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3 [[|[[파일:DUSTCELL 1.pn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misumi x ema.png|width=100%]]}}} || ||<-3> '''Misumi''' | '''EMA''' || ||<-2> '''활동 개시일''' ||2019년 10월 11일 || ||<-2> '''레이블''' ||[[KAMITSUBAKI STUDIO]] || ||<-2> '''링크''' ||[[https://twitter.com/DUST_CELL|[[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https://www.youtube.com/c/DUSTCEL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tiktok.com/@dust_cell?|[[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4]]]] [[https://space.bilibili.com/488979186/|[[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4]]]] [[https://www.weibo.com/u/7360051745|[[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음악 유닛. [[VOCALOID 프로듀서]] Misumi와 [[우타이테]] EMA로 구성된 2인조 유닛이다. 결성 후 1주일 뒤인 10월 18일 출범한 [[KAMITSUBAKI STUDIO]]의 창립 멤버다. DUSTCELL이라는 유닛명은 EMA가 지은 것으로, "자신은 자기 자신에 자신이 없는 사람이지만 그런 스스로라도 음악을 통해 리스너의 '세포'가 되고자 하는 바램으로 지었다"고 밝혔다. Misumi에 대해선 어디에도 없는 작명인 셈이지만 본인도 단순한 어조가 좋다고 생각해 마음에 든다고. == 멤버 == 자세한 소개에 도움이 되는 인터뷰 [[https://mag.digle.tokyo/interview/bigup/80591/3|혜성처럼 등장한 DUSTCELL, 그 아름다움의 원류를 살피다 BIG UP! Stars #33]] 참조. === Misumi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Misumi.jpg|width=100%]]}}} || || || || [[https://twitter.com/zeitm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 [[https://www.instagram.com/zeitm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nicovideo.jp/user/45395036|[[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youtube.com/channel/UC8c-dBnOuvKsoxSOUihQi0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VOCALOID]] 프로듀서 출신, 작곡 담당. 주로 [[v flower]]와 [[하츠네 미쿠]]를 사용했다. "반중력의 도시", [[도로시(VOCALOID 오리지널 곡)|도로시]], "미친 짐승", [[얼터 에고(VOCALOID 오리지널 곡)|얼터 에고]] 등으로 나름 이름을 알리던 중 DUSTCELL을 결성하며 VOCALOID 판을 이탈하는 듯 했으나, 2021년부터는 [[칸자키 이오리|동료]] [[Guiano|프로]][[오누마 파슬리|듀서]]들과는 반대로 VOCALOID 곡을 투고하기도 하는 편이다.[* Guiano나 오누마 파슬리는 [[카후(CeVIO)|카후]]로 피처링한 곡들을 투고하는 한편 Misumi는 어째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DUSTCELL 활동 도중 일부 동인 앨범과 곡들의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했다. 이유는 불명. 보컬로이드 프로듀서 이전엔 밴드를 했던 경력도 있지만 잘 되진 않았고, 프로듀서 활동을 거쳐 다시금 라이브 무대에 뛰는 것에 대해 보상받는 듯한 느낌이었다고 한다. 하다보니 라이브 공연 중독이 됐는지 자주 라이브하고 싶다고 노래부르는 편. 본인의 음악적 뿌리는 [[우타다 히카루]]라고 하며, "굉장히 멋있고 도전적인 음악을 하면서 많은 이들에 마음에 닿는 노래"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밝혔다. 그 외엔 [[K-POP]]에 꽤 흥미가 있어서 일본 음악과 서양 팝의 좋은 점을 따온 듯한 좋은 소리와 구성 · 전개등에서 자극받는 부분이 있다는 소감을 밝혔다. 랩 또한 좋아해 [[KOHH]]나 tohji 등의 영향을 받는다고. === EM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EMA.jpg|width=100%]]}}} || || || || [[https://twitter.com/eumza1|[[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 [[https://www.instagram.com/301y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youtube.com/channel/UCkE97czy6qsA2e_4EHOK9B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작사, 보컬, 부분적으로 작곡도 참여한다. 이전에는 [[https://www.youtube.com/channel/UCyqaJxeEZLd7AfebCpxu06g|rei sirose]] 명의의 우타이테로 활동하였는데, 이와 관련해 DUSTCELL의 초기에 이런저런 잡음과 EMA에 대한 비난 등이 있었다. 이에 대해선 총괄 프로듀서 [[https://twitter.com/PIEDPIPER2045/status/1186219381350522887|PIEDPIPER]]와 [[https://twitter.com/eumza1/status/1186221096577585152|EMA 본인]]의 성명문 참조.[* 간단히 요약하자면 KAMITSUBAKI STUDIO가 출범하기 이전, 프로듀서의 오랜 지인이었던 Misumi가 합류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Misumi의 "버츄얼 유튜버를 하는 지인이 은퇴 할 예정인데 재능 있는 사람이니 만나보라"는 권유에 EMA와 만나 상담하고, 은퇴 후에도 음악을 할 의향이 있던 EMA는 Misumi와 유닛 구상을 하게 되지만, 당시로서는 EMA가 회사와 원만한 결별을 하기 전이라 원만하게 기존 회사가 결별한 후에 본격적으로 카미츠바키에서 지원했다는 내용. 다만 당시에 EMA가 모든 활동내역을 정리해버린 상태여서 팬들의 오해를 부른 일이라 할 수 있다. KAMITSUBAKI STUDIO가 다른 MCN에서 멀쩡히 활동하던 EMA를 빼온게 아닌 그녀의 의지로 온 것이며, 당사 입장에선 물의를 일으키면서까지 빼돌려오는 건 아무 메리트도 없고, 그저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끼리 만났다'는 것이라 표현했다.] 그러나 별 효과는 없었던 듯, 2022년 시점에서도 그녀를 향한 원색적인 비난이 많았는지 카미츠바키 측에선 재차 이와 관련한 비난에 대해선 강경한 대처를 진행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Misumi와 마찬가지로 K-POP에 관심있는지 종종 리트윗하기도 하며 [[방탄소년단]]과 [[BLACKPINK]]를 꼽으며 그들같은 요소들을 도입하고자 한다고. 일본 내 가수로는 마찬가지로 우타다 히카루나 [[amazarashi]]등의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이렇듯 Misumi와 음악 취향이 비슷한 덕인지 작업이 수월하다는 말은 덤. == 활동 == 이전부터 각자 VOCALOID 프로듀서와 우타이테로서의 이름을 알리던 두 사람은 2019년 10월 11일 결성 안내와 동시에 [[CULT]]를 투고, 3주만에 100만 조회수를 돌파한다. 이후 "STIGMA", "LAZY" 등의 곡을 발표하며 활동한다. 2020년 5월 8일, [[https://twitter.com/DUST_CELL/status/1258696258157342720|구독자 10만명을 돌파]]해 [[실버 버튼]]을 받았다. 이후 5월 20일에 1번째 앨범 "SUMMIT"을 발매, [[iTunes]] 앨범 종합 랭킹 2위에 오르고 동명의 1st ONE-MAN LIVE가 결정됐지만, 7월 31일 개최되는 라이브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인해 무관중 스트리밍으로 진행되었다. 2020년 11월 15일, 1주년 기념 2nd ONE-MAN LIVE "HOWL"이 개최되었다. 2021년 6월 4일로 개봉이 미루어진 애니메이션 [[영화 너무 좋아 폼포 씨]]의 주제가를 [[칸자키 이오리]], [[카후(버츄얼 유튜버)|카후]]와 함께 EMA가 담당하게 되었다. 곡 명은 反逆者の僕ら(반역자인 우리들). 이후 디지털 싱글로 발매되었다. 4월 10일, 디지털 싱글 "[[命の行方|생명의 행방]]"이 릴리스, 21일에 MV가 투고된다. 도쿄 · 오사카 · 나고야 소재의 [[https://www.hal.ac.jp/|전문학교 HAL]]의 2021년 TV CM송으로 [[타이업]]되었으며, 400만을 달성한 6월엔 [[LINE MUSIC]]과 [[https://sites.google.com/view/dustcelllinemusic21060619/|굿즈 캠페인]]을 진행하고, MV 투고 3개월 만인 7월 20일에 조회수 10,000,000회를 달성했다. 7월 17일, "[[YouTube Music]] Weekend"에 참여해 2nd ONE-MAN LIVE "HOWL"의 특별편집판을 8월 15일까지 스트리밍 공개한다. 7월 21일, 6번째 디지털 싱글 "TOUBOU"의 7월 28일 발매 결정과 함께 3rd ONE-MAN LIVE가 개최 결정된다. 시일과 장소는 11월 11일, [[Zepp]] Tokyo. 10월 20일, 2nd 앨범 「自白」(자백)이 발매되었다. 발매 당일 iTunes 앨범 J-POP 랭킹 1위, 종합 랭킹 4위에 오른다. 11월 3일, 『DUSTCELL×소설 프로젝트』가 발표됐다. 공개된 악곡들을 소설화하여 [[https://note.com/dustcell|무료공개]]되며, 작가는 나카무라 츠무기(中村紬). 1탄은 '[[命の行方]](생명의 행방)', 2탄은 'izqnqi'로 집필된다. 11월 11일, 3rd ONE-MAN LIVE 「자백」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직후 2022년 순회 라이브를 발표한다. 내용은 하단 참조. 11월 29일, [[에너지 드링크]] 'ZONe'의 '[[https://cp.zone-energy.jp/music/|IMMERSIVE SONG PROJECT]]'에 참여하여 앨범 '자백'의 수록곡 '화염(火焔)'의 콜라보 MV가 다음 날 30일에 투고되었다. == 디스코그래피 == === 디지털 싱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DERO.jpg|width=100%]]}}}||<-3>'''{{{#fff 1st DIGITAL SINGLE}}}'''|| ||<-3>{{{#fff '''{{{+2 DERO}}}'''}}} || || '''{{{#ffffff 발매일}}}''' || {{{#fff 2020.08.05}}} || '''{{{#fff MV}}}''' [[https://youtu.be/iFKXsCZGV8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PAIN.jpg|width=100%]]}}}||<-3>'''{{{#fff 2nd DIGITAL SINGLE}}}'''|| ||<-3>{{{#fff '''{{{+2 PAIN}}}'''}}} || || '''{{{#ffffff 발매일}}}''' || {{{#fff 2020.09.16}}} || '''{{{#fff MV}}}''' [[https://www.youtube.com/watch?v=i8pHCgMDBM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Mad Hatter.jpg|width=100%]]}}}||<-3>'''{{{#fff 3rd DIGITAL SINGLE}}}'''|| ||<-3>{{{#fff '''{{{+2 Mad Hatter}}}'''}}} || || '''{{{#ffffff 발매일}}}''' || {{{#fff 2020.12.23}}} || '''{{{#fff MV}}}''' [[https://www.youtube.com/watch?v=yWaGh158OK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생명의 행방.jpg|width=100%]]}}}||<-3>'''{{{#fff 4th DIGITAL SINGLE}}}'''|| ||<-3>{{{#fff '''{{{+2 命の行方}}}'''}}} {{{#white (생명의 행방)}}} || || '''{{{#ffffff 발매일}}}''' || {{{#fff 2021.04.10}}} || '''{{{#fff MV}}}''' [[https://www.youtube.com/watch?v=xbveKspBcE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독백.png|width=100%]]}}}||<-3>'''{{{#fff 5th DIGITAL SINGLE}}}'''|| ||<-3>{{{#fff '''{{{+2 独白}}}''' {{{#white (독백)}}}}}} || || '''{{{#ffffff 발매일}}}''' || {{{#fff 2021.06.23}}} || '''{{{#fff MV}}}''' [[https://youtu.be/LdTuzZUHVv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TOUBOU.png|width=100%]]}}}||<-3>'''{{{#fff 6th DIGITAL SINGLE}}}'''|| ||<-3>{{{#fff '''{{{+2 TOUBOU}}}'''}}} || || '''{{{#ffffff 발매일}}}''' || {{{#fff 2021.07.28}}} || '''{{{#fff MV}}}''' [[https://www.youtube.com/watch?v=lx0fzdfK9W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 앨범 === ==== 1st FULL ALBUM 《SUMMIT》 ==== ||<-4> {{{#fff {{{-2 DUSTCELL 1st Album}}}}}}[br]{{{#fff '''{{{+2 SUMMIT}}}'''}}}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SUMMIT.jpg|width=100%]]}}}|| ||<-4> {{{#fff 2020. 05. 20.}}}[br] {{{#fff '''XFD'''}}} [[https://youtu.be/1w1GntqI70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번역'''}}} || {{{#fff '''비고'''}}} || || {{{#fff '''1'''}}} ||<-2> CULT || || || {{{#fff '''2'''}}} || アネモネ || 아네모네 || || || {{{#fff '''3'''}}} ||<-2> SOIREE || || || {{{#fff '''4'''}}} ||<-2> DOMINATION || || || {{{#fff '''5'''}}} || 狂う獣 || 미친 짐승 || 커버곡 || || {{{#fff '''6'''}}} ||<-2> Heaven and Hell || || || {{{#fff '''7'''}}} ||<-2> SOPPY || || || {{{#fff '''8'''}}} ||<-2> LAZY || || || {{{#fff '''9'''}}} ||<-2> LILAC || || || {{{#fff '''10'''}}} ||<-2> ONE || || || {{{#fff '''11'''}}} ||<-2> STIGMA || || || {{{#fff '''12'''}}} || 終点 || 종점 || || ==== 2nd FULL ALBUM 《自白》 ==== ||<-4> {{{#fff {{{-2 DUSTCELL 2nd Album}}}}}}[br]{{{#fff '''{{{+2 自白}}}'''[br]자백}}}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自白.jpg|width=100%]]}}}|| ||<-4> {{{#fff 2021. 10. 20.}}}[br] {{{#fff '''XFD'''}}} [[https://youtu.be/lQ7nLHksNv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번역'''}}} || {{{#fff '''비고'''}}} || || {{{#fff '''1'''}}} ||<-2> DERO || || || {{{#fff '''2'''}}} || 火焔 || 화염 || [* 에너지 드링크 ZONe 콜라보] || || {{{#fff '''3'''}}} ||<-2> izqnqi || || || {{{#fff '''4'''}}} ||<-2> Mad Hatter || || || {{{#fff '''5'''}}} || 堕落生活 || 타락 생활 || || || {{{#fff '''6'''}}} ||<-2> INSIDE || || || {{{#fff '''7'''}}} ||<-2> perfectionist || || || {{{#fff '''8'''}}} ||<-2> TOUBOU || || || {{{#fff '''9'''}}} || 白雨 || 소나기 || || || {{{#fff '''10'''}}} ||<-2> albino || || || {{{#fff '''11'''}}} ||<-2> bibouroku || || || {{{#fff '''12'''}}} ||<-2> ORIGINAL || || || {{{#fff '''13'''}}} || [[命の行方]] || 생명의 행방 || || || {{{#fff '''14'''}}} || 独白 || 독백 || || == 라이브 == === 1st ONE-MAN LIVE 「SUMMIT」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SUMMIT LIVE.jpg|width=100%]]}}}|| ||<-2> '''일시''' || 2020.07.31. || ||<-2> '''장소''' || WWW || === 2nd ONE-MAN LIVE 「HOWL」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HOWL.jpg|width=100%]]}}}|| ||<-2> '''일시''' || 2020.11.15. || ||<-2> '''장소''' || LIQUIDROOM || === 3rd ONE-MAN LIVE 「自白」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CONFESSION.jpg|width=100%]]}}}|| ||<-2> '''일시''' || 2021.11.11. || ||<-2> '''장소''' || [[Zepp]] Tokyo || === DUSTCELL TOUR 2022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STCELL TOUR.jpg|width=100%]]}}}|| ||<-2> '''일시''' || 2022.04.14.[br]2022.04.16.[br]2022.04.18. || ||<-2> '''장소''' || Zepp Nagoya[br]Zepp Osaka Bayside[br]Zepp Haneda || [[분류:2019년 데뷔]][[분류:혼성 듀오]][[분류:일본의 혼성그룹]][[분류:KAMITSUBAKI STUDIO/소속 크리에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