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토 광역권 대중교통)] ||<-2> '''{{{#fff {{{+1 온타리오 주정부 교통국}}} [br]GO Transit }}}''' || ||<-2><#ffffff> [[파일:690px-GO_Transit_logo.svg.png|width=100]] || ||<|2> '''{{{#FFFFFF 소유}}}''' ||[[파일:온타리오 주기.svg|width=27]] [[온타리오 주]] || ||[[https://www.metrolinx.com/en/|[[파일:1200px-Metrolinx_2017_logo.svg.png|width=27]]]] 메트로링스 || || '''{{{#FFFFFF 개업 년도}}}''' ||[[1967년]] || || '''{{{#FFFFFF 영업 지역}}}''' ||[[캐나다]] [[온타리오]] 주 [[토론토]] 광역권 || || '''{{{#FFFFFF 선로 궤간}}}''' ||[[표준궤|1,435mm]] || || '''{{{#FFFFFF 영업 거리}}}''' ||526㎞ || || '''{{{#FFFFFF 노선 수}}}''' ||7 || [youtube(t5t9EZtY2tI,width=550)] [목차] [clearfix] == 개요 == '''GO 트랜짓'''(GO Transit)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일대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토론토 유니언 역]]을 중심으로 7개의 [[커뮤터 레일]] 노선과 다양한 버스 노선들을 운영하고 있으며, [[토론토]]와 [[미시소거]], [[해밀턴(캐나다)|해밀턴]], [[런던(캐나다)|런던]] 등 토론토 광역권과 그 주변의 도시들을 거미줄처럼 연결하고 있다. == 역사 == GO 트랜짓의 출범 이전부터 토론토 광역권에는 [[캐네디언 내셔널]]이 제공하던 [[커뮤터 레일]] 서비스가 있었다. [[제 2차 세계대전]]이 종식되고 온타리오 주 인구는 지역의 [[산업화]]를 맞아 급증했고, 늘어나는 자가용 수를 지역 고속도로들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자 운영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러나 당시 재정 상황이 좋지 못했던 [[캐네디언 내셔널]]은 지역 주민들의 노선 확장 요구를 받아 줄 여유가 없었고, 이에 [[1960년대]] 들어 [[온타리오주]] 정부가 직접 통근열차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이른다. 새 시스템은 주 정부의 이름을 따서 GO('G'overnment of 'O'ntario)라고 불리게 되었고, [[1967년]] [[5월]] 레이크쇼어 선(Lakeshore Line)을 개업한다. 야심차게 출범한 캐나다 최초의 통근열차 시스템은 나름 성공적이었고, [[1970년대]] 들어서는 지역 버스 노선과 조지타운 선(Georgetown Line), 리치먼드 힐 선(Richmond Hill Line)을 개업하게 된다. 이후 [[1980년대]]에 밀턴 선(Milton Line)과 배리 선(Barrie Line), 스토프빌 선(Stouffville Line) 총 3개의 운행계통을 추가하고, [[토론토 유니언 역]]을 기점으로 레이크쇼어 선을 각각 레이크쇼어 웨스트(Lakeshore West), 레이크쇼어 이스트(Lakeshore East)로 분할하였으며, 조지타운 선은 연장 후 키치너 선(Kitchener Line)으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2009년]], GO 트랜짓은 온타리오 주정부가 [[2006년]] 설립한 '''토론토 광역권 교통국'''(Greater Toronto Transportation Authority; GTTA)에 합병되었다. GTTA는 GO 트랜짓의 합병 이후 '''[[https://www.metrolinx.com/en/|메트로링스]]'''(Metrolinx)로 사명을 변경하고, 토론토 일대의 도로교통 및 대중교통 사업을 관할하게 된다.[* 현재 대부분의 [[토론토 지하철]] 및 온타리오 주 도시 · 광역철도 사업이 메트로링스에 의해 진행된다. 아래 GO RER을 비롯한 GO 트랜짓 개선 사업도 전부 메트로링스 주관으로, GO 트랜짓은 운영만을 담당한다. 다만 어쨌거나 둘다 온타리오 주 소속 [[공기업]]이니 엄격하게 구분지을 필요는 없다.] 이후 GO 트랜짓은 메트로링스의 자회사로 남게 된다. == 철도 노선 == === 운영 중인 노선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system-map.jpg|width=100%]]}}} || || '''{{{#fff 노선도 [[https://www.gotransit.com/en/trip-planning/system-and-route-map|출처]]}}}''' || ||<-6> '''{{{#FFFFFF GO 트랜짓}}}''' || || '''{{{#FFFFFF 로고}}}''' || '''{{{#FFFFFF 노선명}}}''' || '''{{{#FFFFFF 개업년도}}}''' || '''{{{#FFFFFF 시점}}}''' || '''{{{#FFFFFF 종점}}}''' || '''{{{#FFFFFF 노선 연장}}}''' || || [[파일:105px-GO_Lakeshore_West_logo.svg.png|width=45]] || {{{#98002E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br]Lakeshore West Line || 1967 ||<|7> '''[[토론토 유니언 역]]'''[br]Toronto Union || '''나이아가라 폴스 역'''[br]Niagara Falls || 132km || || [[파일:105px-GO_Milton_logo.svg.png|width=45]] || {{{#F58025 '''밀턴 선'''}}}[br]Milton Line || 1982 || '''밀턴 역'''[br]Milton || 50.2km || || [[파일:105px-GO_Kitchener_logo.svg.png|width=45]] || {{{#00853F '''키치너 선'''}}}[br]Kitchener Line || 1978 || '''키치너 역'''[br]Kitchener[* [[런던(캐나다)]] 까지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연장 되었던 적이 있었으나 적은 편수와 토론토까지 4시간이나 걸리는 소요시간 때문에 저조한 수요로 2023년 10월 13일부로 운영종료 되었다.] || 197km || || [[파일:105px-GO_Barrie_logo.svg.png|width=45]] || {{{#003768 '''배리 선'''}}}[br]Barrie Line || 1982 || '''앨런데일 워터프론트 역'''[br]Allandale Waterfront || 101.4km || || [[파일:105px-GO_Richmond_Hill_logo.svg.png|width=45]] || {{{#009AC7 '''리치먼드 힐 선'''}}}[br]Richmond Hill Line || 1978 || '''블루밍턴 역'''[br]Bloomington || 45.9km || || [[파일:105px-GO_Stouffville_logo.svg.png|width=45]] || {{{#794400 '''스토프빌 선'''}}}[br]Stouffville Line || 1982 || '''올드 엘름 역'''[br]Old Elm || 49.6km || || [[파일:105px-GO_Lakeshore_East_logo.svg.png|width=45]] || {{{#EE3124 '''레이크쇼어 이스트 선'''}}}[br]Lakeshore East Line || 1967 || '''더럼 컬리지 오샤와 역'''[br] Durhum College Oshawa || 50.5km || ====#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 #==== [[1967년]] GO 트랜짓의 출범과 함께 개업한 노선 중 하나. [[해밀턴(캐나다)|해밀턴]]을 거쳐 [[나이아가라 폭포]]를 잇는 노선으로, 시스템 전체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노선 중 하나이다. 배차간격 역시 좋은 편으로, 오크빌(Oakville) 이서로는 15분, 올더샷(Aldershot) 까지는 30분, 해밀턴 시내의 웨스트 하버(West Harbour) 까지 가는 열차는 60분 간격으로 도착한다. 또한 하루에 5편의 급행열차가 해밀턴까지 운행하고, 그 중 1편은 나이아가라 폭포까지 연장운행한다. 주말에는 각 운행계통이 배차가 2배씩 늘어나며, 대신 나이아가라 폭포 행 열차가 4편까지 증편된다. 참고로 해밀턴 방면 노선은 지선으로, 본선은 올더샷에서 웨스트 하버를 거쳐 바로 나이아가라 폭포로 들어간다. 완행열차는 해밀턴까지만 운행하며, 이후 구간은 급행열차만 들어간다. ||
<-6> {{{#ffffff '''GO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br]GO Lakeshore West Line}}} || ||<|2> '''{{{#ffffff 역명}}}''' ||<|2> '''{{{#ffffff 소재지}}}''' ||<|2> '''{{{#ffffff 환승노선}}}''' |||| '''{{{#ffffff 급행}}}''' ||||<|2> '''{{{#ffffff 비고}}}''' || || {{{#ffffff 평일}}} || {{{#ffffff 주말}}} || || '''[[토론토 유니언 역|유니언]]'''[br]Union ||<|4> '''[[토론토]]'''[br]Toronto || GO 트랜짓 전 노선[br][[토론토 지하철 1호선]][br][[UP Express]][br][[비아 레일]] || O || O || - || || '''전시장'''[br]Exhibition || - || | || O || - || || '''미미코'''[br]Mimico || - || | || | || - || || '''롱 브랜치'''[br]Long Branch || - || | || | || - || || '''포트 크레딧'''[br]Port Credit ||<|2> '''[[미시소거]]'''[br]Mississauga || - || | || O || - || || '''클락슨'''[br]Clarckson || - || O || I || [* 유니언에서 여기까지는 직통으로 운행하고 여기 이서로는 완행으로 운행하는 계통이 있는데, 유니언과의 구간을 '''21분'''만에 주파한다. 표정속도 약 '''77 km/h'''에 달하는 구간.] || || '''오크빌'''[br]Oakville ||<|2> '''오크빌'''[br]Oakville || [[비아 레일]] || O || O || - || || '''브런테'''[br]Bronte || - || O || | || - || || '''애플비'''[br]Appleby ||<|3> '''벌링턴'''[br]Burlington || - || O || I || - || || '''벌링턴'''[br]Burlington || - || O || O || - || || '''올더샷'''[br]Aldershot || [[비아 레일]] || O || O || - || || '''해밀턴'''[br]Hamilton ||<|3> '''[[해밀턴(캐나다)|해밀턴]]'''[br]Hamilton || - || O || - || - || || '''웨스트 하버'''[br]West Harbour || - || O || | || - || || ~~'''컨페더레이션'''[br]Confederation~~ || - || | || | || - || || ~~'''그림즈비'''[br]Grimsby~~ || '''그림즈비'''[br]Grimsby || - || O || | || - || || '''세인트 캐서린즈'''[br]St. Catherines || '''세인트 캐서린즈'''[br]St. Catherines || [[비아 레일]] || O || O || - || || '''나이아가라 폭포'''[br]Niagara Falls || '''[[나이아가라 폭포|나이아가라 폴스]]'''[br]Niagara Falls || [[비아 레일]] || O || O || - || ====# 밀턴 선 #==== 토론토와 광역권 제 2의 도시인 [[미시소거]], 그리고 밀턴을 잇는 노선. [[캐네디언 퍼시픽]]의 선로를 이용하기에 전형적인 북미식 [[커뮤터 레일]] 처럼 출퇴근시간대에 단방향으로만 운영 중이지만, 연선 인구가 원체 많다 보니 열악한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전체 3위의 이용객을 자랑한다. 추후 선로 소유주인 캐네디언 퍼시픽과 협의 후에 종일 양방향 운행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 중에 있다. 하루 총 왕복 10회 운영하며, 오전에는 밀턴에서 토론토 방향으로만, 오후에는 반대로만 운행한다. ||
<-4> {{{#ffffff '''GO 밀턴 선'''[br]GO Milton Line}}} || || '''{{{#ffffff 역명}}}''' || '''{{{#ffffff 소재지}}}'''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비고}}}''' || || '''[[유니언역(토론토)|유니언]]'''[br]Union ||<|2> '''[[토론토]]'''[br]Toronto || GO 트랜짓 전 노선[br][[토론토 지하철 1호선]][br][[UP Express]][br][[비아 레일]] || - || || '''[[키플링역|키플링]]'''[br]Kipling || [[토론토 지하철 2호선]] || - || || '''딕시'''[br]Dixie ||<|6> '''[[미시소거]]'''[br]Mississauga || - || - || || '''쿡스빌'''[br]Cooksville || - || - || || '''에런데일'''[br]Erindale || - || - || || '''스트리츠빌'''[br]Streetsville || - || - || || '''메도우빌'''[br]Meadowville || - || - || || '''리스거'''[br]Lisgar || - || - || || '''밀턴'''[br]Milton || '''밀턴'''[br]Milton || - || - || ====# 키치너 선 #==== 토론토 서부의 [[브램턴]], [[키치너-워털루]], [[런던(캐나다)|런던]] 등을 잇는 노선. 개통 당시에는 종점의 이름을 따 조지타운 선으로 불리웠으나, 이후 워털루 광역권의 키치너까지 연장하며 키치너 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년]]부터 일부 계통에 한해 [[런던(캐나다)|런던]]까지 시범 연장되었으며, 자연히 최장거리 노선 타이틀을 가져오게 되었다. 평일 기준으로 토론토와 키치너 사이를 출퇴근 시간에는 30분마다 왕복하며, 수요에 따라 중간 종착 열차가 몇몇 있다. 비첨두시간대에는 1시간 간격으로 마운트 플레전트까지 운행하고, 키치너까지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왕복 2편뿐이다. 상하행 각각 하루 한 편의 열차는 [[런던(캐나다)|런던]]까지 연장운행한다. 출퇴근 시간에 한해 단방향으로 급행을 운영하고 있다.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행 [[공항철도]] [[UP Express]]와 일부 구간에 한해 선로를 공유하고 있다. 때문에 GO의 노선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UP Express 자체는 메트로링스의 별도 자회사에서 운영 중이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GO 역시도 메트로링스의 하위 기업이다보니 결과적으로는 같은 회사에서 굴리는 철도 노선으로 봐도 무방하다. ||
<-4> {{{#ffffff '''GO 키치너 선'''[br]GO Kitchener Line}}} || || '''{{{#ffffff 역명}}}''' || '''{{{#ffffff 소재지}}}'''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비고}}}''' || || '''[[토론토 유니언 역|유니언]]'''[br]Union ||<|7> '''[[토론토]]'''[br]Toronto || GO 트랜짓 전 노선[br][[토론토 지하철 1호선]][br][[UP Express]][br][[비아 레일]] || - || || ~~'''킹-리버티'''[br]King-Liberty~~ || - || - || || '''블루어'''[br]Bloor || [[토론토 지하철 2호선]][br][[UP Express]] || - || || ~~'''세인트 클레어-[br]올드 웨스턴'''[br]St. Clair-Old Weston~~ || - || - || || ~~'''마운트 데니스'''[br]Mount Dennis~~ || [[토론토 지하철 5호선]] || - || || '''웨스턴'''[br]Weston || [[UP Express]] || - || || '''이토비코 노스'''[br]Etobicoke North || - || - || || '''멀튼'''[br]Malton || '''[[미시소거]]'''[br]Mississauga || [[비아 레일]] || - || || '''브래멀리'''[br]Bramalea ||<|3> '''[[브램턴]]'''[br]Brampton || - || - || || '''브램턴'''[br]Brampton || [[비아 레일]] || - || || '''마운트 플레전트'''[br]Mount Pleasant || - || - || || '''조지타운'''[br]Georgetown ||<|2> '''할튼 힐스'''[br]Halton Hills || [[비아 레일]] || - || || '''액튼'''[br]Acton || - || - || || '''궬프'''[br]Guelph || '''궬프'''[br]Guelph || [[비아 레일]] || - || || ~~'''브레슬로'''[br]Breslau~~ || '''울위치'''[br]Woolwich || - || - || || '''키치너'''[br]Kitchener || '''[[키치너]]'''[br]Kitchener || GRT [[Ion]][br][[비아 레일]] || - || || '''스트랫퍼드'''[br]Stratford || '''스트랫퍼드'''[br]Stratford || [[비아 레일]] || - || || '''세인트 메리즈'''[br]St. Marys || '''세인트 메리즈'''[br]St. Marys || [[비아 레일]] || - || || '''런던'''[br]London || '''[[런던(캐나다)|런던]]'''[br]London || [[비아 레일]] || - || ====# 배리 선 #==== 도시권 북부의 오로라와 배리 등을 잇는 노선. 연선에 큰 도시가 없어 배차간격은 길지만, 그래도 종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선들 중 하나이다. 토론토 - 오로라 구간은 양방향 1시간 정도의 배차를 보이며, 오로라 이북은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영한다. 또한 일부 열차가 브래드퍼드에서 종착한다. ||
<-4> {{{#ffffff '''GO 배리 선'''[br]GO Barrie Line}}} || || '''{{{#ffffff 역명}}}''' || '''{{{#ffffff 소재지}}}'''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비고}}}''' || || '''[[토론토 유니언 역|유니언]]'''[br]Union ||<|4> '''[[토론토]]'''[br]Toronto || GO 트랜짓 전 노선[br][[토론토 지하철 1호선]][br][[UP Express]][br][[비아 레일]] || - || || ~~'''블루어-랜즈다운'''[br]Bloor-Lansdowne~~ || - || - || || ~~'''칼레도니아'''~~[br]Caledonia || [[토론토 지하철 5호선]] || - || || '''다운스뷰 파크'''[br]Downsview Park || [[토론토 지하철 1호선]] || - || || '''러더포드'''[br]Rutherford || '''본'''[br]Vaughan || - || - || || '''메이플'''[br]Maple || '''메이플'''[br]Maple || - || - || || '''킹 시티'''[br]King City || '''킹 시티'''[br]King City || - || - || || '''오로라'''[br]Aurora || '''오로라'''[br]Aurora || - || - || || '''뉴마켓'''[br]Newmarket || '''뉴마켓'''[br]Newmarket || - || - || || '''이스트 귈림버리'''[br]East Guillimbury || '''이스트 귈림버리'''[br]East Guillimbury || - || - || || '''브래드포드'''[br]Bradford || '''브래드포드'''[br]Bradford || - || - || || '''배리 사우스'''[br]Barrie South ||<|2> '''배리'''[br]Barrie || - || - || || '''앨런데일 워터프론트'''[br]Allandale Waterfront || - || - || ====# 리치먼드 힐 선 #==== 동북부의 리치먼드 힐을 잇는 노선. 전체 노선 중에 운행거리도 가장 짧고, 전 구간 단선에 선형도 좋지 못한 노선이다. 더구나 그 단선을 [[화물철도|화물열차]]와 공유하기 때문에, 밀턴 선과 동일하게 출퇴근 시간대에 단방향으로만 운행한다. 그나마 [[미시소거]]라는 걸출한 수요처를 독점하다시피 하는 밀턴 선과 달리, 비슷한 구간을 [[토론토 지하철]]과 버스의 조합으로 이동할 수 있기에 승객 수도 가장 적다. 그래도 [[2017년]] 블루밍턴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등,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노선. ||
<-4> {{{#ffffff '''GO 리치먼드 힐 선'''[br]GO Richmond Hill Line}}} || || '''{{{#ffffff 역명}}}''' || '''{{{#ffffff 소재지}}}'''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비고}}}''' || || '''[[토론토 유니언 역|유니언]]'''[br]Union ||<|3> '''[[토론토]]'''[br]Toronto || GO 트랜짓 전 노선[br][[토론토 지하철 1호선]][br][[UP Express]][br][[비아 레일]] || - || || '''오리올'''[br]Oriole || [[토론토 지하철 4호선]] || - || || '''올드 커머'''[br]Old Cummer || - || - || || '''랭스태프'''[br]Langstaff ||<|4> '''리치먼드 힐'''[br]Richmond Hill || - || - || || '''리치먼드 힐'''[br]Richmond Hill || - || - || || '''곰리'''[br]Gormley || - || - || || '''블루밍턴'''[br]Bloomington || - || - || ====# 스토프빌 선 #==== 토론토 동북쪽의 마크험과 스토프빌을 잇는 노선. 유니언 역을 출발한 직후부터는 레이크쇼어 이스트 선과 평행하게 달리다가, 환승역인 스카버러를 지나 동북쪽으로 향한다. 종일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첨두시 30분, 비첨두시 1시간마다 토론토 - 유니언빌, 마운트 조이 사이를 운행하며, 출퇴근시간대 한정으로 올드 엘름까지 연장운행한다. ||
<-4> {{{#ffffff '''GO 스토프빌 선'''[br]GO Stouffville Line}}} || || '''{{{#ffffff 역명}}}''' || '''{{{#ffffff 소재지}}}'''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비고}}}''' || || '''[[토론토 유니언 역|유니언]]'''[br]Union ||<|6> '''[[토론토]]'''[br]Toronto || GO 트랜짓 전 노선[br][[토론토 지하철 1호선]][br][[UP Express]][br][[비아 레일]] || - || || '''케네디'''[br]Kennedy || [[토론토 지하철 2호선|2]], [[토론토 지하철 3호선|3]], [[토론토 지하철 5호선|5호선]] || - || || ~~'''로렌스-케네디'''[br]Lawrence-Kennedy~~ || [[토론토 지하철 2호선]] || - || || '''스카버러'''[br]Scarborough || - || - || || '''에진코트'''[br]Agincourt || - || - || || ~~'''핀치-케네디'''[br]Finch-Kennedy~~ || - || - || || '''밀리컨'''[br]Milliken || - || - || || '''유니언빌'''[br]Unionville ||<|4> '''마크험'''[br]Markham || - || - || || '''센테니얼'''[br]Centennial || - || - || || '''마크험'''[br]Markham || - || - || || '''마운트 조이'''[br]Mount Joy || - || - || || '''스토프빌'''[br]Stouffville ||<|2> '''윗처치-스토프빌'''[br]Whitchurch-Stouffville || - || - || || '''올드 엘름'''[br]Old Elm || - || - || ====# 레이크쇼어 이스트 선 #====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과 함께 [[1967년]] 최초로 개업한 노선들 중 하나. 토론토 동쪽의 오샤와로 향하는 노선이며,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은 노선이다. 유니언에서 오샤와까지의 전 구간을 15분 간격으로 왕복하며, 비첨두시간대 및 주말에는 배차가 2배로 벌어진다. 본래 급행 역시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토론토 시내 구간 선로 공사로 인해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다. 추후 오샤와 동쪽 클레링턴의 보우먼빌 역까지의 연장이 예정되어 있다. ||
<-4> {{{#ffffff '''GO 레이크쇼어 이스트 선'''[br]GO Lakeshore East Line}}} || || '''{{{#ffffff 역명}}}''' || '''{{{#ffffff 소재지}}}'''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비고}}}''' || || '''[[토론토 유니언 역|유니언]]'''[br]Union ||<|7> '''[[토론토]]'''[br]Toronto || GO 트랜짓 전 노선[br][[토론토 지하철 1호선]][br][[UP Express]][br][[비아 레일]] || - || || ~~'''이스트 하버'''[br]East Harbour~~ || - || - || || '''댄포스'''[br]Danforth || [[토론토 지하철 2호선]][* [[토론토 지하철 2호선]]의 메인 스트리트(Main Street)역하고 소프트 환승이 가능할 정도로 지척이다.] || - || || '''스카버러'''[br]Scarborough || - || [* [[토론토 지하철 3호선]]의 스카버러 센터(Scarborough Centre)역과는 멀리 떨어진 별개의 역이다.] || || '''에글린턴'''[br]Eglinton || - || [* [[토론토 지하철 1호선]]의 에글린턴(Eglinton)역과는 멀리 떨어진 별개의 역이다.] || || '''길드우드'''[br]Guildwood || [[비아 레일]] || - || || '''루즈 힐'''[br]Rouge Hill || - || - || || '''피커링'''[br]Pickering || '''피커링'''[br]Pickering || - || - || || '''에이잭스'''[br]Ajax || '''에이잭스'''[br]Ajax || - || - || || '''위트비'''[br]Whitby || '''위트비'''[br]Whitby || - || - || || '''오샤와'''[br]Oshawa ||<|3> '''오샤와'''[br]Oshawa || - || - || || ~~'''손튼즈 코너스'''[br]Thornton's Corners~~ || - || - || || ~~'''오샤와 센트럴'''[br]Barrie South~~ || - || - || || ~~'''달링턴'''[br]Darlington~~ ||<|2> '''클레링턴'''[br]Clarington || - || - || || ~~'''보우먼빌'''[br]Bowmanville~~ || - || - || == 미래 == [[파일:GO_Transit_RER_map.png|width=500]] [youtube(_XOXAY3rPzk, width=500)] 배차 간격 개선과 시스템의 개량을 위해, '''GO Expansion'''이라는 이름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추진 중에 있다. 우선 출퇴근 시간대에 단방향으로만 운행 중인 배리 선과 키치너 선, 스토프빌 선의 일부 구간을 상시 운행으로 전환하고, 위 세 노선과 레이크쇼어 웨스트, 이스트 선의 중심 구간을 '''전철화'''하여 각 운행계통별로 최단 15분까지 배차 간격을 좁힌다는 계획. 여타 북미의 [[커뮤터 레일]]들이 충분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계속 [[디젤 기관차]]로 노선을 운영하는 것을 감안했을 때 상당히 흥미로운 프로젝트라고 볼 수 있다. 전철화 이후에도 한동안은 [[전기 기관차]]를 이용해 [[동력집중식]] 열차를 편성할 것으로 보이지만, 추후 전철화 구간의 비중이 늘어나고 기존 객차의 폐차 이후에는 [[동력분산식]] 전동차를 들여오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프로젝트가 처음 출범할 때 이름이 '''GO Regional Express Rail'''이었는데, 다름아닌 [[프랑스 파리]] [[RER]]의 영문명과 완전히 동일하다. RER과 같이 대도시권 주변의 통근 수요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젝트임을 감안하면 적절한 이름이라 할 수 있다. 다만 급행 [[도시철도]] 수준으로 파리 도심 내부에도 정차역이 여럿 있는 RER과 달리 GO 트랜짓의 노선들은 [[토론토 유니언 역]]을 제외하면 아직까지 도심 내부에 이렇다 할 정차역이 없는데, 이 역시 토론토 시내 교통망 개선을 위해 '''스마트트랙'''(SmartTrack)이라는 이름 하에 도심 내 정차역을 여럿 추가할 예정이기에, 장차 [[아시아]]나 [[유럽]]의 내로라 하는 [[광역철도]]의 기준에 부합하는 대규모 시스템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분류:통근열차]][[분류:캐나다의 교통]][[분류:토론토 광역권 대중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