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 ---- ||<-2> {{{#c9c6c6 '''{{{+1 FIFA 올해의 선수}}}[br]The Best FIFA Men's Player / The Best FIFA Women's Player'''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Best FIFA Men's Player The Best FIFA Women's Player.png|width=100%]]}}}|| || {{{#c9c6c6 '''주최'''}}} ||[[FIFA|[[파일:FIFA 로고.svg|width=20%]]]]|| || {{{#c9c6c6 '''첫 시상년도'''}}} ||[[1991년]] ^^(남성)^^ | [[2001년]] ^^(여성)^^ || || {{{#c9c6c6 '''최근 수상자'''}}}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출력= )] [[리오넬 메시]] ^^(2022년, 남성)^^[br][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출력= )] [[알렉시아 푸테야스]] ^^(2022년, 여성)^^|| || {{{#c9c6c6 '''최다 수상자'''}}}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출력= )] [[리오넬 메시]] ^^(남성, 7회)^^[br][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출력= )] [[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 ^^(여성, 6회)^^|| || {{{#c9c6c6 '''대상자'''}}} ||한 해 최고의 활약을 보인 남녀 축구 선수|| || {{{#c9c6c6 '''링크'''}}} ||[[https://www.fifa.com/the-best-fifa-football-awards/best-fifa-mens-playe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남성)^^ | [[https://www.fifa.com/the-best-fifa-football-awards/best-fifa-womens-playe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여성)^^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Best FIFA Football Awards trophy.jpg|width=100%]]}}}|| ||<-2> {{{-1 {{{#c9c6c6 FIFA 올해의 선수 트로피}}}}}} || [목차] [clearfix] == 개요 == '''FIFA 올해의 선수'''는 축구선수로서 받을 수 있는 명예로운 상 중 하나로 그 한해 최고의 활약을 보인 남녀 축구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각국 대표팀 감독, 각국 대표팀 주장, 각국 기자단, 전세계 팬들이 각각 25% 비율로 투표해 결정된다. 1991년 제정되었으며, 여자 선수는 2001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는 [[발롱도르]]와 통합되어 [[FIFA 발롱도르]]라는 이름으로 시상되었다. 이후 FIFA와 프랑스 풋볼과의 계약이 끝나면서 2016년부터 발롱도르와 분리하여 다시 독자적으로 시상하고 있다. 이때부터 FIFA는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를 신설하여, 올해의 선수상과 더불어 [[FIFA 올해의 감독]]상, [[FIFA 푸스카스상]] 등 여러 상과 함께 시상하고 있다. 이때 올해의 선수상 트로피도 플래티넘으로 덮인 새로운 디자인의 트로피를 제작하였다. [[파일:ldd5Ttm.jpg]] 위 사진이 2009년까지 사용했던 피파 올해의 선수 트로피로 이때는 1위 뿐만 아니라 2, 3위 역시 트로피를 수상하였다. == 수상자 명단 == === FIFA 올해의 남자 선수 === ||<:> '''{{{#c9c6c6 연도}}}''' ||<:> '''{{{#c9c6c6 수상자}}}''' ||<:> '''{{{#c9c6c6 소속팀}}}''' ||<:> '''{{{#c9c6c6 국적}}}''' || || 1991 || [[로타어 마테우스]]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독일]] || || 1992 || [[마르코 반 바스텐]] || [[AC 밀란]] || [[네덜란드]] || || 1993 || [[로베르토 바조]] || [[유벤투스 FC]] || [[이탈리아]] || || 1994 || [[호마리우]] || [[FC 바르셀로나]] || [[브라질]] || || 1995 || [[조지 웨아]][* 최초의 비유럽, 비남미 수상자. 앞으로 나오기 힘들 유일한 비유럽, 비남미 국적의 발롱도르 수상자이자, FIFA 올해의 선수 수상자이다. 또한 FIFA 올해의 선수를 수상한 선수들 가운데 월드컵 본선 출전 경력이 없는 유일한 선수이기도 하다.] || [[AC 밀란]][* 파리 생제르맹에서의 활약으로 받은 FIFA 올해의 선수 수상이지만 여름 이적시장에서 [[AC 밀란]]으로 이적했기 때문에 FIFA 올해의 선수를 수상했을 때의 소속팀은 [[AC 밀란]]이었다.] || [[라이베리아]] || || 1996 ||<|2> [[호나우두]] || [[FC 바르셀로나]] ||<|2> [[브라질]] || || 1997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 1998 || [[지네딘 지단]] || [[유벤투스 FC]] || [[프랑스]] || || 1999 || [[히바우두]] || [[FC 바르셀로나]] || [[브라질]] || || 2000 || [[지네딘 지단]] || [[유벤투스 FC]] || [[프랑스]] || || 2001 || [[루이스 피구]] || [[레알 마드리드 CF]] || [[포르투갈]] || || 2002 || [[호나우두]] || [[레알 마드리드 CF]] || [[브라질]] || || 2003 || [[지네딘 지단]] || [[레알 마드리드 CF]] || [[프랑스]] || || 2004 ||<|2> [[호나우지뉴]] ||<|2> [[FC 바르셀로나]] ||<|2> [[브라질]] || || 2005 || || 2006 || [[파비오 칸나바로]][* 수비수로서는 최초이자 유일한 FIFA 올해의 선수 수상 사례다.] || [[레알 마드리드 CF]][* 유벤투스에서의 활약과 월드컵 우승으로 받은 상이지만 여름 이적시장에서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했기 때문에 상을 수상했을 때의 소속팀은 레알 마드리드였다.] || [[이탈리아]] || || 2007 || [[카카]] || [[AC 밀란]] || [[브라질]] || || 2008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포르투갈]] || || 2009 ||<|4> [[리오넬 메시]] ||<|4> [[FC 바르셀로나]] ||<|4> [[아르헨티나]] || || 2010 || || 2011 || || 2012 || || 2013 ||<|2>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 [[레알 마드리드 CF]] ||<|2> [[포르투갈]] || || 2014 || || 2015 || [[리오넬 메시]] || [[FC 바르셀로나]] || [[아르헨티나]] || || 2016 ||<|2>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 [[레알 마드리드 CF]] ||<|2> [[포르투갈]] || || 2017 || || 2018 || [[루카 모드리치]][* 2008년부터 이어진 리오넬 메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FIFA 올해의 선수 10년 독식을 끊었다.] || [[레알 마드리드 CF]] || [[크로아티아]] || || 2019 || [[리오넬 메시]] || [[FC 바르셀로나]] || [[아르헨티나]] || || 2020 ||<|2>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2> [[FC 바이에른 뮌헨]] ||<|2> [[폴란드]] || || 2021 || || 2022 || [[리오넬 메시]] || [[파리 생제르맹 FC]] || [[아르헨티나]] || FIFA 올해의 선수와 [[발롱도르]] 수상자가 달랐던 것은 총 9회이며[* 1991년, 1994년, 1996년, 2000년, 2001년, 2003년, 2004년, 2021년, 2022년] 2005년 이후로는 [[FIFA 발롱도르]]로 통합하여 상을 수여했던 2010~2015년을 제외하더라도 FIFA 올해의 선수와 발롱도르 수상자가 일치하고 있었다.[* 2020년의 경우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특수상황을 고려하여 프랑스 풋볼측에서 발롱도르 수상을 취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볼 때 레반도프스키만 억울하게 되었다는 평이었다.] 2021년에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2021 [[발롱도르]]를 수상한 [[리오넬 메시]]를 제치고 FIFA 올해의 선수를 수상하면서 이 연속성이 드디어 깨지게 되었다.[* 발롱도르 투표기간보다 FIFA 올해의 선수 투표 기간이 뒤에 있었는데 이로 인해 2021-22시즌 전반기에 기대에 못미치는 활약을 했던 메시의 모습이 발롱도르에는 상대적으로 덜 반영이 된 반면 FIFA 올해의 선수에는 이 부분이 많이 반영이 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거기에 결정적으로 레반도프스키가 2021년 한해동안 대단한 모습을 보여줬다.] 이후 발롱도르의 수상 기준이 시즌으로 바뀌며 차기 시즌 전반기의 활약이 사실상 반영되지 않게 되었고, 그 결과 2022년의 수상자도 [[카림 벤제마]]와 리오넬 메시로 갈라지게 되었다.[* 게다가 2022년은 발롱도르 시상식이 끝난 이후에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가 있었기 때문에 그 영향이 매우 컸다.] === [[FIFA 발롱도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FA 발롱도르)] 2010년부터 2015년까지는 발롱도르와 FIFA 올해의 선수가 통합된 FIFA 발롱도르를 수상하였다. === FIFA 올해의 여자 선수 === ||<:> '''{{{#c9c6c6 연도}}}''' ||<:> '''{{{#c9c6c6 수상자}}}''' ||<:> '''{{{#c9c6c6 소속팀}}}''' ||<:> '''{{{#c9c6c6 국적}}}''' || || 2001 ||<|2> [[미아 햄]] ||<|2> 워싱턴 프리덤 ||<|2> [[미국]] || || 2002 || || 2003 ||<|3> [[비르기트 프린츠]] ||<|3> 1.FFC 프랑크푸르트 ||<|3> [[독일]] || || 2004 || || 2005 || || 2006 ||<|5> [[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 ||<|3> 우메오 IK ||<|5> [[브라질]] || || 2007 || || 2008 || || 2009 ||<|2> 산투스 || || 2010 || || 2011 || [[사와 호마레]] || INAC 고베 레오네사 || [[일본]] || || 2012 || [[애비 웜백]] || 소속팀 없음 || 미국 || || 2013 || [[나딘 앙거러]] || 브리즈번 로어 || 독일 || || 2014 || [[나딘 캐슬러]] || [[VfL 볼프스부르크 프라우엔]] || 독일 || || 2015 ||<|2> [[칼리 로이드(축구선수)|칼리 로이드]] ||<|2> [[휴스턴 대시]] ||<|2> 미국 || || 2016 || || 2017 || [[리커 마르턴스]] ||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 [[네덜란드]] || || 2018 || [[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 || 올랜도 프라이드 || 브라질 || || 2019 || [[메건 라피노]] || [[OL 레인]] || [[미국]] || || 2020 || [[루시 브론즈]] || [[맨체스터 시티 위민]] || [[잉글랜드]] || || 2021 ||<|2> [[알렉시아 푸테야스]] ||<|2>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2> [[스페인]] || || 2022 || == 기록 == === 남성 === *'''최다 수상자: [[리오넬 메시]] (7회)''':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5년, 2019년, 2022년 *'''최다 연속 수상자: [[리오넬 메시]] (4회)''': 2009~2012년 *'''최초 비유럽인 수상자: [[호마리우]]''': 1994년 *'''최초 유럽, 남아메리카 제외 대륙 수상자: [[조지 웨아]]''': 1995년 *'''최다 수상 클럽: [[FC 바르셀로나]] (11회)''' *FC 바르셀로나 : [[호마리우|1994년]], [[호나우두|1996년]], [[히바우두|1999년]], [[호나우지뉴|2004년, 2005년]], [[리오넬 메시|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5년, 2019년]] *'''역대 최다 수상 국가: [[브라질]] (8회)''' *브라질: [[호마리우|1994년]], [[호나우두|1996년, 1997년]], [[히바우두|1999년]], [[호나우두|2002년]], [[호나우지뉴|2004년, 2005년]], [[카카|2007년]] *'''역대 최다 선수 배출 국가: [[브라질]] (5명)''' *브라질: [[호마리우]](1994년), [[호나우두]](1996, 1997, 2002년), [[히바우두]](1999년), [[호나우지뉴]](2004, 2005년), [[카카]](2007년) === 여성 === *'''최다 수상자: [[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 (6회)''':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8년 *'''최다 연속 수상자: [[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 (5회)''': 2006~2010년 *'''최다 수상 클럽: [[1.FFC 프랑크푸르트]], [[우메오 IK]],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각 3회)''' *1.FFC 프랑크푸르트: 2003년, 2004년, 2005년([[비르기트 프린츠]]) *우메오 IK: 2006년, 2007년, 2008년([[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2017년([[리커 마르턴스]]), 2021년, 2022년([[알렉시아 푸테야스]]) *'''역대 최다 수상 국가: [[브라질]], [[미국]] (각 2회)''' *브라질: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8년([[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 *미국: 2001년, 2002년([[미아 햄]]), 2012년([[애비 웜백]]), 2015년, 2016년([[칼리 로이드]]), 2019년([[메건 라피노]]) == 팀별 수상 횟수 == === 남성 === ||<:> '''{{{#c9c6c6 클럽명}}}''' ||<:> '''{{{#c9c6c6 횟수}}}''' ||<:> '''{{{#c9c6c6 선수 목록}}}''' || ||<:> [[FC 바르셀로나]] ||<:> 11회 ||<:> 호마리우, 호나우두, 히바우두, 호나우지뉴 (2), 리오넬 메시 (6) || ||<:> [[레알 마드리드 CF]] ||<:> 9회 ||<:> 루이스 피구, 호나우두, 지네딘 지단, 파비오 칸나바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4), 루카 모드리치 || ||<:> [[유벤투스 FC]] ||<:> 3회 ||<:> 로베르토 바조, 지네딘 지단 (2) || ||<:> [[AC 밀란]] ||<:> 3회 ||<:> 마르코 판바스턴, 조지 웨아, 카카 ||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2회 ||<:> 로타어 마테우스, 호나우두 || ||<:> [[FC 바이에른 뮌헨]] ||<:> 2회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2) ||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회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 [[파리 생제르맹 FC]] ||<:> 1회 ||<:> 리오넬 메시 || === 여성 === ||<:> '''{{{#c9c6c6 클럽명}}}''' ||<:> '''{{{#c9c6c6 횟수}}}''' ||<:> '''{{{#c9c6c6 선수 목록}}}''' || ||<:> [[1.FFC 프랑크푸르트]] ||<:> 3회 ||<:> 비르기트 프린츠 (3) || ||<:> [[우메오 IK]] ||<:> 3회 ||<:> 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3) || ||<:>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 3회 ||<:> 리커 마르턴스, 알렉시아 푸테야스(2) || ||<:> [[워싱턴 프리덤]] ||<:> 2회 ||<:> 미아 햄 (2) || ||<:> [[산투스 FC]] ||<:> 2회 ||<:> 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 (2) || ||<:> [[휴스턴 대시]] ||<:> 2회 ||<:> 칼리 로이드 (2) || == 선수별 수상 횟수 == === 남성 === ||<:> '''{{{#c9c6c6 선수}}}''' ||<:> '''{{{#c9c6c6 횟수}}}''' ||<:> '''{{{#c9c6c6 소속 클럽}}}''' || ||<:> [[리오넬 메시]] ||<:> 7회 ||<:> FC 바르셀로나 (6), 파리 생제르맹 ||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5회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레알 마드리드 CF (4) || ||<:> [[호나우두]] ||<:> 3회 ||<:> FC 바르셀로나, 인테르나치오날레, 레알 마드리드 CF || ||<:> [[지네딘 지단]] ||<:> 3회 ||<:> 유벤투스 FC (2), 레알 마드리드 CF || ||<:> [[호나우지뉴]] ||<:> 2회 ||<:> FC 바르셀로나 ||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2회 ||<:> FC 바이에른 뮌헨 || === 여성 === ||<:> '''{{{#c9c6c6 선수}}}''' ||<:> '''{{{#c9c6c6 횟수}}}''' ||<:> '''{{{#c9c6c6 소속 클럽}}}''' || ||<:> [[마르타 비에이라 다 시우바]] ||<:> 6회 ||<:> 우메오 IK (3), 산투스 FC (2), 올랜도 프라이드 || ||<:> [[비르기트 프린츠]] ||<:> 3회 ||<:> 1.FFC 프랑크푸르트 (3) || ||<:> [[미아 햄]] ||<:> 2회 ||<:> 워싱턴 프리덤 (2) || ||<:> [[칼리 로이드]] ||<:> 2회 ||<:> 휴스턴 대시 (2) || ||<:> [[알렉시아 푸테야스]] ||<:> 2회 ||<:>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2) || == 대한민국 관련 == * 대한민국에서는 1996년 FIFA 올해의 선수와 2002년 FIFA 올해의 선수 득표자에 [[홍명보]]가 1996년은 5점을 득표하여 공동 21위, 2002년은 5점을 득표하여 공동 17위에 올랐다. 또한 이는 아시아 선수 전체를 통틀어서도 최고 순위이다. 또한 홍명보가 1996년과 2002년 득표를 한 것은 아시아 수비수로서는 유이하게 득표를 수상하였다. * 2018년과 2019년에는 [[차범근]], 2020년에는 [[박지성]]이 심사위원으로 선정되었다. * 2020년에는 비록 FIFA 올해의 선수 10위권에는 아쉽게 들지 못했지만 [[손흥민]]이 '''대한민국 선수로서는 최초로 [[FIFA 푸스카스상]]을 수상하였다.''' == 기타 == * 2010년대엔 남성 부문에서 라리가의 기세가 엄청나 모든 FIFA 올해의 선수를 라리가 선수가 수상했다. 심지어 포디움에 오른 선수조차 라리가 선수를 제외하면 2013년 [[프랑크 리베리]]의 3위, 2014년 [[마누엘 노이어]]의 3위, 2018년 [[모하메드 살라]]의 3위, 2019년 [[버질 판데이크]]의 2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3위로 단 5명에 불과하다. 그리고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메시와 호날두가 2위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다. * [[FIFA 월드컵]]의 징크스 중엔 월드컵 직전에 발롱도르를 수상하면 발롱도르를 수상한 선수가 소속된 국가대표팀이 월드컵에서 부진하는 징크스인 '발롱도르의 저주'가 있는데 FIFA 올해의 선수도 발롱도르 못지 않게 월드컵에서 징크스가 강한 편이다. 물론 부진하지 않고 활약한 선수도 있으나 '''해당 FIFA 올해의 선수 수상자들은 모두 월드컵 우승을 놓쳤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대표적으로 2021년에 수상한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는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괜찮은 활약을 펼쳤으나 폴란드는 최종적으로 16강(15위)에 그치고 말았다. 다만 2022년 여자 부문 수상자인 [[알렉시아 푸테야스]]는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이고 소속팀인 [[스페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차지하면서 여성 쪽에서는 이 징크스가 깨졌다.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발롱도르]] 시상식이 취소된 반면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는 그대로 진행됐다. 때문에 발롱도르 다음가는 권위를 지닌 FIFA 올해의 선수가 그 어느 때보다 큰 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모두의 예상대로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FIFA 올해의 선수를 수상해 2020 발롱도르가 취소된 아쉬움을 어느 정도 달랠 수 있었다. == 관련 문서 == * [[FIFA]] * [[FIFA 발롱도르]] *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 * [[FIFA FIFPro 월드 XI]] * [[발롱도르]] * [[트로페 코파]] * [[트로페 야신]] * [[트로페 게르트 뮐러]] * [[UEFA 클럽 풋볼 어워드]] * [[UEFA 올해의 팀]] * [[월드 사커 올해의 선수]] * [[옹즈도르]] * [[골든보이]] * [[베스트 풋볼러 인 아시아]] [각주] [[분류:FIFA 주관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