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EMD GT26CW)] [include(틀:하위 문서, top1=EMD GT26CW/국내운용/현황)]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FinickyVolatileExultantArch#6, 합의사항1=7500호대 기관차의 용도롤 화물전용으로 표기하되 여객용으로도 운용됨을 각주로 서술한다.)]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기관차)] [include(틀:EMD의 철도 차량)]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에서의 [[EMD GT26CW]] 디젤 기관차는 [[한국철도공사]] 및 [[국가철도공단]] 등에서 여객 및 화물견인에 두루 사용되고 있으며 7500호대를 제외한 차량들은 고속 여객견인에 맞도록 제작하였다. [[1971년]]부터 [[2000년]]까지 도입되었으며 7100~7200호대는 [[2007년]]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하기 시작했으며 2019년에 전량 퇴역하였다. 일반열차, 특히 [[무궁화호]]의 상징 같은 존재이다. 현재 무궁화호는 디젤 기관차보다 [[8200호대 전기기관차|전기 기관차]]의 손을 더 많이 빌리고 있기는 하나 대중들에게 흔히 무궁화호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투박한 외형의 이 기관차일 것이다. [[KTX]] 개통 이전, 비전철화 시절에는 누구라도 다 기차 하면 이 기관차부터 생각했을 정도로 특히 그 시절을 보냈던 중장년층에 있어서 확실히 이미지가 각인되었다. == 정비주기 == ||<-6> {{{#000000,#e5e5e5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 정비주기'''}}}[* RS(Return Service), ES(Examination Service), LI(Limited Inspection:제한정비), GI(General Inspection:일반정비), NWC(New Wheel Change), WT(Wheel Turning), T(Temporarily Repair), R(Restoring Repair)] || ||<|2> 정비종류 ||<|2> 약호 ||<-3> 주기 및 회기 || 비고 || || 주행거리(km) || 회기한도 ||<-2> || || 반복정비 || RS || 1일 1회 || - ||<-2> || || 기본정비 || ES || 1,200 || - ||<-2> 고속구원차(7573~7576)는 3일 운행 후 || ||<|3> 경정비 || LI-1 || 16,000 || 1개월 ||<-2> || || LI-3[* LI-1의 주행거리의 3배] || 48,000 || 3개월 ||<-2> || || LI-6 || 96,000 || 6개월 ||<-2> || ||<|5> 중정비 || GI-1 || 192,000 || 1년 ||<-2> || || GI-2[* GI-1의 주행거리의 2배] || 384,000 || 2년 ||<-2> || || GI-4 || 768,000 || 4년 ||<-2> || || GI-6 || 1,152,000 || 6년 ||<-2> || || GI-9 || 2,304,000 || 12년 ||<-2> || || 차륜교환 || NWC || 차륜교환 || - ||<-2> 차륜삭정: WC || || 임시정비 || T || - || - ||<-2> 사업소 T1, 기술단 T2 || || 특종정비 || R || - || - ||<-2> 사업소 R1, 기술단 R2 || * 출처: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 유지보수 세칙(2017.03.16) == ~~7100호대~~ ==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5daa,#55b1ff '''한국철도공사 {{{+1 7100호대 디젤기관차}}}'''[br]{{{-1 KORAIL}}} Class 7100 locomotive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0016.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166.jpg|width=100%]]}}} || ||<-2> '''차량 정보''' || || '''구분''' || 특대형 디젤기관차 || || '''용도''' || 객화겸용 || || '''기관형식''' || EMD 16-645E3 || || '''생산량수''' || 90량 || || '''대차형식''' || Co-Co || || '''제작년도''' || 1975~1985년 || || '''운행년도''' || 1975~2019년 || || '''제작사''' || [[EMD#s-1|[[파일:EMD 로고.svg|width=120]]]][br][[현대정공|[[파일:현대정공 로고.png|width=120]]]] || ||<-2> '''차량 제원'''[br]{{{#!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0,787㎜ / 1.5량 || || '''전폭''' || 3,127㎜ || || '''전고''' || 4,254㎜ || || '''궤간''' || 1,435㎜ || || '''중량''' || 132.0t || || '''축중''' || 22.0t || || '''차중율''' || 빈차 4.4 / 실은차 4.5 || || '''신호장비''' ||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치차비''' || 57:20 || || '''출력''' || 3,000 hp || || '''영업최고속도''' || 150㎞/h || || '''견인전동기''' || D77B || || '''주발전기 형식''' || AR10 || || '''주발전기 정격''' || 4200 || || '''보조전원장치''' || A-8102 || || '''실린더(내경x행정)''' || 230*254 || || '''제동 방식''' || 공기제동, 발전제동 || }}}}}}}}} || [clearfix] '''2019년 7월 16일 전량 퇴역''' [[EMD GT26CW]]형. 영업최고속도 150km/h. 동호회에서의 약칭은 '''올드기'''[* 철도 동호인들이 7100호대만 올드기로 칭한 것은 아니다. 퇴역이 얼마 남지 않은 기관차를 공통적으로 이렇게 호칭하며 7100, 7200, 7500, 8000호대가 공통으로 이 타이틀을 가졌고, 최근에는 7300호대도 올드기 반열에 포함되고 있다.] 7101-7140호까지는 [[1975년]]부터 [[1978년]]까지 GM-EMD사 제작, 7141-7184호는 [[1980년]]부터 [[1985년]]까지 현대차량주식회사, 7185-7190호는 [[현대정공]] 제작이다. 7170-7180호까지의 11량은 총괄제어가 가능하나 실제로 총괄제어 운전에 투입된 사례가 드물 만큼 보기 힘들다. 7125~7190호는 개량 공사를 거치면서 운전실 좌측 상단에 CCTV 카메라가 설치되고 부기관사석 앞쪽 출입문을 뒤쪽으로 옮겼으며 난간 가운데에 계단이 설치되었다. 90량까지 도입될 만큼 많은 수를 자랑하고 있었지만 유난히 수난을 많이 당한 번대이기도 하다. 7116호가 [[1993년]] [[3월]]에 발생한 [[구포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로 대파되면서 차적에서 끝내 빠지게 되었다. 이후 7123호가 [[중앙선]] [[단촌역]] 구내에서 7528호와 정면 충돌하면서 둘 다 폐차되었다. 한 달도 안 되어 7103호는 상당 부분이 부식되어 운행이 불가능한 상태에 빠져 폐차되었다. 7109호는 [[1999년]] [[9월]] [[분천역]] - [[승부역]] 구간에서 집중호우로 선로가 유실되는 바람에 운행 도중 탈선 및 대파되어 차적에서 빠지게 되며 86량이 남게 되었다.[* 사고지점 인근에 순직한 기관사들의 위령비가 있으며 영기승소 및 영주시설 직원들이 정기적으로 위령제도 지낸다. 지나가다 잠시 들러서 묵념하는 것은 어떨까.] [[2008년]]부터 차량사용완료로 인해 36량이 폐차되었다. 남은 차량들도 [[내구연한]] 만료 등의 사유로 점점 폐차되고 있다. 7110호는 7200호대, 7500호대와 함께 보존되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 폐차된 차량 중 일부는 전시 목적으로 보존되고 있는데, 7160호는 [[김유정역]]에 코레일 CI도색 그대로지만 도색이 연해졌고,[* 무궁화호 객차 2량을 북카페 겸 관광안내소로 개조한 뒤 같이 연결하여 전시되고 있다. 또한, 현재는 재도색 되어 예전 같은 모습을 어느정도 보존되고 있기는 하나...도색이 조금 애매하게 칠해졌다.] 7129호는 호랑이도색으로 재도색한 후 차량번호를 3102호로 바꾸어 [[신거역]] 인근에 전시중이다. 7134호는 화천에 열차 펜션 기관차로 유치되어있다. 최근에는 옛 [[북천역]]에 7151호가, 옛 [[진영역]]에 7115호가 새마을호 객차와 함께 보존의 길을 걷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7181호가 2017년 4월 진해 군항제 진행을 위해 진해선 새마을호 객차와 함께 경화역에 유치되었는데, 2018년에도 다시 전시되었다. 7101, 7117, 7135, 7140, 7142, 7146, 7150, 7157, 7169, 7172, 7173, 7174, 7176, 7177, 7178, 7179, 7189호는 전장품 교체 및 재조립 공정을 거쳐 이란과 파키스탄으로 수출되었다. 7102, 7104, 7105, 7106, 7107, 7112, 7113, 7118, 7119, 7121, 7122, 7124, 7125, 7126, 7127, 7128, 7130, 7131, 7136, 7137, 7139, 7153, 7155, 7166, 7183, 7187, 7190호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고철 매각되었다. 7190호는 [[화랑대역(경춘선)|화랑대역]]에 전시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면서 2021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7154, 7184, 7185호는 제천조차장에서 보존 목적으로 유치중이었으나 보존 계획이 백지화 되어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181, 7182, 7188호는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 유치중이다. 7188호는 2023년에 고철 매각 예정이다. 2017년 10월 31일부로 유일하게 쪽문이 달려있던 7124호와 7136호[* 이 차는 쪽문이 개조되어 없었다.]가 폐차되었고, 이듬해 6월 30일에는 7100호대 중에서 미개조 차량이었던 7121[* 쪽문이 달려있던 차], 7125~7128, 7130~7131, 7139호[* 마지막 운행을 무궁화호로 하였다. 해당열차는 #1825 영주발 부산행 무궁화호.]가 폐차되었다. 마지막 운행중이던 7153호와 7166호는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아직 남아있어 계속 운행할 것으로 보였으나 폐차발령이 내려와 2019년 7월 10일자 #7898 열차로 부단에 입창, 이후 폐차되었다. 이렇게 7100호대 디젤기관차는 모두 운행이 종료되었다. == ~~7200호대~~ ==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5daa,#55b1ff '''한국철도공사 {{{+1 7200호대 디젤기관차}}}'''[br]{{{-1 KORAIL}}} Class 7200 locomotive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EMD GT26CW/7236.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SC_1219.png|width=100%]]}}} || ||<-2> '''차량 정보''' || || '''구분''' || 특대형 디젤기관차 || || '''용도''' || 객화겸용 || || '''기관형식''' || EMD 16-645E3 || || '''생산량수''' || 40량 || || '''대차형식''' || Co-Co || || '''도입년도''' || 1971~1980년 || || '''운행년도''' || 1971~2019년 || || '''제작사''' || [[EMD#s-1|[[파일:EMD 로고.svg|width=120]]]][br][[현대정공|[[파일:현대정공 로고.png|width=120]]]] || ||<-2> '''차량 제원'''[br]{{{#!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0,787㎜ / 1.5량 || || '''전폭''' || 3,127㎜ || || '''전고''' || 4,254㎜ || || '''궤간''' || 1,435㎜ || || '''중량''' || 132.t || || '''축중''' || 22.0t || || '''차중율''' || 빈차 4.4 / 실은차 4.5 || || '''신호장비''' ||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치차비''' || 57:20 || || '''출력''' || 3,000 hp || || '''영업최고속도''' || 150㎞/h || || '''견인전동기''' || D77B || || '''주발전기 형식''' || AR10 || || '''주발전기 정격''' || 4200 || || '''보조전원장치''' || A-8102 || || '''실린더(내경x행정)''' || 230*254 || || '''제동방식''' || 공기제동, 발전제동 || }}}}}}}}} || [clearfix] '''2019년 7월 16일 전량 퇴역''' 1986년 철도청의 열차고속화 정책에 따라 7500호대에서 일부를 차출하여 치차비를 57:20으로 조정한 고속기관차로, 총 40량이 운용되었다. 7211호는 한국철도 '''최초의 국산 디젤기관차'''이며, 2011년 7207, 7234호 및 다른 GT26 기관차들과 함께 [[이란]]에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719974|수출]]되었다. 7217호는 점촌역에 2012년까지 [[901호 증기기관차]]와 같이 보존되다가 점촌역 체험학습장이 취소되면서 고철 매각되었다. 7225호는 전장품 교체 및 재조립 공정을 거쳐 파키스탄으로 수출되었다. 7227호는 7100호대, 7500호대와 함께 보존되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 7235호는 1994년 12월 4일 [[성환역]] 구내 두포건널목에서 [[유조차|유조트럭]]과 추돌하면서 화재로 전소되고 언더프레임이 휘는 등 대파되어 폐차되었다. 7212호는 2018년 현재 진해선 [[경화역]]에 새마을호 객차 2량과 함께 보존중이다. 7205, 7206, 7213, 7215, 7216, 7218, 7221, 7222, 7233, 7237, 7238, 7239, 7240호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고철 매각되었다. 7208, 7214, 7232호는 [[김천역]] 구내(김천차량사업소)에 보존 목적으로 유치 중이었으나 보존 계획이 백지화 되어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 7228호는 2022년 고철매각되었다. 7236호는 2013년 당시까지도 유일한 구도색 기관차로 운행하였으며, 운행 종료 후 [[김천역]] 구내(김천차량사업소)에 보존 중이었으나, 2022년 12월 7일 신창원으로 회송되었고, 내부 부품만 탈거하여 해당 부품들만 수출되며, 차체는 고철매각 되었다. 7236호 차체의 고철매각을 기점으로 한국철도공사 소속 구도색 기관차는 완전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마지막 운행중이던 7240호는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아직 남아있어 계속 운행할 것으로 보였으나 폐차발령이 내려와 2019년 7월 16일자로 폐차되었다. 이렇게 7200호대 디젤기관차는 전차량의 운행이 종료되었다. [[박하사탕(영화)]]의 그 유명한 '''"나 다시 돌아갈래!"''' 장면에서 영호([[설경구]] 役)를 치는 열차가 이 기관차다, 차호는 7233호. 여담으로 7206호는 2007년에 이미 한 번 폐차'''될 뻔했는데''' 모종의 사유로 다시 되살아나서 2013년까지 운행했다. 실제로 2007년경 영주역 소화물선 한켠에 다른 기관차들과 같이 묶여있던 사진이 있다. == 7300호대 ==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5daa,#55b1ff '''한국철도공사 {{{+1 7300호대 디젤기관차}}}'''[br]{{{-1 KORAIL}}} Class 7300 locomotive }}}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0867_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582596973412.jpg|width=100%]]}}} || ||<-2> '''차량 정보''' || || '''구분''' || 특대형 디젤기관차 || || '''용도''' || 객화겸용 || || '''기관형식''' || EMD 16-645E3 || || '''생산량수''' || 83량 || || '''대차형식''' || Co-Co || || '''도입년도''' || 1989~1996년 || || '''운행년도''' || 1989년~2029년 (예정) || || '''제작사''' || [[EMD#s-1|[[파일:EMD 로고.svg|width=120]]]][br][[현대정공|[[파일:현대정공 로고.png|width=120]]]] || ||<-2> '''차량 제원'''[br]{{{#!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0,787㎜ / 1.5량 || || '''전폭''' || 3,127㎜ || || '''전고''' || 4,254㎜ || || '''궤간''' || 1,435㎜ || || '''중량''' || 126.0t || || '''축중''' || 21.0t || || '''차중율''' || 빈차 4.4 / 실은차 4.5 || || '''신호장비''' || [[열차자동방호장치|ATP]](봄바르디어),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치차비''' || 57:20 || || '''출력''' || 3,000 hp || || '''영업최고속도''' || 150㎞/h || || '''견인전동기''' || D77B || || '''주발전기 형식''' || AR10 || || '''주발전기 정격''' || 4200 || || '''보조전원장치''' || A-8102 || || '''실린더(내경x행정)''' || 230*254 || || '''제동방식''' || 공기제동, 발전제동 || }}}}}}}}} || [clearfix] GT26CW-2형 디젤기관차. 7100호대와 비교하여 동기구동 회로가 추가됐고 총괄제어 역시 가능하다.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총 83량이 도입되었으며 현재 30량이 운행 중이다. 도입 당시 [[http://blog.naver.com/dn970/150128959167|청백도색을 하고 있었으며]] 유일하게 에어컨이 달려 있기도 하였다. 최초 도입 당시에는 최신형 고급열차였던 장대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의 사실상 전용기로 운용되었다.[* 당시 같이 도입되었던 고출력형 유선형 발전차랑 한세트 편성으로 중련 운용이 되었었다.] 7301~7312호는 2014년 12월 31일~2016년에 퇴역되었으며, 7301~7305호는 운전실 좌측 상단에 CCTV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부기관사석 앞쪽 출입문을 뒤쪽으로 옮기고, 난간 가운데에 계단을 설치하는 개량을 하였다. 이 중 7301호는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2021년 5월에 재도색한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 7302~7305, 7310호는 2022년 고철 매각될 예정이다. 7306,[* 디젤기관차 중에 코레일 마크가 제일큰 기관차.] 7307, 7311호는 제천조차장에서 보존 목적으로 유치중이었으나 보존 계획이 백지화되어 2022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7308호는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 유치중이며, 2023년에 고철 매각 예정이다. 7309호는 퇴역한 후 한일현대시멘트 제천공장([[입석리역]])에서 매입하여 사유기로 사용하고 있다.[* 검수시 7500호대 투입] 7312호는 구.[[오수역]]에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클래식 객차]] 2량과 함깨 보존되었다. 7320호는 1991년 12월 31일에 도입되고 2021년 12월 31일에 퇴역하고 2024년에 고철매각 에정이다. 7328, 7349,[* 이 두 차량의 운전대는 [[삼탄역]]의 테마파크에 시뮬레이터로 남아있다.] 7355호는[* [[정선선 열차 충돌사고]] 사고차량] 2018년~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 7322~7325호는 2017년 9월 2일에, 7326, 7327호는 2018년 7월 10일에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 중지되었으며, 7325호와 7326호는 2020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7329호는 2018년 9월 10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지만 계획이 바뀌어 현재는 동해북부선 [[제진역]] 승강장에 무궁화호 객차와 함께 유치중이다. 제진역에 전시된 7329호와 무궁화호 폐객차는 보수와 내부수리를 거쳐 2021년 3월에 전시관 형태로 개장되었다. [[동해선]]이 제진까지 연장되면 어떻게 할지는 불명. 7330~7331호는 2018년 9월 10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동년 9월 중순경 폐차되었다. 7330호는 2020년~2021년 고철 매각, 7331호는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 유치중이다. 7332~7339호는 2019년 12월 22일에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동년 12월 말경 폐차되었다.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유치 중이다. 7333호는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 7340~7343호는 2020년 1월 31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2월 중순경 폐차되었다. 7343호는 [[1997년]] [[KBS]] '[[가요무대]] - 여름가족여행'에 대천행 무궁화호 기관차로 나온 적 있다. 7340호는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 7344~7346호는 2020년 2월 28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12월 중순경 폐차되었다. 7346호는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 7347호는 정밀안전진단 통과로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연장되었고, 7348호는 2020년 12월 6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현재 사용대기 상태이다. 7350~7354호, 7356~7362호는 2020년 12월 31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중지되었으며 현재 사용대기 상태이다. 7351~7354호, 7356호, 7359~7362호는 정밀안전진단 통과로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연장되었다. 7363~7383호는 2021년 10월 31일 기대수명 경과로 운용이 순차적으로 중단되기 시작했으며 2021년 6월 현재 절반 가량만이 운행 중이다. 7368~7372호, 7375호, 7377~7379호, 7383호는 정밀안전진단 통과로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연장되었다. 7363~7367호, 7373호는 2021년 2월 28일, 2021년 4월 20일부로 운행 중지[[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122547&page=1|되었다.]] 7374호는 심한 노후화로 운행 중지되었다. 7365호는 매각되어 [[가평역|구 가평역]]에 보존될 예정이다.[[https://m.blog.naver.com/gpnewskr/222487824173|#]] 7371호는 2022년 2월 3일 오후 3시 40분쯤 삼부건널목에서 1톤 화물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났다. 7379호는 [[서해금빛열차]] 전용기였으나, 2023년 3월 환원 되었다. 7382~7383호는 [[레일크루즈 해랑]] 전용기로 지정되어 있다. 7380~7381호는 [[남도해양관광열차]] 전용기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차량사용완료일자 도래(2021년 11월)로 지정해제 되었다. 7371, 7380호는 한-아세안 열차 전용기로 지정되었다가 현재는 해제되었다. 7382호는 태풍 미탁으로 인해 영동선에서 탈선하였고,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정비하여 2020년 3월경 복귀하였다. 일부 차량이 안전진단을 받아 차량사용완료일자가 '''2025년 12월'''~'''2026년'''으로 연장되었다. 나머지 운행 중인 차량들의 경우 정밀안전진단으로 차량사용완료일자가 연장되지 않는 이상 2021년[* 7383호 차량사용완료일자 2021년 10월 31일]에 차량사용완료에 따른 폐차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 7400호대 == ||<-3>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5daa,#55b1ff '''한국철도공사 {{{+1 7400호대 디젤기관차}}}'''[br]{{{-1 KORAIL}}} Class 7400 locomotive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0129.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L7443.jpg|width=100%]]}}} || ||<-3> '''차량 정보''' || || '''구분''' || 특대형 디젤기관차 || || '''용도''' || 객화겸용 || || '''기관형식''' || EMD 16-645E3 || || '''생산량수''' || 84량 || || '''대차형식''' || Co-Co || || '''도입년도''' || 1997년~2000년 || || '''운행년도''' || 1997년~2031년 (예정) || || '''제작사''' || [[EMD#s-1|[[파일:EMD 로고.svg|width=120]]]][br][[현대정공|[[파일:현대정공 로고.png|width=120]]]][br][[한국철도차량|[[파일:한국철도차량.png|width=120]]]] || ||<-3> '''차량 제원'''[br]{{{#!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0,787㎜ / 1.5량 || || '''전폭''' || 3,127㎜ || || '''전고''' || 4,254㎜ || || '''궤간''' || 1,435㎜ || || '''중량''' || 126.0t, 132.0t || || '''축중''' || 21.0t, 22.0t || || '''차중율''' || 빈차 4.4 / 실은차 4.5 || || '''신호장비''' || [[열차자동방호장치|ATP]](봄바르디어),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치차비''' || 57:20 || || '''출력''' || 3,000 hp || || '''설계최고속도''' || '''165'''㎞/h || || '''영업최고속도''' || 150㎞/h || || '''견인전동기''' || D77B || || '''주발전기 형식''' || AR10 || || '''주발전기 정격''' || 4200 || || '''보조전원장치''' || A-8102 || || '''실린더(내경x행정)''' || 230*254 || || '''제동방식''' || 공기제동, 발전제동 || }}}}}}}}} || [clearfix] GT26CW-2형 디젤기관차. [[1997년]]부터 [[2000년]]까지 도입하였다. 7300호대의 개량형으로 롤러베어링의 채택, 운전실 냉방설비 기본장착 등의 차이점이 있다. 설계속도가 150㎞/h 인 7100~7300호대와 달리 165㎞/h 이다. 7401~7484호의 84량이 도입되었으며 이중 7401호~7444호는 [[현대정공]] 생산분, 7445~7484호는 [[KOROS]]([[현대로템]]) 생산분이다. 7408호는 [[3연속 건널목 사망 사고]] 당시 해당 열차를 운행했던 차량이다. 7427호는 [[스펀지(KBS)|스펀지]] 107회에 [[https://youtu.be/sEfWzUh3kWY|기차는 모래가 없으면 미끄러진다]] 에 나왔다. 7430호는 [[율촌역 무궁화호 탈선 사고|전라선 율촌역 탈선사고]]로 대파 및 사망자 발생으로 인하여 2016년 8월 31일 폐차되었고 2018년 5월 23일 고철 매각되었다. '''7400호대의 첫 폐차다.''' 이 기관차의 차호판이 [[익산차량사업소]]에 전시되어있다. 7431호는 [[영등포역 무궁화호 탈선 사고|경부선 영등포역 탈선사고]] 당시 해당 열차를 운행했던 차량이다. 7433호는 [[1999년]] [[천안역|천안]] - [[수원역|수원]]간 복복선 공사현장 근처에서 트럭과 충돌하여 배장기가 파손된 이력이 있다. 7434호는 익산발 용산행 상행 새마을호를 마지막으로 끌었었다. 7435호는 [[2007년 남북열차 시험운행|2007년 남북철도연결사업]] 당시 남측 기관차로 개성역까지 운행하였다.[* 참고로 CG긴 하지만 부산행에서 불타는채로 달려오는 열차가 바로 이 7435호다.] 7448호는 영화 [[부산행]] 후반부에 등장한다. 행적은 [[부산행/줄거리|문서]] 참조. 7451호는 드라마 [[모범택시 2]] 3화에 잠깐 등장한다. 7462호는 2023년에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서 궤도를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폐차 검토 중이다. 7474호는 2005년에 지하서울역에 들어오는 것이 포착되었다. 7476, 7477호는 2019년 5월초에 기존 남도해양관광열차 전용기 7380, 7381호가 차량사용완료일자 도래(2021년 11월)로 인해 지정해제되자 객차의 차량사용완료일자에 맞춰 새로 전용기로 지정되었었다. 2023년 6월 ~ 7월 중으로 두 대 모두 환원 중이다. 7480호는 국악와인열차 전용기로 지정 되었다. 7482호는 북한 출입 용도로 지정되어 있다. 2018년 11월 30일 남북철도공동조사에서 도라산역까지 남측 열차[* 6량 편성으로 [[유조차]], [[발전차]], [[객차]], [[침대차]], 침식차, 유개[[화차(철도)|화차]]로 이루어졌다.]를 견인 후 [[판문역]]에서 북한 기관차에 인계하였다. [[http://www.msn.com/ko-kr/news/national/%eb%b6%81%eb%85%98-2600%e3%8e%9e-%eb%88%84%eb%b9%84%eb%8a%94-%e5%8d%97%ec%97%b4%ec%b0%a8-%ec%96%b4%eb%96%bb%ea%b2%8c-%ea%b5%ac%ec%84%b1%eb%90%90%eb%82%98/ar-BBQgWMu?ocid=ientp|보기]] 2018년 12월 26일 남북철도착공식에서 판문역까지 개조 새마을호를 견인하였다. 차량사용완료에 따른 폐차는 2022년[* 7401호 차량사용완료일자 2022년 11월 13일]부터 2026년[* 7484호 차량사용완료일자 2026년 3월 6일]까지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7300호대[* 일부 차량이 '''2025년'''~'''2026년'''까지 내구연한이 연장되었다.]와 같이 정밀안전진단 후 차량사용완료일자를 연장할 가능성이 높으나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알려진 바 없다.[* 전시 대비 디젤기관차 확보는 국방부에서 요구하고 있는 사항인데, 철도공사 측과 이해관계가 서로 달라 불확실한 요소라고 한다.] Team Railplus에서 의왕 철도박물관에 7400호대 시뮬레이터를 이벤트 행사기간에만 운용한다.[* 사용 프로그램은 [[BVE5]], 운행 구간은 [[경전선]] [[북천역]]-[[진주역]] 이다.] 시뮬레이션 소유분이 철도박물관에 빌려준 것으로 알려져있다. 폐차한 호기 중에 주요 부품만 가져와 실제로 사용하고 뼈대와 고정판은 간략하게 제작하여 사용했다고 한다. 아무래도 실제 제어대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움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https://www.youtube.com/watch?v=QwVcRtmeRUE|유투브 시연 영상]] == 7500호대 == ||<-3>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  [[국가철도공단|[[파일:국가철도공단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5daa,#55b1ff '''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 {{{+1 7500호대 디젤기관차}}}'''[br]{{{-1 KORAIL/KR}}} Class 7500 locomotive }}}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75CI.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EL 7563.jpg|width=100%]]}}} || ||<-3> '''차량 정보''' || || '''구분''' || 특대형 디젤기관차 || || '''용도''' || 화물용[* 과거에는 객화겸용으로 운행되었다. 현재는 기본 용도가 화물용이긴 하지만, 가끔 여객용으로 충당되기도 한다.] || || '''기관형식''' || EMD 16-645E3 || || '''생산량수''' || 83량 || || '''대차형식''' || Co-Co || || '''도입년도''' || 1971~1980년, 1996~1998년 || || '''운행년도''' || 1971년~2029년 (예정), 1996년~2029년 (예정) || || '''제작사''' || [[EMD#s-1|[[파일:EMD 로고.svg|width=120]]]][br][[현대정공|[[파일:현대정공 로고.png|width=120]]]][br][[현대로템|[[파일:한국철도차량.png|width=120]]]][br][[현대로템|[[파일:로템.png|width=120]]]][* 재생형 기관차 한정] || ||<-3> '''차량 제원'''[br]{{{#!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0,787㎜ / 1.5량 || || '''전폭''' || 3,127㎜ || || '''전고''' || 4,254㎜ || || '''궤간''' || 1,435㎜ || || '''중량''' || 126.0t, 132.0t || || '''축중''' || 21.0t, 22.0t || || '''차중율''' || 빈차 4.4 / 실은차 4.5 || || '''신호장비''' || [[열차자동방호장치|ATP]](봄바르디어), [[열차자동정지장치|ATS]], [[TVM|ATC]][* 7573~7576에 한함] || || '''치차비''' || 62:15 || || '''출력''' || 3,300 hp || || '''영업최고속도''' || 105㎞/h || || '''견인전동기''' || D77B || || '''주발전기 형식''' || AR10 || || '''주발전기 정격''' || 4200 || || '''보조전원장치''' || A-8102 || || '''실린더(내경x행정)''' || 230*254 || || '''제동방식''' || 공기제동, 발전제동 || }}}}}}}}} || [clearfix] 초기형 및 중기형은 GT26CW형으로 [[1971년]]부터 [[1980년]]까지 도입되었고, 후기 도입분은 GT26CW-2형으로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도입되었다. 화물열차 견인을 목적으로 도입하였기 때문에[* 500번대는 화물용 기관차 번호] 치차비를 기존 7100~7400호대의 57:20에서 62:15로 상향 조정하여 영업최고속도가 105km/h로 낮아지는 대신 견인력을 올렸다. 간선 중량화물 견인이나 [[태백선]], [[경북선]], [[영동선]]과 같이 고속 성능이 필요하지 않은 노선의 여객열차 견인에 투입된다. 총 123량이 도입[* 본래 7501~7596이 있었으나 40량이 7200호대로 개조되어 폐차처리 되었고, 이후 추가로 10량이 7100호대로 개조되었다. 이후 차적을 정리한 뒤 다시 7557~7583까지 총 27량이 추가 도입되었다.]되었다. 1970년대 초반까지 [[신칸센 0계 전동차]]의 모습과 닮은 프론트마스크를 정착하고 [[관광호]] 전용 견인기로 뛴 적도 있다.[* 관광호 개통 초기에는 최고속도가 90km/h였다] 7501~7502호, 7504호, 7511~7514호, 7516호, 7527호, 7530~7531호, 7533~7534호, 7538호, 7541호, 7544호 사이 폐차되지 않은 차량은 차량 재생을 거쳐 내구연한이 연장된 뒤 영업에 재투입된 차량들이며 부산철도차량정비창과 로템에서 제작하였다. 7557~7583호는 후기 도입분이다. 국가철도공단의 전신이 되는 고속철도건설공단은 철도청에서 7577~7583 기관차를 받아와 KTX 건설 당시에 운용했다. 이후 철도청과 고속철도건설공단의 조직이 개편되어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現 국가철도공단)으로 개편될 때 철도공단에 잔류하여 고속철도 구간의 선로공사나 차량 입환 등에 투입되고 있다. 이런 특성 때문인지 아직 구도색을 유지하며, 소속도 철도공단으로 되어 있다.[* 단, 정비 등은 철도공사에 위탁하고 있다.] 7528호는 1995년 10월 11일 [[단촌역]] 구내에서 7123호와 정면으로 충돌하여 대파되었고 두 기관차 모두 동년 12월 19일에 폐차 발령되었다. 7546호는 영주역에 유치되다가 고철 매각되었다. 7547호는 1997년 8월 14일에 [[통리역|통리]] - [[심포리역(영동선)|심포리]] 구간에서 운행하다가 논밭으로 추락하여 대파되었고 같은 날에 폐차 발령되었다. 7506, [[관광호|7507]], 7517, 7554호는 이란에 수출되었다. 7548, 7550, 7556호는 2013년 6월에 폐차되었고 2014년 [[김천역]]에 유치되었다가 고철 매각되었다. 7549, 7551호는 2018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처음에는 7100호대와 같은 새마을호 도색인 차량도 있었으나 나중에는 전부 화물전용차 도색[* '호랑이 도색'으로 잘 알려진 검정+빨간색]으로 바뀌었다. 현재 위 사진과 같이 대부분 고추장도색으로 바뀌었으며 극히 일부 남은 자석도색차량도 재도색 되었다.(공단 소속인 7577~83은 철도청 도색) 상당히 많은 도색을 거쳤는데 처음에는 청백, 호랑이를 사용했다가 전차량 호랑이 도색[* 철도 동호회 사이에서 부르는 은어로, 정식명칭은 화물전용차 도색이며 주황색+검은색이다.]으로 교체되었고 이후 구도색으로 교체, 이후 현재 신도색으로 교체되었다가 2012년경에 나온 화물용 기관차 도색으로 바뀌었는데 총 5번이나 교체된 셈이다. 7573~7576호 4량은 고속선 구원기로 지정되어 해당 차량들에는 ATS, [[열차자동방호장치#s-3|ATP]], [[TVM|고속선 ATC]]가 설치되어 있다. 구원운전에 대한 내용은 [[TVM#s-4|여기]]를 참조하기 바란다. 유사시 고속선 구원을 위해 출동해야하므로 평소에는 일반열차에 충당되지 않으며 거의 구내입환에 사용된다. 해당 차량들은 정밀진단 결과 사용기간이 연장되었다. 2021년 현재 총 43량이 운용되고 있다. 차량사용완료는 재생형이 2027~2028년[* 예외로 7513호는 2025년, 7531호는 2024년], 후기형이 2021~2022년이다. 연장할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장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남북철도연결사업 같은 일이 큰 변수이다. 남북관계가 아주아주 잘 되어 해당 사업이 재개된다 해도 그렇다. 현재 북한지역의 철도 상황이 거의 폐선수준이고 전철화 안 된 지역이 많아 바로 들어가 뛸 수 있는 기관차는 이 특대형밖에 없지만, 현재는 남북관계 경색으로 사업이 중단되었고 무작정 기다릴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시 대비로도 일정 수랑을 남겨 두어야 하므로 7000 시리즈 디젤기관차가 완전히 퇴역하는 때는 최후 제조분 기준으로 약 60년, 앞으로도 30년 이상 지나야 올 것이다. 다만 2021년 하반기부터 수명이 만료된 후기형이 휴차되고 있는데, 2021년 11월 14일 7558호를 시작으로 8량이 수명도래로 휴차되었다. 초기형 차량들은 국내에서 운행하는 기관차 중 가장 오래된 기관차다. 50량중 16대가 재생됐는데 이 차량들은 올해로 '''[age(1971-01-01)]년째 운행중인 차량이다.''' 재생되었지만 말그대로 '노장 기관차'인 셈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EMD GT26CW, version=1290, paragraph=5.1)]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디젤 기관차]][[분류:1971년 출시]][[분류:2000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