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f8a00><:>'''< [[BOF]] 역대 개인전 스코어 우승·준우승·3위 곡 >''' || ||<:> 2013 || → ||<:> G2R2014 || → ||<:> 2015 || ||||||||||<:>'''우승''' || ||<:> [[B.B.K.K.B.K.K.]] || → ||<:> '''[[Altale]]''' || → ||<:> [[DataErr0r]] || ||||||||||<:>'''준우승''' || ||<:> [[The Formula]] || → ||<:> '''[[Aragami]]''' || → ||<:> [[Dreadnought(BMS)|Dreadnought]] || ||||||||||<:>'''3위''' || ||<:> [[STAGER]] || → ||<:> '''ELECTRiCiTY''' || → ||<:> [[METATRON]] || [youtube(dholPoxuLm0)] == 소개 == [[G2R2014]] 참가곡으로 작곡가는 NIKITA, BGA 제작자는 misokabocha.[* 2012 장르 셔플 이벤트부터 Ras의 작품 몇몇에 BGA를 제공했으며([[PrayStation]], テキトウInfinite love, [[STAGER]]) NIKITA에게는 Ras가 소개해준 듯하다. BGA를 제공했던 곡들이 13년도 3위, 14년도 3위의 성과를 내었다.] 이 곡을 제작한 NIKITA는 신인급 작곡가에 해당하는데, BOF2013에서 DESPERATE등으로 데뷔하여 곡 14위, 팀 9위로 아주 좋은 성적을 낸 뒤 14년에 [[夢、幻。]]으로 '戦國 ~甲午の乱~'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다. 이후에는 BOFU2015에서 스타일을 완전히 바꾼 [[SCARY BANQUET]]과 BOFU2016에서 강렬한 재즈곡인 [[Fakeover]]을 투고하면서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두 곡 모두 평가에 비해 낮은 성적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해당 곡들은 전부 스타일이 딴판이다. NIKITA만큼 작곡 스펙트럼이 넓은 BMS 작곡가가 있었나 싶을 정도. 튀는 느낌의 도입부부터 후반의 절정부까지 버릴 것이 하나 없는 완벽한 곡이라는 평을 받으며, 대회의 마지막에 [[The World of Cyber]]를 제치고 3위에 입상하는 기염을 토해냈다.[* 참고로 [[The World of Cyber]]를 만든 DJ LATI는 해당 곡으로 데뷔한 진짜 신인인데, 데뷔작부터 4위를 달성하며 역대 BOF 참가 한국인들의 순위 기록(당시 최고 기록은 [[Ruby.G|sound piercer]]의 [[愛と煩悩と輪廻と常識の極彩世界]](5위))을 깨고 화려하게 데뷔했다. 3위곡과 4위곡 모두 좋은 작곡가의 탄생을 알린 셈. 그런데 [[xi]]와 [[削除|삭제]]의 벽이 너무 컸다. 다만, 데뷔에 골든 로드로 따지면 xi나 삭제보다 더 뛰어나다고 볼 여지도 있다.] 2D와 3D를 조합한 BGA도 호평받았는데 각 요소들이 나무를 이루는 절정부는 감탄을 자아낼 정도. xi, 削除 두 형제가 없었다면 충분히 우승을 노려볼 수 있었던 곡이라는 평가가 다수이다. 여담으로, 사실 이 곡은 Ras와 합작으로 만들어질 예정이었다. 이 사실은 NIKITA와 Ras가 6월 14일에 같은 트윗을 올림으로서 확인되었다. [[https://twitter.com/fivenikita/status/742655212574244865|NIKITA의 트윗]], [[https://twitter.com/Xakyo/status/742498188695740416|Ras의 트윗]]. 합작곡 데모 파일 링크가 첨부되어 있다. == 대회 결과 == 총점 : '''158060''' (163 임프레션)[* 에이스 적용 시 197575] 중앙값 : '''1000''' / 1000.00 평점 : '''969.6''' / 1000.00 개인전 스코어 순위 : '''3위''' 개인전 중앙값 순위 : '''3위''' == BMS 차분 == ||<-6>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노트 수 || 판정 || 차분 제작자 || 참고 || || 7_voltage || ★13 || 2124 || EASY || screw || || || illumination || ▼15 || 2166 || EASY || BAECON || 제2발광 || || || ◆21 || 1563 || EASY || vese || LN || == [[VOEZ]] == * [[VOEZ/수록곡]] === 채보 === |||||||| '''ELECTRiCiTY'''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Electricity.png|width=300]] || ||<#eee> 작곡 |||||| NIKITA || ||<#eee> BPM ||||||<:> 175 || ||<#eee> ||<#6ce> Easy ||<#f9a> Hard ||<#fe7> Special || ||<#eee> 레벨 ||<:> 5 ||<:> 11 ||<:> 12 [* 2.0 업데이트로 14->12로 변경] || ||<#eee> 노트 수 ||<:> 295 ||<:> 515 ||<:> 642 || 12월 9일에 [[VOEZ]]의 신곡으로 추가되었다. ==== Easy ==== {{{#!HTML이 문장을 지우고 유튜브 소스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플레이/FC/AP/SS 영상[* 셋 중 영상에 해당하는 분류만 적습니다.] 패턴의 구분되는 특징이나, 해당 패턴만의 패턴을 간략하게 적도록 합니다. ==== Hard ==== {{{#!HTML이 문장을 지우고 유튜브 소스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플레이/FC/AP/SS 영상[* 셋 중 영상에 해당하는 분류만 적습니다.] 패턴의 구분되는 특징이나, 해당 패턴만의 패턴을 간략하게 적도록 합니다. ==== Special ==== [youtube(iaSCnN6izSY)] 초반부의 짤막한 트릴과 중후반부 단타+스와이프 구간이 그나마 주의할 만한 구간인데 이마저도 어렵지 않게 넘길 수 있고, 그 외에는 이게 14레벨인가 싶을 정도로 무난한 패턴. 익숙해지면 물렙으로 볼 여지도 있다. 결국 2.0버전에서 12렙으로 하향되었다. === 기타 === * [[Aub Ergine]]이 일러스트를 제작하였다. * VOEZ에 100번째로 수록된 곡이다! * 이후 [[Aragami]]가 디모에 수록되어 [[Rayark]]는 G2R2014의 1, 2, 3위곡 모두를 자사 게임에 이식하는 셈이다. ~~이제 [[The World of Cyber|4등을 수록하길 빌어보자]]~~ [[분류:BOF/수록곡]][[분류:VOEZ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