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 '''{{{+2 {{{#white Freddy in Space 2}}}}}}''' || ||||<:>[[파일:프레디 매인.jpg|width=340px]]|| || '''{{{#ffffff 개발사}}}''' || [[스콧 코슨]] || || '''{{{#ffffff 엔진}}}''' || [[Clickteam Fusion 2.5]] || || '''{{{#ffffff 출시일}}}''' || [[2019년]] [[12월 3일]] || || '''{{{#ffffff 장르}}}''' || [[롤플레잉]], [[어드벤처 게임|어드벤처]] || || '''{{{#ffffff 가격}}}''' || 무료 || || '''{{{#ffffff 홈페이지}}}''' || [[https://gamejolt.com/games/freddyinspace2/452650|다운로드 링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XcQYrjqEKX8)]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의 제작자인 [[스콧 코슨]]의 외전작. Skylar Ginn이라는 아이[* FNaF 시리즈의 열렬한 팬이였던 아이로, 2019년 10월 29일에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의 추모와 2019년 12월 3일 [[The Game Theorists]]의 St.Jude 기부 라이브 캠페인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한 게임이다. 2시간 플레이 중 모은 점수를 스콧이 달러로 기부를 하기로 해, 게임을 통해 총 최대액의 50만 달러를 기부했다. == 출시 전 정보 == [[파일:58_Teaser.jpg]] 2019년 8월 8일, FNaF 시리즈가 5주년을 맞은 날, FNaF World.com에 검은 바탕에 58이라고 적힌 한 이미지가 올라온다. [[파일:58-Teaser-Bright.jpg]] >probably the worst idea he's ever had... - fnaf fan >---- >[[스콧 코슨|그]]가 떠올린 아이디어 중에 최악이 아닐까 싶다... - fnaf fan >It's like he doesn't even care anymore. - rando person >---- >이제는 뭐 더이상 신경 쓰지도 않나봄. - rando person >Five years for this? - concerned citizen >---- >5년간의 결실이 고작 이거라고? - concerned citizen >Are we a joke to you? - fnaf fan >---- >지금 장난하자는 거냐? - fnaf fan >stopped caring after dream theory... - reddit user >---- >꿈 가설이 나올때부터 때려쳤음... - reddit user 언뜻 보기에는 숫자 58 말고는 아무것도 없어 보이나, [[낚시(인터넷 용어)|이 시리즈가 늘 그렇듯]] 밝기를 올려본 결과, 검은 바탕에 글자가 쓰여있는 것이 밝혀진다. 글의 내용은 FNaF [[reddit|서브레딧]]의 유저들이 쓴 부정적인 코멘트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보인다. [[파일:NextYear_Teaser.jpg]] 이후 2019년 9월 29일, FNaF World.com에 새로운 티저 이미지가 올라온다. 우주로 보이는 배경에, 우주복을 입은 프레디, 여성 늑대 캐릭터[* 이 캐릭터는 이후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에서 록산느 울프(Roxnne Wolf)라는 이름의 애니매트로닉스로 다시 등장한다.]가 함께 그려져 있는 이미지인데, 이전 티저 이미지에 쓰여있던 숫자 58과 우주가 배경이라는 점을 보면 눈치챘겠지만, 이 티저 이미지는 이전에 만우절 기념으로 공개된 이미지인 'FNaF 57: Freddy in Space!'에서 이어진다. 즉, 만우절 기념으로 만든 개그 이미지가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진짜 게임으로 만들어지게 된 것.]] 그리고 2019년 11월 30일에 게임의 트레일러가 공개되고, 12월 3일, 게임졸트에 정식 출시된다. == 조작 == || * A : 왼쪽 이동 * D : 오른쪽 이동 * Shift : 점프 * S + Shift : 슬라이드 * / : 공격 || == 스토리 == ||2837년. 프레디는 임무를 마치고 고향으로 가는 중이었다. 그는 자기 아들이 자신의 대를 이어 기지를 지킬 수 있다는 기대감에 빠진 채 음료수를 즐기고 있었다. 사실 그는 달 기지의 네트위크를 담당하는 로봇인 '''롤즈핵스'''에게 친구들과 아들을 맡기고 떠나고 있었다. 롤즈핵스는 달 기지의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컨트롤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기 때문에, 프레디의 아들은 안전했다. 그러나 갑자기 아들로부터 통신이 왔다. 아들은 롤즈핵스가 갑자기 돌변해 아빠의 친구들을 납치하고 그들의 클론으로 기지를 점령했으며, 오직 아빠만이 자신과 아빠의 친구들을 구할 수 있다고 말하며 통신이 끊어진다. 다시 롤즈핵스가 통신으로 도발하기 시작했고 프레디는 친구들과 아들을 구하러 달 기지로 향한다.|| == [[/캐릭터|캐릭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reddy in Space 2/캐릭터)] == 특수 스킬 == 특수 스킬들은 적이나 오브젝트를 파괴하면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으며 비밀 통로에 숨겨져 있기도 하다. * 블랙홀 런처 : 보라색 스킬, 사용 키는 >이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사용하면 적에게 빠른 속도로 연속 데미지가 들어간다. * 메테오 레인 : 주황색 스킬, 사용 키는 W이다. 잘못하면 이동 키를 누르다가 W키를 눌러 스킬을 남발할 수 있으니 조심하자. 사용하면 하늘에서 메테오가 다수 떨어져 높은 데미지를 준다. * 쇼크 스트라이크 : 붉은색 스킬, 이 스킬을 얻으면 공격받았을 시 자동으로 화면 내의 모든 적에게 쇼크 피해를 입힌다. * 레이저 슬라이드 : 푸른색 스킬, 이 스킬을 얻으면 슬라이드를 하면서 적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슬라이드할 때 레이저 불꽃이 생긴다. * 아메바 블래스터 : 초록색 스킬, 이 스킬을 얻으면 튀기는 블래스터를 쏜다. == 스테이지 == 스테이지는 총 5개로, 각 스테이지에서 캐릭터를 구출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루트로 이동하면 숨겨진 보스가 등장한다. 총 5명이 존재하며 숨겨진 황금 트로피를 모으기 위해선 꼭 만나야 한다. * '''Lunar Mines(달 광산)''' 폭시를 구조할 수 있는 스테이지로, 행성의 표면으로 보이는 지역. 난이도는 첫 스테이지답게 그닥 어렵진 않다. 1번째 중간 보스: Rocket Fox(로켓 여우) 2번째 중간 보스: F.O.X. Tank(폭스 탱크) 메인 보스: Franken-Foxy(프랑켄 폭시) * '''Galactic Factory(은하 공장)''' 치카를 구조할 수 있는 스테이지. 도시로 보이는 지역으로, 이때부터 난이도가 천천히 오른다. 중간 보스 로보 치카 WIP을 잡으면 로보 치카가 배경에서 날뛴다. 후반부엔 물 속에서 진행된다. 1번째 중간 보스: Robo Chica WIP(로보 치카 WIP) 2번째 중간 보스: Already-Ate Chica(엄청 배부른 치카) 메인 보스: Chica Defense Network(치카 방어 네트워크) * '''Cosmic Freeway(우주 고속도로)''' 보니를 구조할 수 있는 스테이지. 다시 배경이 우주로 바뀌었고 배경에 우주선이 날아가는데 우주선을 유심히 보면 치퍼가 타고 있다. 1번째 중간 보스: Totem Panic(토템 패닉) 2번째 중간 보스: Easter Bonnie(이스터 보니) 메인 보스: Fully Loaded Rabbit(완전 무장 토끼) * '''Stellar Pit(별 구덩이)''' 어둡고 칙칙한 색조로 이루어진 스테이지. 퍼펫을 구조할 수 있다. 1번째 중간 보스: Puppenator(퍼페네이터) 2번째 중간 보스: Sockpuppet(양말 인형) 메인 보스: Mariominous(마리오미너스) * '''다섯번째 스테이지''' 최종 스테이지로 이전 스테이지를 모두 깨고나면 스테이지 선택창에 있는 롤즈핵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선택하면 입장이 가능하며, 보스는 1차전을 제외하면 롤즈핵스의 변형체이다. 1번째 보스: 최종 폼즈 2번째 보스: 최종 폼즈! 최종 보스: ??? 최종보스를 처치하면 트로피를 준다. == 엔딩 == 굿 엔딩과 배드 엔딩으로 나뉜다. 게임을 처음부터 시작해 '''30분 안에''' 최종 보스인 롤즈핵스까지 쓰러뜨리는데 성공하면 굿 엔딩, 실패하면 배드 엔딩을 볼 수 있다. 배드 엔딩에서는 롤즈핵스를 쓰러뜨리는데 성공하지만, 프레디의 아들을 구하지 못해 마지막 컷신의 실루엣에서 '''빠져있다.''' 반대로 굿 엔딩을 보는데 성공하면 프레디가 아들과 손을 잡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기타 == * 기부 라이브 캠페인의 보작을 플레이한 [[https://www.youtube.com/watch?v=QzQTJ8i5Yk8|영상]]. * 역대 시리즈 중 최초로 3D 그래픽을 사용하지 않은 순수 2D 게임이다. [[분류: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분류:인디 게임]][[분류:롤플레잉 게임]][[분류:어드벤처 게임]][[분류:2019년 게임]][[분류:Windows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