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머라이어 캐리/싱글)] ||
<-5><#D7D4CF> '''{{{#fff 머라이어 캐리의 싱글}}}''' || ||<#ffffff,#131313> [[Miss You Most (At Christmas Time)]] [br](1994) ||<|2><#ffffff,#131313> → ||<#ffffff,#131313> '''Fantasy'''[br](1995) ||<|2><#ffffff,#131313> → ||<#ffffff,#131313> [[One Sweet Day]][br](1995) || ||<#000000> {{{#ffffff {{{#509dd3 '''Fantasy'''}}}{{{#ffffff '''의 주요 수상 및 선정 이력'''}}} }}} ||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9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1)]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419, 연도=2021)] ---- ||||<#fff,#191919><-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곡'''}}}}}} || || ''[[Gangsta's Paradise]]'' [[coolio|{{{-2 {{{#8086a0 coolio}}}}}}]] || {{{+1 →}}} || '''Fantasy'''[br]'''[[Mariah Carey|{{{-2 {{{#8086a0 Mariah Carey}}}}}}]]'''[br]{{{-2 (8주 연속)}}} || {{{+1 →}}} || ''[[Exhale (Shoop Shoop)]]'' [[Whitney Houston|{{{-2 {{{#8086a0 Whitney Houston}}}}}}]] || }}} || ||<#D7D4CF><-5>
<:> {{{#fff {{{+2 '''Fantasy''' }}} }}} || ||<-5><:><#fff> [[파일:mcfantasy.jpg|width=100%]] || ||<:><#D7D4CF>{{{#fff '''수록 앨범'''}}}||<-4>'''[[Daydream(머라이어 캐리)|Daydream]]''' || ||<:><#D7D4CF>{{{#fff '''발매일'''}}}||<-4><#ffffff>'''1995년 8월 23일''' || ||<:><#D7D4CF>{{{#fff '''아티스트'''}}}||'''[[머라이어 캐리]]''' || ||<:><#D7D4CF>{{{#fff '''장르'''}}}||<-4><#ffffff>'''[[팝 음악|팝]], [[댄스 팝]], [[컨템퍼러리 R&B|R&B]], [[:분류:힙합 소울|힙합 소울]]''' || ||<:><#D7D4CF>{{{#fff '''길이'''}}}||<-4><#ffffff>'''4:04''' || ||<:><#D7D4CF>{{{#fff '''레이블'''}}}||<-4><#ffffff>'''[[컬럼비아 레코드]]''' || ||<:><#D7D4CF>{{{#fff '''작사/작곡'''}}}||<-4><#ffffff>'''[[머라이어 캐리]], 데이브 홀, 아드리안 벨류, 크리스 프란츠, 스티븐 스탠리, 티나 웨이머스''' || ||<:><#D7D4CF>{{{#fff '''프로듀서'''}}}||<-4><#ffffff>'''[[머라이어 캐리]], 데이브 홀''' || ||<:><#D7D4CF>'''{{{#white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ffffff>'''{{{#RED,#ffcc00 1위}}} (8주)''' || ||<:><#D7D4CF>'''{{{#white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100]]]]}}}'''||<#ffffff>'''{{{#RED,#ffcc00 4위}}}'''|| ||<:><#D7D4CF>'''{{{#white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ffffff>'''300,490,887[* 2023년 7월 16일 기준]'''|| ||<:><#D7D4CF>'''{{{#white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100]]]]}}}'''||<#ffffff>'''111,641,060[* 2023년 7월 16일 기준]'''|| [목차] == 개요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q09UkPRdFY)]}}}|| ||<#D7D4CF><:> {{{#FFFFFF ''' 뮤직 비디오 ''' }}} || [[머라이어 캐리]]의 5집 〈[[Daydream(머라이어 캐리)|Daydream]]〉의 리드싱글이다. 머라이어 커리어 사상 첫 번째 핫샷 1위 곡[* =1위로 차트에 데뷔.][* 빌보드 역사상 마이클 잭슨의 [[You Are Not Alone]] 이후 두번째 이며 여자가수로는 최초 핫샷 1위다.]으로 [[빌보드 핫 100]]에서 8주 연속 1위를 차지하고 [[1995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7위에 오르는 등 엄청난 인기를 끌며 대히트에 성공했다.[* 연말 차트 집계 기간이 9주 밖에 남지 않았을 때 발매된 곡이 연말 차트 Top 10에 오르는 것은 정말 엄청난 인기를 얻은 곡이 아닌 이상 매우 힘들다.] Tom tom club의 genius of love를 샘플링하였는데, 특이하게 노래 일부분만 가져다 쓴게 아니라 노래 후렴구 가사도 활용해서 썼다.[* 브릿지 부분의 가사] 또한 '''[[힙합 음악|힙합]]과 [[컨템퍼러리 R&B|R&B]]을 융합한 초창기의 노래'''로 머라이어의 커리어는 물론 [[대중음악]] 역사에서도 상당히 의미가 있고 중요한 노래이다.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95년 9월 다섯번째 주부터 11월 첫째 주까지 6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95년 9월 다섯번째 주부터 11월 셋째 주까지 8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95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7위, 1995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에선 14위, [[1996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49위, 1996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에서 86위, [[빌보드 핫 100 1990년대 총결산 차트]]에선 15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263위에 올랐다. * [[빌보드 핫 100]] 차트인 기록 >'''1-1-1-1-1-1-1-1-2-4-4-4-5-6-8-7-12-13-19-23-23-29-37-42-47-OUT''' == 리믹스 버전 == ||
<-5><#000000> '''{{{#FFFFFF [[Ol' Dirty Bastard]]의 싱글}}}''' || || "[[Shimmy Shimmy Ya]]"[br](1995) ||<|2> → || '''Fantasy (Remix)'''[br](1995) ||<|2> → || "[[Woo-Hah!! Got You All in Check|Woo-Hah!! Got You All in Check (The World Wide Remix)]]"[br](1996)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CTm5M3Cp8)]}}}|| ||<#D7D4CF><:> {{{#FFFFFF ''' 뮤직 비디오 ''' }}} || 이 곡은 리믹스 버전으로도 큰 인기를 끌었는데 [[Ol' Dirty Bastard]]가 피처링을 했다. 핫샷 데뷔 이후 8주동안 장기집권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 리믹스 버전이 큰 인기를 얻었기 때문. 위에서 상술했듯이 이 리믹스 버전에서 힙합과 팝을 최초로 융합했다. == 가사 == || Oh, when you walk by every night 네가 매일 밤마다 나에게로 걸어와서 Talking sweet and looking fine 달콤하게 얘기하며 멋진 모습을 볼 때마다 I get kinda hectic inside 내 머릿속에는 여러가지 생각이 들어 Mmm, baby I'm so into you 너에게서 빠져나올 곳이 없어 Darling, if you only knew 내 마음 속을 가득 채운 All the things that flow through my mind 나의 오만가지 생각들을 네가 알게 된다면 But it's just a sweet sweet fantasy baby 그렇지만 그건 그냥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When I close my eyes 내가 눈을 감을 때마다 You come and you take me 네가 와서 내 마음을 뺏어가지 It's so deep in my daydreams 이건 너무 현실같은 꿈같아 But it's just a sweet, sweet fantasy baby 하지만 그건 그냥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Images of rapture 네가 내 머릿속으로 들어올 때 Creep into me slowly 황홀한 생각들도 As you're going to my head 내 마음 속으로 천천히 들어와 And my heart beats faster 네가 내 마음을 빼앗아간 그 때 When you take me over 내 심장박동은 자꾸만 더 빨라져 Time and time and time again 끝이 보이질 않아 But it's just a sweet sweet fantasy baby 그렇지만 그건 그냥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When I close my eyes 내가 눈을 감을 때마다 You come and you take me 네가 와서 내 마음을 가져가지 It's so deep in my daydreams 이건 너무 현실같은 꿈이야 But it's just a sweet, sweet fantasy baby 하지만 그건 그냥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Sweet, sweet fantasy baby 그건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When I close my eyes 내가 눈을 감을 때마다 You come and you take me 네가 와서 내 마음을 빼앗아가지 It's so deep in my daydreams 이건 너무 진짜같은 꿈이야 But it's just a sweet, sweet fantasy baby 하지만 그건 그저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I'm in heaven with my boyfriend, my laughing boyfriend[* 여기서 부터 tom tom의 genius of love 가사 일부가 나온다.] 여긴 천국인 것 같아, 웃고 있는 내 남자친구와 함께 있지 There's no beginning, and there is no end 여긴 시작도 끝도 모두 없어 Feels like I'm dreaming 난 자고 있는 것도 아닌데 But I'm not sleeping 꿈을 꾸고 있는 듯해 Sweet, sweet fantasy baby 그건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When I close my eyes 내가 눈을 감을 때마다 You come and you take me 네가 와서 내 마음을 빼앗아가지 It's so deep in my daydreams 이건 너무 진짜같은 꿈인 것 같아 But it's just a sweet, sweet fantasy baby 하지만 그건 그냥 달콤한 환상일 뿐이라고 Sweet, sweet fantasy baby 달콤한 환상이야 When I close my eyes 내가 눈을 감을 때마다 You come and you take me 네가 가져와서 내 마음을 가져가지 It's so deep in my daydreams 이건 진짜 현실같은 꿈이야 But it's just a sweet, sweet fantasy baby 그래도 그건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Sweet, sweet fantasy baby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Sweet, sweet fantasy baby 달콤한 환상일 뿐이야 || == 기타 == 영화 [[러시 아워(영화)|러시 아워]]에서 수영이 개학 첫 날에 학교에 가던 중 차가 막혀 서있는 와중에 라디오에서 나오는 이 노래를 따라 부르는 장면이 있다. 은근 임팩트가 있었는지, 가끔 회자되곤 한다. [youtube(0WoEW6sRHXo)] 2021년 영화 [[프리 가이]]의 주제가로 쓰여 소소하게 화제가 되었으며, 이후 이 영화에서 몰로토프걸/밀리 역을 맡았던 [[조디 코머]]가 이 곡의 커버를 부르기도 하였다. Tic Tok에서 챌린지 붐이 일기 시작하면서 젊은 세대에게도 어필되기 시작했다. 2021년 미국의 여성 래퍼 [[Latto]]가 이 노래를 샘플링하여 낸 곡 Big Energy가 2022년 인기를 끌기 시작하며 빌보드 싱글차트 12위까지 오르자 이에 심상치 않음을 느꼈는지 원곡가수인 머라이어 캐리가 참여한 리믹스 버전이 발매되었다. 팬들에게는 20번째 1위곡이 탄생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을 심어주기도 했지만 아쉽게도 3위까지만 랭크되고 마무리 되었다.[* 어쩔 수가 없었던게, 이 노래가 갑자기 뜬 게 아니고 서서히 차트에 올라가던 노래였다. 그리고 완전 끝물에 리믹스 버전이 나와서인지 더 이상의 관심도 받기가 힘든 상태였다. 그래도 이 인연으로 2022 BET award에서 같이 Latto와 합동 무대를 선보이며 나름 화제를 끌었다.] [[분류:머라이어 캐리]][[분류:Ol' Dirty Bastard]][[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95년 노래]][[분류:1995년 싱글]][[분류:팝]][[분류:댄스 팝]][[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힙합 소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