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303 LLS}}}'''[br]''303 Less Lethal System''[br]''비치사성무기 30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n303_profile 0.jpg|width=100%]]}}}|| || '''종류''' ||[[라이엇 건|폭동진압용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미 육군|[[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미 공군|[[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23]]]][[미 해군|[[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width=23]]]][[미 해병대|[[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width=23]]]][br][[2003년]]~현재 || || '''생산''' ||[[FN 에르스탈]] || || '''생산년도''' ||[[2003년]]~현재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br][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 '''사용된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br][[이라크 전쟁]][br][[2011 리비아 민주화 운동]] || ||<-2> {{{#White '''기종'''}}} || || '''원형''' ||XM303 UBTPS || || '''파생형''' ||FN 303-P || ||<-2> {{{#White '''제원'''}}} || || '''탄약''' ||17.03mm 발사체 || || '''급탄''' ||15발들이 [[탄창#s-4.1.6|드럼탄창]] || || '''작동방식''' ||압축공기 추진식 || || '''총열길이''' ||250mm || || '''전장''' ||740mm || || '''중량''' ||2.3kg || || '''탄속''' ||85m/s || || '''유효사거리''' ||7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I6oGbBBlSus)] FN 303 LLS(저살상력탄발사기, Less Lethal System)는 [[미군]]의 제식 [[라이엇 건|폭동진압용총]]이다. == 상세 == === 역사 === [[파일:fn303_usmc 0.jpg|width=580]] 1995년에 [[미군]] 통합형 비살상무기 사업(JNLWP)을 개시한 [[국방부(미국)|미 국방부]]는 [[M16 소총|M16]] 및 [[M4 카빈|M4]]의 [[총열덮개]] 하단에 부착이 가능한 XM303 [[페인트 볼|페인트탄 발사기]] 도입을 추진하였는데, 여기에는 [[미 육군]] 개별전장전투연구소(DBBL)와 몬터레이 베이 사의 UBTPS 설계를 바탕으로 하는 [[FN 에르스탈|FN]] 사의 FN 303이 채택되었다. [[이라크 전쟁]]이 발발한 2003년부터 정식 조달이 이루어졌으며, 2017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단종되는 일 없이 [[미군]] 이외의 [[벨기에]] 경찰특수부대(DSU), [[일본]] [[아이치|아이치 현]] 경찰특수사건수사계(SIT), [[터키]] 경찰진압부대(Çevik Kuvvet) 등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법집행기관에서의 [[라이엇 건|폭동제압]] 용도로 계속 운용되고 있다. === 특징 === ||
[[파일:fn303_projectiles.jpg|width=250]] || || 17.03mm 발사체[* 왼쪽부터 일반 충격탄, 제거불가형 페인트탄, 일반 연습탄, 수성 페인트탄, 노니바마이드/올리오레진-캡시컴 최루탄 순서로 나열되었다.] ||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fn303_269586.jpg|width=580]] [[모듈화]] 설계를 갖춘 [[폴리머]] 재질의 총몸 우측면에는 [[공기압축기]]가 장착되어 1개 당 최대 110발까지 총 다섯 종으로 나뉘어진 전용 17.3mm 발사체의 반자동 투사가 가능한 동시에 각종 조준장비 부착을 위한 [[피카티니 레일]]과 오발 등의 사고에 대비한 안전장치까지도 구비되어 있다. == 종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n303_profile 0.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n303p_sheet 2a.jpg|width=100%]]}}}|| || 제식명[br]제품명 || '''FN 303''' || '''FN 303-P''' || || 운용처 || [[미 육군|USA]][br][[미 공군|USAF]][br][[미 해군|USN]][br][[미 해병대|USMC]] || 없음 || || 연도 || 2003년~현재 || 2010년~현재 || || 재고번호 || 1095-01-526-7860 || 없음 || || 동력원 || [[공기압축기]] || [[이산화 탄소|CO,,2,,]] 저장용기 || || 장탄방식 || 15발 [[탄창#s-3.1.5|드럼형]] [[탄창]] || 6발 상자형 탄창 || === FN 303 === [[파일:fn303_usa 0.jpg|width=580]] 2003년에 [[미군]] 통합형 비살상무기로 채택된 [[반자동소총]] 모습의 기본형으로, [[모듈화]]가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따로 분리된 본체만으로도 [[M16 소총|M16]] 계열과 [[FN F2000|F2000]]의 [[총열]] 하단 부착이 가능하며 총몸 우측면의 외장형 [[컴프레셔|공기압축기]]의 분사력으로 작동한다. === FN 303-P === [[파일:external/slupsk.szkolapolicji.gov.pl/z21.jpg|width=580]] 2010년에 최초 공개된 [[권총]] 모습의 축소형으로, 총몸 후방에 내장된 소형 [[이산화 탄소|이산화 탄소(CO,,2,,)]] 저장용기의 분사력으로 작동한다. --가스건-- == 출처 == === [[웹사이트]] === * [[https://fnamerica.com/products/less-lethal/fn-303-launcher/]] * [[https://web.archive.org/web/20120321202430/http://www.gunfx.com/index.html]] * [[http://jnlwp.defense.gov/Current-Non-Lethal-Weapons/FN-303-Less-Lethal-Launching-System/]] * [[https://en.wikipedia.org/wiki/FN_303]] * [[http://guns.wikia.com/wiki/FN_303]] === [[PDF]] ===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0/armament/TuesdayLandmarkBKevinSwenson.pdf]] * [[https://calhoun.nps.edu/bitstream/handle/10945/2703/06Jun_Wittwer.pdf?sequence=1]] == 등장매체 == === [[영화]] === * [[RED(영화)|RED(2010)]] === [[게임]] === * [[스플린터 셀 시리즈]] * [[스플린터 셀: 더블 에이전트]] * [[히든#s-3.4.2.1]]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불가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각주] [[분류:비치사성무기]][[분류:총기 액세서리]][[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FN 에르스탈]][[분류:200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