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수도권 전철 4호선에서 운영하는 4000호대 전동차, rd1=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other2=부산지하철 4호선에서 운영하는 4000호대 전동차, rd2=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정기 운용의 이탈 및 퇴역으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include(틀:EMD의 철도 차량)]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기관차)] [목차] == 개요 == 미국 EMD 사에서 제작한 중형 전기식 [[디젤 기관차]]. 대차형식은 Bo-Bo, 기관형식은 12-645E, 최고속도는 105km/h. 전방 공기함실이 하이노즈 타입이라 전방 시야가 좋지 않다. == 운용 == 철도청에서 총 25대를 도입하였으며, 1963년에 4000호대 15대가,1966년에 4100호대 10대가 반입되어 2002년까지 운용되었다. 중간에 4000호대 5대를 4300호대로 개조되어 여객열차 운행에 투입되면서 4300호대도 생겨났으며 [[EMD GT26CW/국내운용|특대형]]을 제외한 기관차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청백도색을 하고 다녔다. 퇴역 이후 4000호대 한 대와 4100호대 5대가 [[국가철도공단]]에 넘어가 경부고속선 1단계 공사에 투입되었다가, 2008년에 대부분이 고철 매각되었고, 남은 4100호대 2대 역시 고철이 될 운명이었으나 철도 동호인들의 노력으로 4102호가 유일하게 보존되었다. == 4000호대 == ||<-2> [[대한민국 철도청|[[파일:철도청 응용로고 (한글 좌우).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8184,#7bfbff '''대한민국 철도청 {{{+1 4000호대 디젤기관차}}}'''[br]{{{-1 KORAIL}}} Class 4000 locomotive }}} ||}}} || ||<-2> [[파일:IMG_3046.jpg|width=100%]]|| ||<-2> {{{#008184,#7bfbff 월정리역의 4001호}}} || ||<-2> '''차량 정보''' || || '''구분''' || 중형 디젤기관차 || || '''용도''' || 본선 여객, 화물용 디젤기관차 || || '''기관형식''' || 12-567C[* 출고당시 탑재된 엔진이다.] → 12-645E [* 본래 탑재된 12-567C엔진의 노후로 인해 1,310HP로 디튠하여 교체한 엔진이다.] || || '''생산량''' || 10량 || || '''대차 형식''' || Bo-Bo || || '''제작연도''' || 1963년 || || '''운행기간''' || 1963 ~ 2001년 || || '''제작사''' || [[EMD#s-1|[[파일:EMD 로고.svg|width=120]]]] || ||<-2>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 14,325㎜ || || '''전폭''' || 2,870㎜ || || '''전고''' || 3,850㎜ || || '''궤간''' || 1,435㎜ || || '''중량''' || 78t || || '''축중''' || 19.5t || || '''기어비''' || 62:15 || || '''최고속도''' || 105㎞/h || || '''출력''' || 1,310 hp || || '''구동 장치''' || 디젤-전기식 || || '''주발전기 형식''' || D32T || || '''주발전기 정격''' || 2200 || || '''제동 방식''' || 공기제동 26L ||}}}}}} || [clearfix] 1963년 15대가 철도청에 인도되었으며 주로 비둘기호, 통일호와 화물열차에 투입되었다. 2001년을 끝으로 퇴역하였고 이 중 4001호는 [[월정리역]], 4007호는 [[독립기념관]]에서 보존 중이다. 계열 차량 중에서는 4006호가 유일하게 [[국가철도공단]]으로 이적하였으나 [[경부고속선]] 1단계 개통 이후 2008년 고철로 분해되었다. == 4100호대 == ||<-2> [[대한민국 철도청|[[파일:철도청 응용로고 (한글 좌우).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8184,#7bfbff '''대한민국 철도청 {{{+1 4100호대 디젤기관차}}}'''[br]{{{-1 KORAIL}}} Class 4100 locomotive }}} ||}}} || ||<-2> [[파일:external/emdexport.railfan.net/KNR4106.jpg|width=100%]]|| ||<-2> '''차량 정보''' || || '''구분''' || 중형 디젤기관차 || || '''용도''' || 여객, 화물용 디젤기관차 || || '''기관형식''' || 12-567C → 12-645E || || '''생산량''' || 10량 || || '''대차 형식''' || Bo-Bo || || '''제작연도''' || 1966년 || || '''운행기간''' || 1966 ~ 2002년 || || '''제작사''' || [[EMD#s-1|[[파일:EMD 로고.svg|width=120]]]][br][[GMC(자동차)|[[파일:GMC 로고.svg|width=120]]]] || ||<-2>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 14,325㎜ || || '''전폭''' || 3,080㎜ || || '''전고''' || 4,426㎜ || || '''궤간''' || 1,435㎜ || || '''중량''' || 85t || || '''축중''' || 21t || || '''기어비''' || 62:15 || || '''최고속도''' || 105㎞/h || || '''출력''' || 1,310 hp || || '''구동 장치''' || 디젤-전기식 || || '''주발전기 형식''' || D32E || || '''주발전기 정격''' || 2200 || || '''제동 방식''' || 공기제동 26L ||}}}}}} || [clearfix] 4000호대의 개량형으로, 1966년 10대가 철도청에 인도되었으며 주로 태백선 등지에서 여객열차에 투입되었으며 2002년에 마지막 차량이 운행 종료되었다는 점에서도 4000호대와 다르다. 4000호대와의 구별은 의외로 쉬운데 전방 공기실함에 발전제동장치가 달렸으면 100% 4100호대다. 계열 차량들 중에서는 4102호가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 유일하게 보존 중이다. == 4300호대 == ||<-2> [[대한민국 철도청|[[파일:철도청 응용로고 (한글 좌우).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8184,#7bfbff '''대한민국 철도청 {{{+1 4300호대 디젤기관차}}}'''[br]{{{-1 KORAIL}}} Class 4300 locomotive }}} ||}}} || ||<-2> [[파일:external/emdexport.railfan.net/KNR4303.jpg|width=100%]]|| ||<-2> '''차량 정보''' || || '''구분''' || 중형 디젤기관차 || || '''용도''' || 본선 여객용 디젤기관차 || || '''기관형식''' || 12-645E[* 기어비를 개조하여 여객용으로 운용할 당시에 교체하여 탑재한 엔진으로서,디튠하지 아니하고 1,500HP 그대로 탑재하였다.(12-645E엔진의 본래 출력은 1,500HP.)][* 이 엔진은 [[타이완 철로관리국]]과 브라질 철도의 디젤기관차 G22CW,G22CU에도 탑재된 엔진이다.] || || '''생산량''' || 5량 || || '''대차 형식''' || Bo-Bo || || '''제작연도''' || 1963년 || || '''운행기간''' || 1963 ~ 1998년 || || '''제작사''' || [[EMD#s-1|[[파일:EMD 로고.svg|width=120]]]] || ||<-2>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 14,325㎜ || || '''전폭''' || 2,870㎜ || || '''전고''' || 3,850㎜ || || '''궤간''' || 1,435㎜ || || '''중량''' || 78t || || '''축중''' || 19.5t || || '''기어비''' || 57:20 || || '''최고속도''' || 150㎞/h || || '''출력''' || 1,500 hp || || '''구동 장치''' || 디젤-전기식 || || '''주발전기 형식''' || D32T || || '''주발전기 정격''' || 2200 || || '''제동 방식''' || 공기제동 26L ||}}}}}} || [clearfix] 4000호대의 '''고속화'''[* 치차비를 62:15에서 57:20으로 조정하여 최고속력을 종전 105km/h에서 '''150'''km/h로 크게 끌어올린 것이다.] 개조형 차량. 1963년에 인도된 4000호대 차량 중 후기형 5대를 차출해 여객용으로 개조한 차량으로 중형 기관차 중에서는 유일하게 '''청백도색을 하고 있었다.''' 주로 충북선, 경전선 열차를 견인하였고 경원선 구간에서 운행하는 것이 촬영된 영상도 있다. 4301호는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매각된후 방치 중이다. 4305호가 대구 팔공산 열차카페 기관차로 보존되고 있었으나 고철로 매각되어 사라졌다. == 기타 == 4000호대의 스펙과 4200호대의 스펙은 둘 다 동일하다. 그 이유는 4200호대가 4000호대를 개량했기 때문인데 공기실함 높이를 낮춘 덕분에 드디어 전방 시야가 확 트였다는 점이 다르다. ~~원조 특대~~ 물론 도입대수는 EMD G12가 더 많다. 총 25량 도입. 4300호대는 G12의 신규도입분이 아닌 4000호대 후기형 5대를 여객용으로 개조한 차량이다. [[타이완 철로관리국]]에서도 이 기관차가 도입된 이력이 있다. [각주] [[분류:디젤 기관차]][[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1963년 출시]][[분류:1966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