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IFA 시리즈)] [[파일:FIFA: Road to World Cup 98.jpg]] * 출시일: 1997년 6월 17일 * 출시 플랫폼: [[PC]], [[메가 드라이브]], [[세가 새턴]], [[슈퍼 패미컴]], [[PlayStation(콘솔)|플레이스테이션]], [[게임보이]], [[닌텐도 64]] * "Your only goal - qualify" * 커버 모델: 로이 레시터(미국), [[데이비드 베컴]](잉글랜드), [[파올로 말디니]](이탈리아), [[다비드 지놀라]](프랑스), [[안드레아스 묄러]](독일), [[라울 곤살레스]](스페인), 국내 커버 모델 - 로이 레시터 [목차] [clearfix] == 개요 == [[EA 스포츠]]의 [[축구]] 게임 시리즈인 [[FIFA 시리즈]]의 정규 시리즈 5번째 작품. == 특징 == || [youtube(xN0fLiun-bY)] || ||[[파일:fifa98 1.jpg|width=100%]]||[[파일:external/www.mobygames.com/194099-fifa-98-road-to-world-cup-playstation-screenshot-teams-entering.jpg|width=100%]]|| || PC 버전 게임 화면 || 플레이스테이션 버전 게임 화면 || 현존하는 '''FIFA 시리즈 중 엄청나게 많은 국가가 등장하는 첫 작품'''이다. 사실 이렇게 된 데에는 이 작품의 부제(ROAD TO WORLD CUP) 때문으로, 당시에는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월드컵 98]] 게임을 생각하지 않고 만들었기 때문에 많은 국가가 참가한 것. 따라서 사실상 전 세계 거의 모든 축구 국가대표팀을 골라서 월드컵까지 나가볼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한 A매치 콘텐츠를 자랑한다. 물론 프로 클럽 대항전 콘텐츠도 풍부해 선택 가능한 클럽의 숫자도 당시로서는 많은 189개였다. 물론 당시 피파 시리즈가 그렇듯 라이선스 문제인지 국기/클럽 로고난에 클럽 로고 대신 유니폼을 기반으로 한 삼색기로 처리되었다. 한국에서는 외전인 월드컵 98과 함께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게임. 몇몇 국대의 경우 그 국가의 거리 모습 등을 보여준 뒤 하늘에서 해당 국가의 홈경기장으로 점차 내려가는 방식의 오프닝을 지원했다. 그래픽 품질이 좋아 당시에 큰 반향을 이끌었다. 시리즈 최초로 실제 경기장이 등장한 작품이다. 각 대륙의 대표적인 경기장이 등장했다. 게임에서 선택 가능한 경기장이 몇 개 안되는데도 당시 한국의 주요 A매치가 열리던 [[서울올림픽주경기장|잠실 올림픽 주경기장]]이 포함되었다.[* 그런데 인트로 영상에 등장하는 서울 도로 영상이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에 촬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포니 2는 아예 보이지도 않고 [[현대 포니|포니 1]](...)과 [[기아 브리사|브리사]] 택시만 잔뜩 보이며, [[새한 로얄]](...)과 마린 블루 도색의 새한 [[BF101]](...)까지 등장. 8번을 달고 나온 해당 버스의 당시 경로와 지하철 출구의 위치로 추정해 볼 때, 해당 영상은 신촌오거리에서 촬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어 [[불국사]]의 모습도 1970년대 임시 복원 이전의 모습이다.] 실제 경기장들 외에 인도어 풋살경기장도 등장하는데 이번 버전이 마지막 등장이다. '''ROAD TO THE WORLD CUP'''이라는 부제에 걸맞게 98 프랑스 월드컵을 지역 예선부터 플레이할 수 있다. || [[파일:fifa98.jpg|width=100%]] || || 논란이 된 한국 대표팀 데이터 || '''그러나 월드컵과는 별개로 한국에서 논란이 일었는데, 한국 대표팀의 처참한 데이터 때문이었다.''' 이 게임에서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가 아시아 최강팀으로 나오는데[* 참고로 쿠웨이트는 1998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조 꼴찌로 탈락했다.], 쿠웨이트가 10점 만점에 슈팅 8, 스피드 8, 패싱 9, 디펜스 9, 오버롤 8로 평가된 반면[* 참고로 쿠웨이트는 월드컵 본선 진출이 [[1982 스페인 월드컵]]이 유일하다.], 당시 월드컵 본선에 4회 연속 진출[* 1986년 멕시코, 1990년 이탈리아, 1994년 미국, 1998년 프랑스], 종합 5회 진출하며 아시아에서는 최강이라고 자부하던 한국 대표팀의 능력치는 슈팅 6, 스피드 6, 패싱 6, 디펜스 7, 오버롤 6으로 저조하게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한국이 못 나온 게 아니라 다른 나라들이 너무 잘 나온 거다~~[* 이는 당시 월드컵 1차 예선에서 탈락했던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와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보다 낮은 점수이며,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과 거의 같은 점수(모든 영역 6점)였다.][* 당대 피파의 라이벌 게임 중 하나였던 [[액추어 사커]]에서는 한국이 종합 별 4개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는 동률,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은 별 6, 피파에서 아시아 최강이었던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는 별 3개를 받았다.] 선수 명단도 성과 이름만 뒤죽박죽 표기되었고 1995년 이미 축구계를 은퇴한 [[구상범]], 1996년에 [[이란 쇼크|식스투 참사]] 이후 부름받지 못한 [[김판근]]과 그 해 대표팀을 은퇴한 [[김주성(축구)|김주성]] 등이 버젓이 있는 등 당시 대표팀 명단과 동떨어진 모습을 보였다. 그래서 당시 PC판 한정으로 한국 팀의 로스터와 데이터를 조정한 비공식 패치가 [[PC통신]] 등지에 돌아다녔을 정도. 게다가 [[AFC]] 산하 리그로는 최초로 [[말레이시아]] 프로 리그가 수록되어 아시아 최강이라는 자존심에 상처를 입는 문제로 많은 논란이 있었다.[* 말레이시아 프로 리그는 1979년에 출범하였지만, [[말레이시아 슈퍼 리그]]로 개편되는 2003년까지는 주로 축구 연맹이 운영하는 주 선발에 불과했다.] 그래서 월드컵의 인기에 편승하고자 한영 합작으로 나온 게임이 [[붉은 악마#s-3]]. 결국 [[동서게임채널]]에서 수개월이 지난 뒤에야 정식 발매했는데, 한국 능력치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에 필적하는 수준까지 향상되었고, 명단 또한 프랑스 월드컵 본선 확정 엔트리로 맞춰 수정되었다. [[https://bbs.ruliweb.com/userboard/board/700155/read/8527|#]] 이런 논란과 함께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이후 [[K리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천리안 에사모나 피파 코리아, 피파넷코리아 등 PC 통신이나 인터넷 게임 동호회에서 K리그 패치를 제작하여 게임을 즐기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후 피파 시리즈에 대한 다양한 패치 제작 활성화 및 인기에 힙입어 [[FIFA 2001]]부터 정식으로 한글화가 되고 [[K리그]]가 수록되는 등 한국 유저들의 니즈가 서서히 반영되기 시작했다. 시스템으로도 많은 개량이 이루어져 FIFA 시리즈 처음으로 [[오프사이드]] 제도가 도입되었다.[* 오프사이드 설정 옵션은 [[FIFA Soccer 96|FIFA 96]] 때부터 이미 적용되고는 있었다.] 그 전작에서는 알아서 뒤에 있는 선수 등에게 패스되었다는 듯. 하지만 골키퍼 인공지능은 생각보다 좋지 못하다. 단적인 예로 페널티 에어리어에서 골키퍼와 1:1을 할 경우 골키퍼가 페널티 에어리어를 넘어 공을 잡는 경우가 발생하여 핸들링 반칙으로 프리킥을 주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알도 잘 깐다(...). 그리고 2인용으로 마우스를 지원한 마지막 시리즈. 그리고 선수와 팀 커스터마이징이 처음으로 구현된 작품이기도 하며, 프로 리그 진행 시 시즌 초반이나 성적이 좋지 않아 하위권에 랭크된 경우에 리그 경기 시 경기장 관중석이 듬성듬성 비어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초기엔 3D 가속을 지원하지 않았으나 패치를 통해 Direct3D 5.0을 지원했으며, 이번 작부터는 [[MS-DOS]] 지원을 중단했다. == 기타 == || [youtube(SSbBvKaM6sk)] || * 참고로 오프닝 곡인 '[[블러(밴드)|Blur]]'의 '''[[Song 2]]'''는 피파 98 덕분에 그야말로 대히트를 쳤다. 오죽했으면 이 노래 때문에 피파 98이 흥행할 수 있었다는 말이 나왔을 정도. Blur 입장에서도 이전의 실패로 심각한 침체기였으나 일약 전 세계적인 밴드로 만든 트랙이 바로 Song 2라 그야말로 Win-Win. * 이 FIFA 98의 대성공에 힘입어 발매된 월드컵 98의 인트로곡 [[첨바왐바]]의 [[Tubthumping]] 또한 많은 사랑을 받았다. * 1998년 3월 [[스타크래프트]]가 출시되기 전까지 [[대학교]] [[전산실]]과 [[대학원]] 연구실에서 가장 애용하던 게임이었다. 이 게임이 [[대한민국]]의 [[PC방]] 태동기 때 사랑받은 게임이고, [[당구장]] 및 [[오락실]]에서 PC방 사이, 게임적으로는 [[워크래프트 시리즈]]([[워크래프트 2]]), [[C&C 시리즈]](타이베리안 던, 레드얼럿), [[둠 시리즈]] 등 당대 인기 Multiplay-Competition[* 모뎀 플레이, 줄여서 모플이라고도 했는데, 당시 통신 도구가 [[모뎀]]이 대세였으므로 사실상 멀티플레이와 동의어로 통용되었다.] 게임들과 스타크래프트를 잇는 가교 역할을 했다. 1998년 [[연고전]] 때 [[고려대학교 교육방송국]]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모드 영상이 [[https://www.youtube.com/watch?v=bysBBEnJhPs&t=114s|공개되었다.]] 당연히 [[고연전|고대생 관점]]에서 만들어졌으므로, 영상 자체는 [[연세대학교]] 쪽에 불리한 내용으로 서술되었다. * [[메가 드라이브]], [[슈퍼 패미컴]](XYZ 프로덕션 이식), [[세가 새턴]](클라이맥스 디벨롭먼트 이식), [[게임보이]](티어텍스 디자인 스튜디오 이식)로 발매된 마지막 FIFA 시리즈 게임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IFA 시리즈, version=1156)] [[분류:FIFA 시리즈]][[분류:1997년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PlayStation(콘솔)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