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의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제작된 동명의 게임, rd1=F-ZERO 팔콘 전설(게임))] [include(틀:F-ZERO 시리즈)] ||<-2>
{{{#373a3c,#dddddd '''{{{+1 에프제로 팔콘 전설}}}''' (2003~2004)[br]F-ZERO ファルコン伝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에프제로팔콘의전설_애니.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원작}}}''' ||[[닌텐도]] || || '''{{{#373a3c,#dddddd 감독}}}''' ||토모부키 아미(知吹愛弓) || || '''{{{#373a3c,#dddddd 감수}}}''' ||[[미야모토 시게루]][br]이마무라 타카야(今村孝矢)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사카이 아키요시(酒井あきよし)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아시다 토요오]] || || '''{{{#373a3c,#dddddd 메카닉 디자인 웍스}}}''' ||[[타이가 히로유키]][br]오하라 쇼헤이(小原渉平) || || '''{{{#373a3c,#dddddd 에프제로 카 디자인}}}''' ||[[무라카미 카츠시]] || || '''{{{#373a3c,#dddddd 컴포짓 디자이너}}}''' ||하야카와 테츠지(早川哲司)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요시다 다이스케(吉田大輔)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우메다 유키(梅田祐樹)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사와구치 코이치(澤口幸一) || || '''{{{#373a3c,#dddddd 편집}}}''' ||야마모리 시게유키(山森重之)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마츠우라 노리요시(松浦典良) || || '''{{{#373a3c,#dddddd 음악}}}''' ||네기시 타카유키(根岸貴幸) || || '''{{{#373a3c,#dddddd 3D-CGI 감독}}}''' ||하야시 히데노리(林 秀則) || || '''{{{#373a3c,#dddddd 3D-CGI 협력}}}''' ||츠부라야 프로덕션[br]discreet || || '''{{{#373a3c,#dddddd 제작 프로듀서}}}''' ||마스다 미츠히로(増田光弘)[br]마사키 나오유키(正木直幸)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아시 프로덕션]] || || '''{{{#373a3c,#dddddd 제작}}}''' ||[[TV 도쿄]][br][[덴츠]][br][[프로덕션 리드|아시 프로덕션]]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3년 10월|2003. 10. 07.]] ~ 2004. 09. 28.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V 도쿄]] / (화) 18: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챔프TV]]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51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미정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tv-tokyo.co.jp/anime/f-zer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닌텐도]]의 SF 레이싱 게임 [[F-ZERO 시리즈]]의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2003년 10월|2003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총 51부작으로 [[TV도쿄]]에서 방영되었으며 일본 현지 기준으로 [[F-ZERO 시리즈|원작 시리즈]]의 최신작이었던 [[F-ZERO GX]]가 발매된지 3개월만에 방영되었다. == 줄거리 == >서기 2201년, 지구를 포함한 우주의 행성들은 고속 포뮬러 레이싱인 F-zero(에프 제로)가 한창이다. 그중 주목을 받는 것은 숫자 "00"을 달고 질주하는 F-zero 머신 드래곤 버드의 파일럿 류 스자쿠이다. 그러나 그에게는 숨겨진 과거가 있다. 그는 실은 150년 전 뉴욕에서 형사였다. 그러나 그가 찾는 조다를 추적하다가 엄청난 사고를 당했고 냉동되었고, 그 150년 동안 냉동된 상태로 치료를 받고 있었던 것이다. 2201년이 되자 [[닥터 스튜어트|닥턴 스튜어트]]의 일행은 류를 부활시키고, 류는 변한 세계에서 그의 원수 조다도 부활했다는 것을 알고 그를 잡기 위해 F-zero에 가담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 챔프TV 홈페이지에 기재된 국내 방영판 소개문. [[닥터 스튜어트]]를 닥'''턴''' 스튜어트로 오타를 냈다(...)] == 특징 == [[F-ZERO GX]]까지 유지되었던 기존의 세계관을 새로 리부트하여 대부분의 기존 캐릭터들이 재등장함은 물론[* 기존의 캐릭터들 중 재등장하지 못한 캐릭터들은 [[F-ZERO GX|에프제로 GX/AX]]의 모든 신캐들([[데스본]]과 [[돈 지니]] 제외) 뿐이다.] 새로운 주인공인 류 스자쿠를 비롯한 일부 신규 캐릭터들도 등장한다. 대부분의 기존 등장인물들의 구성이나 디자인은 [[F-ZERO GX]]에 기반하고 있으며 설정이 어느정도 바뀌었지만 캐릭터 붕괴라 불릴 정도로 크게 바꾼것이 아닌 기존의 틀은 유지하되, 리부트된 세계관에 어울리게 바뀌어졌다. 덕분에 [[게임 원작 기반 영상물|게임 원작 애니메이션]]으로서 원작 시리즈의 묘사를 크게 바꾸지 않고 적절히 잘 살려내어서 원작 팬들이 적응하지 못할 정도로 이질적이지 않은게 특징. 이 애니는 설정을 많이 공개한다. 최종화를 제외한 매 화 끝부분마다 각종 등장인물과 도시의 특징, 에프제로 머신의 설정 등등을 설명한다. 이 설정은 바트 레밍 인형이 설명하고, 가끔 농담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일본 각지에서 질문을 받기도 했는데, 그중 몇가지의 질문은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서 두리뭉술하게 넘어가기도 한다. 여태껏 세계관과 캐릭터들의 설정의 짜임새가 그럴싸하게 잘 짜여진 에프제로 시리즈였으나 정작 게임내에선 그러한 설정들이 제대로 굵직하게 묘사된 적이 많이 없었지만 이 애니메이션을 통해 제대로된 묘사를 보여줌으로서 원작 팬들에게 큰 호평을 얻는데에 성공한 작품이다. 리부트된 점에 크게 신경쓰지 않은 팬들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이 리부트를 더 좋아하는 사람들도 존재할 정도. 이러한 특징 덕분에 대다수의 원작 팬들에겐 꽤 호평을 받은 작품이지만 뛰어난 원작요소 재현 말고도 일반인들이 봐도 충분히 즐기기 좋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기본적인 작품성 또한 뛰어난 것 역시 빼놓을수 없는 호평점 이기도 하다. 원작 팬들, 특히 에프제로 시리즈의 인기가 매우 큰 북미권 팬들 사이에서 이 애니메이션에 관한 애기가 나올 때마다 절대로 빠질 수 없는 것이 있다 자면 바로 '''오프닝 곡인 [[The Meaning of Truth]].''' 아는 사람들 사이에선 몇번이고 회자되는 명곡으로 일부 팬들은 이 곡이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도 삽입되었으면 한다는 주장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이전까지의 세계관 설정이 주인공인 [[캡틴 팔콘]]이 과거가 베일에 쌓인 현상금 사냥꾼과 에프제로 레이서로 활동하면서 [[사무라이 고로]]나 [[블랙 섀도우]]등의 악당 캐릭터들이 나타날때마다 그들을 상대하는 식의 묘사가 전부라면 리부트된 본작의 세계관에선 새로운 주인공인 류 스자쿠를 비롯하여 [[조디 서머]]와 [[닥터 스튜어트]] 외 일부 캐릭터들이 속해있는 주인공 세력인 은하연방군 고기동소대와 [[블랙 섀도우]]가 리더로서 이끄는 악당 세력인 다크 밀리언과의 대결 구도를 중심으로 둠으로서 좀 더 큰 스케일로 옮겼으며 기존의 주인공인 캡틴 팔콘은 비밀로 가득한 모습 그대로 유지한 채로 가끔식 등장하여 주인공 세력을 돕는 서브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작품 내내 정체가 제대로 묘사되지 않은 이전 시리즈와는 달리 여기선 스토리가 진행됨으로서 정체가 서서히 밝혀진다.] 또한 이전까지는 몇몇 지역은 한행성 안에 있는 설정인데 비해[* 에프제로 gx 스토리 모드나 에프제로 코믹스를 보면 적어도 뮤트 시티랑 레드 캐니언은 지구에 있다. 또한 에프제로 X의 맵들을 기반으로한 마카8의 빅블루에는 뮤트시티가 약간 보인다.] 여기선 이전에 나왔던 코스들 모두가 개별로 떨어진 행성이라는 설정이 돠었다. 상기한대로 뛰어난 작품성을 지닌 덕택에 팬이든 일반인이든 가리지 않고 누구나 충분히 재밌게 볼 수 있는 애니인건 사실이나 폭망하는 케이스가 많기로 유명한 [[게임 원작 기반 영상물|게임 원작 애니메이션]]들 중에서 드물게 호평일색인 애니메이션 중 하나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애니가 지닌 의미가 얼마나 큰 지 알 수 있다. === 해외 방영 === 북미에서는 《F-Zero: GP Legend》라는 이름으로 방영했으며 배급사는 악명 높은 [[4Kids Entertainment|4Kids]]. 4kids의 손을 거친 애니답게 북미 방영은 전체적으로 욕을 푸짐하게 먹었는데 예시로 [[https://www.youtube.com/watch?v=x0MLCKqoUb8|북미판 오프닝]]이 시리즈 팬들에게 높은 인기를 얻은 주제가를 선보인 일본판과는 달리 주제가 같은거 없이 그냥 세계관을 짤막하게 소개하는 대사와 오프닝 영상을 빨리 감기 식으로 대체했다.[* [[4Kids Entertainment|4Kids]]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수입하는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나 [[유희왕]]을 비롯한 애니 대부분의 오프닝을 로컬라이징 하지 않고 다른 곡으로 바꿔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 애니도 예외는 아니라서 이렇게 된 것.]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에피소드를 고작 '''15화'''까지만 방영하고 조기종영해버려서 그야말로 방영하다만 수준으로 끝나버린 탓에 북미판 방영은 이래저래 팬들에게 좋은 소리를 못 들었다. === 국내 방영 ===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국내에도 [[애니원]]을 통해 2007년 6월에 방영했다. 국내 방영판 명칭은 《F-ZERO 팔콘 전설》로 ~~제멋대로 편집하여 욕을 먹은 북미 방영판과는 달리~~ 일본 방영판을 베이스로 하여 캐릭터들의 이름이 일본 방영판을 따라갔다. 번역은 이윤미, 조연출은 [[곽영재]] PD, 연출은 [[황태훈]] PD가 담당했다. 하지만 국내 방영판의 위상은 여러모로 바닥을 기는데 이유는 바로 애니메이션의 인지도가 매우 낮은지라 국내에 방영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이 대다수 인 것으로 챔프TV가 개국한 직후인 2005년도 아니고 2008년 '''[[한국닌텐도]]가 설립된 이후'''에 방영했음에도 인지도가 낮았다는 것이다.[* 당시 한국닌텐도는 [[닌텐도 DS]]의 대히트 및 본사 지침에 따라 게임 사업에만 한창 집중하고 있던 시기인데다 국내에서는 한국닌텐도 체제에서 정식 발매된 에프제로 시리즈 게임이 전무했고 인지도 또한 바닥을 기던 시절이였기 때문에 이 애니메이션에 신경쓸 겨를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2020년 기준 인터넷에 더빙판 영상을 찾으려고 하면 나오는게 '''오프닝과 엔딩, 그리고 [[캡틴 팔콘]]이 [[블랙 섀도우]]에게 [[팔콘 펀치]]를 날려 함께 동귀어진한 그 유명한 [[https://blog.naver.com/harryjjo/90174293832|마지막 화의 장면]]이 전부.''' ~~모든 에피소드의 더빙판은 멀쩡히 존재하는데 비해 마지막 에피소드만 더빙판이 유실된 [[진 여신전생 데빌 칠드런 흑의 서·적의 서|어떤 애니]]와는 심히 대조된다~~ 원작인 에프제로 시리즈 자체의 국내 인지도가 당시까지만 해도 바닥을 기던 시절이라 원작 시리즈의 인지도는 그렇다 치지만 애니메이션은 국내에 정식으로 방영했다는 사실을 알아낸 사람들이 나중에 와서야 서서히 생기기 시작했으니 말 다한 셈. 주요 캐스팅은 다음과 같다. 주요 캐스팅만 보았을때도 당시 기준으로 상당히 호화스러운 캐스팅이나, 앞서 언급했듯이 에피소드 전체가 유실되었고 시청한 사람도 드물기 때문에 아쉬울 따름. * [[류 스자쿠|류 스작]] -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캡틴 팔콘]] - [[신한호]] * [[조디 서머]] - [[윤미나]] * [[잭 레빈]] - [[전태열]] * [[닥터 스튜어트]] - [[권영호(성우)|권영호]] * [[닥터 클래시]] - [[이장우(성우)|이장우]] * [[미스터 EAD]] - [[곽윤상]] * [[루시 리버티]] - [[이소영(성우)|이소영]] * [[존 타나카]] - [[김정은(성우)|김정은]] * 크랭크 휴즈 - [[한경화]] * [[조다(에프제로 시리즈)|조다]] - [[윤세웅]] * [[블랙 섀도우]] - [[이광수(성우)|이광수]] * 미스 킬러 - [[이용신]] * [[사무라이 고로]] - [[방성준]] * [[옥토맨]] - [[양준건]] == 주제가 == [youtube(LhMw1xcxIWM)] 일본판 오프닝 1 [include(틀:navervid, vid=B8C564E7B139FEDAA4C3094D0787416655BF, outkey=V12230a336351649eedc93eede749ff3fc015da1816b546c8656d3eede749ff3fc015, width=640, height=360)] 국내판 오프닝 1 '''오프닝 주제가 - [[The Meaning of Truth]]''' [[https://www.youtube.com/watch?v=EL4AtD56Zfk|일본판 엔딩]] / [[https://blog.naver.com/psyke47/220575662805|국내판 엔딩]]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伝説・スタート!![br]전설 스타트!!}}} || {{{-2 사카이 아키요시[br](酒井あきよし)}}} ||<-2> {{{-2 토모부키 아미[br](知吹愛弓)}}} || {{{-2 타카하시 미카[br](高橋美香)}}} || {{{-2 日: 2003.10.07.[br]韓:}}} || || {{{-2 제2화}}} || {{{-2 キャプテン ファルコン[br]캡틴 팔콘}}} || {{{-2 사카이 아키요시[br]소노다 마사히로[br](薗田正弘)}}} ||<-2> {{{-2 나가오 마코토[br](長尾 粛)}}} || {{{-2 [[이노우에 요시카츠]]}}} || {{{-2 日: 2003.10.14.[br]韓:}}} || || {{{-2 제3화}}} || {{{-2 見習い隊員ルーシー[br]견습 대원 루시}}} || {{{-2 타케다 유이치로[br](竹田裕一郎)}}} ||<-2> {{{-2 이누카와 이누오[br](犬川犬夫)}}} || {{{-2 카네시로 신지[br](金城真司)}}} || {{{-2 日: 2003.10.21.[br]韓:}}} || || {{{-2 제4화}}} || {{{-2 サムライ ゴロー参上![br]사무라이 고로 등장!}}} || {{{-2 시즈야 이사오[br](静谷伊佐夫)}}} ||<-2> {{{-2 미노구치 카츠미[br](箕ノ口克己)}}} || {{{-2 미야지 요시후미[br](宮司好文)}}} || {{{-2 日: 2003.10.28.[br]韓:}}} || || {{{-2 제5화}}} || {{{-2 ブリリアントな罠[br]빛나는 함정}}} || {{{-2 이치노 나미[br](市野奈美)}}} ||<-2> {{{-2 마스이 츠요시[br](桝井 剛)}}} || {{{-2 시게마츠 신이치[br](重松しんいち)[br]아이사카 나오키[br](相坂直紀)}}} || {{{-2 日: 2003.11.04.[br]韓:}}} || || {{{-2 제6화}}} || {{{-2 歌姫・ケイト アレン[br]가희 케이트 알렌}}} || {{{-2 소노다 마사히로}}} || {{{-2 젠 소이치로[br](善 聡一郎)}}} ||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시마즈 이쿠오[br](嶋津郁雄)}}} || {{{-2 日: 2003.11.11.[br]韓:}}} || || {{{-2 제7화}}} || {{{-2 マイケル チェーンの罠[br]마이클 체인의 함정}}} || {{{-2 [[코야마 타카오]]}}} || {{{-2 [[오쿠다 세이지]]}}} || {{{-2 오오세키 마사유키[br](大関雅幸)}}} || {{{-2 타카하시 미카}}} || {{{-2 日: 2003.11.18.[br]韓:}}} || || {{{-2 제8화}}} || {{{-2 謎の女・ミス キラー[br]의문의 여성 미스 킬러}}} || {{{-2 타카하시 코노스케[br](高橋孝之介)}}} ||<-2> {{{-2 나가오 마코토}}} || {{{-2 이노우에 요시카츠}}} || {{{-2 日: 2003.11.25.[br]韓:}}} || || {{{-2 제9화}}} || {{{-2 ジョディの秘密[br]조디의 비밀}}} || {{{-2 사카이 아키요시}}} || {{{-2 오쿠다 세이지}}} || {{{-2 이누카와 이누오}}} || {{{-2 스가이 요시히로[br](菅井嘉浩)}}} || {{{-2 日: 2003.12.02.[br]韓:}}} || || {{{-2 제10화}}} || {{{-2 ロジャー&ドラク[br]로자 & 드라크}}} || {{{-2 코야마 타카오}}} ||<-2> {{{-2 마키노 요시타카[br](マキノ吉高)}}} || {{{-2 미야지 요시후미}}} || {{{-2 日: 2003.12.09.[br]韓:}}} || || {{{-2 제11화}}} || {{{-2 惑星ヘルから来た少年[br]행성 헬에서 온 소년}}} || {{{-2 타카하시 코노스케}}} || {{{-2 타마이 키미코[br](玉井公子)}}} || {{{-2 시미즈 카즈노부[br](清水一伸)}}} || {{{-2 아라카와 타마오[br](荒川たまお)[br]尹善奎}}} || {{{-2 日: 2003.12.16.[br]韓:}}} || || {{{-2 제12화}}} || {{{-2 笑うブラック シャドー[br]웃는 블랙 섀도우}}} || {{{-2 소노다 마사히로}}} || {{{-2 오쿠다 세이지}}} || {{{-2 마츠모토 요시히사[br](まつもとよしひさ)}}} || {{{-2 타카하시 미카}}} || {{{-2 日: 2003.12.23.[br]韓:}}} || || {{{-2 제13화}}} || {{{-2 仁義[br]인의}}} || {{{-2 타카하시 코노스케}}} || {{{-2 후쿠시마 이치조[br](福島一三)}}} || {{{-2 나가오 마코토}}} || {{{-2 [[스다 마사미]]}}} || {{{-2 日: 2004.01.06.[br]韓:}}} || || {{{-2 제14화}}} || {{{-2 鉄人ニールセン[br]철인 니르센}}} || {{{-2 이치노 나미}}} || {{{-2 아사미 마츠오[br](浅見松雄)}}} ||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타카하시 노보루[br](高橋 昇)}}} || {{{-2 日: 2004.01.13.[br]韓:}}} || || {{{-2 제15화}}} || {{{-2 スナイパー・ピコ[br]스나이퍼 피코}}} || {{{-2 사카이 아키요시[br]소노다 마사히로}}} || {{{-2 마츠모토 요시히사}}} || {{{-2 이누카와 이누오}}} || {{{-2 카와바타 에루킨[br](川畑エルキン)}}} || {{{-2 日: 2004.01.20.[br]韓:}}} || || {{{-2 제16화}}} || {{{-2 スーパーアローにお任せ![br]슈퍼 애로우에 맡겨줘!}}} ||<|2> {{{-2 야나가와 시게루[br](柳川 茂)}}} ||<-2> {{{-2 마키노 요시타카}}} || {{{-2 미야지 요시후미}}} || {{{-2 日: 2004.01.27.[br]韓:}}} || || {{{-2 제17화}}} || {{{-2 リュウの華麗な休日[br]류의 화려한 휴일}}} || {{{-2 오쿠다 세이지}}} || {{{-2 마스이 츠요시}}} || {{{-2 스기모토 코지[br](杉本光司)}}} || {{{-2 日: 2004.02.03.[br]韓:}}} || || {{{-2 제18화}}} || {{{-2 クランクの冒険[br]크랭크의 모험}}} || {{{-2 소노다 마사히로}}} ||<-2>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타카하시 노보루}}} || {{{-2 日: 2004.02.10.[br]韓:}}} || || {{{-2 제19화}}} || {{{-2 ルーシーのゴマシオ大作戦[br]루시의 고마시오 대작전}}} || {{{-2 이치노 나미}}} || {{{-2 타마이 키미코}}} || {{{-2 시미즈 카즈노부}}} || {{{-2 시라토 미치노리[br](白土理徳)}}} || {{{-2 日: 2004.02.17.[br]韓:}}} || || {{{-2 제20화}}} || {{{-2 消えたミセス アロー[br]사라진 미세스 애로우}}} || {{{-2 야나가와 시게루}}} || {{{-2 카토 히로토[br](加藤洋人)}}} || {{{-2 마츠모토 요시히사}}} || {{{-2 카토 히로토}}} || {{{-2 日: 2004.02.24.[br]韓:}}} || || {{{-2 제21화}}} || {{{-2 熱き女たちのバトル!![br]열띤 여자들의 배틀!!}}} || {{{-2 에나츠 유키[br](江夏由結)}}} ||<-2> {{{-2 후쿠시마 이치조}}} || {{{-2 스다 마사미}}} || {{{-2 日: 2004.03.02.[br]韓:}}} || || {{{-2 제22화}}} || {{{-2 リュウとファルコン[br]류와 팔콘}}} || {{{-2 소노다 마사히로}}} || {{{-2 후지와라 료지[br](藤原良二)}}} || {{{-2 이시카와 토시히로[br](石川敏浩)}}} || {{{-2 카와바타 에루킨[br]카네시로 신지}}} || {{{-2 日: 2004.03.09.[br]韓:}}} || || {{{-2 제23화}}} || {{{-2 駆け抜けろ! スピンブースター!![br]달려나가라! 스핀 부스터!!}}} || {{{-2 타마이☆츠요시[br](玉井☆豪)}}} ||<-2> {{{-2 마키노 요시타카}}} || {{{-2 미야지 요시후미}}} || {{{-2 日: 2004.03.16.[br]韓:}}} || || {{{-2 제24화}}} || {{{-2 オクトマン・ドリーム[br]옥토만 드림}}} || {{{-2 코야마 타카오}}} ||<-2> {{{-2 마스이 츠요시}}} || {{{-2 스기모토 코지}}} || {{{-2 日: 2004.03.23.[br]韓:}}} || || {{{-2 제25화}}} || {{{-2 超物質リアクター・マイト![br]초물질 리액터 마이트!}}} ||<|2> {{{-2 에나츠 유키}}} ||<|2> {{{-2 오쿠다 세이지}}} || {{{-2 오카자키 유키오[br](岡崎幸男)}}} || {{{-2 시라토 미치노리}}} || {{{-2 日: 2004.03.30.[br]韓:}}} || || {{{-2 제26화}}} || {{{-2 ゾーダの野望[br]조다의 야망}}} || {{{-2 마츠모토 요시히사}}} || {{{-2 요시카와 히로아키[br](吉川博明)}}} || {{{-2 日: 2004.04.06.[br]韓:}}} || || {{{-2 제27화}}} || {{{-2 ビーストハンター[br]비스트 헌터}}} ||<|2> {{{-2 사카이 아키요시}}} ||<-2>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타카하시 노보루}}} || {{{-2 日: 2004.04.13.[br]韓:}}} || || {{{-2 제28화}}} || {{{-2 ブラック シャドーからの招待状[br]블랙 섀도우로부터의 초대장}}} || {{{-2 타케우치 히로시[br](竹内浩志)}}} || {{{-2 야마자키 시게루[br](山崎 茂)}}} || {{{-2 타카다 사부로[br](高田三郎)}}} || {{{-2 日: 2004.04.20.[br]韓:}}} || || {{{-2 제29화}}} || {{{-2 マイティ ガゼル![br]마이티 가젤!}}} || {{{-2 야나가와 시게루}}} ||<-2> {{{-2 후쿠시마 이치조}}} || {{{-2 스다 마사미}}} || {{{-2 日: 2004.04.27.[br]韓:}}} || || {{{-2 제30화}}} || {{{-2 もう一人のファルコン[br]또 한 명의 팔콘}}} || {{{-2 소노다 마사히로}}} || {{{-2 오쿠다 세이지}}} || {{{-2 니고리카와 아츠시[br](濁川 敦)}}} || {{{-2 스가노 토모유키[br](菅野智之)}}} || {{{-2 日: 2004.05.04.[br]韓:}}} || || {{{-2 제31화}}} || {{{-2 おもかげ[br]그리운 모습}}} || {{{-2 야나가와 시게루}}} || {{{-2 후지와라 료지}}} || {{{-2 이시카와 토시히로}}} || {{{-2 이시이 카즈히코[br](石井和彦)[br]카와바타 에루킨}}} || {{{-2 日: 2004.05.11.[br]韓:}}} || || {{{-2 제32화}}} || {{{-2 暗黒からの叫び[br]암흑에서 퍼지는 외침}}} || {{{-2 에나츠 유키}}} ||<-2> {{{-2 마스이 츠요시}}} || {{{-2 스기모토 코지}}} || {{{-2 日: 2004.05.18.[br]韓:}}} || || {{{-2 제33화}}} || {{{-2 ジェームズ マクラウド[br][[제임스 맥클라우드]]}}} || {{{-2 노나카 유키히토[br](野中幸人)}}} ||<-2> {{{-2 마키노 요시타카}}} || {{{-2 타카세 겐[br](高瀬 言)}}} || {{{-2 日: 2004.05.25.[br]韓:}}} || || {{{-2 제34화}}} || {{{-2 クランクとガゼル[br]크랭크와 가젤}}} || {{{-2 사카이 아키요시}}} || {{{-2 오쿠다 세이지}}} || {{{-2 아와이 시게노리[br](粟井重紀)}}} || {{{-2 나가모리 요시히로[br](長森佳容)}}} || {{{-2 日: 2004.06.01.[br]韓:}}} || || {{{-2 제35화}}} || {{{-2 ファルコンの告白[br]팔콘의 고백}}} || {{{-2 코야마 타카오}}} || {{{-2 [[이시야마 타카아키]]}}} ||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시마즈 이쿠오}}} || {{{-2 日: 2004.06.08.[br]韓:}}} || || {{{-2 제36화}}} || {{{-2 ハルカ[br]하루카}}} || {{{-2 사카이 아키요시}}} ||<-2> {{{-2 마스이 츠요시}}} || {{{-2 미야지 요시후미}}} || {{{-2 日: 2004.06.15.[br]韓:}}} || || {{{-2 제37화}}} || {{{-2 死神ジャック レビン[br]사신 잭 레빈}}} || {{{-2 노나카 유키히토}}} ||<-2> {{{-2 후쿠시마 이치조}}} || {{{-2 스다 마사미}}} || {{{-2 日: 2004.06.22.[br]韓:}}} || || {{{-2 제38화}}} || {{{-2 ファルコンの紅い花[br]팔콘의 붉은 꽃}}} || {{{-2 야나가와 시게루}}} || {{{-2 후지와라 료지}}} || {{{-2 야마자키 시게루}}} || {{{-2 쿠도 마사키[br](工藤柾揮)}}} || {{{-2 日: 2004.06.29.[br]韓:}}} || || {{{-2 제39화}}} || {{{-2 高機動小隊、解散![br]고기동소대, 해산!}}} || {{{-2 사카이 아키요시}}} ||<-2> {{{-2 마키노 요시타카}}} || {{{-2 타카세 겐}}} || {{{-2 日: 2004.07.06.[br]韓:}}} || || {{{-2 제40화}}} || {{{-2 コーヒーブレイク[br]커피 브레이크}}} || {{{-2 토모부키 아미[br]에나츠 유키[br][[타이가 히로유키]]}}} ||<-2> {{{-2 토모부키 아미}}} || {{{-2 미야지 요시후미}}} || {{{-2 日: 2004.07.13.[br]韓:}}} || || {{{-2 제41화}}} || {{{-2 消滅! ブラック シャドー[br]소멸! 블랙 섀도우}}} || {{{-2 에나츠 유키}}} || {{{-2 오쿠다 세이지}}} || {{{-2 이시카와 토시히로}}} || {{{-2 이케시타 히로키[br](池下博紀)[br]이시이 카즈히코}}} || {{{-2 日: 2004.07.20.[br]韓:}}} || || {{{-2 제42화}}} || {{{-2 ドン ジーニーの城[br]돈 지니의 성}}} || {{{-2 야나가와 시게루}}} ||<-2> {{{-2 마스이 츠요시}}} || {{{-2 스기모토 코지}}} || {{{-2 日: 2004.07.27.[br]韓:}}} || || {{{-2 제43화}}} || {{{-2 目覚め[br]각성}}} || {{{-2 사카이 아키요시}}} || {{{-2 이시야마 타카아키}}} ||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시마즈 이쿠오}}} || {{{-2 日: 2004.08.03.[br]韓:}}} || || {{{-2 제44화}}} || {{{-2 ブラック シャドーの企て[br]블랙 섀도우의 계획}}} || {{{-2 소노다 마사히로}}} ||<-2> {{{-2 후쿠시마 이치조}}} || {{{-2 스다 마사미}}} || {{{-2 日: 2004.08.10.[br]韓:}}} || || {{{-2 제45화}}} || {{{-2 ゾーダ[br]조더}}} || {{{-2 노나카 유키히토}}} ||<-2> {{{-2 니고리카와 아츠시}}} || {{{-2 스가노 토모유키}}} || {{{-2 日: 2004.08.17.[br]韓:}}} || || {{{-2 제46화}}} || {{{-2 伝説の男[br]전설의 남자}}} || {{{-2 사카이 아키요시}}} || {{{-2 오쿠다 세이지}}} || {{{-2 마스이 츠요시}}} || {{{-2 미야지 요시후미}}} || {{{-2 日: 2004.08.24.[br]韓:}}} || || {{{-2 제47화}}} || {{{-2 運命 -さだめ-[br]운명(숙명)}}} || {{{-2 에나츠 유키}}} ||<-2> {{{-2 마키노 요시타카}}} || {{{-2 타카세 겐}}} || {{{-2 日: 2004.08.31.[br]韓:}}} || || {{{-2 제48화}}} || {{{-2 暗黒のリアクター[br]암흑의 리액터}}} || {{{-2 야나가와 시게루}}} || {{{-2 후지와라 료지}}} || {{{-2 이시카와 토시히로}}} || {{{-2 테라오 히로유키[br](寺尾洋之)}}} || {{{-2 日: 2004.09.07.[br]韓:}}} || || {{{-2 제49화}}} || {{{-2 150年の決着[br]150년의 결착}}} ||<|3> {{{-2 사카이 아키요시}}} ||<-2> {{{-2 마스이 츠요시}}} || {{{-2 스기모토 코지}}} || {{{-2 日: 2004.09.14.[br]韓:}}} || || {{{-2 제50화}}} || {{{-2 ブラック シャドー[br]블랙 섀도우}}} || {{{-2 이시야마 타카아키}}} ||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시마즈 이쿠오}}} || {{{-2 日: 2004.09.21.[br]韓:}}} || || {{{-2 제51화}}} || {{{-2 ファルコン伝説!![br]팔콘 전설!!}}} || {{{-2 토모부키 아미}}} || {{{-2 야마자키 시게루}}} || {{{-2 미야지 요시후미}}} || {{{-2 日: 2004.09.28.[br]韓:}}} || == 기타 == * 이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한 [[F-ZERO 팔콘 전설(게임)|동명의 게임]]이 발매되었다. 이후 이 게임을 기반으로 애니메이션의 요소를 더 충실히 구현한 [[F-ZERO 클라이맥스]]가 발매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에프제로 시리즈, version=70)] [[분류:F-ZERO 시리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4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4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4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게임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모터스포츠 애니메이션]][[분류:SF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