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FK 아우스트리아 빈]] [include(틀: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 [[파일:FK 아우스트리아 빈 로고.svg|height=3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41678 0%, #200a38)" {{{+1 {{{#fff FK 아우스트리아 빈}}}}}}}}}''' || ||<-2><#fff> '''{{{#200a38 {{{+1 FK Austria Wien}}}}}}''' || || '''정식 명칭''' ||Fußballklub Austria Wien || || '''[[축구단 별명|{{{#fff __별칭__}}}]]''' ||Die Veilchen (보라색) || || '''창단''' ||[[1911년|{{{#000,#ddd 1911년}}}]] [[3월 15일|{{{#000,#ddd 3월 15일}}}]] '''^^([age(1911-03-15)]주년)^^'''[* [[https://fk-austria.at/klub/geschichte/anf%C3%A4nge|#]]] || || '''소속 리그'''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DF0613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Österreichische Bundesliga)}}}]]''' || || '''연고지''' ||[[빈(오스트리아)|빈]] (Wien) 10번 지구 파보리텐 (Favoriten) || || '''홈구장''' ||게네랄리 아레나 (Generali Arena)[* 상업적 네이밍으로 인해 UEFA 주관 경기에선 Viola Park로 불리기도 한다.] [br] (17,500명 수용) || || '''라이벌''' ||'''[[SK 라피트 빈|{{{#005536,#009956 SK 라피트 빈}}}]]''' - '''[[빈 더비]]''' || || '''회장''' ||프랑크 헨젤 (Frank Hensel) || || '''단장''' ||마르쿠스 크레치머 (Markus Kraetschmer) || || '''감독''' ||[[미하엘 비머]] (Michael Wimmer) || || '''역대 한국인 선수''' ||[[이진현]] (2017~2018) || || '''공식 웹사이트''' ||[[https://fk-austria.at|[[파일:FK 아우스트리아 빈 로고.svg|height=25]]]] [[https://twitter.com/FKAustriaWien|[[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https://www.facebook.com/fkaustri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fkaustriawie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fkaustriawie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tiktok.com/@fk_austria_wien|[[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 ||<-2><#fff> '''{{{#200a38 우승 기록}}}''' || || '''{{{#ccac00 ★★}}}'''[br][[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fff __분데스리가__ (1부)}}}''']][br](24회) ||1923–24, 1925–26, 1948–49, 1949–50, 1952–53, 1960–61, 1961–62, 1962–63, 1968–69, 1969–70[br]1975–76,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3–84, 1984–85, 1985–86, 1990–91, 1991–92[br] 1992–93, 2002–03, 2005–06, 2012–13 || || '''[[ÖFB컵|{{{#fff __ÖFB컵__}}}]]'''[br](27회 / 최다 우승) ||1920–21, 1923–24, 1924–25, 1925–26, 1932–33, 1934–35, 1935–36, 1947–48, 1948–49, 1959–60, [br] 1961–62, 1962–63, 1966–67, 1970–71, 1973–74, 1976–77, 1979–80, 1981–82, 1985–86, 1989–90[br] 1991–92, 1993–94, 2002–03, 2004–05, 2005–06, 2006–07, 2008–09 || || '''__ÖFB슈퍼컵__'''[br](6회) ||1989–90, 1990–91, 1991–92, 1992–93, 2002–03, 2003–04 || || '''[[미트로파컵|{{{#fff __미트로파컵__}}}]]'''[br](2회) ||1933, 1936 || [목차] [clearfix] == 개요 == FK 아우스트리아 빈은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오스트리아)|빈]] 10번 지구 파보리텐을 연고로 하는 오스트리아 [[스포츠 클럽|축구 구단]]이다. 창단 당시에는 13번 지구인 히칭(Hietzing)을 연고로 하였으나 1973년에 재정 문제로 경기장을 옮겨야했고 지금의 파보리텐으로 연고지를 바꾸었다. == 역사 == FK 아우스트리아 빈은 1910년 10월 20일, 에르빈 뮐러(Erwin Müller)가 주재하는 총회에서 비너 아마추어-SVWiener Amateur-SV) 크리켓팀으로 출발하였으며, [[오스트리아 축구 연맹]]에 가입하는 것은 거의 2주 후인 1910년 11월 16일에 이루어졌다. 그리고 6개월간의 기다림끝에 1911년 3월 15에 허가되었다. 이후 1926년 11월 28일에 푸스발클럽 아우스트리아 빈(Fußballklub Austria Wien)[* 영어식으로는 오스트리아 비엔나(Austria Vienna)라고 읽기도 한다.]이라는 구단명을 정하게 되었다. 오스트리아에서 [[SK 라피트 빈]]에 이어서 가장 성공한 구단이며 단 한번도 강등을 겪지않은 팀이기도 하다. 같은 연고지인 라피트 빈과는 오랜 앙숙이지만 최근 떠오르는 [[FC 레드불 잘츠부르크|신흥강호]]의 등장으로 인해 라피트 빈과 사이좋게 밀리는 상황에 처해 있다. 2019-20 [[ÖFB컵]]에서는 2라운드만에 [[WSG 스바로프스키 티롤]]의 켈빈 예보아에게 4골을 내주며 2:5로 패하는 대굴욕을 맛보고야 말았다.명색이 ÖFB컵 최다 우승팀인데 말이다. 2022-23 시즌 리그 5위를 기록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FK 보라츠 바냐루카]]. 1차전에서는 1-0으로 승리했다. 2차전에서는 2-1로 승리하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3차 예선 상대는 폴란드의 [[레기아 바르샤바]]. 1차전에서는 2-1로 승리했다. 2차전에서는 5-3으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 주요선수 == * [[이진현]] * [[루디 피어틀]] * [[마티아스 신델라]] * [[이반 루치치]] * [[카를 세스타]] * [[하이코 베스터만]] * [[파트리크 펜츠]] * [[막시밀리안 작스]] * [[토니 폴스터]] * [[야체크 봉크]] == 여담 == * 우리나라에는 [[이진현]] 선수가 이적하며 알려지게 되었다. * 레드불 잘츠부르크의 우승 독재기 이전의 최후의 우승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