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파일:1499547064639.jpg]][* 본 사진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작전하는 영국 특수부대의 사진으로 E Squadron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2> '''E Squadron''' || || '''창설''' || 2005 or 2007~현재 || || '''국가'''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 || || '''소속''' || [[파일:1280px-MinistryofDefence.svg.png|width=20]] 영국 특수부대(UKSF)[br] [[파일:SAS emblem.png|width=20]] [[SAS(특수부대)|SAS 제22 연대]] || || '''주둔지''' || 잉글랜드, 헤리퍼드 [br]스털링 라인스 || || '''협력기관''' || [[파일:2_ sis__.png|width=20]] [[영국 비밀정보부]](SIS) || || '''군종''' || 불명 || || '''유형''' || 기밀작전부대 || || '''임무''' || 기밀작전[br]요원경호[br]정보수집[br]특수정찰 || || '''규모''' || 1개 전대(인원 불명) || || '''별명''' || '''The Increment''' || [목차] [clearfix] == 개요 == '''E Squadron'''(E 전대)은 많은 사람들에게 MI6로 알려진 [[영국 비밀정보부]](SIS, Secret Intelligence Service)과 협력하기 위해 엄선된 정예 UKSF요원으로 구성된 소규모 [[블랙 옵스|기밀임무부대]]이며 현대 영국 특수부대에서 가장 비밀스런 부대로 알려져 있는 부대이다. 현재 영국정부는 E Squadron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여전히 인정하지 않으나, 2021년 6월 영국군 정보유출사건으로 E Squadron이라는 부대명과 소속부대가 밝혀져 존재가 확인되었다. == 창설배경 == || [[파일:tora-bora.jpg|width=70%]] || || 2001년 12월, 아프가니스탄에서 빈라덴을 사살하기 위한 토라-보라 전투에서 촬영된 미국 [[델타 포스]]와 영국 SBS대원들. 당시 '''The Increment''' 소속의 SBS대원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 E Squadron은 오래전부터 소문으로 '''The Increment'''[* 당시 UKSF의 숙련된 상사계급 이상의 현역대원과 예비군 6-8명으로 구성되었다고 알려졌다 ]라고 알려진 MI6-UKSF가 공동으로 운영했었던, 임무가 실패할 경우 영국정부가 작전 실행자체를 부정할 수 있는 [[블랙 옵스|흑색작전]]을 수행하던 합동작전부대의 현대판으로도 알려져 있다. [[911 테러]] 이전까지는 SIS를 지원하는 작전이 수행될때마다 [[SAS(특수부대)|SAS]]를 필두로 UKSF에서 차출된 10명 안팎의 선임대원으로 구성되는 비상설 부대로 알려졌지만 2001년, 911테러공격 이후 영국이 미국을 따라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게 되면서 기존의 SIS 작전지역보다 훨씬 더 적대적인 환경에서 기밀작전을 수행하는 빈도가 더 높아졌으며, MI6는 이러한 임무수행에 전문화된 특수부대의 보호가 필요할 가능성이 더 커져 기존보다 인원을 확충해 규모를 더 키워 상설부대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창설시기는 매체마다 주장하는 시기가 다양하지만 2005년에서 2007년 사이의 시기으로 추정된다. 2000년대에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작전을 수행한 것으로 보이며 2011년, 리비아에서의 작전내용이 언론에 공개된 바 있다. == 특징 == E Squadron은 편제상 영국 특수전사령부인 '''연합왕국 특수부대'''('''UKSF''', United Kingdom Special Forces)에 속해있으며 [[영국 비밀정보부|SIS]]에 대한 지원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SIS를 위해 작전하지만 SIS의 직속부대가 아니고 실질적으로 영국 특수전사령부인 UKSF의 지휘하에 있기 때문에 정보국 직속 기밀작전부대인 미국의 [[CIA SAC]], 프랑스 [[세르비스 악시옹]], 러시아 [[자슬론]]과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 또한 E Squadron이 SAS, SBS처럼 군종과 임무의 차이에 의해서 분할된 완전히 독립적인 부대인지, 아니면 SAS내부의 Squadron처럼 기존의 특수부대의 일부에 속한 부대인지도 구분이 모호한 상태였다. 2021년 6월, 영국군 정보유출사건으로 E Squadron이 [[SAS(특수부대)|SAS]]의 '''제22 SAS연대'''의 일부로[* 유출문서에서 '''22 SAS E SQN'''이라고 명시 ] 소속되어 있는 A,B,D,G에 이은 '''5번째''' Squadron임이 밝혀졌다. 이는 영국정부가 원치않게 유출되었지만 E Squadron 존재여부를 증명하는 영국정부 최초의 서면기록이다. [[https://www.the-sun.com/news/3012446/the-increment-secret-unit-government/|#]]다만, E Squadron이 제22 SAS연대의 일부에 명목상으로 속하더라도 [[영국 비밀정보부|SIS]]지원임무를 위해 기존 4개 스쿼드론과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E Squadron은 연합왕국 특수부대(UKSF)의 티어1 부대인 [[SAS(특수부대)|SAS]](Special Air Service), [[SBS(특수부대)|SBS]](Special Boat Service) 및 [[SRR]](Special Reconnaissance Regiment)에서 가장 경험이 많고 숙련된 대원들이 차출되어 합동으로 부대가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직 MI6요원이었던 이안 톰린슨(Ian Tomlinson)은 자신의 저서에서 자신이 SIS에서 근무했던 1991~1995년 당시 제22 SAS연대의 RWW(Revolutionary Warfare Wing)에서 The Increment의 인력 대부분을 충원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영국정부가 존재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훈련 및 작전사진도 공개된바 없으며 E Squadron 실제 부대규모도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E Squadron의 작전팀이 부대명과 같이 1개 전대(Squadron)규모로 SAS와 동일한 기준으로 구성이된다면 작전인원은 64명이지만 이 가정에서 오퍼레이터가 64명이라면 작전을 지원하는 지원병력을 포함한다면 부대규모가 100명 이상으로 훌쩍 넘어버리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보다도 더 작은 규모일 가능성이 높다.[* 부대규모가 수백명 규모인 부대는 여러 사정상 존재를 숨기는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CIA SAC]], [[세르비스 악시옹]], [[자슬론]] 경우도 부대의 작전사항 자체가 극도의 기밀로 취급될 뿐 부대 존재 자체는 모두 인정하며 심지어 세르비스 악시옹, SAC는 대놓고 공개모집도 한다.] 영국의 언론인 더 타임즈에서는 군 소식통을 정보를 빌려 새롭게 창설된 엘리트 부대인 E Squadron의 규모가 총 50명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https://www.thetimes.co.uk/article/sas-braves-the-storm-to-set-up-new-elite-of-the-elite-5tbxrpwv6r2|#]] E Squadron은 SAS 제22 SAS연대와 동일한 주둔지인 헤리퍼드 스털링 라인스에 주둔중인것으로 알려졌는데 SAS 지원인력, 부대시설 및 훈련시설을 그대로 이용할수 있어 1개 스쿼드론 규모의 소규모 인원으로도 부대운용이 가능하며 부대존재를 숨기기에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전시 제18신호연대와 같은 적절한 영국 특수전사령부 소속 지원부대로부터 신호, 전자전 및 물류지원을 받으며 장거리 침투 및 퇴출임무에서는 리비아에서의 작전에서 밝혀진 것과 같이 합동특수부대항공단(JSFAW, Joint Special Forces Aviation Wing)의 영국공군 제7항공단(No. 7 Squadron RAF)의 치누크 헬리콥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파일:chinook-night.jpg|width=70%]] || || JSFAW소속 영국공군 제7항공단의 HC6 치누크 헬리콥터 || == 임무 == E Squadron의 역할은 영국 해외정보부인 SIS를 위한 비밀작전을 수행하는 것이다. [[영국 비밀정보부]](SIS)는 영국의 해외정보기관이며 SIS소속 정보요원들은 전 세계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그들은 해외에서 활동할 요원들을 교육 및 운영하고, 외국 내 다양한 파벌과 동맹을 맺고,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E Squadron의 주요임무는 위험지역으로 파견된 영국정보요원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임무이며, 영국정보요원이 현지에서 사용할 각종 물품, 무기 및 탄약, 탈출장비를 외국영토에 침투해 숨겨진 장소에 은닉하는 임무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들이 수행하는 임무가 상당한 위험이 따르는 임무인 만큼 최대한의 재량권이 요구되는 임무에 투입되고 있다. E Squadron의 실제 어떤 임무, 작전에서 어느정도 사용되는지는 현재까지 공개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지금까지 간접적으로 알려진 E Squadron의 임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일반적인 정보요원이 하기 힘든 전문적인 무력 임무 집행. * 외국에 대한 비밀군사지원 임무. * 영국 해외정보요원의 비밀 침투 및 퇴출지원. * SIS 요원의 경호 및 보호 임무. * 해외지역에서의 군사기밀장비 은닉임무. * 비밀정찰 및 정보수집 임무. == 활동 == 공식적으로 영국정부는 E Squadron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며 이들이 수행한 공식작전도 없다. 다만 언론을 통해서 이들의 존재 및 활동이 일부 공개된 바있다. === 리비아에서의 작전 === E Squadron의 존재가 최초로 노출된 사례는 2012년 1월 BBC 뉴스보도와 리비아에서 2011년 NATO작전 중 영국 특수부대의 지상배치에 대한 Newsnight 보고서에서이다.[[https://www.bbc.com/news/magazine-16573516|#]] 리비아 혁명이 시작되자 영국의 비밀정보부(SIS 혹은 MI6)은 리비아 내부의 반군세력과 통신을 강화하려고 했으며 이를 위해 영국의 국력을 상징하는 군함, 항공기같은 수단보다는 은밀한 기밀작전부대인 E Squadron를 투입하기로 결정했고 MI6 정보 요원과 E Squadron 대원 6명이 치누크 헬리콥터에 의해 지중해 몰타의 공군기지에서 리비아의 외딴 사막위치로 비밀리에 투입되었다. E Squadron 팀은 카다피 정권에 반대하는 반군 파벌과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임무를 수행 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들은 반군이 영국 정부관리들과 안전하게 연락 할 수 있는 정교한 통신 장비를 가지고 있었다. 불행히도 E Squadron의 헬리콥터 투입은 사막에 착륙하는 E Squadron대원들을 리비아 카다피 군대라고 착각한 현지인들에 의해 발각되었다. E Squadron 대원들이 착륙장을 떠나면서 그들은 현지 무장세력에 의해 무장해제되고 생포 및 구금되어 리비아 반군의 본거지인 뱅가지로 옮겨졌다. 이후 영국외교채널과의 협상으로 반군에게 구금되었던 E Squadron대원들은 석방되었다. 이 사건은 영국외교채널과 당시 리비아의 국가과도위원회(National Transitional Council)사이의 전화내용을 가다피 정부가 도청해서 공개해 밝혀졌으며 이후 상당기간동안 MI6의 작전에 큰 어려움을 초래했다. 영국의 국제안보 씽크탱크인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는 조사보고서에서 2011년 리비아 공습당시 UN 결의안이 외국지상군의 리비아 배치를 배제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리비아 분쟁에서 외국 특수부대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결론내렸으며 서방국가의 특수부대는 [[세르비스 악시옹|프랑스 특수부대]]와 영국 특수부대가 각각 리비아에 10~40명의 인원을 리비아에 배치하여 반군과 연락하고 지상에서 공군의 정밀공습을 유도하는 임무를 수행했다고 주장했는데 해당 임무역시 SAS나 E Squadron이 수행했을 가능성이 있다.[[https://www.atlanticcouncil.org/blogs/natosource/list-of-nations-with-special-forces-in-libya-conflict/|#]] === 사하라에서의 작전 === BBC 보고서는 E Squadron이 2009년 당시 알 카에다에 의해 인질로 잡힌 영국시민을 구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사하라에 배치되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부대는 인질이 죽기 전에 개입을 할 수 있는 최종 작전승인을 받지 못하였고 인질은 결국 사살되었다. == 관련 문서 == * [[정보기관/목록]] * [[대테러부대]] * [[특수부대/목록]] [[분류:영국 특수전사령부]][[분류:첩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