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Evil Geniuses)] [include(틀:SC2 프로게임단)] ||<-7> [[파일:EG_logo_1.png|width=300]] || ||<-7> '''{{{#ffffff {{{+1 이블 지니어스}}}}}}''' || ||<-7> '''{{{#a1c2e6 {{{+1 Evil Geniuses}}}}}}''' || || '''{{{#ffffff 소재 지역}}}''' ||<-6>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ffffff 창단}}}''' ||<-6> [[2009년]] [[4월 12일]] || || '''{{{#ffffff 해체}}}''' ||<-6> [[2017년]] [[1월 1일]] || || '''{{{#ffffff 팀 컬러}}}''' ||<-6> {{{+5 {{{#a1c2e6 ■}}} {{{#000000 □}}}}}} || || '''{{{#ffffff 약칭}}}''' ||<-6> {{{+1 '''{{{#a1c2e6 EG}}}''' }}} || [목차] [clearfix] == 소개 == [[미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임단이다. [[Evil Geniuses]] 산하로, 2009년 4월 브루드 워 팀을 창단하여 2010년 2월 스타크래프트 2로 전환하였고, 이후 2017년 1월 경에 팀을 해체하였다. 한국에서 가장 인지도 있는 해외 프로게이밍 팀 중 하나였으며, 국내에선 [[이제동]] 선수가 소속되어 유명하였다. == 연혁 == === 2009년 === 4월 12일 [[Evil Geniuses]]는 [[제프 로빈슨]](iNcontroL), 대니얼 아이드슨(Nyoken), 브라이스 베이츠(Machine), 제이콥 윈스테드(LzGaMeR), 에릭 로스뮬러(G5)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팀을 창단하였다. 5월 데이비드 펠스(Louder)는 뉴욕에서 열린 [[WCG]] 이후에 팀에 합류하였다. 6월 에릭 로스뮬러(G5)는 내부문제로 비공식적으로 팀을 떠남. 그의 계약은 2009년도 까지 유지된다. 8월 켈비 윌리엄스(iNkA)가 팀에 합류하였다. === 2010년 === 1월 [[제프 로빈슨]](iNcontroL), 대니얼 아이드슨(Nyoken), 브라이스 베이츠(Machine), 제이콥 윈스테드(LzGaMeR), 데이비드 펠스(Louder), 켈비 윌리엄스(iNkA)와 재계약을 맺었다. 1월 에릭 로스뮬러(G5)가 팀에 재합류 및 팀의 관리자 루카스 바이그험(Colbi)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관리자 직무에서 물러났다. 2월 스타크래프트 2가 출시되면서 [[Evil Geniuses]] 팀은 [[스타크래프트 2]]로 전환하였다. 4월 [[Team Liquid/스타크래프트 2|팀 리퀴드]]를 3:2로 제압하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7월 [[워크래프트 3]] 플레이어였던 닉 라니시(Axslav), 콩 슈(StrifeCro)와 계약 체결하였다. 9월 [[그렉 필즈]](IdrA), 니콜라스 플롯(Tasteless)와 계약하면서 이들의 한국 활동 지원을 결정했다. === 2011년 === 1월 4일 [[영국]] 출신의 [[벤자민 베이커]] 선수가 입단하였다. 3월 31일 [[마누엘 쉔카이젠]] 선수가 팀을 떠났다. 4월 21일 [[몬스터 에너지]]를 비롯한 다수의 스폰서 계약을 발표했다. 7월 21일 [[TSL]] 출신의 [[이호준(프로게이머)|이호준]] 선수가 입단하였다. 7월 26일 이호준 선수의 영입과 관련해 [[TSL]] 팀과의 마찰이 있어지만 결국 EG의 구단주가 이호준 선수가 완전히 팀에 입단이 완료됐다고 발표했다. 7월 31일 [[애리조나]]에 팀 숙소가 생겼다.[* [[http://www.youtube.com/watch?v=2WXvLj5TCKw|그 팀 하우스가 2011년 9월에 공개되었다.]] 덕분에 양덕들의 부러움을 한가득 사고 있다.] 8월 17일 [[크리스 로랑줴]] 선수가 입단하였다.[* 하지만 이전에 로랑줴가 EG로 이적한다는 루머가 돌았을 때 그 루머를 믿은 팬들은 별로 없었다. [[그렉 필즈]]와 로랑줴는 MLG 에서 크리스가 다 진 경기를 파수기의 환상으로 뻥튀기 병력을 만들어 놓고 이 병력을 보고 필즈가 싸워 보지도, GG를 치지도 않고 나가버린 희대의 개그 경기 이후 절대 사이가 좋은 편이 아니었기 때문. 하지만 로랑줴는 실제로 EG로 이적을 했고 이 둘의 악연도 '적과의 동침' 컨셉으로 홍보에 이용하고 있다.] 10월 17일 [[SlayerS]]와 연합을 통해 한국숙소 생활을 구체화하기로 발표했다. [[oGs]]-TL 연합처럼 보면 될 듯 하다. 즉 SlayerS의 숙소에 EG 팀원들이 더부살이하며 활동한다는 이야기. 해외 팀이 한국에서 독자적인 세력으로 활동하는 것을 바라던 일부 해외 스덕들은 이 같은 방침에 아쉬워하기도 하나, 대부분은 환영하는 편.[* 일단 2011년 10월 기준으로 SlayerS의 성적이나 분위기도 매우 좋은 편이고 현실적으로도 EG가 독자적 운영을 하는 것 보다 이미 인프라를 갖춘 팀의 도움을 받는 게 안정적이다.] 한국으로 건너오는 선수들은 [[이호준]], [[크리스 로랑줴]], [[그렉 필즈]]다. 12월 30일 [[TSL]] 출신의 무소속 선수인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선수가 입단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Evil Geniuses, version=530, paragraph=4.1.1.1)] === 2012년 === 5월 8일 당시 해외의 최고 테란으로 꼽히는 [[마르커스 이클로프]] 역시 [[mousesports]]를 나와 EG에 입단했다.[[http://www.youtube.com/watch?v=sFscmngj764&feature=relmfu|#]] 5월 17일 SlayerS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GSTL]]에 함께 로스터에 등록되어 출전 가능함이 알려졌다.[* 실제로는 박진영 선수만 출전했다.] 7월 24일 코난 리우 선수가 입단하였다. 9월 1일 [[SlayerS]]와의 제휴를 종료하였다. [[10월 10일]] 당시 해외의 최고 저그로 꼽히는 [[일리예스 사토우리]]가 Millenium 팀을 나와 EG에 입단했다. 10월 30일 [[Fnatic]] 출신의 [[김성환(프로게이머)|김성환]] 통역가가 팀에 한국지부 통역가 겸 매니저로 입단하였다. 12월 4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에 [[Team Liquid/스타크래프트 2|팀리퀴드]]와 연합 형태로 참여하는 것이 프로리그 미디어 데이 날 발표됐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이전 시즌]]에 참가했던 [[공군 ACE]]가 해체되어 그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참여하였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236&article_id=0000074613&date=20121204&page=1|#]] 이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EG-TL]] 항목 참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rakaka.se/6769-jaedong.png|width=100%]]}}} || 12월 6일 [[제8게임단]]의 [[이제동]]이 1년 간 임대 형식으로 EG로 입단함이 공식 발표됐는데, 이 소식이 알려지자 [[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386382|해외 스덕들은 그야말로 난리가 났다.]] 12월 11일 [[TSL]] 출신의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이 입단함이 알려졌다.[[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387309|#]]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Evil Geniuses, version=530, paragraph=4.1.1.2)] === 2013년 === 1월 4일 구 CLG.EU 선수들과 계약하여 본격 [[리그 오브 레전드]]에도 발을 딛게 되었다.[[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52020&iskin=esports|#]] 추가로 제이컵 윈스테드(LzGaMeR) 선수가 탈퇴했다. IPTL 4강에 진출해 있는 상태로, 여기에서 결승에 진출하는 경우 IPL 6 출전권 여섯 장을 확보하게 된다. 참고로 [[이제동]],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 [[크리스 로랑줴]]는 여기에 상관없이 자신의 힘으로 출전권을 얻은 경우. 3월 13일 [[박용운]] 전 [[SKT T1]] 감독이 EG의 한국지부 감독에 임명되면서, 프로리그에 참가 중인 [[EG-TL]]의 실질적인 감독 역할을 맡게 된다.[[http://evilgeniuses.net/eg-liquid-names-coach-park-as-new-head-coach/|#]] ~~꼴찌팀을 과연 어떻게 '''체계적'''으로 살려낼지 궁금하다.~~ 3월 15일 이호준 선수가 팀에서 나오게 된다.[* 방출 혹은 재계약 실패로 볼 수 있으나, 긴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부진으로 인해 커뮤니티에서는 거의 방출 쪽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신상호(프로게이머)|신상호]] 선수가 [[Complexity Gaming]]에서 나올 때의 상황(입단 이후 지속적인 부진으로 연봉만큼의 요구치를 해내지 못하는 경우)이랑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http://evilgeniuses.net/eg-releases-ho-joon-puma-lee/|#]] 3월 28일 [[Fnatic]] 탈퇴 이후 무소속이던 [[한이석]] 선수와 [[김학수]] 선수가 팀에 입단을 하게 된다. 그동안 부족했던 테란 전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4월 10일 EG에 소속한 모든 한국 선수들[* 이제동, 박진영, 김학수, 한이석, 김동현]의 WCS 지역예선을 모두 북미 지역으로 확정했음이 알려졌다.[[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id=1501193&board=&category=13438&subcategory=&page=1&best=&searchmode=&search=&orderby=&token=|TIG 기사]] 단, 박진영은 WCS 시즌2에는 국내 예선에 참가했다. 고난의 길을 택한 보답인지 박진영은 이 예선을 뚫고 챌린저 리그 진출에 성공했다. 5월 10일 소속 팀의 초대 멤버 [[그렉 필즈]] 선수가 팀에서 방출되기로 결정된다. 이유는 그의 레더 등을 통한 게임 내에서의 무례한 태도[* 욕설이라든지..(...)]가 고쳐지지 않고 지속되자, 팀에서 그런 선택을 내렸다고 전해진다. 6월 4일 무소속이던 미국 테란 리보 챙(Xenocider) 선수가 EG에 입단했다.[* [[http://evilgeniuses.gg/libo-xenocider-chang-added-to-sc2-division/|Libo “Xenocider” Chang Added to SC2 Division]] ] 6월 14일 [[http://www.jinx.com/|JNX]]와의 스폰서 계약이 알려졌다. 8월 7일 일리예스 사토우리(Stephano) 선수가 은퇴를 선언했다.[* 공식적 은퇴는 8월 15일으로 예고했는데, 8월 7일 경기가 은퇴경기가 되어버렸다.] 11월 이제동이 EG 소속 선수 역대 최초로 [[블리즈컨]]에서 개최되는 [[2013 WCS Global Finals]] 결승전 무대까지 진출하였다. 11월 30일 [[이제동]]의 임대가 만료되었으나 [[제8게임단]]으로 복귀하지 않고 12월 4일 [[Evil Geniuses]]로 전격 이적을 발표, 앞으로도 EG의 멤버로 활동하게 되었다. 12월 10일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이 팀 탈퇴를 발표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Evil Geniuses, version=530, paragraph=4.1.1.3)] === 2014년 === 3월 25일 ACER TeamStory Cup Season 3의 본선 진출에 성공한다. 10월 17일, 새로운 유니폼의 디자인을 공개했는데, 유니폼에 백넘버가 부착되어 있다. [[이제동]]의 경우는 7번.[* 과거 플러스로 활동하던 당시 이제동은 41번, 36번이 적혀져 있는 유니폼을 입고 있었다. 오영종의 11번도 대표적인 인상을 남긴 번호.][* 사실 국내에서도 사용되었던 적이 있는 시스템으로 스타 1 당시 플러스 팀이나, 헥사트론 드림팀의 경우를 기억한다면 그리운 시스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Evil Geniuses, version=530, paragraph=4.1.1.4)] === 2015년 === 2월 2일 벤저민 베이커(DeMusliM)가 팀을 떠났다. === 2016년 === 토르제인에 이어 수피와 제노사이더도 팀원 명단에서 사라졌다. 현재 로스터에는 인컨트롤과 이제동, 그리고 헉 3명 뿐인데, 인컨트롤은 사실상 은퇴 상태였고 이제동 또한 여름 들어 대회에서 볼 수 없으므로 사실상 활동하고 있는 게이머는 헉 밖에 없다.[* 사실상 스타2를 접는 수순으로 보이며 설사 유지하더라도 헉의 개인 스폰서 수준으로나 유지될 듯.] 이후 11월 2일, 이제동이 공식적으로 프로게이머 은퇴 선언을 하였다. 2017년 1월 1일 자로, CEO인 PPD가 [[Evil Geniuses]]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임단 해체를 발표하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Evil Geniuses, version=530, paragraph=4.1.1.5)] == 대회 성적 == || 1위 || 2위 || 3-4위 || 그외 순위 || ||<-4> {{{-2 순위 란에 적용}}} || ||<-6> {{{+1 '''[[파일:EG_logo_1.png|height=40]] {{{#a1c2e6 Evil Geniuses}}}'''}}} || || '''{{{#ffffff 연도}}}''' || '''{{{#ffffff 순위}}}''' || '''{{{#ffffff 대회명}}}''' || '''{{{#ffffff 결과}}}''' || '''{{{#ffffff 상대 팀}}}''' || '''{{{#ffffff 상금}}}''' || || 2015-07-14 || 2위 || SHOUTcraft Clan Wars July 2015 #3 || 3 : 4 || [[Prime]] || || || 2015-06-11 || 2위 || SHOUTcraft Clan Wars June 2015 #3 || 0 : 4 || mYinsanity || || || 2015-05-20 || 2위 || SHOUTcraft Clan Wars May 2015 #4 || 3 : 4 || ROOT Gaming || || || 2015-04-18 || 1위 || SHOUTcraft Clan Wars April 2015 #4 || 4 : 3 || Team Ascension || $500 || || 2014-03-25 || 1위 || SHOUTcraft Clan Wars March 2014 #9 || 4 : 2 || StarTale || $500 || || 2014-03-06 || 2위 || SHOUTcraft Clan Wars March 2014 #2 || 3 : 4 || Millenium || || || 2014-02-20 || 1위 || SHOUTcraft Clan Wars February 2014 #1 || 4 : 1 || Incredible Miracle || $500 || || 2013-09-14 || 3위 || StarCraft 2 League || 1 : 4 || Team Acer || $2,000 || || 2013-03-28 || 3-4위 || 2013 IGN Pro Team League || 3 : 5 || [[Incredible Miracle]] || $2,000 || || 2012-11-21 || 3-4위 || 2012 IGN Pro Team League || 4 : 5 || StarTale || $2,000 || || 2012-03-10 || 2위 || Pro Random Monobattles Tournament || 1 : 3 || Team Liquid || || || 2011-11-13 || 2위 || GosuCoaching Premiere League Season 2 || 2 : 3 || Team Empire || $1,000 || || 2011-09-25 || 2위 || ESEA SC2 League Season 2 || - : W || CheckSix Gaming || $1,200 || || 2011-05-14 || 2위 || ESEA SC2 League Season 1 || 1 : 3 || compLexity Gaming || $1,200 || || 2011-01-31 || 3위 || GosuCoaching Premiere League Season 1 || 3 : 2 || [[Team Liquid/스타크래프트 2|Team Liquid]] || $500 || || 2011-01-31 || 1위 || Machinima Realm Invitational || 4 : 0 || ROOT Gaming || $2,000 || == 역대 선수 목록 == ||<-7>
'''{{{#a1c2e6 역대 선수}}}''' || || '''{{{#ffffff 국적}}}''' || '''{{{#ffffff 종족}}}''' || '''{{{#ffffff 아이디}}}''' || '''{{{#ffffff 한글 이름}}}''' || '''{{{#ffffff 영문 이름}}}''' || '''{{{#ffffff 계약 종료일}}}''' || '''{{{#ffffff 다음 팀}}}'''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저그 || Suppy || [[코난 리우]] || Conan Liu || 2017-01-01 ||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테란 || Xenocider || 리보 챙 || Libo Chang || 2017-01-01 || || || [[스웨덴|[[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 테란 || ThorZaIN || [[마르커스 이클로프]] || Marcus Eklöf || 2017-01-01 || 탈퇴[* 탈퇴로 추정. 팀원 목록에서 갑자기 없어졌다.] ||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 프로토스 || HuK || [[크리스 로랑줴]] || Chris Loranger || 2017-01-01 || 탈퇴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프로토스 || iNcontroL || [[제프 로빈슨]] || Geoffrey Robinson || 2017-01-01 || 탈퇴[* 2019년 7월 20일 사망.]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저그 || Jaedong || [[이제동]] || Lee Jae Dong || 2016-10-31 || 은퇴 ||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테란 || DeMusliM || [[벤저민 베이커]] || Benjamin Baker || 2015-02-01 || EURONICS Gaming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프로토스 || JYP ||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 Park Jin Young || 2014-06-29 || Team Spectre ||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저그 || Stephano || 일즈 새투어리 || Ilyes Satouri || 2014-05-14 || Meltdown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저그 || Machine || 브라이스 베이츠 || Bryce Bates || 2014-02-04 || 은퇴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테란 || aLive || [[한이석]] || Han Lee Seok || 2013-12-12 || MVP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프로토스 || Oz || [[김학수]] || Kim Hak Soo || 2013-12-12 || Planetkey Dynamics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저그 || Revival ||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 || Kim Dong Hyun || 2013-12-12 || CM Storm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저그 || IdrA || [[그렉 필즈]] || Greg Fields || 2013-05-08 || 은퇴[* 태도문제로 인한 방출[[http://evilgeniuses.gg/evil-geniuses-releases-greg-idra-fields/|#]]이후 은퇴.]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테란 || PuMa || [[이호준(프로게이머)|이호준]] || Lee Ho Joon || 2013-03-14 || 은퇴[* 연봉협상 결렬로 인한 탈퇴 이후 은퇴.]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저그 || LzGaMeR || 제이콥 윈스테드 || Jacob Winstead || 2013-02-03 || 탈퇴[* [[https://twitter.com/LzGaMeR/status/298656876143452160|#]]]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프로토스 || Axslav || 닉 라니시 || Nick Ranish || 2012-01-17 || Infinity Seven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저그 || StrifeCro || 콩 슈 || Cong Shu || 2012-01-17 || Team Legion ||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 프로토스 || Grubby || [[마누엘 쉔카이젠]] || Manuel Schenkhuizen || 2011-03-30 || Team Grubby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프로토스 || Tasteless || 니콜라스 플롯 || Nicolas Plott || 2011-03-30 ||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프로토스 || iNkA || 데이비드 펠스 || Kelby Williams || 2011-01-31 || Lazarus Gaming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테란 || Louder || 데이비드 펠스 || David Fells || ????-??-?? || 은퇴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테란 || Nyoken || 대니얼 아이드슨 || Daniel Eidson || ????-??-?? || 은퇴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Evil Geniuses, version=530, paragraph=4.1.)] == 기타 == * 팀 하우스를 운영하는 매니저는 주장인 [[제프 로빈슨]][* 제프 로빈슨은 허우대만 보면 미식축구 선수에 가까워 보일 정도로 거대한 떡대를 가지고 있다. 이런 무서워 보이는 인상에 반해 상대방의 장비 문제로 경기가 중단되었을 때 흔쾌히 재경기를 받아들일 정도로 스포츠 맨십이 뛰어나기도 하다.](iNcontroL)의 애인[* 참고로 이분 아이디는 'uNcontroLable'(...)]이다. 이 여자친구가 미국인 기준에서 보면 꽤 미인이고 실제로 미인대회 출신이기에[* 2011년도 미스 오리건 USA로 선발되었다.] 많은 팬들이 인컨트롤과 EG 팀을 부러워 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 [[이제동]]의 [[Evil Geniuses]] 임대 및 이적 결정은 前 EG [[CEO]]인 알렉스 가필드의 적극적인 관심으로 성사됐다고 한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ib&no=6047022|#]] 협상 과정에서 이제동과 직접 만나기도 했으며,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board/4/?amp;dable=30.50.3&page=310&n=51711|인터뷰]]에서 “우린 그와 계약을 맺을 수 있을 거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그를 팀에 둔다는 것은 영광이다"라고 밝혔다. * 2014년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브스]] 선정, 게임 부문 [[https://www.forbes.com/pictures/mlg45eekhe/alexander-garfield-28/#7a289707860d|가장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셀럽 30인]]에 당시 EG 소속의 CEO 알렉스 가필드와 프로게이머 이제동, 두 명이 이름을 올렸다. * 소속 팀의 일상 생활을 담은 영상을 종종 올리곤 한다. 그 중 가장 히트작은 팀원들의 벤치 프레스 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qHaDsqKZ-gM|#]] --가만 보면 그렉 필즈만 제대로 안 한다.-- * 이 팀에 이적만 하면 갑자기 그 선수의 실력이 떨어진다는 일명 'EG의 저주'로 유명하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크리스 로랑줴]][* 팀리퀴드에 있을 당시만 해도 해외 토스 원탑으로 쳐줄 정도로 상당히 상승세였으나, 이적 후 이렇다 할 입상 성적을 전혀 내지 못하고 있다.]와 [[마르커스 이클로프]][* 드림핵 우승 직후 EG로 이적하니 더 이상의 입상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가 있다. 그런데 이마저도 자학 개그용 [[http://www.youtube.com/watch?v=U5VJUbIOOJI|영상]]으로 만든 EG는 대인배인 듯 하다.[* 그리고 이 저주는 타 게임에도 영향을 미친다. 가령 CLG와 계약을 끝마치고 EG와 계약을 맺은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이후 유럽 LCS에서 부진을 겪고 있다.] [[분류:스타크래프트 2/e스포츠 팀]][[분류:해체된 e스포츠 팀]][[분류:2017년 해체]][[분류:Evil Geni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