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EFW_logo_blue.svg|width=500]] [목차] == 개요 == Elbe Flugzeugwerke, GmbH. (=[[엘베강|Elbe]] Aircraft Factory) 독일 [[드레스덴]]에 위치한 [[항공기]] 제조업체로, 1955년 설립되었다. [[에어버스]]의 화물기 컨버젼 공식 파트너이자 자회사이다. 에어버스가 45%, 싱가포르에 위치한 ST 에어로스페이스가 55%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 역사 == 2차 대전 이후 분단된 독일의 동독에서 소련의 지원으로 1955년 최초 설립되었다. [[일류신]]의 [[Il-14]]를 면허 생산했으며,[* [[Il-14]] 문서에서는 해당 기체의 파생형으로써 VVB 플루크초이크바우라고 설명해놨지만, 이는 오타에 오해이며, VEB Flugzeugwerke, 즉 EFW의 전신인 회사이름 그 자체다. 개요에서 보듯이 Flugzeuqwerke는 말 그대로 항공회사란 뜻이다. 게다가 발음 역시 굳이 한글로 옮겨적으면 플루크초이(크)베어(크)가 맞다.] 독일 최초의 제트 여객기로 평가되는 [[바데 152]]를 개발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상용화에는 실패했다. 여기에는 어른들의 사정이 크게 작용했는데, 결정적으로 소련의 입김이 강했다. 이로 인해 동독의 항공산업은 급격히 퇴보했으며 오로지 소련제의 면허생산만으로 생존하게 된다. 1990년대 독일의 통일과 냉전의 종식 이후 [[에어버스]]와 DASA(다임러크라이슬러 항공우주회사)에 의해 새롭게 설립된다. 이후에 에어버스의 복잡한 지분변경에 이런저런 지배구조가 바뀌기는 했으나 꾸준히 에어버스의 자회사 그룹에 편입된 체로 처음에는 여객기 캐빈 시트를 납품하는 회사였다가 96년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A300]]과 [[A310]]의 화물기 전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여객기의 화물기 개조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후 [[A310 MRTT]], [[A330 MRTT]], KC-45[* 미 공군의 차기 공중급유기 사업에 참여했던 프로젝트로 결국 [[KC-46]]에 패배하여 볼 수 없게 되었다.]의 개조에 참여하며 화물기 및 특수기 개조 특화로 자리잡고 에어버스의 공식 화물기 전환 프로그램을 대부분 담당하고 있다. [[A380]]의 보수유지 담당업체로 선정되어, [[루프트한자]]와 [[에미레이트 항공]]이 주요 고객이기도 하다. 싱가포르의 대기업이자 최대 방산업체인 ST 엔지니어링에서 2013년 35%의 지분을 매입했고, 2016년에 다시 20%를 추가로 매입하여 현재의 지분구조를 이루고 있다. == 생산제품 == * 여객기용 경량시트 및 경량내장재 * 에어버스 여객기의 공식 화물기 전환 프로그램 P2F(Passenger to Freighter) 운영 : 현재 [[A320 패밀리|A321]], [[A330]]이 있다 * 철도 및 선박의 경량구조물 및 내장재 * 에어버스 여객기의 유지보수 공식파트너 : [[A300]], [[A310]], [[A320 패밀리|A320]], [[A330]], [[A340]], [[A380]] 담당[* 220과 350을 제외한 전부] == 여담 == 아시아나 항공에서 독자적으로 [[A350]]을 화물기로 개조하여 운용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에어버스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개발에 일부 참여했다고 알려져 있다. 공식 프로그램화 된다면 이 역시 P2F로 EFW가 담당할 가능성이 있다. [[보잉]] 여객기의 비공식 화물기 컨버젼인 BDSF 시리즈를 담당하는 [[IAI]]가 [[A330|A330-300]]의 BDSF 프로그램을 런칭한다는 소식이 2020년 11월에 나왔다. 다만 그 소식의 [[https://cargofacts.com/allposts/conversions/cfs-iai-launches-a330-300-conversion-program/|출처]]가 [[https://twitter.com/cargofacts/status/1323441412793315328|한 곳]]에 불과하고, IAI의 [[https://www.iai.co.il/commercial/aviation/passenger-cargo-conversions|공식홈페이지]]에도 뚜렷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봐서 일단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보잉]] 여객기의 공식 P2F 프로그램은 BCF라고 부른다. [[보잉 737 NG#s-3.3.2|737]], [[보잉 747-400#s-4.7|747]], [[보잉 767#s-3.2.2|767]] 등에 존재하는데, 이 중에서 737-800BCF와 767-300BCF의 개조 과정에 싱가포르 테크놀로지스 에어로스페이스에서 참여했다.[* 확실하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보잉이나 STA 측에서 전부 말하고는 있지만, 에어버스와 EFW와는 다르게 보잉 BCF를 운영하는 업체가 여러 곳임이 확인되므로 단독인지 그때그때마다 여러곳에서 하는건지, 아니면 할때마다 조인트해서 하는지에 대해 정보가 부족하다.] 즉 상술한 EFW의 새 대주주이자 모기업 ST 에어로스페이스 맞다. == 관련문서 == * [[에어버스]] * [[https://en.wikipedia.org/wiki/Elbe_Flugzeugwerke|영문위키]] * [[https://www.elbeflugzeugwerke.com/en/|공식홈페이지]] [[분류:독일의 항공 우주 기업]][[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