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9E7DB><-2> '''{{{+1 Free as a Bir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ee-as-a-bird-single.jpg|width=100%]]}}} || || '''싱글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95년]] [[12월 4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95년]] [[12월 12일]]|| || '''싱글 B면''' ||Christmas Time (Is Here Again) || || '''앨범 발매일''' ||[[1995년]] [[11월 20일]] || || '''녹음일''' ||[[1977년]][* 데모 버전], [[1994년]] [[2월]] - [[3월]] || || '''녹음실''' ||[[뉴욕시]][* [[존 레논]]의 저택], [[서식스]][* [[폴 매카트니]]의 저택] || || '''장르''' ||[[팝 록]] || || '''러닝 타임''' ||4:26 || || '''작사/작곡''' ||[[존 레논]][* 데모 버전], [[비틀즈]] || || '''연주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존 레논|{{{#fff '''존 레논'''}}}]]}}} 리드 보컬, 피아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폴 매카트니|{{{#fff '''폴 매카트니'''}}}]]}}} 리드 보컬, 하모니 보컬, 베이스, 신디사이저, 어쿠스틱 기타, 피아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조지 해리슨|{{{#fff '''조지 해리슨'''}}}]]}}} 리드 보컬, 하모니 보컬, 슬라이드 기타, 어쿠스틱 기타, 우쿨렐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링고 스타|{{{#fff '''링고 스타'''}}}]]}}} 백킹 보컬, 드럼 }}} || || '''프로듀서''' ||[[제프 린]][* [[Electric Light Orchestra]]의 리더로, [[조지 해리슨]]의 앨범 [[Cloud Nine]]을 프로듀싱하기도 했다.], [[비틀즈]]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C292; font-size: .9em" [[Anthology 1|'''{{{#000 Anthology 1}}}''']]}}} || || '''레이블''' ||[[파일:Apple_Corps_logo.png|width=28]] 애플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2> [youtube(ODIvONHPqpk, width=100%)] || ||<-2> 공식 뮤직 비디오[* [[2016년]]에 공개된 버전으로 Anthology 1 버전에 비해 음질이 더 좋아졌고, 후반부의 역재생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 || [Youtube(6cDHvw8fn2c)] || [youtube(MlMg4LajDdQ)] || || [[Anthology 1]] 버전 || [[존 레논]]의 데모 버전 || [[1995년]] 발매된 [[비틀즈]]의 신곡. 데모 및 미발표곡 모음집인 [[Anthology 1]] 앨범에 수록되었다. 원곡은 [[1977년]]에 [[존 레논]]이 자신이 거주하던 다코타 빌딩에서 데모 버전으로 녹음해놓은 것이 전부였다. 그러다 Anthology 앨범 작업 준비를 하면서 신곡을 녹음하려는 [[비틀즈]]에게 [[오노 요코]]가 남편의 데모 테이프를 전달해 주었는데, 바로 Free as a Bird와 [[Real Love]]였던 것. [[오노 요코]]가 건네준 데모 테이프에 노래가 여럿 있었는데, 그중에서 Free as a Bird와 [[Real Love]]를 포함하여 괜찮은 노래 셋을 골라서 작업했다.[* 나머지 노래 하나는 작업을 하다가 조지가 노래가 별로라며 관뒀다고 한다. 폴이 그래도 이건 존의 노래라며 설득을 해봤으나, 조지가 그래도 존나 쓰레기(fucking rubbish)라고 해서(...) 폴이 알겠다며 작업을 중도에 포기했다고 한다. 작업물은 아직 남아있는지 폴이 제프 린과 언젠가 노래를 마무리 할 생각이 있는것으로 보인다.] --데모 테이프의 다른 노래들은 별로였다 카더라-- 보컬에 피아노 반주만 있던 존의 데모에 멤버들 모두의 보컬과 악기를 입혀 완성했다. 다만, 존의 데모는 후렴구[* Whatever happened to... 부분]가 미완성 상태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이 부분은 나머지 멤버들이 같이 완성했다. 그래서 작곡가 크레딧에도 모든 멤버의 이름이 실렸다.[* 반면 거의 완성된 상태로 남아 있던 [[Real Love]]는 존 단독 작곡으로 표기되어 있다.] [[비틀즈]] 명의로 발표된 곡 중 최초로 [[존 레논|존]], [[폴|폴 매카트니]], [[조지|조지 해리슨]] 세 멤버의 솔로 보컬 파트가 분리된 구성을 취하는 곡이다. == 가사 == || '''{{{#62286f {{{+2 Free as a Bird}}}}}}'''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3a32; font-size: .8em" [[존 레논|{{{#fff '''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폴 매카트니|{{{#fff '''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299; font-size: .8em" [[조지 해리슨|{{{#fff '''조지'''}}}]]}}} {{{#593a32 Free as a bird 새처럼 자유롭다는것 It's the next best thing to be 그것이 아마 차선책일거야 Free as a bird 새처럼 자유롭다는것 Home, home and dry 하고 싶은 것을 이루고 Like a homing bird I'll fly 집으로 돌아가는 새처럼 날거야 As a bird on wings 바람을 타는 새처럼}}} {{{#000 Whatever happened to 우리가 한때 The life that we once knew? 살고 있었던 삶에 무슨 일이 일어난걸까? Can we really live without each other? 우린 정말 서로 없이 살 수 있을까? Where did we lose the touch 그토록 소중해보였던 손길을 That seemed to mean so much? 어디서 잃어버린 것일까? It always made me feel so... 그건 언제나 내 기분을...}}} {{{#593a32 Free as a bird 새처럼 자유롭다는것 It's the next best thing to be 그것이 아마 차선책일거야 Free as a bird 새처럼 자유롭다는것 Home, home and dry 하고 싶은 것을 이루고 Like a homing bird I'll fly 집으로 돌아가는 새처럼 날거야 As a bird on wings 바람을 타는 새처럼}}} {{{#008299 Whatever happened to 우리가 한때 알았었던 그 삶, The life[* 2015년 1+ 앨범에 실린 버전은 'love'로 바뀌었다.] that we once knew? 언제나 날 자유로운 기분이 들게 한 그 삶[* 2015년 1+ 앨범에 실린 버전은 '사랑']에 Always made me feel so free 무슨 일이 일어난걸까? Ah... Ah... Ah...}}} {{{#593a32 Free as a bird 새처럼 자유롭다는것 It's the next best thing to be 그것이 아마 차선책일거야 Free as a bird 새처럼 자유롭다는것 Free as a bird 새처럼 자유롭다는것 Free as a bird 새처럼 자유롭다는것 Oooooo Free... 자유...}}} [[파일:Beatles-Logo.png|width=100]] || == 기타 == * 뮤직비디오에 비틀즈 노래와 관련된 [[이스터 에그]]들이 많이 포진해있다. || 0:07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의 어릴적 사진 || || 0:38 ||[[리버풀]] 항만 노동자 속을 걸어가는 비틀즈 멤버들[* [[링고 스타]]는 집안 사정 때문에 어릴적 중학교를 중퇴하고 항만 노동자로 일한 경력이 있다.] || || 0:48 ||캐번 클럽([[비틀즈]]의 리버풀 시절을 상징하는 장소) || || 1:06 ||[[스트로베리 필즈]] 고아원 ,,([[Strawberry Fields Forever]]),, || || 1:18 ||에그맨 ,,([[I Am the Walrus]]),, || || 1:33 ||상자에 담긴 양귀비를 파는 간호사 ,,([[Penny Lane]]),, || || 1:42 ||사진을 보여주는 이발사 ,,([[Penny Lane]]),, || || 1:47 ||[[Help!]] || || 1:56 ||[[Anthology 1]]의 커버 || || 2:02 ||64세가 적혀있는 생일 케이크 ,,([[The Beatles|Birthday]], [[When I'm Sixty-Four]]),, || || 2:13 ||Dr. Robert ,,([[Revolver|Dr. Robert]]),, || || 2:25 ||He blew his mind out in a car[* 구경꾼들을 유심히 보면 [[존 레논]]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모습도 보인다.] ,,([[A Day in the Life]]),, || || 2:27 ||소방차 ,,([[Penny Lane]]),, || || 2:29 ||앉아있는 도시의 경찰 아저씨 ,,([[I Am the Walrus]]),, || || 2:38 ||[[헬터 스켈터]] 놀이 기구 ,,([[Helter Skelter]]),, || || 2:39 ||연 ,,([[Being for the Benefit of Mr. Kite!]]),, || || 2:42 ||돼지 가면 ,,([[The Beatles|Piggies]]),, || || 2:43 ||창문을 뚫고 집에 들어가는 여자 ,,([[Abbey Road|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 || || 2:51 ||작가 ,,([[Paperback Writer]]),, || || 3:08 ||랭커셔 주 블랙번의 1000개 구멍 ,,([[A Day in the Life]]),, || || 3:08 ||사부아 트러플 초콜릿 상자 ,,([[Savoy Truffle]]),, || || 3:10 ||[[마오쩌둥]]의 초상화 ,,([[Revolution]]),, || || 3:22 ||가출하는 소녀 ,,([[She's Leaving Home]]),, || || 3:26 ||춤추는 [[존 레논]]과 [[오노 요코]] ,,([[The Ballad of John and Yoko]]),, || || 3:47 ||[[페퍼 상사]] 커버의 연출 장면 || || 3:58 ||석고상 ,,([[Paperback Writer]]),, || || 4:01 ||엘리너 릭비의 묘비를 지나가는 신부 ,,([[Eleanor Rigby]]),, || || 4:03 ||뛰어다니는 강아지,,([[Martha My Dear]]),, || || 4:05 ||뛰어다니는 폴 매카트니 ,,(The Fool on the Hill),, || || 4:12 ||[[애비 로드]] 횡단보도 || || 4:32 ||극장 안으로 들어가는 비틀즈 멤버들 ,,([[A Hard Day's Night]]),, || * 2018년 개봉하는 한국 영화 [[스윙키즈]]에 이 곡이 수록되었다. 한국 영화 역사상 비틀즈 원곡이 삽입된 최초의 경우라고 한다. [[분류:1995년 노래]][[분류:존 레논 노래]][[분류:비틀즈 노래]][[분류:팝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