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로레슬링 NOAH]][[분류:프로레슬링 챔피언십]] [include(틀:프로레슬링 NOAH의 챔피언십 타이틀)] ||||<-2>[[파일:GHC_Junior.webp|width=500&height=300]] || || '''현재 챔피언''' || '''[[HAYATA]]''' || || '''챔피언 등극''' || 2023년 4월 16일. [br] NOAH GREEN JOURNEY 2023 in SENDAI || || '''이전 챔피언''' || [[AMAKUSA]] || || '''소속 단체''' || '''[[프로레슬링 NOAH]]'''[br]''Pro Wrestling NOAH'' || || '''벨트 창설일''' || 2001년 6월 24일 || |||| '''[[https://www.noah.co.jp/profile/#champ|{{{#white 공식 홈페이지}}}]]''' || [목차] == 소개 == [youtube(9G7Xr8ibn4o)] [[프로레슬링 NOAH]]에서 관리하고 있는 [[챔피언십]] 중 하나다. 2001년 노아는 Navigation for the Bright Destination 흥행을 열어 초대 챔피언을 결정하기 위해 10인 토너먼트를 열었고, 2001년 6월 9일부터 6월 24일까지 진행되었다. 2001년 6월 24일 펼쳐진 결승전에서 [[카네마루 요시노부]]가 [[후벤투드 게레라]]를 문설트로 꺾고 우승하면서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GHC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처럼 타이틀 매치 직전 테마곡와 함께, 역대 챔피언의 모습이 지나가는 오프닝 영상을 보여준다. == 기록 == || 초대 챔피언 ||<-2> [[카네마루 요시노부]] || || 최다 획득 챔피언 || [[카네마루 요시노부]] [br] (초대, 5대, 9대, 14대, 19대, 24대, 31대) || '''7회''' || || 연속 방어 기록 || [[이시모리 타이지]] [br] (26대) || '''10회''' || || 통산 방어 기록 || [[카네마루 요시노부]] || '''28회''' || || 최장 보유 기간 || [[이시모리 타이지]] [br] (26대) || '''495일''' || || 최단 보유 기간 || 리키 마빈 [br] (22대) || '''1일 미만''' || || 통산 보유 기간 || [[카네마루 요시노부]] || '''1,876일''' || || 최연소 챔피언 || [[나카지마 카츠히코]] [br] (17대) || '''20세 11개월''' || || 최고령 챔피언 || [[오가와 요시나리]] [br] (41대) || '''52세 10개월''' || == 역대 챔피언 목록 == || '''#''' || '''이름''' || '''챔피언 횟수''' || '''등극한 날 [br] (챔피언 방어 기간)''' || '''방어전 승리 횟수''' || '''비고''' || || '''1''' || [[카네마루 요시노부]] || 1회 || 2001년 6월 24일 (117일) || 2회 || [*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후벤투드 게레라]]를 꺾고 우승.] || || '''2''' || 타카이와 타츠히토 || 1회 || 2001년 10월 19일 (51일) || 1회 || || || '''3''' || [[마루후지 나오미치]] || 1회 || 2001년 12월 9일 (119일) || 1회 || || || '''4''' || 하시 마코토 || 1회 || 2002년 4월 7일 (1일) || 0회 || || || '''-''' || 공석 || - || 2002년 4월 8일 || - || [* [[마루후지 나오미치]]와 타이틀전을 치뤘다가 마루후지가 무릎을 부상당하며 레퍼리 스톱으로 승리를 거두고 챔피언이 되었는데, 이것이 납득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시합이 끝난 직후에 타이틀을 스스로 반납해 버렸다.] || || '''5''' || [[카네마루 요시노부]] || 2회 || 2002년 5월 26일 (308일) || 3회 || [*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KENTA]]를 꺾고 우승하면서 획득.] || || '''6''' || [[마이클 모데스트]] || 1회 || 2003년 3월 30일 (166일) || 1회 || [* GHC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 역사상 최초의 외국인 챔피언.] || || '''7''' || [[스기우라 타카시]] || 1회 || 2003년 9월 12일 (144일) || 2회 || || || '''8''' || [[수신 선더 라이거(프로레슬러)|수신 선더 라이거]] || 1회 || 2004년 1월 4일 (188일) || 5회 ||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흥행에서 획득.] || || '''9''' || [[카네마루 요시노부]] || 3회 || 2004년 7월 10일 (373일) || 5회 || || || '''10''' || [[KENTA]] || 1회 || 2005년 7월 18일 (321일) || 6회 || || || '''11''' || [[스기우라 타카시]] || 2회 || 2006년 6월 4일 (202일) || 1회 || || || '''12''' || 타카이와 타츠히토 || 2회 || 2006년 12월 23일 (126일) || 2회 || [* 프로레슬링 셈 이벤트에서 획득.] || || '''13''' || 무시킹 테리[* [[세가]]과의 제휴로 인기 카드 게임 '[[갑충왕자 무시킹]]'을 모티브로 탄생한 가면 프로레슬러이다. 정체는 [[스즈키 코타로]]. 2007년 6월 [[오가와 요시나리]]가 이 벨트 도전 직전에 무시킹 마스크를 뜯어버리고 한 백스테이지 프로모([[https://www.youtube.com/watch?v=NyVAFgvtQXc|일명 마스크 뜯어버렸어]])가 소소하게 화제가 되었다. "마스크 뜯어버렸어 뜯어버렸어..." 하고 있는 호들갑 없는 호들갑 다 떨어 놓고는 "뭐, 앞으로도 열심히 무시킹 테리를 응원해 주세요"라고 웃으면서 말하는 오가와의 능청스러운 모습이 백미. 심지어 이 뒤에 무시킹의 정체인 스즈키 코타로가 맨얼굴로 등장하는 NOAH의 오랜 스폰서 '더 리브'의 광고가 흘러나오는 바람에 그림이 더 기묘해졌다.] || 1회 || 2007년 4월 28일 (182일) || 0회 || || || '''14''' || [[카네마루 요시노부]] || 4회 || 2007년 10월 27일 (323일) || 5회 || || || '''15''' || [[브라이언 대니얼슨]] || 1회 || 2008년 9월 14일 (29일) || 1회 || [* [[ROH]] 흥행에서 획득.] || || '''16''' || [[KENTA]] || 2회 || 2008년 10월 13일 (121일) || 3회 || || || '''17''' || [[나카지마 카츠히코]] || 1회 || 2009년 2월 11일 (18일) || 0회 || [* [[사사키 켄스케|켄스케 오피스]]의 흥행에서 획득.] || || '''18''' || [[KENTA]] || 3회 || 2009년 3월 1일 (243일) || 3회 || || || '''-''' || 공석 || - || 2009년 10월 30일 || - || [* [[KENTA]]의 무릎 부상으로 인한 벨트 반납.] || || '''19''' || [[카네마루 요시노부]] || 5회 || 2009년 10월 31일 (400일) || 6회 || [* [[글로벌 주니어 리그]] 결승에서 [[수신 선더 라이거(프로레슬러)|수신 선더 라이거]]를 꺾고 공석인 타이틀을 차지했다.] || || '''20''' || [[스즈키 코타로]] || 2회 || 2010년 12월 5일 (292일) || 7회 || || || '''21''' || 나카지마 카츠히코 || 2회 || 2011년 9월 23일 (9일) || 0회 || || || '''-''' || 공석 || || 2009년 6월 14일 || - || [* 나카지마의 급성 맹장염 수술으로 인한 벨트 반납.] || || '''22''' || 리키 마빈 || 1회 || 2011년 10월 16일 '''(1일 미만)''' || 0회 || || || '''-''' || 공석 || - || 2011년 10월 16일 || - || [* 타이틀 획득이후 리키 마빈은 나카지마 카츠히코를 꺾고 타이틀을 얻고싶다며 벨트를 반납하였다.] || || '''23''' || 나카지마 카츠히코 || 3회 || 2011년 11월 27일 (164일) || 4회 || [* 리키 마빈을 꺾고 공석인 타이틀 획득.] || || '''24''' || [[카네마루 요시노부]] || 6회 || 2012년 5월 9일 (143일) || 3회 || || || '''25''' || [[콘도 슈지]] || 1회 || 2012년 9월 29일 (120일) || 3회 || || || '''26''' || [[이시모리 타이지]] || 1회 || 2013년 1월 27일 '''(405일)''' || '''10회''' || || || '''27''' || [[하라다 다이스케]] || 1회 || 2014년 3월 8일 (273일) || 7회 || || || '''28''' || [[코토우게 아츠시]] || 1회 || 2014년 12월 6일 (99일) || 1회 || || || '''29''' || [[타이치(프로레슬러)|타이치]] || 1회 || 2015년 3월 15일 (283일) || 4회 || [* 프로레슬링 NOAH를 침공한 [[스즈키군]]이 NOAH에 소속된 모든 타이틀을 독식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 || '''30''' || [[이시모리 타이지]] || 2회 || 2015년 12월 23일 (63일) || 1회 || || || '''31''' || [[카네마루 요시노부]] || '''7회''' || 2016년 2월 24일 (212일) || 4회 || || || '''32''' || 코토우게 아츠시 || 2회 || 2016년 9월 23일 (94일) || 3회 || || || '''-''' || 공석 || - || 2016년 12월 26일 || - || [* 코토게가 헤비급으로 전향하면서 타이틀을 반납하였다.] || || '''33''' || [[오오하라 하지메]] || 1회 || 2017년 1월 7일 (140일) || 2회 || [* [[이시모리 타이지]]를 꺾고 공석 타이틀을 획득.] || || '''34''' || [[HAYATA]] || 1회 || 2017년 5월 27일(29일) || 0회 || || || '''35''' || [[이시모리 타이지]] || 3회 || 2017년 6월 25일(98일) || 1회 || || || '''36''' || 하라다 다이스케 || 2회 || 2017년 10월 1일(394일) || 6회 || || || '''37''' || [[스즈키 코타로]] || 3회 || 2018년 10월 30일 (47일) || 2회 || || || '''38''' || 하라다 다이스케 || 3회 || 2018년 12월 16일 (84일) || 1회 || || || '''39''' || [[다나카 미노루]] || 1회 || 2019년 3월 10일(147일) || 1회 || || || '''40''' || [[HAYATA]] || 2회 || 2019년 8월 4일(153일) || 3회 || || || '''41''' || [[오가와 요시나리]] || 1회 || 2020년 1월 4일(106일) || 1회 || || || '''42''' || [[스즈키 코타로]] || 4회 || 2020년 4월 19일(203일) || 5회 || || || '''43''' || 하라다 다이스케 || 4회 || 2020년 11월 8일(96일) || 2회 || || || '''44''' || [[요시오카 세이키]] || 1회 || 2021년 2월 12일(30일) || 0회 || || || '''45''' || 코토우게 아츠시 || 3회 || 2021년 3월 14일(105일) || 2회 || || || '''46''' || [[HAYATA]] || 3회 || 2021년 6월 27일(197일) || 8회 || || || '''47''' || 하라다 다이스케 || 5회 || 2022년 1월 10일(62일) || 2회 || || || '''48''' || [[Eita]] || 1회 || 2022년 3월 13일(47일) || 0회 || || || '''49''' || [[HAYATA]] || 4회 || 2022년 4월 29일(184일) || 5회 || || || '''50''' || 닌자 맥 || 1회 || 2022년 10월 30일(11일) || 0회 || || || '''51''' || 단테 레온 || 1회 || 2022년 11월 10일(43일) || 0회 || || || '''52''' || [[AMAKUSA]] || 1회 || 2022년 12월 23일(114일) || 3회 || || || '''53''' || '''[[HAYATA]]''' || 5회 || 2023년 4월 16일([dday(2023-04-16)]일) || 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