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DJMAX TECHNIKA 3의 수록곡, rd1=Give Me 5)] [include(틀:AKB48)] ||<-5> '''[[AKB48|{{{#white AKB48}}}]]{{{#white 의 싱글}}}''' || || [[上からマリコ|{{{#e01347,#eb1f52 上からマリコ}}}]][br](2011) || {{{+1 →}}} || {{{#ffe400 '''GIVE ME FIVE!'''}}}[br](2012) || {{{+1 →}}} || [[真夏のSounds good!|{{{#c8040e,#fa3740 真夏のSounds good!}}}]][br](2012) || ||<-2>
{{{#000000 '''마에다 아츠코의 센터 싱글[br]‘평생 울 만큼 울었다면, 하이터치를 하자!’'''}}} {{{+2 {{{#000000 '''GIVE ME FIV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FIVE.jpg|width=100%]]}}} || ||<-2> {{{#000000 '''싱글 25집'''}}} || || {{{#000000 '''발매일'''}}}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2년]] [[2월 15일]][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19년]] [[3월 1일]] || || {{{#000000 '''가수'''}}} || [include(틀:AKB48 로고)] || || {{{#000000 '''레이블'''}}}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0.7em" [[킹 레코드(일본)|[[파일:킹 레코드(일본) 로고.svg|height=20]]]]}}} || || {{{#000000 '''수록곡'''}}} || 5곡 (반주 제외) || || {{{#000000 '''선발'''}}} || 18명 선발 || || {{{#000000 '''센터'''}}} || [[마에다 아츠코]] || || {{{#000000 '''표제곡'''}}}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FE8C; font-size: 0.8em" {{{#000000 '''GIVE ME FIVE!'''}}}}}} || [목차] [clearfix] == 개요 == * [[2012년]] [[2월 15일]] 발매된 일본 여성 아이돌 그룹 [[AKB48]]의 25번째 싱글이다. === 자켓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FED8, #FEFE8C)" {{{+2 '''{{{#!html GIVE ME FIVE!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_25th_ARTIST.jpg|width=100%]]}}}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color: #FEFE8C"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 inline-block; color: #0000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자켓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3> {{{#000000 '''초회한정반'''}}} || || {{{#000000 '''Type-A''' }}} || {{{#000000 '''Type-B'''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FIVEA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FIVEB1.jpg|width=100%]]}}} || ||<-3> {{{#000000 '''통상반'''}}} || || {{{#000000 '''Type-A''' }}} || {{{#000000 '''Type-B'''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FIVEA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FIVEB2.jpg|width=100%]]}}} || ||<-2> '''{{{#000000 극장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FIVE.jpg|width=100%]]}}} || }}}}}}}}}}}}}}} || === 캐치 카피 === ||
{{{#000000 {{{+1 '''一生分、泣いたら、ハイタッチしよう!'''}}}}}} || || {{{#000000 평생 울 만큼 울었다면, 하이터치를 하자!}}} || == 수록곡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FED8, #FEFE8C)" '''{{{#!html GIVE ME FIVE! }}}'''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FIVEA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FIVEB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BFIVE.jpg|width=100%]]}}} || || {{{#000000 '''Type-A''' }}} || {{{#000000 '''Type-B''' }}} || {{{#000000 '''극장반''' }}} || ||<-4> '''{{{#000000 CD}}}''' || || 1 ||<-3> '''{{{#FEFE8C GIVE ME FIVE! }}}''' || || 2 ||<-3> スイート&ビター[br]^^스위트 & 비터^^ || || 3 || NEW SHIP || 羊飼いの旅[br]^^목동의 여행^^ || ユングやフロイトの場合[br]^^융과 프로이드의 경우^^ || || 4 ||<-3> GIVE ME FIVE![br]^^(Off Vocal)^^ || || 5 ||<-3> スイート&ビター[br]^^(Off Vocal)^^ || || 6 || NEW SHIP[br]^^(Off Vocal)^^ || 羊飼いの旅[br]^^(Off Vocal)^^ || ユングやフロイトの場合[br]^^(Off Vocal)^^ || ||<-4> '''{{{#000000 DVD}}}''' || || 1 ||<-2> GIVE ME FIVE![br]^^(Music Video)^^ ||<|5> || || 2 ||<-2> スイート&ビター[br]^^(Music Video)^^ || || 3 || NEW SHIP[br]^^(Music Video)^^ || 羊飼いの旅[br]^^(Music Video)^^ || || 4 || GIVE ME FIVE! MAKING -전편- || GIVE ME FIVE! MAKING -후편- || || 5 || 아름다운 MIX 강좌 || 아름다운 overture & 앵콜 강좌 || === GIVE ME FIVE! === ||<-2> {{{#000000 {{{+1 '''선발멤버'''}}}}}} || ||<-2> {{{#!wiki style="background-color: rgb(254, 254, 140); border-radius: 5px; margin: 1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45px; text-align: center" {{{#000000 {{{-1 센터}}} }}}}}} [[마에다 아츠코]] || || '''{{{#fff 팀 A}}}''' ||[[코지마 하루나]], [[사시하라 리노]], [[시노다 마리코]], [[타카죠 아키]], [[타카하시 미나미]], [[마에다 아츠코]]|| || '''{{{#fff 팀 K}}}''' ||[[이타노 토모미]], [[오오시마 유코]], [[미네기시 미나미]], [[미야자와 사에]], [[요코야마 유이]]|| || '''{{{#fff 팀 B}}}''' ||[[카사이 토모미]], [[카시와기 유키]], [[키타하라 리에]], [[와타나베 마유]]|| || '''{{{#fff 팀 S}}}''' ||[[마츠이 쥬리나]], [[마츠이 레나]]|| || '''{{{#fff 팀 N}}}''' ||[[야마모토 사야카]]|| ||<-2> {{{#000000 IN / OUT}}} || || {{{#ffffff IN}}} ||{{{-1 코지마, 사시하라, 타카하시, 마에다아츠, 이타노, 오오시마, 미야자와, 요코야마, 카시와기, 와타나베마, 마츠이쥬, 마츠이레, 야마모토}}}|| || {{{#ffffff OUT}}} ||{{{-1 오오야, 마에다아미, 아키모토, 우메다, 후지에, 야마우치, 코바야시마, 쿠와바라, 야마구치, 히카와}}}|| ||<-2> {{{#!folding [ 포지션 보기 ] || || 미야자와[br]{{{-3 코러스}}} || 키타하라[br]{{{-3 코러스}}} || 타카죠[br]{{{-3 코러스}}} || 카사이[br]{{{-3 코러스}}} || 야마모토[br]{{{-3 코러스}}} || || || || 요코야마[br]{{{-3 트럼펫}}} || 마츠이레[br]{{{-3 트럼펫}}} || 사시하라[br]{{{-3 트롬본}}} || 미네기시[br]{{{-3 트롬본}}} || || 마츠이쥬[br]{{{-3 스탠딩 드럼}}} || 시노다[br]{{{-3 탬버린}}} || 이타노[br]{{{-3 셰이커}}} || || || || 코지마[br]{{{-3 신디사이저}}} || || 카시와기[br]{{{-3 드럼}}} || || 와타나베[br]{{{-3 키보드}}} || || || || 오오시마[br]{{{-3 베이스}}} || || '''마에다'''[br]{{{-3 리듬기타}}} || || 타카하시[br]{{{-3 리드기타}}} || || }}} || * 선발 멤버는 <[[風は吹いている]]>와 같다. * 제목에 '벚꽃'이라는 단어는 없지만 '''졸업'''을 주제로 한 벚꽃 노래이다. 제목 그대로 손뼉을 맞추자는 의미. * 선발 멤버들이 '''Baby Blossom'''이라는 밴드를 만들어서 각자 악기를 하나씩 연주했다. 그런데 열 몇 명이나 되는 선발 멤버들이 전부 밴드 악기를 할 수는 없었으므로 몇 명은 코러스나 심벌즈, 심지어는 [[마라카스]](…)로 빠지는 참사가 일어났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실력이 전부 심각해서 매우 까였고[* 그도 그럴것이 밴드 경험이 있는 [[오오시마 유코]]와 피아노를 배운적 있는 [[와타나베 마유]], 학창시절 취주악부 소속이었던 [[마츠이 레나]], 그리고 [[사시하라 리노]]를 제외하면 모두 악기 초심자들이었다.], 방송 라이브에서는 핸드싱크를 할 수밖에 없었다. 각 팀별 극장 공연에서도 멤버들이 실제로 악기를 연주했다. 그나마 미디어에 나가는 선발 멤버들은 나름대로 연습을 거쳤기 때문에 괜찮았지만, 팀별 극장 공연의 라이브는 팬들도 듣기 버거울 정도로 심각했다. ==== 뮤직 비디오 ==== || {{{#000000 '''GIVE ME FIVE!'''}}} || || [youtube(SuhiIItERLo, width=100%)] || || '''{{{#000000 "한 평생 만큼의, 눈물을 흘렸다면, 하이터치 하자!" AKB48의 새로운 도전! 밴드 곡! 멤버 각자가 악기를 들고 연주합니다. 본 작품은 불후의 명작 『북쪽 나라에서』시리즈 등을 완성한 연출가·영화 감독 스기타 시게미치 씨가 감독. 애절한 가사를 업 템포인 곡에 실어서 밝게 노래한 졸업 송입니다.}}}''' || * 뮤직비디오는 어려운 사정을 딛고 밴드 활동을 하는 여고생들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타카하시 미나미는 공사장 인부(…)로, 카시와기 유키는 [[히키코모리]]로 나왔고 오오시마 유코는 풍속점(유사 성행위 업소) 점원으로 나왔다. * 코러스 담당인 타카죠 아키, 마야자와 사에, 야마모토 사야카, 키타하라 리에는 관객석에서 박수치는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어째서인지 카사이 토모미는 나오지 않는다. * DVD에 수록된 뮤직 비디오는 34분짜리 영상으로 이는 악곡의 연주시간을 크게 웃도는 34분의 완전판 단편영화의 수준을 보여주는 장편이다 [[https://www.oricon.co.jp/news/2006268/full/|일본 뉴스]], DVD 버전 뮤직 비디오 보러가기:[[https://pvfuru.com/give-me-five]] * 상하편으로 이루어진 뮤직비디오의 메이킹 필름도 존재한다. 참고로 뮤직비디오의 감독은 1981년부터 시작된 후지 텔레비전 계열의 유명 드라마 시리즈인 북쪽 나라에서 시리즈와 영화 마지막 츄신구라을 연출한 스기타 시게미치가 담당하였다. 메이킹 영상이 DVD에 수록되는 것은 AKB의 12번째 싱글인 눈물 서프라이즈! 이후 두번째이다. 전편:[[https://www.youtube.com/watch?v=d7XGduG58FA]], 후편:[[http://v.yinyuetai.com/video/603840?vid=603840]] ==== 밴드 포지션 ==== || '''{{{#000000 악기}}}''' || '''{{{#000000 멤버}}}''' || || 리드 기타 || 타카하시 미나미 || || 리듬 기타 || 마에다 아츠코 || || 베이스 || 오오시마 유코 || || 드럼 || 카시와기 유키 || || 키보드 || 와타나베 마유 || || 신디사이저 || 코지마 하루나 || || 스탠딩 드럼 || 마츠이 쥬리나 || || 탬버린 || 시노다 마리코 || || 셰이커 || 이타노 토모미 || || 트럼펫 || 요코야마 유이, 마츠이 레나 || || 트럼본 || 사시하라 리노, 미네기시 미나미 || || 코러스 || 타카죠 아키, 미야자와 사에, 카사이 토모미, 키타하라 리에, 야마모토 사야카 || * 선발 총선거 미디어 선발인 [[타카죠 아키]]와 [[미야자와 사에]]가 코러스로 밀려났다. === スイート&ビター === ||<-2> {{{#000000 '''スイート&ビター''' / 셀렉션 6}}} || ||<-2> {{{#!wiki style="background-color: rgb(254, 254, 140); border-radius: 5px; margin: 1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45px; text-align: center" {{{#999 {{{-1 센터}}} }}}}}} [[타카하시 미나미]], [[마에다 아츠코]] || || '''{{{#fff 팀 A}}}''' ||[[사시하라 리노]], [[시노다 마리코]], [[타카하시 미나미]], [[마에다 아츠코]]|| || '''{{{#fff 팀 K}}}''' ||[[이타노 토모미]], [[오오시마 유코]]|| * [[세븐일레븐]]의 '발렌타인 페어' CM송으로 사용되었고 [[마에다 아츠코]], [[타카하시 미나미]], [[이타노 토모미]], [[사시하라 리노]]가 CM에 출연하였다. ==== 뮤직 비디오 ==== || {{{#000000 '''スイート&ビター'''}}} || || [youtube(taJBMOVZfSI, width=100%)] || === NEW SHIP === ||<-2> {{{#000000 '''NEW SHIP''' / 스페셜 걸즈 A}}} || ||<-2> {{{#!wiki style="background-color: rgb(254, 254, 140); border-radius: 5px; margin: 1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45px; text-align: center" {{{#999 {{{-1 센터}}} }}}}}} [[멜로디 누람다니 라크사니]], [[마츠이 쥬리나]] || || '''{{{#fff 팀 B}}}''' ||[[사토 스미레]]|| || '''{{{#fff 팀 4}}}''' ||[[이치카와 미오리]], [[이리야마 안나]], [[시마자키 하루카]], [[야마우치 스즈란]]|| || '''{{{#fff 연구생}}}''' ||[[이와타 카렌]], [[카토 레나]], [[카와에이 리나]], [[쥬리(로켓펀치)/AKB48 활동|타카하시 쥬리]], [[타노 유카]]|| || '''{{{#fff 팀 S}}}''' ||[[키자키 유리아]], [[마츠이 쥬리나]]|| || '''{{{#fff 팀 E}}}''' ||[[키모토 카논]]|| || '''{{{#fff 팀 N}}}''' ||[[와타나베 미유키]]|| || '''{{{#fff HKT48}}}''' ||[[코다마 하루카]]|| || '''{{{#fff JKT48}}}''' ||[[멜로디 누람다니 라크사니]]|| * 이 곡에서 [[멜로디 누람다니 라크사니]], [[타노 유카]], [[사토 스미레]]를 제외한 나머지가 전부 다음 싱글 <[[真夏のSounds good!]]>의 선발로 들어갔다. 이에 타노는 NEW SHIP 멤버들이 전부 선발에 들어갔는데 자기 혼자 떨어졌다며 박탈감이 심했다고 한다. ==== 뮤직 비디오 ==== || {{{#000000 '''NEW SHIP'''}}} || || [youtube(3zuLv0O89kc, width=100%)] || === 羊飼いの旅 === ||<-2> {{{#000000 '''羊飼いの旅''' / 스페셜 걸즈 B}}} || ||<-2> {{{#!wiki style="background-color: rgb(254, 254, 140); border-radius: 5px; margin: 1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45px; text-align: center" {{{#999 {{{-1 센터}}} }}}}}} [[카시와기 유키]], [[와타나베 마유]] || || '''{{{#fff 팀 A}}}''' ||[[이와사 미사키]], [[오오타 아이카]], [[카타야마 하루카]], [[쿠라모치 아스카]], [[코지마 하루나]], [[타카죠 아키]]|| || '''{{{#fff 팀 K}}}''' ||[[아키모토 사야카]], [[우메다 아야카]], [[키쿠치 아야카]], [[후지에 레이나]], [[마츠이 사키코]], [[미네기시 미나미]], [[미야자와 사에]], [[요코야마 유이]]|| || '''{{{#fff 팀 B}}}''' ||[[카사이 토모미]], [[카시와기 유키]], [[키타하라 리에]], [[사토 아미나]], [[마스다 유카]], [[와타나베 마유]]|| || '''{{{#fff 팀 4}}}''' ||[[시마다 하루카]], [[나가오 마리야]]|| || '''{{{#fff 팀 S}}}''' ||[[마츠이 레나]]|| || '''{{{#fff 팀 KⅡ}}}''' ||[[타카야나기 아카네]]|| * [[AKB48/총선거/3회|제3회 선발 총선거]]에서 카미7에 랭크된 [[카시와기 유키]], [[와타나베 마유]], [[코지마 하루나]]가 CM 선발이 아닌 해당 악곡으로 밀려났다. ==== 뮤직 비디오 ==== || {{{#000000 '''羊飼いの旅'''}}} || || [youtube(X-C5CkfeHLA, width=100%)] || === ユングやフロイトの場合 === ||<-2> {{{#000000 '''ユングやフロイトの場合''' / 스페셜 걸즈 C}}} || ||<-2> {{{#!wiki style="background-color: rgb(254, 254, 140); border-radius: 5px; margin: 1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45px; text-align: center" {{{#999 {{{-1 센터}}} }}}}}} || || '''{{{#fff 팀 A}}}''' ||[[오오야 시즈카]], [[나카가와 하루카]], [[나카타 치사토]], [[나카야 사야카]], [[마에다 아미]], [[마츠바라 나츠미]]|| || '''{{{#fff 팀 K}}}''' ||[[우치다 마유미]], [[타나베 미쿠]], [[나카츠카 토모미]], [[니토 모에노]], [[노나카 미사토]], [[요네자와 루미]]|| || '''{{{#fff 팀 B}}}''' ||[[이시다 하루카]], [[코바야시 카나]], [[코모리 미카]], [[사토 나츠키]], [[스즈키 시호리]], [[스즈키 마리야]], [[치카노 리나]], [[히라지마 나츠미]], [[미야자키 미호]]|| || '''{{{#fff 팀 4}}}''' ||[[아베 마리아(1995)|아베 마리아]], [[타케우치 미유]], [[나카마타 시오리]], [[나카무라 마리코]]|| || '''{{{#fff 연구생}}}''' ||[[이즈타 리나]], [[오오모리 미유]], [[코지마 나츠키]], [[코바야시 마리나]], [[사이드 요코타 에레나]], [[스즈키 리카]], [[나토리 와카나]], [[히라타 리나]], [[후지타 나나]], [[무토 토무]], [[모리카와 아야카]]|| * 위 수록곡 멤버에 들지 못한 [[AKB48]] 소속 멤버들 모두 해당 유닛에 소속되었다. 전까지 푸시를 받던 [[미야자키 미호]], [[코모리 미카]]는 해당 악곡에 참여한 이후 푸시가 급락했다. == 여담 == * 이전까지의 언더 걸즈 개념을 버리고 스페셜 걸즈라는 걸 도입했는데 여기에 대한 반응이 매우 안 좋았다. 언더 걸즈는 선발에 못 들어가는 멤버들을 위한 자리였는데, 스페셜 걸즈로 바꾸면서 선발 멤버들이 타이틀곡도 부르면서 스페셜 걸즈까지 같이 들어갔기 때문. * A는 어린 멤버들로 구성된 그룹으로 [[JKT48]]의 센터 멜로디 누람다니 라크사니와 마츠이 쥬리나가 센터를 섰다. * B는 기존 언더 걸즈처럼 2군 멤버들 사이에 [[와타나베 마유]], [[카시와기 유키]], [[마츠이 레나]] 등이 참여. * C는 사실상 웨이팅 걸즈의 개념이다. 푸시 멤버 중 해당 유닛으로 밀려난 멤버들은 모두 푸시가 끊겨버리고 말았다. * 메인 커플링곡인 셀렉션6은 카미7 중 와타나베 마유, 카시와기 유키, 코지마 하루나가 빠지고 사시하라 리노가 들어가는 초대형 어그로를 끄는 바람에 욕을 엄청 먹었다. 이에 사시하라는 멤버들이 스케쥴이 너무 바빠서 자기가 들어가게 됐다고 직접 해명했지만 PV도 있고 CM까지 걸린 곡을 단순히 스케쥴이 바쁘다고 불참시킬리가 없다. * 야마모토 사야카를 제외한 선발 멤버 17명 전부 다 커플링곡 하나씩 참여했다. 야마모토는 [[뮤직 스테이션]]도 불참하고 시마자키 하루카가 대타로 출연했다. * 와 <ユングやフロイトの場合>는 현재 국내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에 있는 <[[1830m]]> 앨범에서 들을 수 있고, 2019년 3월 1일부터 싱글 전 수록곡이 지원되기 시작했다. [[분류:2012년 싱글]][[분류:오리콘 싱글 차트 1위/2012년]][[분류:AKB48/디스코그래피]][[분류:이별을 소재로 한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