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동음이의어, rd1=파이어버드)] [include(틀:Roselia의 음악 일람)] ||<-2>
'''{{{#fff [[BanG Dream!(애니메이션 2기)|{{{#fff BanG Dream! 2nd Season}}}]] 13화 삽입곡[br][[BanG Dream! FILM LIVE|{{{#fff BanG Dream! FILM LIVE}}}]] 삽입곡[br]FIRE BIR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video, src=https://bestdori.com/assets/kr/movie/mv/music_video_187_hq_rip/music_video_187_hq.mp4, width=650)]}}} || ||<-2> '''{{{#fff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fff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video, src=https://bestdori.com/assets/kr/movie/mv/music_video_243_hq_rip/music_video_243_hq.mp4, width=650)]}}} || ||<-2> '''{{{#fff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fff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Full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f87EzO2lxw, width=100%)]}}} || ||<-2> '''{{{#fff Full ver.}}}''' || || '''노래''' || [[Roselia(BanG Dream!)|[[파일:Roselia_logo.png|width=25%]]]] || || '''작사''' ||<|2> [[아게마츠 노리야스]] {{{-2 ([[Elements Garden]])}}} || || '''작곡''' || || '''편곡''' || 후지나가 류타로(藤永龍太郎) {{{-2 ([[Elements Garden]])}}} || [목차] == 개요 == [[BanG Dream!]]의 밴드인 [[Roselia(BanG Dream!)|Roselia]]의 곡. 2019년 7월 24일 발매된 [[BanG Dream!/음반#s-2.1.2.7|9th Single]]의 타이틀이자 [[BanG Dream!(애니메이션 2기)|TVA 2기]] 중 13화의 포피파의 주최 라이브에서 처음 TV 사이즈로 불렀다. 이후 [[BanG Dream! FILM LIVE]]에서 풀 버전 라이브를 선보였다. [[BanG Dream!(애니메이션 3기)|TVA 3기]] 7화의 엔딩곡으로 쓰였다. 풀버전에 대해서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그 기대에 부응하듯 커플링곡인 [[Ringing Bloom]]과 함께 굉장히 잘 뽑혀서 앨범에 대한 평가가 매우 좋다. 금영노래방에 44432 번으로, TJ노래방에 68068 번으로 등록되어 있다. 원곡의 음정은 gm(사단조)이며, 최고음 또한 G다. 최고음은 코러스가 끝나고 바로 다음 음이다. 곡명 때문에 일본에서는 [[야키토리]]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https://twitter.com/agematsu/status/1120217312143925249|작곡가 본인도 이 드립을 친다.]] 한국에서는 종종 불새, 혹은 [[불닭]](...) 등의 별칭으로 불리기도.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 일반 버전 === ##작성자 코멘트: 모바일 가독성을 위해 테이블 가로폭을 350px으로 고정하였습니다. [include(틀: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27레벨 수록곡)] [include(틀: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고레벨 수록곡)] ||<-5> [[파일:FIRE-BIRD.png|width=100%]] || ||<|2> 기본[br]정보 || BPM || 시간 ||<-2> 타입 || || 150[* 초반부는 80이었다가 "焦がせ不死なる絆(코가세 후시나루 키즈나: 불태워라 불사의 인연을)"를 지난 이후 부터 BPM이 점점 낮아져 40대까지 줄어든다. 150 BPM은 노래가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 부터. [[https://youtu.be/O3jFYVGwtTU|참고 영상]]] || 2:10 ||<-2> 오리지널 || || [[파일:BanGDream_Easy.png|width=35]][br]9[br](173) || [[파일:BanGDream_Normal.png|width=35]][br]15[br](332) || [[파일:BanGDream_Hard.png|width=35]][br]18[br](483) || [[파일:BanGDream_Expert.png|width=35]][br]27[br](935) || [[파일:BanGDream_Special.png|width=35]][br]29[br](1111) || || MV ||<-4> 있음 || || 수록 ||<-4> 2019년 4월 22일(日) 2020년 2월 10일(韓) || || 해금[br]방법 ||<-4> [[BanG Dream!(애니메이션 2기)|BanG Dream! 2nd Season]] 삽입곡 악곡 선물 || || 밴드 ||<-4> [[Roselia(BanG Dream!)|[[파일:Roselia_logo.png|width=50%]]]] || || 노래 ||<-4> [[미나토 유키나]](CV: [[아이바 아이나]])[br][[히카와 사요]](CV: [[쿠도 하루카(성우)|쿠도 하루카]])[br][[이마이 리사]](CV: [[나카시마 유키]])[br][[우다가와 아코]](CV: [[사쿠라가와 메구]])[br][[시로카네 린코]](CV: [[시자키 카논]][* 애니메이션 2기 13화 한정으로 교체 전 성우인 [[아케사카 사토미]]가 불렀다.]) || ||[youtube(baC2_kiR_O4)]|| EXPERT ALL PERFECT 영상 여담으로 수록일 전 날에도 곡 목록에서 확인이 가능했다.[* 이는 FIRE BIRD의 예정 수록 일자가 2019년 4월 20일경이였는데, 22일로 연기를 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27레벨 이상의 고렙곡 패턴들을 다양하게 뒤섞은듯한 채보라서 초견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그 중에서 특히 핵심적인 패턴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 212콤보, 319콤보, 886콤보에서 신패턴인 짧은 롱노트 연타가 나온다.[* 이후 이 패턴은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SP, [[순간 여행]] EX에서도 채용된다.] * 460콤보에서 나오는 패턴은 [[잔혹한 천사의 테제]] 막바지에서 비슷하게 나온 적이 있다. 왼쪽의 단타를 박자에 맞춰서 처리해야하는 것이 포인트. * 520콤보에서 나오는 슬라이드 패턴은 왼쪽 슬라이드 끝 지점에서 오른쪽 슬라이드로 이어가기에는 그 사이의 공간이 협소해서 잇기가 쉽지 않다. * 563콤보, 680콤보에서 나오는 슬라이드+플릭 패턴은 [[Opera of the wasteland]]의 열화판이라고 보면 된다. 한 손은 슬라이드를 잡으면서 한 손은 플릭과 단타를 처리해야하는데, 플릭 후의 단타 위치가 영 좋지 않아서 손 꼬이기가 쉽다. 반전해서 한 번더 나오므로 반전 옵션도 통하지 않는다. 이러한 핵심적인 패턴 이외에도 트릴 또한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에 체력도 어느정도 필요한 편이다. 판정의 경우 짧은 롱잡으로 그렛이 두배 뻥튀기 되기 때문에 27레벨 입문자가 플레이 할 시에 100그렛을 넘기는걸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극판정~AP를 노리기에도 워낙 짧은 롱놋이 많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편이다. 하지만 이 구간들은 판정 강화 레벨 5를 쓰면 전부 스킵이 가능해지므로 상당히 쉬워진다. ||[youtube(L3ljXNdlhC0)]|| ~~[[불닭볶음면|중간에 번역이 이상하지만 무시하자.]]~~ 2019년 10월 23일 MV가 추가되었다. [youtube(HWKcBm1Lcic)] SPECIAL ALL PERFECT 영상 6주년 초대형 업데이트에서 SPECIAL 채보가 추가되었다. 오랜만에 SP 리듬 아이콘 없이 등장한 29레벨 곡이다. 플릭이 끼어나오는 트릴 패턴이나 하이라이트에 들어가기 직전 나오는 손꼬이는 배치의 플릭+단타 세례, 하이라이트의 상당히 독특한 모양으로 나오는 급경사 슬라이드 등 보기 힘든 패턴이 많이 등장한다. 따닥이의 비중도 상당히 늘었기 때문에 엄지 유저의 경우 꽤나 고전할 수 있는 채보. 여담으로 SPECIAL 채보는 대부분의 노트가 피버구간 중 발동되는 스킬구간에 몰아져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곡의 길이가 2분 10초라는 긴 곡임에도 불구하고 효율이 미친듯이 좋다.''' 얻을 수 있는 점수로는 전체 채보 중에 열 손가락 안에 들어갈 정도[* 대략 [[홍련의 화살#s-7.5|홍련의 화살]]과 비슷하다.]. 이는 곡 길이가 2분 이상인 곡 중에 최초이다. 6주년 초대형 업데이트에서 3D 라이브를 지원하는 곡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 풀버전 === [include(틀: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28레벨 수록곡)] ||<-5> [[파일:FIRE-BIRD.png|width=100%]] || ||<|2> 기본[br]정보 || BPM || 시간 ||<-2> 타입 || || 150 || '''5:22''' ||<-2> 오리지널 || || [[파일:BanGDream_Easy.png|width=35]][br]10[br](441) || [[파일:BanGDream_Normal.png|width=35]][br]15[br](826) || [[파일:BanGDream_Hard.png|width=35]][br]19[br](1360) || [[파일:BanGDream_Expert.png|width=35]][br]28[br]('''2331''') || || MV ||<-4> 있음 || || 수록 ||<-4> 2020년 1월 23일(日) 2021년 1월 21일(韓) || || 해금[br]방법 ||<-4> [[BanG Dream!(애니메이션 2기)|BanG Dream! 2nd Season]] 삽입곡 악곡 선물 || || 밴드 ||<-4> [[Roselia(BanG Dream!)|[[파일:Roselia_logo.png|width=50%]]]] || || 노래 ||<-4> [[미나토 유키나]](CV: [[아이바 아이나]])[br][[히카와 사요]](CV: [[쿠도 하루카(성우)|쿠도 하루카]])[br][[이마이 리사]](CV: [[나카시마 유키]])[br][[우다가와 아코]](CV: [[사쿠라가와 메구]])[br][[시로카네 린코]](CV: [[시자키 카논]]) || ||[youtube(wfhOG6qZcVE)]|| Full 버전 EXPERT ALL PERFECT 영상 2020년 1월 23일 FULL ver.이 추가되었다. 풀 버전 곡 중에서는 최초의 28레벨. 뱅드림 최초로 노트 수가 '''2000'''을 넘기 때문에 강력한 체력이 요구된다. 체력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난이도 패턴도 건재해서 다른 FULL 곡보다 더 어려운데다가 끝나기 직전 아코의 드럼 소리를 노트로 재현한 24비트 트릴[* 참고로 150 bpm의 24비트는 225 bpm의 16비트와 같다. 그 말은즉슨, 210 bpm인 [[Y.O.L.O!!!!!]]의 16비트 트릴보다 '''더 빠르다는 소리이다!''']로 화룡점정을 찍어 풀콤보 및 AP를 막는 최후의 벽 역할을 한다. 이 24비트 트릴은 워낙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어 [[뭉개기|12비트 동타처럼 쳐도 콤보를 이을 수 있다.]] 이렇게 넘겨도 풀 콤보까지는 달성할 수 있다. 물론 AP난이도는 이게 통하지 않는 관계로 난이도가 안드로메다를 찍는다. 기존 컷버전을 안정적으로 클리어할 재간이 된다면 클리어로는 28레벨중 쉬운 편이다. 그러나 풀 콤보 및 AP 난이도는 이를 저지하는 패턴이 산재하므로 기존 컷버전 처럼 상위권에 속한다. 초반 및 마지막 후렴 직전에 유키나가 나레이션을 하면서 노트가 안 나오는 구간이 있는데, 첫번째는 별로 상관 없지만 두번째 구간에서는 아예 일시정지를 시키고 잠시 휴식을 취하는 것도 방법이다. == 타 리듬게임 수록 == === [[CHUNITHM]] === ||<-6> [[CHUNITHM NEW]] 시리즈 난이도 체계 || || 곡명 ||<-5> '''FIRE BIRD''' || || 아티스트 ||<-5> Roselia 「バンドリ! ガールズバンドパーティ!」 || || BPM ||<-5> 150 || ||<|2> 버전 || 일본 내수판 ||<-5> [[CHUNITHM NEW|{{{#deab00,#ffcc21 CH}}}{{{#0050ce,#3182ff U}}}{{{#54c320,#6fdf3c NI}}}{{{#deab00,#ffcc21 T}}}{{{#fd006b H}}}{{{#d0f M}}} {{{#556688 NEW}}}]] (2021/11/04) || || 해외 수출판 ||<-5> [[CHUNITHM NEW|{{{#deab00,#ffcc21 CH}}}{{{#0050ce,#3182ff U}}}{{{#54c320,#6fdf3c NI}}}{{{#deab00,#ffcc21 T}}}{{{#fd006b H}}}{{{#d0f M}}} {{{#556688 NEW}}}]] (2022/03/03) || ||<|2> 난이도 ||<#22ac38> BASIC ||<#f39800> ADVANCED ||<#e5004f> EXPERT ||<#af0bd2> MASTER || WORLD'S END || || 3 || 5 || 9+ || 13+ || '''招 [br] ☆''' || || 노트 수 || - || - || 1344 || 1798 || '''1244''' || || 노트 디자이너 || - || - || すきやき奉行 || happi- ha shaberenai || '''EXPERT''' || [[CHUNITHM NEW]] 런칭곡으로 [[キズナミュージック♪]]과 함께 수록되었다. MASTER 난이도를 SS랭크로 클리어 하면「飛べよ鵬翼のヴァイオレット」칭호를 획득할 수 있다. ==== MASTER ==== [youtube(bCOXY04yDkA)] MASTER 보면 캡쳐 영상 ==== WORLD'S END ==== [youtube(hw7MCHcYFfQ)] WORLD'S END 招 보면 캡쳐 영상 2022년 10월 13일 [[CHUNITHM SUN]] 업데이트와 함께 추가되었는데, 걸파의 EXPERT 난이도를 그대로 이식했다. == 가사 == || '''{{{#!html Roselia - FIRE BIRD}}}''' || || {{{#6324bd,#8141db 유키나}}} • {{{#1294ab,#53d6ed 사요}}} • {{{#980000,#ff6666 리사}}} • {{{#cf3d82,#c23074 아코}}} • {{{#949494,#6a6a6a 린코}}} || || {{{#6324bd '''空がどんな高くても''' 소라가 돈나 타카쿠테모 하늘이 아무리 높더라도 '''羽根が千切れ散っても''' 하네가 치기레칫테모 날개가 산산히 찢긴다 하더라도 '''翔び立つこと恐れずに''' 토비타츠 코토 오소레즈니 날아오르기를 두려워하지 말고 '''焦がせ不死なる絆''' 코가세 후시나루 키즈나 불태워라 불사의 인연을}}} ''' Fly to the sky…Fire bird!''' {{{#6324bd ''' ''「潰えぬ夢へ 燃え上がれ」'' ''' ''「츠이에누 유메에 모에아가레」'' ''「무너지지 않는 꿈을 향해 불타올라라」''}}} ''' (Burning up)x2 ''' '''(Lala, lalala, Lala, lalala,)x2''' [br] || || '''{{{#ffffff 1절}}}''' || || {{{#6324bd '''暗闇での絶望も''' 쿠라야미데노 제츠보오모 어둠 속의 절망도 '''どうか怖がらないで''' 도오카 코와가라 나이데 부디 두려워하지 말아줘 '''貴方の胸いつだって''' 아나타노 무네 이츠닷테 당신의 가슴엔 언제나 '''灯す夢があるから''' 토모스 유메가 아루카라 불타는 꿈이 있으니까}}} {{{#6324bd,#8141db '''決断への'''}}} '''[ruby(運命, ruby=さだめ)]に''' {{{#6324bd,#8141db 케츠단에노}}} 사다메니 {{{#6324bd,#8141db 결단을 향한}}} 운명에 {{{#6324bd,#8141db '''慟哭した'''}}} '''現実''' {{{#6324bd,#8141db 토오코쿠시타}}} 겐지츠 {{{#6324bd,#8141db 통곡해버린 }}} 현실 {{{#6324bd,#8141db '''だけどそれは'''}}} '''[ruby(愛故, ruby=あいゆえ)]の''' {{{#6324bd,#8141db 다케도 소레와}}} 아이유에노 {{{#6324bd,#8141db 하지만 그건}}} 사랑이 있기에 {{{#6324bd '''背負う[ruby(未来, ruby=つばさ)]だと…!''' 세오우 츠바사다토…! 짊어질 [ruby(미래, ruby=날개)]라는 걸…!}}} '''(Lala, lalala, Lala, lalala,)x2''' '''飛べよ鵬翼のヴァイオレット''' 토베요 호오요쿠노 바이오렛토 날아라 붕익의 바이올렛 '''火の鳥のように''' 히노 토리노 요오니 불새와 같이 {{{#6324bd '''We are…何度も歌い''' We are…난도모 우타이 We are…몇 번이고 노래하며 '''強くなった''' 츠요쿠 낫타 강해져 왔지}}} '''夢は負けない''' 유메와 마케 나이 꿈은 지지 않아 '''貴方を連れて行きたいんだ''' 아나타오 츠레테 이키타인다 당신을 데려가고 싶어 '''絶世の天へ''' 젯세이노 텐에 절세의 하늘로 {{{#6324bd '''ゼロ距離で抱き締め合い''' 제로 쿄리데 다키시메 아이 제로거리에서 서로 끌어안아 '''神話に記そう''' 신와니 시루소오 신화로 남기자}}} '''この音の風で''' 코노 오토노 카제데 이 소리의 바람으로 {{{#6324bd '''そして新世界へ''' 소시테 신세카이에 그리고 신세계를 향해}}} '''(Burning up)x2''' '''(Lala, lalala, Lala, lalala,)x2''' [br] || || '''{{{#ffffff 2절}}}''' || || {{{#6324bd '''泣きじゃくったあの夜の''' 나키쟈쿳타 아노 요루노 흐느껴 울었던 그 밤의 '''答えはまだわからず''' 코타에와 마다 와카라즈 [* [[ROZEN HORIZON]]의 가사에서 "泣きじゃくった (夜の答え)自分を乗り越えゆくのは自分だけしかいないんだと(흐느껴 울었던(밤의 해답) 스스로를 뛰어넘어가는 건 자기 자신밖에 없다고)"로 이어진다.]해답을 아직도 몰라 '''だけど前に…前だけに''' 다케토 마에니…마에다케니 하지만 미래엔…오직 미래엔 '''きっとヒカリは射すと''' 킷토 히카리와 사스토 분명 빛이 비출거란걸}}} {{{#6324bd,#8141db '''重低音と'''}}} '''残光の''' {{{#6324bd,#8141db 쥬우테이온토}}} 잔코오노 {{{#6324bd,#8141db 중저음과}}} 잔광의 {{{#6324bd,#8141db '''この聖なる'''}}} '''領域で''' {{{#6324bd,#8141db 코노 세이나루}}} 료오이키데 {{{#6324bd,#8141db 이 성스러운}}} 영역에서 {{{#6324bd,#8141db '''不完全に'''}}} '''鉄槌を''' {{{#6324bd,#8141db 후칸젠니}}} 텟츠이오 {{{#6324bd,#8141db 불완전하게 }}} 철퇴를 {{{#6324bd '''本能のままに''' 혼노오노 마마니 본능에 몸을 맡겨}}} '''(Lala, lalala, Lala, lalala,)x2''' '''舞えよ[ruby(暁, ruby=あかつき)]に煌めく''' 마에요 아카츠키니 키라메쿠 춤춰라 새벽녘에 빛나는 '''太陽のように''' 타이요오노 요오니 태양과 같이 {{{#6324bd '''We are…闇から逃げず''' We are…야미카라 니게즈 We are…어둠에서 도망치지 않고 '''支え燃える''' 사사에 모에루 받쳐주며 타오르는}}} '''紅蓮の炎''' 구렌노 호노오 홍련의 불꽃 '''幾千回拭ってもいいから''' 이쿠센카이 누굿테모 이이카라 몇 천번 닦아도 좋으니까 '''その手を伸ばせば''' 소노 테오 노바세바 그 손을 뻗으면 {{{#6324bd '''羽根に変わるんだと''' 하네니 카와룬다토 날개로 변할거라며 '''信じて自分を''' 신지테 지분오 믿어줘 자신을}}} '''信じて勇気を''' 신지테 유우키오 믿어줘 용기를 {{{#6324bd '''そして明日へと''' 소시테 아시타에토 그리고 내일을 향해}}} [br] || || '''{{{#ffffff (간주)}}}''' || || {{{#!html 最初は上を見ることも}}} {{{#6324bd,#8141db 사이쇼와 우에오 미루 코토모}}} {{{#6324bd,#8141db 처음에는 위를 올려다 보는 것도}}} {{{#!html 空を望むことも怖かった}}} {{{#1294ab,#53d6ed 소라오 노조무 코토모 코와캇타}}} {{{#1294ab,#53d6ed 하늘을 바라보는 것도 무서웠어}}} {{{#!html カゴの中からの銀河は高く}}} {{{#980000,#ff6666 카고노 나카카라노 긴가와 타카쿠}}} {{{#980000,#ff6666 새장 안에서 본 은하는 그저 높기만 하고}}} {{{#!html その星の輝きに憧れては}}} {{{#cf3d82,#c23074 소노 호시노 카가야키니 아코가레테와}}} {{{#cf3d82,#c23074 그 별의 반짝임에 동경을 품고서}}} {{{#!html ただ眩しくて、ただ悔しくて}}} {{{#949494,#6a6a6a 타다 마부시쿠테, 타다 쿠야시쿠테}}} {{{#949494,#6a6a6a 그저 눈부셔서, 그저 분해서}}} '''だけど今は、きっと此処から…''' 다케도 이마와, 킷토 코코카라… 하지만 지금은, 분명 여기서부터… {{{#6324bd ''' ''「羽撃こう…頂点の夢へと」'' ''' ''「하바타코오…쵸오텐노 유메에토」'' ''「날갯짓하자…정점의 꿈을 향해」''}}} '''飛べよ[ruby(鵬翼, ruby=ほうよく)]のヴァイオレット''' 토베요 호요쿠노 바이오렛토 날아라 붕익의 바이올렛 '''火の鳥のように''' 히노 토리노 요오니 불새와 같이 {{{#6324bd '''We are…再び誓う''' We are…후타타비 치카우 We are…다시 한 번 맹세해 '''頂点への''' 쵸오텐에노 정점을 향한}}} '''不滅のアンビション''' 후메츠노 안비숀 불멸의 야망을 '''貴方を連れて行きたいんだ''' 아나타오 츠레테 이키타인다 당신을 데려가고 싶어 '''絶世の天へ''' 젯세이노 텐에 절세의 하늘로 {{{#6324bd '''終焉の楽園まで''' 슈우엔노 라쿠엔마데 종언의 낙원까지 '''勇気と云う名の''' 유우키토 유우 나노 용기라는 이름의}}} '''音楽を地図に''' 온가쿠오 치즈니 음악을 지도로 삼아 {{{#6324bd '''歌え新世界へ''' 우타에 신세카이에 노래해 신세계를 향해}}} '''(Burning up)x2''' '''(Lala, lalala, Lala, lalala,)x4''' [br] || [[분류:Roselia(BanG Dream!)/음악]][[분류:나무위키 뱅드림 프로젝트]][[분류:CHUNITHM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