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a0a0a> '''{{{#fff {{{+1 Everlo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verlong.png|width=100%]]}}} || || '''아티스트''' ||[[푸 파이터스(밴드)|푸 파이터스]] || || '''싱글 발매일''' ||[[1997년]] [[8월 18일]] || || '''싱글 B면''' ||Drive Me Wild[br]See You (Live) || || '''앨범 발매일''' ||[[1997년]] [[5월 20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2a3549; font-size: .9em" [[The Colour and the Shape|{{{#cb4845 '''The Colour and the Shape'''}}}]]}}} || || '''장르''' ||[[포스트 그런지]], [[얼터너티브 록]] || || '''작사/작곡''' ||[[데이브 그롤]] || || '''프로듀서''' ||길 노튼 || || '''러닝 타임''' ||4:11 || || '''레이블''' ||로스웰 레코드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9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69)] [목차][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BG7P-K-r1Y)]}}}|| || '''뮤직 비디오''' || 미국의 록 밴드, [[푸 파이터스(밴드)|푸 파이터즈]]의 2번째 정규앨범인 《[[The Colour and the Shape]]》의 수록곡이며, 푸파이터즈의 대표적인 명곡중 하나로 뽑히는 곡이다. 데이브 그롤이 본인의 전 여자친구 루이스 포스트에 대해 쓴 곡. 사랑에 빠지다 못해 심지어는 같이 노래를 부르면서 조화를 만들어 내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 뮤직 비디오 == 영화 감독 [[미셸 공드리]]가 뮤직비디오를 연출했다. 꿈을 주요 소재로 하는 미셸 공드리답게 꿈을 오가는 몽환적인 스토리라인을 가지고 있다. 데이브 그롤이 남주인공, 테일러 호킨스가 여주인공을 맡았고 팻 스미어와 네이트 멘델이 빌런을 맡았다. == 가사 == >Hello >안녕, >I've waited here for you >널 기다려왔어 >Everlong >영원토록 >Tonight, I throw myself into >오늘밤, 난 온 힘을 다해서 >And out of the red >이 결핍상태를 벗어날거야, >Out of her head, she sang >정신이 나간듯이, 그녀는 노래했어 >Come down and waste away with me >이리 내려와서 나와 함께 무너져가줘 >Down with me >나와 함께 >Slow, how you wanted it to be >천천히, 너가 원했던대로 >I'm over my head >난 이해 못하고있어 >Out of her head, she sang >정신이 나간듯이, 그녀는 노래했지 >And I wonder >그리고 너와 함께 노래할때면 >When I sing along with you >난 생각하곤 해 >If everything could ever be this real forever >'이 모든게 영원히 이렇게 생생할수 있을까' >If anything could ever be this good again >'앞으로 이렇게 또 행복할수 있을까' >The only thing I'll ever ask of you >내가 너에게 원하는 딱 한가지는, >You've got to promise not to stop when I say when >내가 멈추라고 할때 멈추지 않겠다고 약속해달라는거야 >She sang >그녀는 노래했어 > >Breathe out >숨을 내쉬어줘 >So I can breathe you in >내가 너를 들이마실수 있게 >Hold you in >너를 내 안에 넣어둘수 있도록 >And now >그리고 이제는 >I know you've always been >난 네가 항상 정신 나가있었다는거, >Out of your head >알고있어 >Out of my head, I sang >미친듯이, 난 노래했어 >And I wonder >그리고 너와 함께 노래할때면 >When I sing along with you >난 생각하곤 해 >If everything could ever be this real forever >'이 모든게 영원히 이렇게 생생할수 있을까' >If anything could ever be this good again >'앞으로 이렇게 또 행복할수 있을까' >The only thing I'll ever ask of you >내가 너에게 원하는 딱 한가지는, >You've got to promise not to stop when I say when >내가 멈추라고 할때 멈추지 않겠다고 약속해달라는거야 >She sang >그녀는 노래했어 > >And I wonder >그리고 난 생각하지, >If everything could ever be this real forever >'이 모든게 영원히 이렇게 생생할수 있을까' >If anything could ever be this good again >'앞으로 이렇게 또 행복할수 있을까' >The only thing I'll ever ask of you >내가 너에게 원하는 딱 한가지는, >You've got to promise not to stop when I say when >내가 멈추라고 할때 멈추지 않겠다고 약속해달라는거야 == 여담 == * 이 곡은, 매 푸 파이터즈 공연의 마지막을 장식해주는 곡이다. 리더인 데이브 그롤은 "We never say good bye... instead... We say this." 라고 말하고 곡을 시작하며, 공연을 끝내는 작별인사를 한다. * 푸 파이터즈의 드러머 테일러 호킨스가 사망 전에 마지막으로 연주한 곡이다. [[분류:푸 파이터스(밴드)]][[분류:1997년 노래]][[분류:1997년 싱글]][[분류:포스트 그런지]][[분류:얼터너티브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