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쉐보레 테마 라운지 서울역.png|width=100%]] || || [[쉐보레]] 출범 후 서울역 테마 라운지 || [목차] == 개요 == [[GM 한국사업장]]의 전신인 [[GM대우]]가 공공장소에서 운영했던 자동차 관련 라운지이다. 현재는 남아있는 곳이 없지만, [[GM 한국사업장]]의 멀티 브랜드 전략에 따라 2023년 5월 5일부터 운영중인 통합 브랜드 하우스인 [[더 하우스 오브 지엠]]이 간접적으로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 상세 == [[GM대우]] 출범 후 [[한국GM]] 시기까지 운영된 자동차 전용 전시 공간이었으며, [[인천국제공항]], [[서울역]], [[용산역]]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 먼저 설치되었다. 차량 전시 이외에도 제품 설명, 구입 상담, 시승차 예약 도우미가 있어 예약 시 전국 GM대우 전시장에서 시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 업무를 담당하였다. 어떻게 보면 [[기아]]의 [[KIA 360]]이나 [[현대자동차]]의 [[현대 모터스튜디오]]보다 더 빠르게 나온 국산차 업계 최초의 자동차 복합 문화공간인 셈이다.[* 다만, 현대차의 경우에는 [[1997년]]에 모터 프라자라는 전신격 복합 공간을 운영했던 바가 있으며, [[르노코리아자동차]]도 [[삼성자동차]] 시절에 오토스테이션이라는 복합매장을 운영한 바 있다.] === [[인천국제공항]] GM대우 라운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천공항 GM대우 라운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천공항 스피드스터.png|width=100%]]}}} || ||<-2> '''테마 라운지의 모습(좌)과 당시 테마 라운지를 대표했던 [[오펠 스피드스터|GM대우 스피드스터]]''' || [[2003년]] 10월에 만들어졌으며, 3층 출국장 내 100평 크기의 전시 공간을 가지고 있었다. 세계 최초로 공항 보세구역 내에 설치된 자동차 전시 구역이라는 타이틀을 획득하기도 했다. 라운지 개장 당시에 [[오펠 스피드스터]]를 [[배지 엔지니어링]]한 GM대우 스피드스터를 비롯한 [[GM대우 라세티|라세티 해치백]], [[GM대우 레조|레조]], [[GM대우 매그너스|매그너스]], [[GM대우 마티즈|마티즈]] 총 5대의 차량을 전시하기도 했다.[* 이 때 전시된 스피드스터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사라진 후 한국GM 군산공장 홍보관에 전시되어 있다가 공장 폐쇄로 인해 [[군산대학교]] 새만금 캠퍼스로 쫓겨났고 이후 방치되다가 현재는 [[경기도]] [[포천시]]로 이전했다고 한다.][* 다만 스피드스터는 마케팅 용으로만 써먹고 실제로는 [[새턴 스카이]]를 [[GM대우 G2X|G2X]]로 팔았다. 그것도 이 라운지가 없어진 뒤였다.] 최소 [[2006년]]까지 운영된 후에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며, 이 라운지의 디자인을 맡았던 회사는 후에 [[현대 모터스튜디오]]의 디자인을 맡기도 했다. === [[용산역]] GM대우 라운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용산역 GM대우 테마 라운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세티 프리미어 절개 모형.png|width=100%]]}}} || || '''[[2008년]] [[GM대우 베리타스|베리타스]] 출시 당시 재즈 공연 사진''' || '''라세티 프리미어의 절개차 전시 당시 사진''' || [[2007년]] 7월부터 운영되기 시작한 2번째 테마 라운지이며, [[서울역]] 라운지와 함께 개장되었다. 운영 초기에는 [[GM대우 토스카]], [[GM대우 윈스톰|윈스톰]], [[GM대우 G2X|G2X]]를 전시하였다. 이후 1년 정도 지난 기간 동안 총 200만 여 명이 방문했다고 한다. 전시 면적은 259㎡로 [[서울역]] 라운지에 비해 상당히 넓은 편이었다. [[2008년]] 9월에는 [[GM대우 베리타스]]의 출시를 기념하기 위해 재즈 콘서트를 열기도 했으며, 금요일마다 뮤지컬 및 음악회 개장을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그 전인 같은 해 7월 [[용산역]] 계단에 윈스톰 MAXX의 초대형 그림을 그려넣기도 했다. 10월에는 GM대우 레이싱 팀 소속 레이싱 모델들과 기념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주었다. [[2009년]] 7월경에는 [[트랜스포머 2]]에 등장한 [[스키즈(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키즈]] 외관을 하고 있는 마티즈와 한국판 [[메간 폭스]] 모델이 등장해 이목을 끌기도 했으며, [[2010년]]에는 라세티 프리미어 체험존을 운영히기도 했다. [[2011년]] 3월부터 [[쉐보레]] 브랜드가 도입되면서 쉐보레 라운지로 변경된 후 [[쉐보레 말리부]] 및 [[쉐보레 스파크|스파크 트랜스포머 에디션]] 등을 전시하다가 [[2012년]] 4월까지 운영되다가 계약 기간 종료로 인해 사라졌다. === [[서울역]] GM대우 라운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역 GM대우 라운지.png|width=100%]]}}} || ||<#243a65> {{{#ffffff '''[[2009년]]의 모습'''}}} || [[2007년]] 7월부터 운영되기 시작한 2번째 테마 라운지이며, [[용산역]] 라운지와 함께 개장되었다. 같은 해 12월에는 [[용산역]] 라운지와 함께 대형 크리스마스 트리를 전시하는 행사를 펼치기도 했다. 전시 공간은 98㎡로 [[용산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편이었다. 또한 같은 종류의 차량들을 전시한 편이라 큰 차이는 없었다. [[용산역]] 라운지처럼 [[2011년]] [[쉐보레]] 브랜드 도입 후 [[2012년]]까지 운영되다가 용산역과 같은 이유로 인해 사라졌다. 기억 상으로는 2011년경에 대구 국제 마라톤 대회 홍보를 위해 전시 공간을 철거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 [[무한도전]] [[돈가방을 갖고 튀어라]] 특집 중 이 곳 주변에서 찍은 장면이 몇 번 등장하였다.[* 당시 전시 차량은 토스카와 윈스톰.] === 용산 [[전쟁기념관]] 쉐보레 타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쟁기념관 쉐보레 타운.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쉐보레 타운 올란도 출시.png|width=100%]]}}} || ||<-2> '''{{{#ffffff 쉐보레 타운}}}''' || [[2011년]] [[한국GM]]의 쉐보레 도입 이후 [[용산구]]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서 [[쉐보레 올란도]], [[쉐보레 아베오|아베오]] 및 [[쉐보레 카마로|카마로]] 등의 차량들을 전시하는 공간과 [[쉐보레]]를 알리는 대형 광고 구조물 등이 설치되었다. 하지만, 이는 같은 해 3월에 철거되었다. 그 이유는 호국 영령들을 기리는 기념관인 [[전쟁기념관]]이 [[미국]]의 거대 자동차 기업 홍보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여지 때문이었다고 한다. 초기에는 신차 발표 등과 같은 개념으로 여기고 임대를 해 준 것이지만 이후 구설수에 오르면서 내부 규정을 세웠다고 하며, 역으로 [[한국GM]] 측에서는 과도한 의미 부여로 일어난 사건이라고 언급하였다.[[http://www.consume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7333|#]][* 이 당시 전쟁기념관 측은 거대 기업 전시 장소로서의 활용 자체에 거부감을 드러내는 듯 했으나, 후에 [[마블]], [[삼성 갤럭시]]와의 협업 전시는 문제 삼지 않고 정상적으로 진행했다는 점에서 한국GM에게만 차별대우를 했다는 불만도 존재한다.] == 철거 이후 == 이후 [[더 하우스 오브 지엠]]이 이 명맥을 유지해 새로 개설되어 운영중이긴 하나, [[GM 한국사업장]] 측에서는 사실상 [[GM대우]]와 현재의 GM을 다른 회사로 보는 인식이 강하기에 후신이라 지칭하기에는 애매한 면이 있다. [[분류:GM대우]][[분류:한국GM]][[분류:자동차 전시장]][[분류:용산구의 건축물]][[분류:인천국제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