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ERBoH 시즌1)] [youtube(l3w2MTXBebg)] [[http://youtu.be/l3w2MTXBebg|원본]] [[http://youtu.be/trHw5YgCYrc|비하인드]] [[https://epicrapbattlesofhistory.fandom.com/wiki/Dr._Seuss_vs_Shakespeare|ERB 위키]] '''[[닥터 수스]]''' VS '''[[윌리엄 셰익스피어]]''' 사용된 비트는 Edward Cayce의 [[https://www.youtube.com/watch?v=7jgKFn1ci1M|(제목 불명)]]. 괴이한 어휘들을 잔뜩 만들어 낸 걸로 널리 알려진 두 문학계 거장들의 대결이다. 셰익스피어의 랩은 실제 그의 희곡과 마찬가지로 약강 5보격 (iambic pentameter)에 맞춰서 써졌다. Watsky는 나중에 [[Epic Rap Battles of History/시즌 3 Episode 9|에드거 앨런 포]] 배역으로도 그의 문체를 재현하며 포문을 열었다. 2번째 벌스에서의 엄청난 속사포 랩 또한 이 대결의 포인트다. 다만 닥터 수스의 파트가 이 퀄리티를 따라가지 못해서 배틀이 언밸런스해졌다는 비판이 있다. ~~근데 이기기는 또 닥터 수스가 이겼다~~ 닥터 수스는 랩을 하지 않고 그의 캐릭터들이 대신 랩을 하는데, 이건 그가 편도암으로 사망한 걸 대변한 것이다. == 가사 == ||'''윌리엄 셰익스피어:'''|| ||Come bite my thumb! 어디 나의 엄지를 깨물어 보게나[* 셰익스피어의 시대에 엄지손가락을 깨무는 건 시비를 거는 행동으로, 지금의 가운데 손가락과 비슷한 의미였다.] I hope you know the stakes 자네가 지금 누구한테 덤비는 지는 아는가? I'll put a slug between 그대 날개뼈 사이에 your shoulder blades 샷건을 박아넣고선[* 슬러그는 샷건에 쓰이는 슬러그탄을 일컫는다.] then ask what light through 이렇게 묻겠네 "저 짭에게 비치는 yonder poser breaks? 빛이란 무어란 말인가?"[*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오는 대사인 "But soft! What light through yonder window breaks?"를 인용했다. poser는 거짓된 행동을 하는 사람, 짝퉁 등으로 번역된다.] I hath been iambic on that ass 내 약강격은 너같은 놈들을 발라버리기에 ye bastard 부족함이 없나니[* iambic은 약강격, 즉 약한 음절 하나에 강한 음절 하나가 따라오는 시의 형식이다. 셰익스피어는 약강 5보격(iambic pentameter)를 즐겨 쓴 걸로 유명하다.] my rhymes are classic 내 라임에는 품위가 있다네 your crap is drafted 거기에 비하면 by a kindergartner 자네가 쓴 글들은 유치원생이 high on acid 약을 빨고 쓴 쓰레기지[* acid는 [[LSD(약물)|LSD]]의 속어이다.] ye hoebag 호구 같은 그대여 you're an old white Soulja Boy 그댄 늙어빠진 백인의 소울자 보이일 뿐이라네[* [[Soulja Boy]]는 미국의 래퍼로 가사를 [[똥손|세련되게 못 쓰기]]로 유명하다.] who has no swag 심지어 간지도 안 나지[* Soulja Boy가 유일하게 인정받는 것들 중 하나는 간지가 난다는 것이다.][* [[Swag]]의 원형인 Swagger도 셰익스피어가 창조한 단어다.] and no gonads 그럼 뭐 배짱이라도 있나?[* gonad는 생식 기관으로, 남자스러움 또는 용기를 뜻하는데 사용된다.] egads it's so sad 슬프기도 해라 and to top it off 결정적으로 자넨 you're not a doctor 사실 진짜 의사도 아니잖나[* 비록 의사는 아니지만 "Dr." 를 필명에 추가한 이유는 아버지가 가이젤이 의사가 되기 바랐기 때문이다. 다트머스 대학에서 1956년 명예박사 학위를 줘서 어찌보면 박사긴 하다.] I've never seen a softer author 정말 너같이 약해빠진 작가는 처음이로구나 you crook, you 이런 음험한 놈아 I bet you wrote 사실 [[트와일라잇 시리즈]]도 the Twilight books too 자네가 쓴거 아닌가?|| ||'''[[모자쓴 고양이]]:'''[* Thing 1 & 2와 함께 닥터 수스의 대표적인 캐릭터. 닥터 수스는 편도암 때문에 말을 할수 없는 상태였다]|| ||I would not could not on a boat 내가말이야 진짜 정말 심심하긴 해도[* I would not could not on a boat는 닥터 수스의 책 [[초록 달걀과 햄]]에 나오는 구절을 인용한 걸로, 이렇게 비슷한 라임을 가진 짤막한 단어들의 나열은 닥터 수스의 라임의 특징이다.] read any of the boring ass 니 거지같이 재미없는 연극들은 plays you wrote 못 읽겠더라 even Horton 심지어 호튼도 doesn't want to hear you 너의 글엔 치를 떨지[* 호튼은 닥터 수스의 책 Horton Hears a Who에 나오는 코끼리로, 모든 생물체의 말에 귀를 기울일 줄 아는 캐릭터다.] and Cindy Lou Who is 신디 루는 니 근처에 afraid to go near you 가기도 무서워해[* 신디 루는 닥터 수스의 책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에 나오는 캐릭터로, 일종의 요괴인 Grinch를 전혀 무서워하지 않는 당돌한 소녀다.] you bore people to death 넌 사람을 지루함으로 죽여[* 이 장면에서 비석에 ' 여기에 너의 독자수가 누워있다 '라고 써있다.] you leave a classroom 교실이 무슨 looking like the end of Macbeth [[맥베스]]의 결말 꼴이 나[* 죽고 죽고 또 죽는 맥베스의 엔딩을 뜻한다.] I entertain a child of any age 난 모든 나이대의 아이들을 즐겁게 하지 you gotta translate 넌 니가 뭔 소리를 what you said 지껄였는지 on the opposite page 페이지마다 설명해야 되잖아[* 셰익스피어의 언어는 상당이 어려워서 원어민들도 무슨 소리인지 헷갈린다. 따라서 학교 등에서 쓰는 책에는 왼쪽 페이지에는 셰익스피어의 본문, 오른쪽 페이지에는 현대 영어 번역본이 실려 있는 경우가 잦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관동별곡]]을 생각해 보면 된다.] how you gonna battle 니가 이 모자 쓴 고양이와 with the Cat in The Hat? 대체 뭘로 싸울건데? little kids get scared 내가 진지해지면 when I step on the mat 아이들은 겁을 먹지 you think your ruffled neck ass 너 지금 그 구불구불한 목장식으로 gonna rap to that? 나한테 덤빌 생각이야?[* 셰익스피어의 초상화는 99% 구불구불한 목장식(Ruff)을 두르고 있다. 이는 그 당시의 패션 트렌드였다고 한다.] I got a best selling book 난 내 컴백에 관한 책도 about me coming back 베스트 셀러가 돼[* 베스트 셀러인 The Cat in the Hat Comes Back을 일컫는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이 랩을 하기 전 들고 있는 해골은 [[햄릿]] 5장에 나오는 [[요릭]]의 패러디]|| ||I'm switching up my style 난 비틀즈처럼 현란하게 like the Beatles with my pieces 스타일을 비틀어대지[* [[비틀즈]]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시도한 걸로 유명하다. 셰익스피어 역시 희극, 비극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의 연극을 집필했다. 본 랩에서 또한 셰익스피어는 느리게 플로우를 타던 방식에서 속사포 스타일로 갈아타 라임덩어리를 쏟아낸다.] each is such a wonder 내 작품들은 하나같이 with a plethora of features 다채로운 색이 작렬해 you're pathetically predictable 너의 글들은 항상 불쌍하리만큼 뻔하디 뻔하지 you think your new book 혹시 다음 책에도 might include a trisyllabic meter 3음절 운율에 짝퉁 [[머펫]]을 and some ghetto Muppet creatures 등장시킬 생각은 아니겠지[* 닥터 수스의 동화는 항상 비슷한 구조와 패턴을 보인다는 지적을 받는다.] the Bard is in the building 이 음유시인께서 오셨으니[* 랩배틀인 만큼 래퍼들의 흔한 스웩 프레이즈인 MC in da house의 셰익스피어 버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영문학에서 the Bard라고 하면 셰익스피어를 뜻함] it's a castle, I'm a boss 여긴 성이야, 난 왕이고 I bet I'm Parliament 영국의회 그 자체지 I'm positive I'm killing it 지금 그댈 완전 쳐바르고 있다네 I'm iller than the plague 난 흑사병이나 콜레라 같은 I never caught or cholera 역병보다 한 수 위라고 a baller baller 내가 크리켓을 하며 on some cricket bowler business 고귀함을 과시할 때[* 셰익스피어의 시대에 크리켓은 귀족들의 스포츠였다.] while you're sitting in the bleachers. 넌 관중석에 앉아 손가락이나 빨고 있겠지|| ||'''모자쓴 고양이:'''|| ||You rap fast you do 랩을 빨리 하긴 하네 yes you rap fast it's true 그래 참 빠르긴 해 now let's see how you rap 그럼 어디 Things 1 and 2를 상대로 versus Things 1 and 2 어떻게 랩을 하나 한번 볼까|| ||'''Thing 1 & 2:'''|| ||Oh, No 오, 이런 We'll smash your globe 저 놈의 극단을 극단적으로 박살내자고[* Globe는 사람의 두개골이라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셰익스피어의 연극이 상영되었던 Globe Theater 또한 일컫는다.] yo, you may have wrote the script 대본은 니가 썼겠지만 but now we running the show 이제 이건 우리 쇼야 you can take your fancy words 그러니 이제 그 잘나신 글들은 and send'em 너네 엄마한테나 back home to your mama 보내주라고[* ~your mama는 일종의 [[패드립]]으로, 셰익스피어가 창조했다.] break our foot off in your ass 이제 쫄쫄이를 입은 채로 with our feetie pajamas 너의 엉덩이를 걷어 찰 테니[* Things 1 and 2는 상의와 하의가 붙어있는 구조의 옷을 입고 있다.] man we'll cook you up 새끼야 우린 널 구워서 and eat you with some 초록달걀과 햄과 같이 ham and green eggs 먹을 거야[* 닥터 수스의 책인 [[초록 달걀과 햄]]을 인용했다.] we'll break offa your legs 네놈의 다리를 분질러주지 make no mistake 분명 실수는 없을거야 we in a rage 우린 지금 분노했거든 all does not end well 우리 둘이 우리를 탈출하는 순간 when we bust out our cage 마무리는 좋을 수가 없다고[* Alls Well That Ends Well, 즉 '끝이 좋으면 다 좋은거다' 는 셰익스피어의 연극 제목이다. 우리를 탈출하는 건 닥터 수스의 [[모자쓴 고양이]]의 줄거리를 인용하는 것이다.] you gettin' upstaged Bill 이제 무대 뒤로 사라질 시간이야 빌[* Bill은 William의 애칭이다][* upstage는 downstage보다 주목을 덜 받는 무대로, upstage로 간다는 말은 인기있는 무대에서 떨려난다는 것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yo, you just got played! 너의 연극은 이제 끝났으니까![* play는 연극을 뜻하기도 하고 갖고 놀았다는 뜻이 되기도 한다.]|| [[분류:Epic Rap Battles of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