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이다(뮤지컬)/사운드트랙]][[분류:엘튼 존 음반]][[분류:1999년 음반]][[분류:영국의 팝 음반]] [include(틀:엘튼 존)] ||<-5><#fff,#191919> '''[[엘튼 존/음반 목록|{{{#373a3c,#fff '''엘튼 존/음반 목록'''}}}]]''' || || {{{-2 1997년 9월 22일}}}[br]{{{-2 27집}}} [[The Big Picture|{{{#373a3c,#fff '''The Big Picture'''}}}]] || → || {{{-2 1999년 3월 23일}}}[br]{{{-2 사운드트랙}}} '''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 → || {{{-2 1999년 8월 24일}}}[br]{{{-2 사운드트랙}}} [[The Muse|{{{#373a3c,#fff '''The Muse'''}}}]] || ||<-5><#fff,#191919> '''판매량 인증'''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IAA 골드)] ---- }}} || ||<-2><#fff>[[파일:external/cps-static.rovicorp.com/MI0000204252.jpg|width=100%]]|| ||'''발매일'''||[[1999년]] [[3월 23일]]|| ||'''녹음 기간'''||[[1998년]] [[여름]] ~ [[1999년]] [[겨울|늦겨울]]|| ||'''녹음실'''||{{{-2 [[자메이카]] [[킹스턴]] 뮤직 워크스 레코딩 스튜디오[br][[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컨쇼호켄 브리지 사운드 스튜디오, 스톤크릭 스튜디오[br][[테네시주]] [[내슈빌]] 이스트 아이리스 스튜디오, 마스터포닉스[br][[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빌리지 레코더, 이미지 레코딩, 올라스 뮤직 스튜디오[br]캘리포니아주 [[버뱅크]] 엔터프라이스 스튜디오[br][[뉴욕주]] [[뉴욕]] 소니 뮤직 스튜디오, 배터리 스튜디오, 롸잇 트랙 레코딩[br]뉴욕 히트 팩토리, 에파넬 뮤직, 청 킹 스튜디오, 시어 사운드, 아바타 스튜디오[br][[텍사스주]] [[휴스턴]] 디지털 스튜디오[br][[미네소타주]] 에디나 플라이트 타임 스튜디오[br][[플로리다주]] [[마이애미]] 크라이테리아 스튜디오[br][[조지아주]] [[애틀랜타]] 사일런트 사운드 스튜디오, 도플러 스튜디오[br][[영국]] [[런던]] [[애비 로드 스튜디오]], 타운하우스 스튜디오, 올림픽 스튜디오}}}|| ||'''장르'''||[[팝 음악|팝]], [[뮤지컬]]|| ||'''재생시간'''||65:16|| ||'''발매사'''||[[로켓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s-2.1|The Rocket Record Company]]|| [목차][clearfix] == 개요 == [[엘튼 존]]과 [[팀 라이스]]의 뮤지컬 앨범이며, 다양한 뮤지션들이 재해석한 [[아이다(뮤지컬)|아이다]] 뮤지컬 곡들을 수록한 [[콘셉트 앨범]]이다. == 제작 ==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오페라)|아이다]]를 기반으로 재창작한 [[디즈니 시어트리컬 프로덕션]]의 뮤지컬 [[아이다(뮤지컬)|아이다]]는 1996년 4월 1일 기획 당시 [[디즈니]]의 뮤지컬 애니메이션 영화로 계획되었다. 1994년 6월 개봉한 디즈니의 장편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에서 음악을 맡은 엘튼 존과 팀 라이스가 다시 참여하여 음악을 맡았다. 〈라이온 킹〉에 이은 또 다른 애니메이션을 하고 싶지 않았던 엘튼 존은 더욱 위험하고 도전적인 것을 원했고, 뮤지컬로 만들자는 아이디어를 제시했었다. 비록 엘튼 존은 새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하고 싶지 않았지만 당시 제작 중이었던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장편 애니메이션 [[엘도라도(애니메이션)|엘도라도]]에서 음악을 맡아달라는 [[제프리 카첸버그]]의 제의를 받았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429 페이지] 팀 라이스가 먼저 가사를 쓰고 나서 엘튼 존에게 팩스로 보냈고, 엘튼 존은 전달받은 가사들을 보며 하루에 한 곡씩 작곡하고 데모를 녹음하는 방식으로 총 25곡을 25일간 작곡했다. 모든 곡들은 1996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작곡했고 데모는 애틀랜타의 퍼플 드래곤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엘튼 존 밴드]]의 여러 멤버들이 데모 작업에 참여했고 그중 전직 키보디스트 가이 바빌론은 프로듀싱과 믹싱, 프로그래밍 등 맡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VBqbfj4KmQc|엘튼 존의 The Big Picture 인터뷰 (1997)]][br]The Steve McCoy and Vikki Locke Morning Show (1998/04/16)[br][[http://www.eltonjohnworld.com/index.php/archives/old-news-special/3703-ifourlovewasjustacircus|If Our Love Was Just A Circus]]] 스튜디오에서 기본 트랙과 보컬, 하모니 보컬을 녹음하고 나서 베이스와 드럼을 녹음했고 다음 날에 작업을 마치게 되면 다음 곡으로 넘어갔다. 첫 곡을 먼저 쓰고 마지막 곡을 마지막에 쓰며, 순서대로 곡들을 작업했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Zg4EAAAAMBAJ&pg=PA76&dq=billboard+1999+february+20+aida&hl=ko&sa=X&ved=2ahUKEwjdy6GYjtX4AhVIet4KHSwTBUYQ6AF6BAgJEAI#v=onepage&q=billboard%201999%20february%2020%20aida&f=false|1999년 2월 20일자 빌보드 (76 페이지)]]] 1996년 당시 엘튼 존과 팀 라이스는 〈아이다〉를 작업하면서도 〈라이온 킹〉을 재구성한 뮤지컬 [[라이온 킹(뮤지컬)|라이온 킹]]에 참여하여 추가 삽입곡들 [[The Morning Report]], [[Chow Down]], [[The Madness of King Scar]]를 작곡했고, 그해 말에는 〈엘도라도〉에 참여하여 7곡(1998년과 1999년 사이에 8곡을 더 작곡했다)을 작곡했다. 두 뮤지컬과 애니메이션 영화 음악 작업을 마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버니 토핀]]과 함께 1997년 정규 27집 [[The Big Picture]]를 작업하며 15곡 정도 작곡하는 등 음악 활동이 매우 분주했다. 엘튼 존이 1996년 퍼플 드래곤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데모들 중에서 상당수가 부틀렉을 통해 유출되었고, 그중 14곡을 인터넷에서 들을 수 있다.[* The Big Picture 인터뷰 (1997)[br][[https://web.archive.org/web/20080820114140fw_/http://www.timrice.co.uk/eldorado.html|Sir Tim Rice - The Road to El Dorado]][br]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443 페이지[br][[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AHBcNilnj86CxABuUCLqAthl_C4jBb5a|엘튼 존이 1996년 녹음한 〈아이다〉 데모 모음]]] 엘튼 존이 녹음한 데모가 [[로켓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s-2.1|로켓 레코드 컴퍼니]]에서 일했던 영국의 매니저이자 경영인 데릭 맥킬롭에게 전달되었을 때 데릭 맥킬롭은 다양한 뮤지션들이 참여한 슈퍼스타 앨범을 작업하는 게 어떠냐는 계획을 제의했고, 엘튼 존도 동의했다. 이후 미국의 프로듀서 필 라몬이 책임 프로듀서로 섭외되었고, 엘튼 존은 자신이 애착하는 뮤지션들에게 연락을 취하며 녹음을 요청했다.[* 1999년 2월 20일자 빌보드 (76 페이지)] 그 무렵 1998년 《The Big Picture》 세계 순회공연의 많은 일정을 소화하면서도 〈엘도라도〉의 사운드트랙 앨범 [[The Road to El Dorado(음반)|The Road to El Dorado]]를 녹음했고, [[사우스 파크]] 시즌 2 에피소드 14 [[Chef Aid]]에 출연했을 때 버니 토핀과 함께 록 곡 "Wake Up Wendy"를 썼고, 버니 토핀과 쓴 발라드 곡 "For Wanting You"를 영국의 가수 메리앤 페이스풀에게 주었고, 1999년 개봉한 코미디 영화 〈뮤즈〉의 사운드트랙 [[The Muse]]를 작업하기도 했다.[* 1999년 2월 20일자 빌보드 (77 페이지)[br][[http://www.eltonography.com/tours/1998.html|엘튼 존의 1998년 공연들]][br][[https://www.youtube.com/watch?v=he4dNbs2Mlg|Wake Up Wendy (버니 토핀 작사, 엘튼 존 작곡)]][br][[https://www.youtube.com/watch?v=WZbHkQ5GAco|메리앤 페이스풀 - For Wanting You (버니 토핀 작사, 엘튼 존 작곡)]]] [[스팅(가수)|스팅]]과 [[리앤 라임즈]], [[티나 터너]], [[자넷 잭슨]], [[스파이스 걸스]], [[레니 크래비츠]], [[보이즈 투 멘]], [[샤니아 트웨인]], [[드루 힐]], [[룰루]], [[샤니아 트웨인]] 등 수많은 뮤지션들이 참여했고 〈아이다〉 뮤지컬에서 '아이다' 역을 맡은 가수이자 배우 [[헤더 헤들리]](앞서 1997년 〈라이온 킹〉 뮤지컬에서 [[날라]] 역을 맡은 바 있다)와 '암네리스' 역을 맡은 가수이자 배우 셰리 르네 스콧도 참여했다. 많은 뮤지션들은 엘튼 존이 녹음 작업을 요청했을 때 곧바로 수락했다. 엘튼 존은 자신과 팀 라이스가 쓴 곡들을 녹음에 참여한 뮤지션들이 구상한 대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자신이 녹음한 데모에서 제시된 것과 다른 편곡과 다양한 보컬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한다.[* 1999년 2월 20일자 빌보드 (76 페이지)] 엘튼 존과 팀 라이스가 1996년에 쓴 25곡 중에서 14곡을 녹음했고 대부분의 곡들은 녹음에 참여한 뮤지션들이 혼자서 불렀다. 엘튼 존은 일부 곡들에서 공동 보컬, 또는 키보드 연주를 맡기도 했다. 필 라몬은 책임 프로듀서로 참여하면서도 여러 수록곡들에서 프로듀싱을 맡았고, [[지미 잼 & 테리 루이스]]와 가이 바빌론 등 수많은 뮤지션들이 백업 연주와 편곡, 프로듀싱 등 맡았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1360476-Elton-John-And-Tim-Rice-Aida|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영국반 - 디스콕스]][br][[https://www.discogs.com/ko/release/1820223-Elton-John-And-Tim-Rice-Aida|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미국반 - 디스콕스]]] 1998년 애틀랜타에서 뮤지컬의 첫 공연들이 열릴 무렵 녹음되었고, 이듬해 초까지 모든 작업을 마쳤다. == 발매 == 《Elton John and Tim Rice's Aida》라는 이름으로 1999년 3월 발매했고 미국 [[빌보드 200]] 41위, 영국 29위, 오스트리아 9위, 스위스 13위, 벨기에 26위, 프랑스 24위, 독일 23위, 노르웨이 12위 등 기록했다.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뮤지컬과 달리 콘셉트 앨범은 상업적으로 미적지근한 성적을 거두었고, 뮤지컬만큼 뜨거운 반응을 얻지 못했다. 팀 라이스는 뮤지션들이 프로젝트의 의미에 대해 전혀 모른 채 엘튼 존에게 호의를 보이려고 참여한 뒤죽박죽인 앨범이라고 혹평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353 페이지[br][[https://www.allmusic.com/album/elton-john-and-tim-rices-aida-mw0000049946|올뮤직의 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리뷰]]] 리앤 라임즈와 엘튼 존이 부른 [[Written in the Stars]]를 리드 싱글로 발매했고 세계 각지에서 40위권 진입했다. 헤더 헤들리와 셰리 르네 스콧, 엘튼 존이 부른 [[A Step Too Far]]를 후속 싱글로 발매했고 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5위를 기록했다.[* [[https://www.officialcharts.com/artist/21478/elton-john/|엘튼 존의 UK 차트 역사]], [[https://www.billboard.com/artist/elton-john/|엘튼 존의 빌보드 차트 역사]]] 콘셉트 앨범은 미국에서 5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se=aida#search_section|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 RIAA]]] 브로드웨이 초연 배우들이 녹음한 사운드트랙은 2000년 6월 [[아이다(뮤지컬)/사운드트랙|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Original Broadway Cast Recording]]으로 발매되었다. == 싱글 == || '''A면''' || '''B면''' || '''발매일''' || ||Written in the Stars||Written in the Stars (Alternate) ^^(CD)^^[br]Recover Your Soul (Live at the Ritz) ^^(CD)^^||1998년 12월 ^^(라디오)^^[br]1999년 2월 23일 ^^(CD)^^|| ||A Step Too Far||Your Song (Live at the Ritz) ^^(CD, FR)^^ ||1999년 5월|| == 참여자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작곡, 키보드, 백 보컬, 음악 감독 - 엘튼 존 * 작사 - 팀 라이스 * 보컬 * "Another Pyramid" - 스팅 * "Written in the Stars" - 엘튼 존, 리앤 라임즈 * "Easy as Life" - 티나 터너, 앙젤리크 키조 * "My Strongest Suit" - 스파이스 걸스 * "I Know the Truth" - 엘튼 존, 자넷 잭슨 * "Not Me" - 보이즈 투 멘 * "Amneris' Letter" - 샤니아 트웨인 * "A Step Too Far" - 엘튼 존, 헤더 헤들리, 셰리 르네 스콧 * "Like Father Like Son" - 레니 크래비츠 * "Elaborate Lives" - 헤더 헤들리 * "How I Know You" - 제임스 테일러 * "The Messenger" - 엘튼 존, 룰루 * "The Gods Love Nubia" - 켈리 프라이스 * "Enchantment Passing Through" - 드루 힐 * 기타 (Another Pyramid) - 로이드 윌리스 * 베이스 (Another Pyramid) - 로비 셰익스피어 * 드럼 (Another Pyramid) - 슬라이 던바 * 키보드 (Another Pyramid) - 로비 린 * 백 보컬 (Another Pyramid) - 체레나 앤더슨, 체벨 프랭클린, 피터 만, 스팅, 트위기 * 일렉트릭 피아노, 하모니움 (Written in the Stars) - 칼 헤르게셀 * 기타 (Written in the Stars) - 케니 마임스, 마이클 그라임스 * 베이스 (Written in the Stars) - 크레이그 영 * 더블 베이스 (Written in the Stars) - 에드거 메이어 * 드럼, 퍼커션 (Written in the Stars) - 오마르 하킴 * 관현악 (Written in the Stars)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편곡 (Written in the Stars) - 마이크 한나, 프레드 본, 앤드루 프라이스 잭맨 * 일렉트릭 피아노 (Easy as Life) - 필립 사이스 * 더블 베이스 (Easy as Life) - 메리 스컬리 * 오보에, 잉글리시 호른 (Easy as Life) - 크리스 후커 * 비올라 (Easy as Life) - 밥 스미센, 케이티 윌킨슨, 피터 레일, 필 듀크스 * 첼로 (Easy as Life) - 앤서니 플리스, 데이브 다니엘스, 프랭크 쉐퍼, 마틴 러브데이 * 바이올린 (Easy as Life) - 보거슬로 코스테츠키, 크리스 탐린, 리즈 에드워즈, 개빈 라이트, 재키 셰브, 존 브래드버리, 마크 베로, 팻 키어넌, 페리 몬타구 메이슨, 레베카 허시, 로저 갈란드, 사이먼 피셔, 본 아르망, 윌프 깁슨 * 편곡 (Easy as Life) - 앙젤리크 키조, 장 에브하일, 닉 잉그만 * 기타 (My Strongest Suit) - 클렘 클렘슨 * 기타, 프로그래밍 (My Strongest Suit) - 줄리안 갤러거 * 기타, 키보드 (My Strongest Suit) - 롭 매티스 * 베이스 (My Strongest Suit) - 토비 베이커, 제브 카츠 * 드럼 (My Strongest Suit) - 숀 펠튼 * 키보드, 프로그래밍 (My Strongest Suit) - 맷 로우 * 프로그래밍 (My Strongest Suit) - 잭 데이비스, 폴 월러 * 테너 색소폰 (My Strongest Suit) - 앤디 스니처 * 트롬본 (My Strongest Suit) - 마이크 데이비스 * 트럼펫 (My Strongest Suit) - 제프 키빗 * 악기 (I Know the Truth) - 지미 잼 & 테리 루이스 * 기타 (I Know the Truth) - 데이브 베리 * 드럼 (I Know the Truth) - 스토클리 윌리엄스 * 드럼 프로그래밍 (I Know the Truth) - 알렉스 리치버그 * 키보드 (I Know the Truth) - 가이 바빌론 * 오보에 (I Know the Truth) - 메릴리 클렘프 * 첼로 (I Know the Truth) - 로라 스웰 * 비올라 (I Know the Truth) - 머나 리안, 사비나 대처 * 바이올린 (I Know the Truth) - 셀린 렛헤드, 다리아 테데스키, 리즈 소비에스키, 헬렌 폴리, 줄리아 퍼시츠, 로저 프리슈, 타이치 첸, 유리 메르제프스키 * 편곡 (I Know the Truth) - 제임스 라이트, 지미 잼, 테리 루이스, 리 블래스케 * 일렉트릭 베이스 (Not Me) - 제브 카츠 * 편곡 (Not Me) - 네이선 모리스, 숀 스톡만, 와나 모리스, 롭 매티스 * 피아노 (Amneris' Letter) - 더그 카차로스 * 기타, 편곡 (A Step Too Far) - 롭 매티스 * 베이스 (A Step Too Far) - 제브 가츠 * 드럼 (A Step Too Far) - 숀 펠튼 * 탬버린 (A Step Too Far) - 질 델 아바테 * 콘서트마스터 (A Step Too Far) - 엘레나 바레레 * 프로그래밍 (A Step Too Far) - 잰 폭슨 * 일렉트릭 피아노,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베이스, 드럼, 팀파니, 백 보컬, 금관악 편곡 (Like Father, Like Son) - 레니 크래비츠 * 색소폰, 플루트 (Like Father, Like Son) - 에드 케일 * 트롬본 (Like Father, Like Son) - 다나 테보에 * 트럼펫 (Like Father, Like Son) - 토니 콘셉시온 * 기타, 지휘, 편곡 (Elaborate Lives) - 롭 매티스 * 베이스 (Elaborate Lives) - 제브 카츠 * 더블 베이스 (Elaborate Lives) - 데이비드 핑크 * 드럼 (Elaborate Lives) - 숀 펠튼 * 플루트 (Elaborate Lives) - 파멜라 스클라 * 하프 (Elaborate Lives) - 스테이시 셰임즈 * 오보에 (Elaborate Lives) - 다이앤 레서 * 첼로 (Elaborate Lives) - 케릴 페이즈너, 잔느 르블랑, 마크 슈만, 리처드 라커 * 비올라 (Elaborate Lives) - 캐롤 랜던, 주디 위트머, 줄리안 바버, 수 프레이 * 바이올린 (Elaborate Lives) - 에이브 애플먼, 앤 레더스, 도나 테코, 리즈 림, 잰 뮬렌, 진 잉그레이엄, 조이스 하만, 마티 스위트, 폴 피바디, 레지스 이안디오노, 리키 소르톰 * 바이올린, 콘서트마스터 (Elaborate Lives) - 배리 핀클레어 * 기타 (How I Know You) - 제임스 테일러 * 베이스 (How I Know You) - 지미 존슨 * 키보드 (How I Know You) - 클리퍼드 카터 * 퍼커션 (How I Know You) - 루이스 콩트, 러셀 컨켈 * 피아노 (The Messenger) - 제프 보바 * 더블 베이스 (The Messenger) - 데이비드 핑크 * 베이스 트롬본 (The Messenger) - 데이브 테일러 * 하프 (The Messenger) - 스테이스 셰임즈 * 오보에 (The Messenger) - 다이앤 레서 * 첼로 (The Messenger) - 다이앤 바레레, 엘렌 웨스터먼, 잔느 르블랑, 리처드 라커 * 비올라 (The Messenger) - 캐롤 랜던, 주디 위트머, 줄리안 바버, 수 프레이 * 바이올린 (The Messenger) - 에이브 애플먼, 앤 레더스, 도나 테코, 리즈 림, 잰 뮬렌, 진 잉그레이엄, 조이스 하만, 마티 스위트, 폴 피바디, 레지스 이안디오노, 리키 소르톰 * 바이올린, 콘서트마스터 (The Messenger) - 캐롤 웹 * 트럼펫 (The Messenger) - 제프 키빗, 토니 카드렉 * 백 보컬 (The Messenger) - 안젤라 클레몬스-패트릭, 찰스 맨골드, 디바 그레이, 제임스 윌리엄스, 카렌 카몬, 로렌 킨한, 롭 매티스 * 프로그래밍 (The Messenger) - 팻 스롤 * 편곡 (The Messenger) - 롭 매티스 * 피아노 (The Gods Love Nubia) - 밴스 테일러 * 베이스 (The Gods Love Nubia) - 로니 가렛 * 퍼커션 (The Gods Love Nubia) - 스캇 미더 * 프로그래밍 (The Gods Love Nubia) - 다릴 시몬스 * 편곡 (The Gods Love Nubia) - 켈리 프라이스 * 피아노 (Enchantment Passing Through) - 네이트 모링 * 베이스, 키보드 (Enchantment Passing Through) - 재 딜 * 드럼, 퍼커션 (Enchantment Passing Through) - 제로드 반스 * 키보드 (Enchantment Passing Through) - 베이비 데이브 * 편곡 (Enchantment Passing Through) - 래리 앤서니, 시스코 * 첼로 (Orchestral Finale) - 다이앤 바레레, 엘렌 웨스터먼, 잔느 르블랑, 리처드 라커 * 클라리넷, 베이스 클라리넷 (Orchestral Finale) - 버질 블랙웰 * 프렌치 호른 (Orchestral Finale) - 밥 칼라일, 존 클락 * 플루트, 알토 플루트 (Orchestral Finale) - 데이브 토파니 * 더블 베이스 (Orchestral Finale) - 주디 슈거맨 * 오보에, 잉글리시 호른 (Orchestral Finale) - 다이앤 레서 * 트롬본 (Orchestral Finale) - 짐 푸, 래리 파렐 * 트럼펫 (Orchestral Finale) - 바이런 스트리플링, 토니 카드렉 * 비올라 (Orchestral Finale) - 캐롤 랜던, 주디 위트머, 줄리안 바버, 수 프레이 * 바이올린 (Orchestral Finale) - 캐롤 웹, 도나 테코, 엔리코 데 체코, 하이디 모드-바이머, 리즈 림, 잰 뮬렌, 진 잉그레이엄, 조이스 하만, 마티 스위트, 레지스 이안디오노 * 바이올린, 콘서트마스터 (Orchestral Finale) - 엘레나 바레레 * 편곡, 지휘, 솔로이스트 (Orchestral Finale) - 롭 마운지 * 프로듀싱 * "Another Pyramid" - 슬라이 & 로비, 스팅 * "Written in the Stars" - 피터 콜린스, 윌버 라임즈 * "Easy as Life" - 장 에브하일 * "My Strongest Suit" - 맷 로우, 필 라몬, 리처드 스타나드 * "I Know the Truth" - 지미 잼 & 테리 루이스 * "Not Me" - 보이즈 투 멘 * "Amneris' Letter" - 로버트 존 랭 * "A Step Too Far" - 필 라몬 * "Like Father, Like Son" - 레니 크래비츠 * "Elaborate Lives" - 필 라몬 * "How I Know You" - 나다니엘 컨켈, 러셀 컨켈 * "The Messenger" - 필 라몬 * "The Gods Love Nubia" - 다릴 시몬스 * "Enchantment Passing Through" - 드루 힐 * "Orchestral Finale" - 필 라몬 }}} == 트랙 리스트 == * 1. "[[Another Pyramid]]" ([[스팅(가수)|Sting]]) - 3:51 * 2. "[[Written in the Stars]]" (Elton John, [[리앤 라임즈|LeAnn Rimes]]) - 4:17 * 3. "[[Easy as Life]]" ([[티나 터너|Tina Turner]] & Angelique Kidjo) - 5:12 * 4. "[[My Strongest Suit]]" ([[스파이스 걸스|Spice Girls]]) - 4:12 * 5. "[[I Know the Truth]]" (Elton John, [[자넷 잭슨|Janet Jackson]]) - 5:38 * 6. "[[Not Me]]" ([[보이즈 투 멘|Boyz II Men]]) - 4:54 * 7. "[[Radames' Letter|Amneris' Letter]]" ([[샤니아 트웨인|Shania Twain]]) - 1:42 * 8. "[[A Step Too Far]]" (Elton John, Heather Headley, Sherie René Scott) - 4:20 * 9. "[[Like Father, Like Son]]" ([[레니 크래비츠|Lenny Kravitz]]) - 4:11 * 10. "[[Elaborate Lives]]" (Heather Headley) - 4:25 * 11. "[[How I Know You]]" (James Taylor) - 3:20 * 12. "The Messenger" (Elton John, [[룰루|Lulu]]) - 5:12 * 라다메스와 아이다가 죽음을 앞둔 상황에서 함께 부르는 비장한 분위기의 곡이다. 공식적으로 발매되지 않은 1997년 리딩 앨범에서는 "Love Is in Your Eyes"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고, 1998년 애틀랜타 공연들에서 원제목 "The Messenger"로 삽입되었지만 그 이후로 폐기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4VpQxQKMUMc|Love Is in Your Eyes (1997)]][br][[https://www.youtube.com/watch?v=nia5gM6566I&t=98s|The Messenger (1998년 애틀랜타 공연)]]] 이후 엘튼 존은 룰루와 함께 이 곡을 녹음하여 앨범에 수록했고 1996년 데모와 동일하게 녹음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XtGxvoPRXQ|엘튼 존 - The Messenger (1996)]][br][[https://www.youtube.com/watch?v=rBCuBcrapUM|엘튼 존/룰루 - The Messenger (1999)]]] 엘튼 존과 룰루의 음원은 영국 런던의 타운하우스 스튜디오와 미국 뉴욕의 아바타 스튜디오, 시어 사운드 스튜디오, 롸잇 트랙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1820223-Elton-John-And-Tim-Rice-Aida|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미국반 - 디스콕스]]] 1970년대부터 수년간 친분을 이룬 엘튼 존과 룰루가 녹음한 첫 번째 공식 발매 곡이며, 엘튼 존은 룰루와 곡을 녹음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1999년 2월 20일자 빌보드 (77 페이지)] 최종 뮤지컬에 삽입되지 않은 유일한 수록곡이기도 하다. * 13. "[[The Gods Love Nubia]]" (Kelly Price) - 4:50 * 14. "[[Enchantment Passing Through]]" ([[드루 힐|Dru Hill]]) - 5:47 * 15. "Orchestral Finale" (Elton John) - 3:38 * 삽입곡들의 선율을 반복하는 웅장한 분위기의 연주곡이며, 미국의 작곡가이자 편곡자 롭 마운지가 편곡과 지휘를 맡았다. 엘튼 존의 1999년과 2000년대 솔로 공연들, [[엘튼 존 밴드]]의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와 함께 진행한 2009년과 2010년 2인조 공연들에서 도입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psE7ZIDOuI|솔로 공연: 1999년 10월 16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br][[https://www.youtube.com/watch?v=E1lxZsGGLJE|솔로 공연: 2000년 11월 14일 노르웨이 오슬로]][br][[https://www.youtube.com/watch?v=uuvu82CPZSE|레이 쿠퍼 2인조 공연: 2010년 12월 1일 벨기에 브뤼셀 공연]]] == 녹음에 사용되지 않은 곡들 == * 1. "[[Every Story Is a Love Story]]" * [[아이다(뮤지컬)/사운드트랙|브로드웨이 캐스트 레코딩 앨범]]에 수록되었다. 엘튼 존이 녹음한 데모도 존재하지만 공개되지 않았다.[* [[http://www.eltonography.com/songs/every_story_is_a_love_story.html|Every Story Is a Love Story 가사 (엘튼 존 데모 버전)]]] * 2. "[[Fortune Favors the Brave]]" * 브로드웨이 캐스트 레코딩에 수록되었다. * 3. "[[The Past Is Another Land]]" * 브로드웨이 캐스트 레코딩에 수록되었다. 엘튼 존이 녹음한 데모도 존재하지만 공개되지 않았다.[* [[http://www.eltonography.com/songs/the_past_is_another_land.html|The Past Is Another Land 가사 (엘튼 존 데모 버전)]]] * 4. "[[Dance of the Robe]]" * 브로드웨이 캐스트 레코딩에 수록되었다. 엘튼 존이 녹음한 데모도 존재하지만 공개되지 않았다.[* [[http://www.eltonography.com/songs/the_dance_of_the_robe.html|Dance of the Robe 가사 (엘튼 존 데모 버전)]]] * 5. "Halfway to Heaven" * 뮤지컬에 삽입된 곡이지만 1999년 콘셉트 앨범과 2000년 사운드트랙 앨범에 수록되지 않았다. * 6. "Our Nation Holds Sway" * 1998년 애틀랜타 공연들에서 "Every Story Is a Love Story"에 이어 등장하는 곡이었지만 이후 "Fortune Favors the Brave"로 교체되면서 폐기되었다. 1997년 리딩 앨범에 수록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ia5gM6566I|Our Nation Holds Sway (1998년 애틀랜타 공연)]][br][[https://www.youtube.com/watch?v=mvbajmsV07Y|Our Nation Holds Sway (1997)]]] 원래 제목은 "This Triumphant Day"였고 엘튼 존이 녹음한 데모도 존재하지만 공개되지 않았다.[* [[http://www.eltonography.com/songs/this_triumphant_day.html|This Triumphant Day 가사]]] * 7. "Night of Nights" * 1998년 애틀랜타 공연들에 삽입되었지만 이후 공연들에서 폐기된 곡이다.[* [[https://web.archive.org/web/20160503062901/http://www.timrice.co.uk/aidas.html|Sir Tim Rice - Aida]]] * 8. "The Judgement" * 1998년 애틀랜타 공연들에 삽입되었지만 이후 공연들에서 폐기된 곡이다.[* [[https://web.archive.org/web/20160503062901/http://www.timrice.co.uk/aidas.html|Sir Tim Rice - Aida]]] * 9. "Day of Days" * 리허설에서만 사용되고 뮤지컬에 삽입되지 않은 곡이다.[* [[https://web.archive.org/web/20160503062901/http://www.timrice.co.uk/aidas.html|Sir Tim Rice - Aida]]] * 10. "Victory Parade" * 리허설에서만 사용되고 뮤지컬에 삽입되지 않은 곡이다.[* [[https://web.archive.org/web/20160503062901/http://www.timrice.co.uk/aidas.html|Sir Tim Rice - Aida]]] * 11. "Aida Reprise" * 뮤지컬에 삽입되지 않고 폐기된 곡이다. 엘튼 존이 녹음한 데모가 존재하지만 공개되지 않았다.[* [[http://www.eltonography.com/songs/aida_reprise.html|Aida Reprise 가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Elton John & Tim Rice's Aida, version=11)] * {{{-2 [[문서 삭제식 이동]] (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 Elton John & Tim Rice's Aida → 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 Elton John and Tim Rice's Ai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