 코치를 맡은 경우는 전무하며 반대로 한화생명이 우승한 2020-1 시즌에 출전한 최고령 선수는 팀 아이템전만 출전하는 92년생의 [[이은택(프로게이머)|이은택]]일 정도로 프로게이머는 어릴 때 전성기가 오고 그마저도 짧은 편이기에 이성열이나 송광민이 카트 잡고 프로게이머를 도전하기엔 나이가 너무 많다. --아이템전은 뇌지컬이랑 카트바디빨로 하니까 가능하다.--]--나이 들어서 프로게이머는 무리니까 팀 매니저나 운전기사를 시키자는 말도 있었다.-- 게다가 한화생명e스포츠 카트팀이 우승한 날부터 한화 이글스가 18연패에 빠지면서 [[한화 이글스]] 야구단의 팀성적이 역대 최악으로 떨어지자, 한화 이글스의 팬들이 한화생명e스포츠 카트라이더 팀의 팬으로 대규모 이주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카트 인기폭발-- --한화이글스보다 홈런을 잘날린다.-- * 리그 오브 레전드 같은 타 종목에서도 e스포츠와 축구, 야구 같은 구기 종목을 같이 즐기면서 e스포츠 선수의 플레이 스타일과 선수 경력을 구기 종목 선수에 비유하는 팬들이 많은데,[* 예를들어 'Faker' 이상혁은 메시라는 별명이 있다.] 한화생명 카트라이더 팀은 역으로 야구에서 e스포츠로 팬들이 대거 유입되는 조금 특이한 케이스였다. 또한, 한화생명e스포츠 롤팀이 부진하던 시절에는 롤팀에서 카트팀으로 유입되는 팬덤도 있었다.[* 롤팀 야구팀이 한창 부진할 때 카트팀은 매 시즌 결승을 갔었다. 그러니 유입될 수 밖에...] * 야구팀 [[한화 이글스|한화]]나 롤팀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한화]]가 이기고 있으면 카트팀 한화가 지는 징크스가 있었다. 처음에는 다들 그저 드립으로 넘어갔지만 조금씩 맞아 떨어지기 시작하다보니 카트팀 한화팬들은 항상 야구팀과 롤팀이 지고 있는지 이기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 되었다. --[[한화 이글스/2020년|그러나 야구팀은 10번중 단 3번 이겼다]]--[* 심지어 2020년에는 한화생명e스포츠 카트팀이 승리한 경기에서 이글스가 다 지는 일까지 벌어졌다. --유독 수요일과 토요일 승률이 저조했던 이유--] --2020년에 롤팀과 야구팀의 성적이 바닥을 찍어준 덕분에 2020년 2시즌 모두 우승에 성공했다 카더라-- 2021년 들어서 야구팀은 조금씩이나마 세대교체를 추구하고 있고, 롤팀도 파격적인 영입과 플레이 스타일 변화로 성적 반등을 노리고 있는데, 카트라이더 팀의 성적은 과연 어떻게 될지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5월 1일에는 드디어 야구팀 한화 이글스와 카트라이더팀이 모두 승리하였다. 그러나 유창현이 커리어 첫 개인전 우승을 한 5월 8일에는 11:2로 졌다.[* 이후 한화생명e스포츠의 네이밍 스폰이 종료되자 한화 롤팀이 서머에서 귀신같이 야구팀과 같은 행보를 걷게 되었는데 이를 두고 문라인을 함부로 걷어차서 저렇게 되었다는 개드립이 나오게 되었다(...)] * 2020년도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부문 문호준, 최영훈, 박도현, 배성빈 4명이 수상했다. 스타즈는 6명만이 수상할 수 있는데 카트라이더 부문에서 4명이나 들어간 것이다. 게다가 스타즈는 오직 팬들의 투표로 선정하는데 4명 모두 들어갔으니, 한화생명 시절 팬덤의 크기를 잘 알 수 있다. * 문호준의 은퇴식에서 샌드박스게이밍 카트팀은 꽃다발과 선수들의 손편지[* 박인수: 호준이형, 형이랑 저는 항상 적으로만 만나게 되어서 감정 표현을 못했지만 14년동안의 카트생활, 저랑 함께한 모든 순간 멋있으셨어요. 고생많으셨어요. 사랑해요. ❤️][* 김승태: 호준아 안녕, 승태다. 14년동안 힘들었을 너를 생각하니까 뭔가 친구로써 존경스럽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슬프기도 한 것 같아. 은퇴해서도 하고자 하는 일 잘 됐으면 좋겠어. 지금까지 카트라이더를 위해서 열심히 달려줘서 고마워 승태가.] 적힌 은퇴 기념 대형 액자를 선물했다. [[:파일:문호준 은퇴식 선물 1.png|#액자 사진 #1]], [[:파일:문호준 은퇴식 선물2.png|#2]] 액자에는 카트리그 최전성기 시절 역대 야외무대 최다 관중에 둘러싸인 두 선수가 트로피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는 모습을 담았다. 야구 등 스포츠에서 레전드가 은퇴하면 타팀에서 은퇴 기념 대형 액자를 선물해주는 관례가 있는데 샌드박스게이밍이 카트판에서 처음으로 보여줬고 문호준이 처음 받은 것. 문호준은 후에 개인방송에서 팀들중 샌드박스만 선물을 챙겨줬다며 감사하다고 밝혔고 문호준과 한화 팬들의 반응도 되게 좋았다.[* 우스갯소리로 문호준이 은퇴를 너무 화려하게 해버려서 다시는 카트 선수로 복귀하지 못한다는 드립도 있다. 실제로 2021 시즌2에서 박도현이 휴식하여 팀이 폭파 지경에 이르렀을 때 복귀할까 매우 진지하게 고민했지만 일을 너무 크게 벌려서 무리라고 판단했다고 한다..] * 2022 시즌 1를 기준으로 평균 신장이 단신에 속하는 팀이다. 그나마 최영훈은 170중반의 키로 평균 정도에 속하고 2021 시즌 1까지는 180대의 장신인 박도현이 평균 신장을 높여줬지만 이후로 나머지인 유창현, 배성빈과 새로 들어온 김지민이 160 후반에서 170 언저리에 속하다 보니 평균 신장이 굉장히 낮은 팀이 됐지만, 후임으로 교체된 179cm의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이 들어오고 나서 그나마 평균신장이 커졌다. [* 평균이 173cm다. 다른 팀인 샌드박스는 무려 '''평균이 178cm''', 광동 프릭스는 174cm다...현 3강 다 170이 넘으니 괜찮다.] * 22-2 즈음에 새로 들어온 스폰서 DooFuning이라는 이름이 왠지 중국 회사같다며 거부감을 느끼는 반응이 꽤 많다. 벌써부터 "'''뚜어프언잉'''"(...)이라며 놀리는 반응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노이즈 마케팅|이 때문에 기업 홍보효과가 오히려 엄청나졌다.]] 과장 좀 보태서 현 카트리그 시청자 전원에게 '두펀잉'이라는 이름이 단단히 각인되어 있을 정도. * [[2019 KT 5G 멀티뷰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2019 시즌2]]부터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2022 시즌1]]까지 결승전 진출에 성공하면서, 舊 한화생명 시절까지 포함해 '''7시즌 연속 결승 진출 성공''' 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대전 레이싱챌린지 포함하면 '''8연속 결승 진출 성공''' 이라는 대기록을 새웠다.] 이로인해 인기몰이 중이며 동시에 [[유영혁]], [[이은택(프로게이머)|이은택]]의 팀[*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에볼루션|에볼루션]]의 Team106,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버닝 타임|버닝타임]]의 유베이스 알스타즈,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듀얼 레이스|듀얼레이스]]의 원 레이싱,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듀얼 레이스 시즌 2|듀레2]]의 제닉스 스톰,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듀얼 레이스 시즌 3|듀레3]]의 펜타 제닉스, [[넥슨 2019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2019 시즌1]]의 Flame.]이 '''6시즌 연속''' 결승 진출한 기록을 넘어섰다. 2022 시즌2 결승 진출 실패해서 7연속 에서 멈췄다.[* 대전레이싱챌린지 포함하면 8연속 에서 멈췄다.] * 어째 나이, 경력, 수상 횟수 등을 봤을 때 서열 순서가 똑같은 팀이다. [* 나이, 경력, 수상횟수: 문호준(감독) > 최영훈(주장) > 유창현 > 배성빈 > 김다원. 유창현이 배성빈보다 생일이 8개월 더 빠르다...] * 감독인 문호준을 포함해서 유창현, 최영훈, 배성빈, 김다원 5명 전원이 트위치 제휴~파트너 스트리머인 팀이다.[* 문감독, 유창현, 배성빈, 최영훈은 파트너 스트리머. 김다원은 아직 제휴 스트리머 단계지만, 아직 트위치 방송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되었기에 선수를 하면서, 방송을 꾸준히 하고 있는 점을 보면 파트너 단계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아직 04년생 미성년자이기에, 학업도 병행하기에 파트너는 성인이 되어서 달 가능성이 크다. ] * 대전레이싱챌린지에서 샌드박스를 꺾고 우승하였다. * 역대 모든 프로팀 중 결승전에 가장 많이 진출하고 입상을 많이한 팀이다. *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2020 시즌2]]부터 매 시즌 개인전 온라인/오프라인 예선마다 팀원 중 최소 1명은 오후조까지 가서 본선에 진출한다는 징크스가 존재한다.[* 20-2 최영훈 / 21-1 박도현 / 21-2 김지민 / 22-1 배성빈 / 22-2 유창현] * 신기하게도 팀원 배성빈/유창현/최영훈은 유지되고 박도현, 김지민, 김다원 순으로 선수가 교체되면서 한화생명e스포츠, BLADES, DFI BLADES 순으로 팀명도 바뀌는 중이다.[* 또한 교체된 선수들이 해당 팀에서 2연속 팀전 우승이라는 점도 같다. --김다원은 2연속 우승을 하지 못하는한 이 팀에 귀속된다--] * 감독 포함 팀원 5명 중 최영훈을 제외한 4명이 모두 클럽 뻔뻔스의 소속이기때문에 팬들은 농담으로 뻔뻔스 블레이즈라고 부르기도 한다. * 프로팀 최초 에이스 결정전 통산 20승을 기록했다.[* 8강 21경기 Liiv SANDBOX전에서 달성] * 21-2 Liiv SANDBOX 이후 1년만에 8강 풀리그 전승 및 19-2 프로화 이후 역대 3번째 8강 풀리그 스피드전 무실세트를 달성했다.[* 최초 및 두 번째는 20-1의 SANDBOX GAMING, 21-2의 Liiv SANDBOX] * 2022년 10월 21일에 [[광주이스포츠경기장]]에 방문하여 토크쇼를 가졌다. == 역대 로스터 == [include(틀:DFI BLADES/카트라이더/역대 로스터)] === 로스터 연혁 === ||<-6> '''{{{#fff 로스터 연혁}}}''' || || '''이름''' || '''포지션'''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 팀''' || || [[이은택(프로게이머)|{{{#000000,#e5e5e5 이은택}}}]] || ITEM ACE || [[Flame(게임단)|[[파일:플레임 로고.png|width=20]]]] [[Flame(게임단)|{{{#black,#orange Flame}}}]] ||<|7> 2019 - 2[br],,2019년 6월 4일,, || 2020 - 1[* [[https://kart.nexon.com/board/150994961/27|#]] 21경기부터 결승전까지 모든 경기 불참][br],,2020년 6월 11일,, ||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height=20]]]]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black,#orange Afreeca Freecs}}}]] || || 윤영재 || HEAD COACH || - ||<|2> 2020 - 2[br],,2020년 12월 17일,, || 은퇴[* 감독 은퇴 및 매니저 본업 복귀] || ||<|2> [[문호준|{{{#000000,#e5e5e5 '''문호준'''}}}]] || SPEED ACE ||<|2> [[Flame(게임단)|[[파일:플레임 로고.png|width=20]]]] [[Flame(게임단)|{{{#black,#orange Flame}}}]] || 은퇴[* 프로게이머 은퇴 및 2021 - 1 감독 취임] || || HEAD COACH || 2022 - SC[br],,2023년 1월 7일,, || [[Sensation(게임단)|[[파일:KDL_Sensation.png|width=20]]]] [[Sensation(게임단)|{{{#black,#orange Sensation}}}]][br]{{{-3 (KDL)}}}[* 프로게이머 복귀 및 해당 팀 이적] || || [[박도현(2001)|{{{#000000,#e5e5e5 박도현}}}]] || SWEEPER ||<|2> - || 2021 - 1[br],,2021년 5월 25일,, || 잠정 은퇴 || || [[배성빈|{{{#000000,#e5e5e5 '''배성빈'''}}}]] || HYBRID ||<|2> 2022 - SC[br],, 2022년 1월 7일,,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width=20]]]]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 드리프트|{{{#black,#orange Kwangdong Freecs}}}]][br]{{{-3 (KDL)}}} || || [[최영훈|{{{#000000,#e5e5e5 '''최영훈'''}}}]] || SWEEPER || [[Flame(게임단)|[[파일:플레임 로고.png|width=20]]]][[Flame(게임단)|{{{#black,#orange Flame}}}]] || [[Sensation(게임단)|[[파일:KDL_Sensation.png|width=20]]]] [[Sensation(게임단)|{{{#black,#orange Sensation}}}]][br]{{{-3 (KDL)}}} || || [[강석인|{{{#000000,#e5e5e5 강석인}}}]] || ITEM ACE ||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height=20]]]]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black,#orange Afreeca Freecs}}}]] || 2020 - 2[br],,2020년 6월 15일,, || 2020 - 2[br],,2020년 12월 9일,, || [[ROX/카트라이더|[[파일:ROX-Gaming-logo.png|width=25]]]] [[ROX/카트라이더|{{{#black,#orange ROX}}}]] || || [[유창현(프로게이머)|{{{#000000,#e5e5e5 '''유창현'''}}}]] || SPEED ACE ||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height=20]]]]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black,#orange SANDBOX Gaming}}}]][br]{{{-3 (2020 - 1)}}}[* 휴식 이전 해당 팀 소속] || 2021 - 1[br],,2020년 12월 9일,, || 2022 - SC[br],, 2022년 1월 7일,,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width=20]]]]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 드리프트|{{{#black,#orange Kwangdong Freecs}}}]][br]{{{-3 (KDL)}}} || || [[김지민(프로게이머)|{{{#000000,#e5e5e5 김지민}}}]] || MIDDLE || [[E-STATS Esports/카트라이더|[[파일:est2021.png|width=20]]]] [[E-STATS Esports/카트라이더|{{{#black,#orange E-STATS Esports}}}]] || 2021 - 2[br],,2021년 6월 1일,, || 2022 - 1[br],,2022년 5월 28일,, || [[On-Off|[[파일:2022-S On-Off.png|width=20]]]] [[On-Off|{{{#black,#orange On-Off}}}]] || || [[김다원(프로게이머)|{{{#000000,#e5e5e5 '''김다원'''}}}]] || MIDDLE || [[AxelZ|[[파일:AxelZ Logo.png|width=20]]]] [[AxelZ|{{{#black,#orange AxelZ}}}]] || 2022 - 2[br],,2022년 6월 19일,, || 2022 - SC[br],,2023년 1월 7일,, || [[AURA(게임단)|[[파일:KDL_Aura.png|width=20]]]] [[AURA(게임단)|{{{#black,#orange Aura}}}]][br]{{{-3 (KDL)}}} || ||<|2>
[[BLADES|[[파일:DFI BLADES_logo.png|width=55]]]] ||<-4><:>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FFFFFF Hanwha Life Esports}}}]]''' ||<:><-3> '''[[BLADES|{{{#fff BLADES}}}]]''' ||<-2> '''[[DFI BLADES/카트라이더|{{{#fff DFI BLADES}}}]]''' || || '''{{{#white 19-2}}}''' || '''{{{#white 20-1}}}''' || '''{{{#white 20-2}}}''' || '''{{{#white 21-1}}}''' || '''{{{#white 21-2}}}''' || '''{{{#white 21-S}}}''' || '''{{{#white 22-1}}}''' || '''{{{#white 22-2}}}''' || '''{{{#white 22-S}}}''' || ||<:> {{{#fff '''SPEED ACE'''}}} ||<-3><:> [[문호준|{{{#000 문호준}}}]] ||<:> [[유창현|{{{#000 유창현}}}]] ||<:><-2> ||<:> [[유창현|{{{#000 유창현}}}]] ||<:> ||<:> [[유창현|{{{#000 유창현}}}]] || ||<:> {{{#fff '''RUNNER'''}}} ||<-6><:> [[배성빈|{{{#000 배성빈}}}]] ||<:> ||<-2><:> [[배성빈|{{{#000 배성빈}}}]] || ||<:> {{{#fff '''MIDDLE'''}}} ||<-4><:> [[박도현(2001)|{{{#000 박도현}}}]] ||<-3> [[김지민(프로게이머)|{{{#000 김지민}}}]] ||<-2> [[김다원(프로게이머)|{{{#000 김다원}}}]] || ||<:> {{{#fff '''SWEEPER'''}}} ||<-4><:> ||<-5><:> [[최영훈|{{{#000 최영훈}}}]] || ||<:> {{{#fff '''HYBRID'''}}} ||<-4><:> [[최영훈|{{{#000 최영훈}}}]] ||<-2><:> [[유창현|{{{#000 유창현}}}]] ||<:> [[배성빈|{{{#000 배성빈}}}]] ||<:> [[유창현|{{{#000 유창현}}}]] ||<:> || ||<:> '''{{{#fff ITEM ACE}}}''' ||<-2> [[이은택(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000 이은택}}}]] || [[강석인|{{{#000 강석인}}}]] ||<:> ||<-3> ||<-2><:> || ||<:> {{{#fff '''HEAD COACH'''}}} ||<-3><:> {{{#000 윤영재}}} ||<-6><:> [[문호준|{{{#000 문호준}}}]] || == 역대 성적 == === 팀전 === ||<-6> [[DFI BLADES|[[파일:DFI BLADES_logo.png|height=50]]]] || || 기간 ||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팀 || 획득 상금 || || 2019.11.09 || 준우승 || '''[[2019 KT 5G 멀티뷰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19 KT 5G 멀티뷰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 결승 0:2 패 ||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height=20]]]]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white '''SANDBOX Gaming'''}}}]] || ₩ 26,000,000 || || 2020.05.23 ||<|2> {{{#000 '''우승'''}}}[br]'''{{{★★}}}''' ||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0 SKT JUMP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 결승 2:1 승 || [[ROX/카트라이더|[[파일:ROX-Gaming-logo.png|width=25]]]] [[ROX/카트라이더|{{{#white '''ROX'''}}}]] || ₩ 40,000,000 || || 2020.11.08 ||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20 SKT 5GX JUMP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 결승 2:0 승 || [[ROX/카트라이더|[[파일:ROX-Gaming-logo.png|width=25]]]] [[ROX/카트라이더|{{{#white '''성남 ROX'''}}}]] || ₩ 40,000,000 || || 2021.05.15 || {{{#000 준우승}}}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1 신한은행 Hey Young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 결승 0:2 패 ||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파일:SANDBOX_Gaming_2020.png|width=20]]]]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white SANDBOX Gaming}}}]]''' || ₩ 20,000,000 || || 2021.10.09 || {{{#000 준우승}}}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21 신한은행 Hey Young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 결승 0:2 패 ||<|2>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Liiv SANDBOX/카트라이더|{{{#000 Liiv SANDBOX}}}]]''' || ₩40,000,000 || || 2021.12.18 ||<|2> {{{#000 '''우승'''}}}[br]'''{{{★★}}}[br]{{{★★}}}'''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fff '''2021 신한은행 Hey Young [br]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 결승 2:0 승 || ₩100,000,000 || || 2022.05.07 ||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2 신한은행 Hey Young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 결승 2:0 승 ,,{{{#!folding [ 상세 결과 ] 1Phase 2:1 승[br]2Phase 2:0 승}}},, ||<|3>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width=20]] {{{#WHITE '''KWANGDONG FREECS'''}}}]] || ₩100,000,000 || || 2022.09.28 ||<|2> '''3위''' ||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22 신한은행 Hey Young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 플레이오프 1:2 패,,{{{#!folding [ 상세 결과 ] SPEED 3:4 패배[br]ITEM 4:0 승리[br]ACE 유창현 패배}}},, ||<|2> ₩20,000,000 || || 2022.12.03 ||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ffffff 2022 신한은행 SOL [br]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 플레이오프 1:2 패,,{{{#!folding [ 상세 결과 ] SPEED 4:3 승[br]ITEM 2:4 패[br]ACE 김다원 패}}},, || === 개인전 === ||<-7> [[DFI BLADES|[[파일:DFI BLADES_logo.png|height=50]]]] || || 기간 || 선수 || 순위 || 대회 || 결과 || 비고 || 획득 상금 || || 2019.11.9 || 박도현 || '''준우승''' ||<|4> '''[[2019 KT 5G 멀티뷰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19 KT 5G 멀티뷰[br]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 결승전 1R 1위[br]결승전 2R 패배 || 82점 [br] '''1''' : 3 [*LJH VS 이재혁] || ₩3,000,000 || || 2019.11.9 || 배성빈 || '''3위''' || 결승전 1R 3위 || 61점 || ₩1,000,000 || || 2019.11.9 || 문호준 || 4위 || 결승전 1R 4위 || 60점 || - || || 2019.11.2 || 최영훈 || 10위 || 16강 최종전 6위 || 17점 || - || || 2020.5.23 || 문호준 || '''우승[br]{{{+2 ✪}}}''' ||<|4>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0 SKT JUMP[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 결승전 1R 1위[br]결승전 2R 승리 || 89점[br]'''3''' : 2 [*YCH VS 유창현] || ₩5,000,000 || || 2020.5.20 || 박도현 || 9위 || 16강 최종전 5위 || 30점 || - || || 2020.5.20 || 배성빈 || 10위 || 16강 최종전 6위 || 21점 || - || || 2020.5.16 || 최영훈 || 13위 || 16강 패자전 5위 || 20점 || - || || 2020.11.8 || 최영훈 || 4위 ||<|3>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20 SKT 5GX JUMP[br]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 결승전 1R 4위 || 43점 || - || || 2020.10.17 || 배성빈 || 13위 || 16강 패자전 5위 || 34점 || - || || 2020.9.19 || 박도현 || 17위 || 32강 부활전 5위 || 30점 || - || || 2021.5.8 || 유창현 || '''우승[br]{{{★}}}''' ||<|4>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1 신한은행 Hey Young[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 결승전 1R 1위[br]결승전 2R 승리 || 82점[br] '''3''' : 2 [*PIS VS 박인수] || ₩5,000,000 || || 2021.5.8 || 최영훈 || 공동 6위 || 결승전 1R 6위 || 49점 || - || || 2021.5.1 || 배성빈 || 11위 || 16강 최종전 7위 || 14점 || - || || 2021.4.28 || 박도현 || 14위 || 16강 패자전 6위 || 24점 || - || ||<|3> 2021.10.09 || 유창현 || '''준우승''' ||<|4>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21 신한은행 Hey Young[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 결승전 1R 2위 [br] 결승전 2R 패배 || 67점 [br] '''1''' : 3 [*LJH] || ₩5,000,000 || || 김지민 || 7위 || 결승전 1R 7위 || 43점 || ₩200,000 || || 배성빈 || 8위 || 결승전 1R 8위 || 38점 || ₩200,000 || || 2021.09.25 || 최영훈 || 13위 || 16강 패자전 5위 || 33점 || - || ||<|3> 2021.12.18 || 배성빈 || '''3위''' ||<|4>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fff '''2021 신한은행 Hey Young [br]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 결승전 1R 3위 || 66점 || ₩1,000,000 || || 유창현 || 5위 || 결승전 1R 5위 || 56점[* 점수는 송용준과 동률이나, 마지막 트랙 순위에서 송용준보다 늦게 들어옴] || ₩500,000 || || 김지민 || 8위 || 결승전 1R 8위 || 46점 || ₩500,000 || || 2021.12.08 || 최영훈 || 12위 || 16강 최종전 8위 || 1점 || - || || 2022.04.30 || 배성빈 || 8위 ||<|3>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2 신한은행 Hey Young [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 결승전 8위 || 39점 || ₩200,000 || || 2022.04.23 || 유창현 || 10위 || 16강 최종전 6위 || 33점 || - || || 2022.03.26 || 최영훈 || 17위 || 32강 패자부활전 5위 || 30점 || - || ||<|2> 2022.10.01 || 유창현 || 3위 ||<|4>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22 신한은행 Hey Young[br]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 결승전 3위 || 65점[* SET 1 TIE-BREAK 패배(vs 이재혁)] || ₩ 3,000,000 || || 배성빈 || 7위 || 결승전 7위 || 41점 || ₩ 200,000 || || 2022.09.24 || 김다원 || 12위 || 16강 최종전 8위 || 20점 || - || || 2022.08.06 || 최영훈 || 24위 || 32강 C조 || 22점 || - || ||<|2> 2022.12.10 || 김다원 || 5위 ||<|3>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ffffff 2022 신한은행 SOL[br]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 결승전 1R 5위 || 56점 || ₩500,000 || || 유창현 || 6위 || 결승전 1R 6위 || 54점 || ₩500,000 || || 2022.11.26 || 배성빈 || 13위 || 16강 패자부활전 5위 || 27점 || || == 역대 에이스 결정전 전적 == || '''{{{#fff 대회}}}''' || '''{{{#fff 경기}}}''' || '''{{{#fff 트랙}}}''' || '''{{{#fff 출전 선수}}}''' || '''{{{#fff 카트바디}}}''' ||<-2> '''{{{#fff VS}}}''' || '''{{{#fff 결과}}}''' || ||<|3>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0-1}}}''']] || 8강 풀리그 12경기 ||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 || [[문호준]] || [[황금기사 X]] || [[임재원(프로게이머)|임재원]] || [[파일:카트라이더 FirstA.png|width=20]] {{{#white First A}}} || {{{#white '''승'''}}} || || 4강 풀리그 6경기 ||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 || [[문호준]] || [[파라곤 X]] || [[이재혁]] ||<|2> [[ROX/카트라이더|[[파일:ROX-Gaming-logo.png|width=25]]{{{#white ROX}}}]] || {{{#white '''승'''}}} || || 결승전 || 광산 아슬아슬 궤도 전차 || [[문호준]] || [[파라곤 X]] || [[이재혁]] || {{{#white '''승'''}}} || ||<|5>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20-2}}}''']] || 8강 풀리그 5경기 || 팩토리 두 개의 공장 || [[배성빈]] || [[파라곤 X]] || [[유영혁]] ||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height=20]] {{{#white Afreeca Freecs}}}]] || {{{#white '''승'''}}} || || 8강 풀리그 12경기 || 황금문명 비밀장치의 위협 || [[배성빈]] || [[파라곤 X]] || [[홍희권]] || [[SGA e스포츠/카트라이더|[[파일:SGA로고.png|height=20]]]] [[SGAe스포츠/카트라이더|{{{#white SGA eSPORTS}}}]] || {{{#white '''승'''}}} || || 8강 풀리그 28경기 || 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 [[배성빈]] || [[파라곤 X]] || [[이재혁]] || [[ROX/카트라이더|[[파일:ROX-Gaming-logo.png|width=25]]{{{#white Seongnam ROX}}}]] || {{{#white '''패'''}}} || || 준플레이오프 ||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 || [[문호준]] || [[파라곤 X]] || [[김기수(프로게이머)|김기수]] ||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height=20]] {{{#white Afreeca Freecs}}}]] || {{{#white '''승'''}}} || || 플레이오프 || 카멜롯 외곽 순찰로 || [[문호준]] || [[파라곤 X]] || [[박인수]] ||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height=20]] {{{#white SANDBOX Gaming}}}]] || {{{#white '''승'''}}} || ||<|4>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1-1}}}''']] || 8강 풀리그 6경기 || 도검 구름의 협곡 || [[배성빈]] || [[흰 소 X]] || [[이재혁]] || [[ROX/카트라이더|[[파일:ROX-Gaming-logo.png|width=25]]{{{#white ROX}}}]] || {{{#white '''승'''}}} || || 8강 풀리그 11경기 || 빌리지 운명의 다리 || [[배성빈]] || [[흰 소 X]] || [[박인수]] ||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파일:SANDBOX_Gaming_2020.png|width=20]] {{{#white SANDBOX Gaming}}}]] || {{{#white '''승'''}}} || || 8강 풀리그 22경기 || 해적 상어섬의 비밀 || [[배성빈]] || [[흰 소 X]] || [[임재원(프로게이머)|임재원]] || [[E-STATS Esports/카트라이더|[[파일:est2021.png|width=20]] {{{#white E-STATS Esports}}}]] || {{{#white '''승'''}}} || || 결승진출전 || 올림포스 제우스 시티 || [[유창현]] || [[골든 스톰 블레이드 X]] || [[박인수]] ||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파일:SANDBOX_Gaming_2020.png|width=20]] {{{#white SANDBOX Gaming}}}]] || {{{#white '''승'''}}} || ||<|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21-2}}}''']] || 8강 풀리그 18경기 || 붐힐 드라이브 || [[배성빈]] || [[블랙 코튼 V1]] || [[김주영(프로게이머)|김주영]] || [[SGA 인천/카트라이더|[[파일:SGA Inchon.png|width=20]] {{{#white SGA Incheon}}}]] || {{{#white '''승'''}}} || || 8강 풀리그 21경기 || 어비스 숨겨진 바닷길 || [[배성빈]] || [[썬더 버스트 V1]] || [[유영혁]] ||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파일:Afreeca_Freecs_white.png|height=15]] {{{#white Afreeca Freecs}}}]] || {{{#white '''승'''}}} || ||<|2>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ffffff 2021-SC}}}''']] || 8강 B조 1경기 || 해적 상어섬의 비밀 || [[유창현]] || [[파이어 마라톤 V1]] || [[이재혁]] || [[NTC CREATORS/카트라이더|[[파일:NTC_icon.png|width=20]] {{{#white NTC CREATORS}}}]] || {{{#white '''승'''}}} || || 8강 B조 5경기 || 월드 두바이 다운타운 || [[배성빈]] || [[나이트 세이버 V1]] || [[노준현]] ||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파일:Afreeca_Freecs_white.png|height=15]] {{{#white Afreeca Freecs}}}]] || {{{#white '''패'''}}} || ||<|6>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22-1}}}''']] || 8강 풀리그 3경기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김지민(프로게이머)|김지민]] || [[폭스 V1]] || 안정환 || [[AxelZ|[[파일:AxelZ Logo.png|width=20]] {{{#white AxelZ}}}]] || {{{#white '''승'''}}} || || 8강 풀리그 14경기 || 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 || [[배성빈]] || [[폭스 V1]] || [[노준현]]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width=20]] {{{#WHITE KWANGDONG FREECS}}}]] || {{{#white '''패'''}}} || || 8강 풀리그 21경기 || 팩토리 부비트랩 공장 탐험 || [[유창현]] || [[폭스 V1]] || [[박현수]]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black Liiv SANDBOX}}}]] || {{{#white '''승'''}}} || || 결승진출전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유창현]] || [[폭스 V1]] || [[이재혁]]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width=20]] {{{#WHITE KWANGDONG FREECS}}}]] || {{{#white '''패'''}}} || || 플레이오프 || 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 || [[유창현]] || [[그믐 산군 V1]] || [[박인수]]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black Liiv SANDBOX}}}]] || {{{#white '''승'''}}} || || 결승전 PHASE 1 || 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 [[유창현]] || [[그믐 산군 V1]] || [[이재혁]] ||<|2>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width=20]] {{{#WHITE KWANGDONG FREECS}}}]] || {{{#white '''승'''}}} || ||<|4>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ffffff 2022-2}}}''']] || 8강 풀리그 18경기 || 노르테유 스카이웨이 || [[배성빈]] || [[그믐 산군 V1]] ||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송용준]] || {{{#white '''승'''}}} || || 8강 풀리그 21경기 || 올림포스 하늘의 신전 ||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 || [[플라즈마 V1]] || [[박현수]] ||<|2>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black Liiv SANDBOX}}}]] || {{{#white '''승'''}}} || || 결승진출전 || 노르테유 스카이웨이 || [[배성빈]] || [[그믐 산군 V1]] || [[박인수]] || {{{#white '''패'''}}} || || 플레이오프 || 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 || [[유창현]] || [[플라즈마 V1]] || [[노준현]] ||<|2>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width=20]] {{{#WHITE KWANGDONG FREECS}}}]] || {{{#white '''패'''}}} || ||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ffffff 2022-SC}}}''']] || 플레이오프 ||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 ||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 || [[그믐 산군 V1]] || [[노준현]] || {{{#white '''패'''}}} || ||<-8> '''통산 27전 20승 7패 승률 74.1%''' || == 둘러보기 == [include(틀:DFI BLADES/카트라이더)] [include(틀:카트라이더 리그/역대 팀전 우승)] [include(틀:2019 시즌2 카트리그 참가 팀)] [include(틀:2020 시즌1 카트리그 참가 팀)] [include(틀:2020 시즌2 카트리그 참가 팀)] [include(틀:2021 시즌1 카트리그 참가 팀)] [include(틀:2021 시즌2 카트리그 참가 팀)] [include(틀:2021 수퍼컵 카트리그 참가 팀)] [include(틀:2022 시즌1 카트리그 참가 팀)] [include(틀:2022 시즌2 카트리그 참가 팀)] [include(틀:2022 수퍼컵 카트리그 참가 팀)] [[분류:DFI BLADES]][[분류:카트라이더/e스포츠팀]][[분류:해체된 e스포츠 팀]][[분류:2019년 창단]][[분류:2023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