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기업개요 || ||<-2> [[파일:127137_129371_353.png|width=300]] || || 정식명칭 ||디아이동일 주식회사 || || 영문명칭 ||DI Dongil Co., Ltd || || 설립일 ||[[1955년]] [[8월 5일]] || || 업종명 ||그 외 기타 특정 상품 중개업 || || 대표이사 ||김인환, 서태원 ||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6 (대치동) || || 상장여부 ||상장기업 || || 기업규모 ||'''중견기업''' || ||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1964년]] ~ 현재) || || 종목코드 ||001530 || || 자본금 ||121억원 ^^(2019)^^ || || 매출액 ||3,034억 5천만원 ^^(2019)^^ || || 영업이익 ||10억 3천만원 ^^(2019)^^ || || 당기순이익 ||73억 2천만원 ^^(2019)^^ || || 직원 수 ||286명 ^^(2020.03.31)^^ || ||<-2> [[http://www.dong-il.com/|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일그룹]] 계열 방직업체로, 인천지역이 기반이다. == 역사 == 1955년 8월에 정헌 서정익 창업주가 귀속재산 동양방적공사(구 도요방적 인천공장)를 불하받아 '동양방직'으로 창립했다. 1960년 [[경성방직]] 등과 공동으로 중양염색가공 설립에 투자하고 1964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으며, 1966년에 '동일방직'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1969년에 안양공장을 설립했다. 1972년 일본 오사카에 첫 해외지사를 세우고 1976년 첫 자회사 동일심지를 세운 뒤, 1979년 부설여자중학교를 세워 자체인력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당시 다른 기업들이 그렇듯, 동일방직 역시 장시간 노동, 저임금 등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1976년과 1978년에는 노동투쟁이 있기도 했고, 이중 1978년에는 어용노조를 이용한 '''[[동일방직 똥물 사건]]'''이라는 노동[[탄압]] 겸 기업범죄를 저질러 회사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변한 바 있다. 1985년 충북 청주공장을 세우고 1991년 인도네시아에 첫 현지법인을 세운 후, 1995년 장항공장을 세웠다. 그러나 섬유시장 사양화로 인해 국내 사업장을 정리하고 설비를 해외법인에 이전하는가 하면, 2016년 동일산자 및 동일Y&K, 2018년에 디아이알을 각각 합병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21년 여러 자회사 중 동일알루미늄이 세계 1위 전기자동차 알류미늄박 생산회사로 부각을 받으면서 한층 더 주목을 받고 있다.[[https://www.biz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844|#뉴스기사]] == 사가 == 작사는 주요한, 작곡은 현제명이 맡았다. ||(1절)흰 눈같은 목화꽃은 우리의 마음 / 뻗어나는 삼대처럼 올바른 기상 무궁화 동산 위에 넘쳐흘러라 / 우리들은 이 나라 일꾼이로다 (후렴)피어라 뭉게뭉게 부피도 있게 / 풀려라 솔솔 거침이 없게 감겨라 엮이어라 탄탄도 하게 / 한 뜻으로 배우나니 우리의 동방 (2절)따끝까지 지펴져가는 우리의 솜씨 / 튼튼하게 아름답게 보내는 정성 만나라 백성들을 즐겁게하자 / 우리들은 조국의 산업용사다 || == 역대 임원 == * 회장 * 서민석 (2019~ ) * 대표이사 회장 * 서민석 (1991~2019) * 대표이사 사장 * 서정익 (1955~1973) * 정종화 (1973~1978) * 서민석 (1978~1991) * 조남혁 (1994~2002) * 이항평 (2002~2008) * 김경연 (2008~2010) * 김인환 (2017~ ) * 대표이사 부사장 * 김인환 (2012~2017) * 서태원 (2019~ ) * 대표이사 전무 * 김인환 (2010~2012) == 관련 항목 == * [[동일방직 똥물 사건]] [[분류:대한민국의 섬유 회사]][[분류:1955년 기업]][[분류:동일그룹]][[분류:코스피상장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