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GROOVE COASTER]][[분류:리듬 게임]][[분류:Nintendo Switch 전용 게임]][[분류:2019년 게임]] [include(틀:GROOVE COASTER 시리즈)] ||<-3>
'''{{{+1 {{{#!html 그루브 코스터}}}}}}''' '''{{{+1 {{{#!html 와}}}}}}''''''{{{+1 {{{#!html 이}}}}}}''''''{{{+1 {{{#!html 와}}}}}}''''''{{{+1 {{{#!html 이}}}}}}''' '''{{{+1 {{{#!html 파}}}}}}''''''{{{+1 {{{#!html 티}}}}}}''''''{{{+1 {{{#!html !}}}}}}''''''{{{+1 {{{#!html !}}}}}}''''''{{{+1 {{{#!html !}}}}}}''''''{{{+1 {{{#!html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dadafc 45%, #dadafc 55%, transparent 55%); width: 90%" }}} '''{{{#!html グルーヴコースター}}}''' '''{{{#!html }}}''''''{{{#!html }}}''''''{{{#!html }}}''''''{{{#!html }}}''' '''{{{#!html パー}}}''''''{{{#!html ティー}}}''' '''{{{#!html !}}}''''''{{{#!html !}}}''''''{{{#!html !}}}''''''{{{#!html !}}}''' '''{{{#!html Groove Coaster}}}''' '''{{{#!html W}}}''''''{{{#!html a}}}''''''{{{#!html i}}}''' '''{{{#!html W}}}''''''{{{#!html a}}}''''''{{{#!html i}}}''' '''{{{#!html P}}}''''''{{{#!html a}}}''''''{{{#!html r}}}''''''{{{#!html t}}}''''''{{{#!html y}}}''''''{{{#!html !}}}''''''{{{#!html !}}}''''''{{{#!html !}}}''''''{{{#!html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코와이와이파티_1.jpg |width=100%]]}}} || || '''{{{#4281b6,#ffffff 개발}}}''' ||<-2>{{{#!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3px 6px;" [[TAITO|[[파일:타이토 로고.svg|height=16]]]]}}} || || '''{{{#4281b6,#ffffff 배급사}}}''' ||<-2>{{{#!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3px 6px;" [[TAITO|[[파일:타이토 로고.svg|height=16]]]]}}}|| || '''{{{#4281b6,#ffffff 플랫폼}}}''' ||<-2>[[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theme=light]][[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4281b6,#ffffff ESD}}}''' ||<-2>[[닌텐도 e숍/Nintendo Switch|[[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height=16]]]]|| || '''{{{#4281b6,#white 장르}}}''' ||<-2>[[리듬게임]] || ||<|3> '''{{{#4281b6,#ffffff 발매일}}}'''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6]]]] ||[[2019년]] [[11월 7일]] || || [[북미|[[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height=12]]]] [[유럽|[[파일:유럽 연합 깃발.svg|height=16]]]] ||[[2019년]] [[11월 14일]]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2021년]] [[6월 17일]]''' || ||<|2> '''{{{#4281b6,#ffffff 심의 등급}}}'''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6]]]]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s-3|[[파일:CERO B.svg|height=35]] '''{{{#008000 CERO B}}}''']]||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15세 이용가|[[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height=30]] '''{{{#FFA500 15세 이용가}}}''']]|| || '''{{{#4281b6,#ffffff 언어}}}''' ||<-2>영어, 일본어|| || '''{{{#4281b6,#ffffff 인원수}}}''' ||<-2>1~4명[* 로컬 2~4인, 온라인 1~4인]|| || '''{{{#4281b6,#ffffff 용량}}}''' ||<-2>2.0GB|| || '''{{{#4281b6,#ffffff 가격}}}''' ||<-2>'''(한) ₩66,000''' / (미)$54.99 / (일) 6,500¥ ---- [[DLC]] 개당 ₩16,700 || || '''{{{#4281b6,#ffffff 공식 사이트}}}''' ||<-2>[[https://groovecoaster.com/switch|[[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twitter.com/groove_coaster|[[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 '''{{{#4281b6,#ffffff 상점 페이지}}}''' ||<-2>[[https://store-jp.nintendo.com/list/software/70010000019180.html|#^^([[파일:일본 국기.svg|height=13]])^^]] | [[https://store.nintendo.co.kr/70010000019178|#^^([[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3]])^^]] || || '''{{{#4281b6,#ffffff 관련 사이트}}}''' ||<-2>[[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groovecoaster|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height=20]] 그루브 코스터 마이너 갤러리]][br][[https://twitter.com/gcinfo_kr| [[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비공식 정보 전달 계정]][br][[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XS4p6FjfrM9nweaBcsS9cqkL-zICl7vKKWuhe7HsSjk| [[파일:구글 스프레드시트 아이콘.svg|height=20]] 비공식 정보 모음 페이지]][br][[https://www.wikihouse.com/groove| 비공식 위키^^([[파일:일본 국기.svg|height=13]])^^]]||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border: 2px solid #FFF,#1f2023; background-color: #4A99E9; border-radius: 10px; margin: 0px auto; max-width: 640px; float: center; display: table;" || {{{#fff '''주제가 : GROOVE LOOP'''}}}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RJ8hH1YGwI, width=640, height=360)]}}} || || {{{#000 작곡 : [[DECO*27]]}}} || || {{{#000 노래 : [[미라이 아카리]], [[전뇌소녀 시로]], [[츠키노 미토]]}}} ||}}}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계보를 이어가는 [[GROOVE COASTER]]의 4번째 플랫폼이며 [[GROOVE COASTER for STEAM|스팀버전]] 이후로 1년만에 나온 스위치 전용 시리즈이다. 버츄얼 유튜버와 대규모 협업을 하여 [[키즈나 아이]], [[미라이 아카리]], [[홀로라이브]] 등의 다수의 버츄얼 유튜버가 참여하였다. [[GROOVE COASTER 4 STARLIGHT ROAD|아케이드판]]의 업데이트가 종료된 지금 그루브 코스터의 대표적 시리즈의 위치를 이어받은 작품. === PV === {{{#!wiki style="border: 2px solid #FFF,#1f2023; background-color: #4A99E9; border-radius: 10px; margin: 0px auto; max-width: 1280px; float: center; display: tabl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QrQywTm9z0, width=640, height=36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ykJupCxuGs, width=640, height=360)] }}}|| || 기본 || Vtuber.ver ||}}} {{{#!wiki style="border: 2px solid #FFF,#1f2023; background-color: #4A99E9; border-radius: 10px; margin: 0px auto; max-width: 1280px; float: center; display: table;" ||<-2> {{{#fff '''2021년 12월 16일 대형 업데이트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Ne414jE0kg, width=640, height=36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nAESOEVcyw, width=640, height=360)] }}}|| || [[토키노 소라]].ver || [[가우르 구라]].ver ||}}} {{{#!wiki style="border: 2px solid #FFF,#1f2023; background-color: #4A99E9; border-radius: 10px; margin: 0px auto; max-width: 650px; float: center; display: table;" || {{{#fff '''콜라보 개최 PV'''}}}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suCXve7osw, width=640, height=360)]}}} || || [[멋진 이 세계]] × GROOVE COASTER 콜라보 개최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6E5CDfZNeg, width=640, height=360)]}}} || || [[스칼렛 경찰의 게토 패트롤 24시|あたいの足技みさらせやー]]/DLC『동방Project 어레인지 팩 7』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w2TYcmgEMc, width=640, height=360)]}}} || || [[EZ2ON REBOOT : R]] × GROOVE COASTER 콜라보 개최 PV || ||<-2> {{{#fff '''[[hololive]] × 「GROOVE COASTER」 콜라보 「무선 이어폰」 발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6UkXaKmmE, width=640, height=36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2hafq-_ZeA, width=640, height=360)] }}}|| || 「[[토키노 소라]]」, 「[[가우르 구라]]」[* 재판매] || 「[[우사다 페코라]]」, 「[[모리 칼리오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gRGxTAFJ1A, width=640, height=360)]}}} || || Nintendo Switch판 『그루브 코스터』 추가 DLC[br]『[[GROOVE COASTER WAI WAI PARTY!!!!/수록곡#hololive Pack|홀로라이브 팩]]』 PV || }}} ||}}} == 특징 == [[beatmania IIDX|건반]][[EZ2DJ|형]] [[팝픈뮤직|리듬게임]]이 아닌 아바타가 트랙을 진행하면서 중간중간에 있는 타겟(노트)을 타이밍에 맞춰서 입력하여 처리하는 방식. E숍 메이커로부터 설명에서는 이를 리듬액션게임 x 롤러코스터 라고한다. 즉 [[롤러코스터|정해진 라인]]에 따라 [[리듬게임|박자를 맞추는 게임]]이다. [[조이콘]] 결합 상태, [[Nintendo Switch Pro 컨트롤러|프로콘]], [[조이콘]] 그립 결합 상태로 버튼과 스틱을 이용하여 플레이하는 표준 컨트롤 모드 이외 스위치 버전만의 특징으로는 조이콘을 분리하여 플레이하는 액티브 컨트롤 모드가 있다. 액티브 모드에서는 난이도를 이지 ~ 하드까지 선택 가능하며 조이콘을 [[태고의 달인 Nintendo Switch 버~전!|흔들며]] [[태고의 달인 쿵딱! 원더풀 페스티벌|플레이]]가 가능하다.[* SLIDE, SCRATCH 노트에서 흔들며 플레이한다.] 해당 모드는 게임 시작 전 모드 선택 창의 컨트롤 탭에서 설정 가능하다. == 플레이 요소 == || [[파일:슻그코_select mode.png|width=100%]] || === 노트의 종류 === 전반적으로는 GROOVE COASTER 시리즈[* 특히 스팀판 패드 사용시.] [[GROOVE COASTER#s-3|거의 그대로지만]], 조이콘 특성상 차이 나는 사항도 있다. 버튼 조작 시 버튼의 종류와 상관 없이 버튼의 위치 만으로 처리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왼쪽 조이콘의 오른쪽 버튼과 오른쪽 조이콘의 A 버튼은 모두 오른쪽으로 취급한다.] || [[파일:와이와이_힡.png|height=70]] ||<|2> 조이콘의 버튼을 누른다. || || {{{#fff '''HIT'''}}} || || [[파일:와이와이_홀드.png|height=70]] ||<|2> 조이콘의 버튼을 누른상태로 유지한다. || || {{{#fff '''HOLD'''}}} || || [[파일:와이와이_빝.png|height=70]] ||<|2> 조이콘의 버튼을 연타한다.[br]근데 한 쪽의 버튼만 연타하면 느려서 MISS가 나는 경우가 많아 양쪽 버튼을 연타하는 것을 추천. || || {{{#fff '''BEAT'''}}} || || [[파일:와이와이_슬.png|height=70]] ||<|2> 화살표 방향의 조이콘의 버튼을 누르거나 해당 방향으로 조이스틱을 움직인다.[br]버튼 조작 시, 화살표가 대각선 방향일 경우 어느 한 쪽의 맞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 위 방향일 경우 오른쪽과 위쪽 어느 한 쪽만 누르면 노트가 처리된다.] [* 모션 컨트롤을 이용하는 경우 해당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조이콘을 휘두른다.] || || {{{#fff '''SLIDE'''}}} || || [[파일:와이와이_슬라홀.png|height=70]] ||<|2> 화살표 방향의 조이콘의 버튼을 누르거나 조이스틱을 움직인 상태로 유지한다. || || {{{#fff '''SLIDE HOLD'''}}} || || [[파일:와이와이_듀슬.png|height=70]] ||<|2> 두 방향으로 갈라진 화살표 형태의 노트로 해당 방향의 버튼이나 조이스틱을 양쪽 동시에 누르거나 움직인다. || || {{{#fff '''DUAL SLIDE'''}}} || || [[파일:와이와이_스크.png|height=70]] ||<|2> 한 쪽의 조이스틱을 계속해서 움직인다.[* 조이콘 한 쪽의 버튼을 2~4개 번갈아가며 빠르게 입력하는 것으로 처리할 수도 있으나, 안정성이 떨어져 추천하지 않는다.][br]어느 한 쪽의 조이스틱으로 처리를 시작한 후 다른 쪽의 조이스틱만 움직이면 MISS 처리된다.[* 같은 원리로 조이콘 어느 한 쪽의 버튼으로 처리를 시작한 후 다른 쪽 조이스틱만 움직이면 MISS 처리가 된다.][* 모션컨트롤의 경우 조이콘을 계속해서 흔들어준다.] || || {{{#fff '''SCRATCH'''}}} || || [[파일:와이와이_크리.png|height=70]] ||<|2> 조이콘의 양쪽버튼을 동시에 누르거나, 양쪽 조이스틱을 동시에 움직인다. || || {{{#fff '''CRITICAL'''}}} || || [[파일:와이와이_듀홀.png|height=70]] ||<|2> 조이콘의 양쪽버튼을 동시에 누르거나, 양쪽 조이스틱을 동시에 움직인 상태로 유지한다. || || {{{#fff '''DUAL HOLD'''}}} || || ||<|2> [[GROOVE COASTER#s-3.3|눈에 보이지 않는 노트]]를 해당 타이밍에 맞게 조이콘의 버튼을 누르거나 조이스틱을 움직인다. || || {{{#fff '''AD-LIB'''}}} || === 아이템 === 메인 미션 조건 달성 시 획득할 수 있으며 [[GROOVE COASTER 4 STARLIGHT ROAD|아케이드]], [[GROOVE COASTER ZERO|모바일 버전]]과 다르게 소모품이 아닌 무제한 아이템이지만, 온라인에서는 GC를 소모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게임 시작 전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다. || [[파일:그코_safe.png|height=70]] ||<|2> 최대 10개까지의 MISS를 방어하고 GOOD 판정으로 바꾼다. || || {{{#fff '''SAFE'''}}} || || [[파일:그코_easy.png|height=70]] ||<|2> 모든 노트가 HIT, CRITICAL, HOLD만 나온다.[br]그 페널티로 스코어는 절반으로 줄어든다. [br]변환되는 노트가 없으면 스코어가 줄어들지 않는다. || || {{{#fff '''EASY TARGET'''}}} || || [[파일:그코_one hand.png|height=70]] ||<|2> 동시입력 노트를 단타 입력 노트로 변환한다. [br]변환된 동시입력 노트의 점수는 단타 노트로 계산된다. || || {{{#fff '''ONE HAND'''}}} || || [[파일:그코_perferct player.png|height=70]] ||<|2> 판정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키음]]과 AD-LIB 노트 소리가 정확하게 나온다. || || {{{#fff '''PERFECT PLAYER'''}}} || || [[파일:그코_break.png|height=70]] ||<|2> 10 MISS가 날 경우 BREAK가 되어 해당 게임이 즉시 종료되는 대신[br]클리어 시 '''더 많은 GC를 획득한다.''' || || {{{#fff '''BREAK'''}}} || || [[파일:그코_super safe.png|height=70]] ||<|2> 최대 20개까지의 MISS를 방어하고 GOOD 판정으로 바꾼다. || || {{{#fff '''SUPER SAFE'''}}} || || [[파일:그코_visible.png|height=70]] ||<|2> 모든 AD-LIB 노트를 보여준다. [br]보여지는 AD-LIB 노트는 HIDDEN,SUDDEN, STEALTH를 무시한다. || || {{{#fff '''VISIBLE'''}}} || === 옵션 === 아이템과 다르게 패널티를 추가하는 옵션인 대신, 활성화하면 더 많은 GC를 획득한다. 처음부터 전부 해금되어있으며, 게임 시작 전 선택하여 활성화 할 수 있고 곡마다 설정이 가능하다. 중복 선택이 가능하지만 일부 옵션은 중복 선택이 불가능하다. || [[파일:그코_MIRROR.png|height=50]] ||<|2> 화면의 좌우가 반전된다. [br] REVERSE와 중복 사용 불가 || || {{{#fff '''MIRROR'''}}} || || [[파일:그코_NO WAY.png|height=50]] ||<|2> 라인이 보이지 않게 된다. || || {{{#fff '''NO WAY'''}}} || || [[파일:그코_REVERSE.png|height=50]] ||<|2> 화면의 상하가 반전된다. [br] MIRROR와 중복 사용 불가 || || {{{#fff '''REVERSE'''}}} || || [[파일:그코_HIDDEN.png|height=50]] ||<|2> 노트가 아바타 근처에 오면 보이지 않게 된다. [br]단, VISIBLE을 사용할 경우 AD-LIB 노트는 보인다. [br]SUDDEN, STEALTH와 중복 사용 불가 || || {{{#fff '''HIDDEN'''}}} || || [[파일:그코_SUDDEN.png|height=50]] ||<|2> 노트가 아바타 근처에 올 때만 보이게 된다. [br]단, VISIBLE을 사용할 경우 AD-LIB 노트는 보인다. [br]HIDDEN, STEALTH와 중복 사용 불가 || || {{{#fff '''SUDDEN'''}}} || || [[파일:그코_JUST.png|height=50]] ||<|2> GREAT가 JUST라는 판정으로 변한다. [br]JUST를 제외한 모든 판정을 MISS로 처리한다. || || {{{#fff '''JUST'''}}} || || [[파일:그코_STEALTH.png|height=50]] ||<|2> '''모든 노트가 보이지 않게 된다.''' [br]단, VISIBLE을 사용할 경우 AD-LIB 노트가 보인다. [br]HIDDEN, SUDDEN과 중복 사용 불가 || || {{{#fff '''STEALTH'''}}} || === 판정 및 점수 === 판정은 GREAT, COOL, GOOD, MISS가 있다. 노트를 정확한 타이밍에 치면 GREAT판정을 받고, 조금 늦거나 빠르면 COOL, 너무 빠르거나 늦으면 GOOD, 놓치면 MISS판정이 나온다. 점수는 [[Cytus II]]의 MM과 같이 1,000,000점이 최고 점수이며 퍼펙트를 노린다면 AD-LIB도 점수에 포함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찾아야 한다. 노래 클리어시 점수로 랭크가 나누어 진다. || '''{{{#FFFF00 S++}}}''' || 990,000 ~ '''1,000,000''' || || '''{{{#FFFF00 S+}}}''' || 950,000 ~ 989,999 || || '''{{{#FFFF00 S}}}''' || 900,000 ~ 949,999 || || '''{{{#FE9A2E A}}}''' || 800,000 ~ 899,999 || || '''{{{#FF0000 B}}}''' || 700,000 ~ 799,999 || || '''{{{#FF00BF C}}}''' || 500,000 ~ 699,999 || || '''{{{#00FFFF D}}}''' || 300,000 ~ 499,999 || || '''{{{#6385ff E}}}''' || 0 ~ 299,999 || 결과는 총 6가지가 존재하며, 결과창에서 FULL CHAIN과 NO MISS는 CLEAR로 표시된다. || '''{{{#FF0000 P}}}{{{#FE9A2E E}}}{{{#FFFF00 R}}}{{{#009500 F}}}{{{#00FFFF E}}}{{{#6385ff C}}}{{{#FF00BF T}}}''' || AD-LIB 을 포함한 모든 노트를 GREAT판정으로 처리 || || '''{{{#FFFF00 FULL CHAIN}}}''' || AD-LIB 노트를 포함한 모든 노트를 놓치지 않고 처리 || || '''{{{#FFFF00 NO MISS}}}''' || AD-LIB 노트를 제외한 모든 노트를 놓치지 않고 처리 || || '''{{{#FFFF00 CLEAR}}}''' || 그루브 게이지가 70%를 넘고, 한 번 이상의 MISS가 날 경우 || || '''{{{#6385ff FAILED}}}''' || 그루브 게이지가 70% 넘지 못한 경우 [br] 챌린지의 경우 라이프가 전부 소모되었을 경우 || || '''{{{#FF0000 BREAK}}}''' || BREAK 아이템을 사용한 후 10회 이상의 MISS가 날 경우 [br] 게이지 비율을 무시하고 FAILED로 처리 || === 그루브 코인(GC) === 그루브 코인(GC)은 노래를 클리어 한 후 결과에 따라 지급되는 코인이다. GC은 미션 클리어 조건으로 주로 사용되며, 다른 클리어 조건을 가진 미션을 강제로 클리어하는데 사용거나, 온라인 매치에서 아이템을 사용할 경우에도 GC이 사용된다. 지급되는 GC는 난이도, 레벨에 관계없이 동일하며, 옵션과 BREAK로 획득하는 추가 GC는 FAILED 판정이 나오면 지급되지 않는다. || '''GC 지급 증감요소''' || '''증감액''' || || '''PERFECT''' || 130 GC [br](지급 기준값 ) || || '''랭크 하락''' || 단계당 -10 GC [br] 최대 -70 GC || || '''결과 하락''' || 단계당 -10 GC [br] 최대 -40 GC || || '''MIRROR [br] NO WAY [br] REVERSE''' || +10 GC || || '''HIDDEN [br] SUDDEN''' || +20 GC || || '''JUST [br] SREALTH''' || +30 GC || || '''BREAK''' || +50 GC || 이론상 GC를 최대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은 PERFECT + BREAK + JUST + SREALTH + NO WAY + MIRROR or REVERSE 를 전부 사용하는 것으로, 총 260을 획득할 수 있다. 온라인 매치에서 아이템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GC는 다음과 같다. || [[파일:그코_safe.png|height=70]] || [[파일:그코_easy.png|height=70]] || [[파일:그코_super safe.png|height=70]] || [[파일:그코_one hand.png|height=70]] || [[파일:그코_perferct player.png|height=70]] || [[파일:그코_break.png|height=70]] || [[파일:그코_visible.png|height=70]] || || {{{#fff '''SAFE'''}}} || {{{#fff '''EASY [br]TARGET'''}}} || {{{#fff '''SUPER [br]SAFE'''}}} || {{{#fff '''ONE [br]HAND'''}}} || {{{#fff '''PERFECT [br]PLAYER'''}}} || {{{#fff '''BREAK'''}}} || {{{#fff '''VISIBLE'''}}} || || 500 GC || 500 GC || 1000 GC || 500 GC || 500 GC || 사용 불가 || 1000GC || == 메뉴 == ||[[파일:슻그코메뉴.jpg|width=100%]]|| === 플레이 모드 === * Solo Play: 말그대로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환경에서 혼자서 보유한 노래들을 플레이 하는 모드이다. * Online Multiplayer: 온라인 랭크매치를 하거나 해당 게임을 보유한 멀리 사는 친구를 초대해 플레이하는 모드이다.[* [[Nintendo Switch Online|Switch Online]]구독을 해야 이용이 가능한 모드이니 구독을 안한상태라면 참고하자] * Play With Others: 해당 스위치 기기 한대로 최대 4명이서 플레이 하는 모드이다 * Local Matching: 최대 2~4대의 스위치가 같이 플레이하는 모드이다.[* 이 경우 로컬매치를 할 스위치 모두가 그루브코스터를 보유해야만 같이 가능하다.] === [[GROOVE COASTER WAI WAI PARTY!!!!/챌린지|챌린지]] === 한번에 여러곡을 릴레이로 플레이하는 모드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ROOVE COASTER WAI WAI PARTY!!!!/챌린지)] === 미션 === 미션 조건을 충족시키면 내비게이터, 아바타, 곡, 칭호 등을 해금 시킬 수 있으며 후속 미션 또한 해금 시킬 수 있다. * 플레이 카운트 미션 같은 경우 미션이 해금된 이후부터 카운팅이 시작된다.[* Solo Play 모드에서만 카운팅 됨] * 칭호가 보상인 미션 같은 경우 미션 해금 이전에 조건이 충족되면 미션 해금과 동시에 보상을 얻을 수 있다. * 조건이 충족되지 않더라도 GC를 사용하여 해금할 수 있다. GC 소비가 필요한 미션도 있으며, GC 획득 미션을 GC를 사용하여 해금할 경우 미션에서 필요로 하는 GC 만큼의 GC를 요구한다. * DLC 각 팩마다 미션이 존재한다. * [[https://www.wikihouse.com/groove/index.php?Groove%20Coaster%A1%CASwitch%C8%C7%A1%CB%2F%A5%DF%A5%C3%A5%B7%A5%E7%A5%F3|비공식 위키/미션]] ==== 메인 미션 목록 ==== || {{{#fff '''메인 미션 맵'''}}} || || [[파일:슻그코_ミッションマップ.jpg|width=100%]][br][[https://www.wikihouse.com/groove/index.php?plugin=attach&refer=Groove%20Coaster%A1%CASwitch%C8%C7%A1%CB%2F%A5%DF%A5%C3%A5%B7%A5%E7%A5%F3&openfile=%A5%DF%A5%C3%A5%B7%A5%E7%A5%F3%A5%DE%A5%C3%A5%D7.jpg|원본 이미지]]|| ||<-8>
'''미션 수''' || || '''노래 🎵''' || '''아바타 [[파일:external/cdn.wikimg.net/Space_Invaders_medium.png|width=30]]''' || '''그루코 (GC)''' || '''아이템 🎁''' || '''네비게이터 👤''' || '''스킨 🦋''' || '''칭호 🥇''' || '''효과음 🔊''' || || '''29''' || '''97''' || '''21''' || '''7''' || '''22''' || '''19''' || '''98''' || '''7''' || ||<-8>{{{#!wiki style="margin:-12px -2px" || {{{#000 '''총 300가지'''}}} ||}}}|| ||<-4> {{{#664B00,#fff '''노래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노래 01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츄루리라·츄루리라·땃땃따!|チュルリラ・チュルリラ・ダッダッダ!]] || 500GC || || 노래 02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으로 3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六兆年と一夜物語]] || 300GC || || 노래 03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NO MISS를 달성 || [[腐れ外道とチョコレゐト]] || 1000GC || || 노래 04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으로 3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메테오(VOCALOID 오리지널 곡)|METEOR]] || 300GC || || 노래 05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으로 3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アンドロイドガール]] || 300GC || || 노래 06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NO MISS를 달성 || Captain Murasa [Tracy vs. Astronomical Mix] || 1000GC || || 노래 07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畢竟成仏 || 500GC || || 노래 08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FULL CHAIN을 달성 || taboo tears you up 2017 -GC EDIT- || □GC || || 노래 09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에서 FULL CHAIN을 달성 || ジョーカー・ジュンコ ~ 永遠の純化 || 500GC || || 노래 10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FullMoon || 500GC || || 노래 11 || 【카운트】게임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NO MISS를 달성 || 小夜のテーマ ~とぱぞのアレンジ~ || 1000GC || || 노래 12 || 【카운트】게임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バトル#2 ~ヒゲドライバーMIX~ || 500GC || || 노래 13 || 【카운트】게임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ライトニング・デュアルホープ (GC Mix) || 500GC || || 노래 14 || 【카운트】게임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Freedom]] || 500GC || || 노래 15 || 【카운트】버라이어티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FULL CHAIN을 달성 || [[Jack-the-Ripper◆]] || □GC || || 노래 16 || 【카운트】버라이어티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Brain Power]] || 500GC || || 노래 17 || 【카운트】버라이어티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에서 FULL CHAIN을 달성 || [[ouroVoros]][* BMS곡] || □GC || || 노래 18 || 【카운트】버라이어티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에서 FULL CHAIN을 달성 || Party 4U ’’holy nite mix’’ || □GC || || 노래 19 || 【카운트】버라이어티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NO MISS를 달성 || [[AXION]] || □GC || || 노래 20 || 【카운트】버라이어티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NO MISS를 달성 || Tropics -GC edit- || □GC || || 노래 21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NO MISS를 달성 || An indignant world || 1000GC || || 노래 22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It's a pit world || 500GC || || 노래 23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NO MISS를 달성 || Shiva || 1000GC || || 노래 24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에서 FULL CHAIN을 달성 || VOLT || □GC || || 노래 25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FULL CHAIN을 달성 || Cosmic Ray || □GC || || 노래 26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Got more raves? || □GC || || 노래 27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NO MISS를 달성 || MERLIN || 1000GC || || 노래 28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10개의 스테이지에서 NO MISS를 달성 || Horizons || 1000GC || || 노래 29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5개의 스테이지에서 FULL CHAIN을 달성 || ADRENA || □GC || }}} || ||<-4> {{{#fff '''아바타 [[파일:external/cdn.wikimg.net/Space_Invaders_medium.png|width=30]]'''}}}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아바타 01 || 【카운트】Tobitate! DreamParty를 1회 플레이 || 유메(2D) || □GC || || 아바타 02 || 【카운트】Kimi no Starlight Road를 1회 플레이 || 세이네(2D) || 300GC || || 아바타 03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2회 플레이 || 키리사메 마리사(2D) || □GC || || 아바타 04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치르노(3D) || □GC || || 아바타 05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2회 플레이 || 이자요이 사쿠야(2D) || □GC || || 아바타 06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5회 플레이 || 플랑드르 스칼렛(3D) || □GC || || 아바타 07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2회 플레이 || 콘파쿠 요우무(2D) || □GC || || 아바타 08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5회 플레이 || 앨리스 마가트로이드(2D) || □GC || || 아바타 09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5회 플레이 ||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3D) || □GC || || 아바타 10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샤메이마루 아야(3D) || □GC || || 아바타 11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코치야 사나에(2D) || □GC || || 아바타 12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5회 플레이 || 모리야 스와코(2D) || □GC || || 아바타 13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스쿠나 신묘마루(3D) || □GC || || 아바타 14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5회 플레이 || 호리카와 라이코(2D) || □GC || || 아바타 15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5회 플레이 || 순호(2D) || □GC || || 아바타 16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5회 플레이 || 마타라 오키나(2D) || □GC || || 아바타 17 || 【카운트】*Hello, Planet을 1회 플레이 || 하츠네 미쿠(2D) || □GC || || 아바타 18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하츠네 미쿠(3D) || □GC || || 아바타 19 || 【카운트】ROKI를 1회 플레이 || 카가미네 린(2D) || □GC || || 아바타 20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카가미네 린(3D) || □GC || || 아바타 21 || 【카운트】BRING IT ON을 1회 플레이 || 카가미네 렌(2D) || □GC || || 아바타 22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카가미네 렌(3D) || □GC || || 아바타 23 || 【카운트】Happy Synthesize를 1회 플레이 || 메구리네 루카(2D) || □GC || || 아바타 24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메구리네 루카(3D) || □GC || || 아바타 25 || 【카운트】Six Trillion Years and One Nught Story를 1회 플레이 || IA(2D) || □GC || || 아바타 26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IA(3D) || □GC || || 아바타 27 || 【카운트】Please Darling을 1회 플레이 || ONE(2D) || □GC || || 아바타 28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ONE(3D) || □GC || || 아바타 29 || 【카운트】ECHO를 1회 플레이 || GUMI(2D) || □GC || || 아바타 30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GUMI(3D) || □GC || || 아바타 31 || 【카운트】Akane chan Will Listen to Whatever You Have to Say를 1회 플레이 || 코토노하 아카네(2D) || □GC || || 아바타 32 || 【카운트】Akane chan Will Listen to Whatever You Have to Say를 1회 플레이 || 코토노하 아오이(2D) || □GC || || 아바타 33 || 【카운트】Akane chan Will Listen to Whatever You Have to Say를 1회 플레이 || 코토노하 아카네(Seyana.) || □GC || || 아바타 34 || 【카운트】Chururira Chururira Daddadda!를 1회 플레이 || 유즈키 유카리(2D) || □GC || || 아바타 35 || 【카운트】Mirai to Mirai를 1회 플레이 || 미라이 아카리(2D) || □GC || || 아바타 36 || 【카운트】보컬에 「전뇌소녀 시로」나「카구라 스즈」혹은「모코타 메메메」가 포함되는 곡을 1회 플레이 || 전뇌소녀 시로(2019여름) || □GC || || 아바타 37 || 【카운트】보컬에 「전뇌소녀 시로」나「카구라 스즈」혹은「모코타 메메메」가 포함되는 곡을 1회 플레이 || 카구라 스즈(2D) || □GC || || 아바타 38 || 【카운트】보컬에 「전뇌소녀 시로」나「카구라 스즈」혹은「모코타 메메메」가 포함되는 곡을 1회 플레이 || 모코타 메메메(2D) || □GC || || 아바타 39 || 【카운트】보컬에 「츠키노 미토」가 포함되는 곡을 1회 플레이 || 츠키노 미토(□D) || □GC || || 아바타 40 || 【카운트】The First Sound를 1회 플레이 || 시스터 클레어(2D) || 300GC || || 아바타 41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히구치 카에데(2D) || □GC || || 아바타 42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엘프 에루(2D) || □GC || || 아바타 43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사사키 사쿠(2D) || □GC || || 아바타 44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시즈카 린(2D) || □GC || || 아바타 45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시이나 유이카(2D) || □GC || || 아바타 46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모노노베 아리스(2D) || □GC || || 아바타 47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혼마 히마와리(2D) || □GC || || 아바타 48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유즈키 로아(2D) || □GC || || 아바타 49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유우키 치히로(2D) || □GC || || 아바타 50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린도 미코토(2D) || □GC || || 아바타 51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류셴(2D) || □GC || || 아바타 52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스즈카 우타코(2D) || □GC || || 아바타 53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모리나카 카자키(2D) || □GC || || 아바타 54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쿠즈하(2D) || □GC || || 아바타 55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카나에(2D) || □GC || || 아바타 56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켄모치 토우야(2D) || □GC || || 아바타 57 || 【카운트】Hitogata를 1회 플레이 || 타나카 히메(2D) || □GC || || 아바타 58 || 【카운트】Hitogata를 1회 플레이 || 스즈키 히나(2D) || □GC || || 아바타 59 || 【카운트】보컬에 「Kizuna AI」가 포함되는 곡을 1회 플레이 || 키즈나 아이(2D) || □GC || || 아바타 60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SQUID(2D) || □GC || || 아바타 61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OCTOPUS(2D) || □GC || || 아바타 62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GC CRAB(2D) || □GC || || 아바타 63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BIRD(3D) || □GC || || 아바타 64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BUTTERFLY(3D) || □GC || || 아바타 65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GOLDFISH(3D) || □GC || || 아바타 66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PHEONIX(3D) || □GC || || 아바타 67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DOLPHIN(3D) || □GC || || 아바타 68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ENERGY(3D0) || □GC || || 아바타 69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LIGHT(3D) || □GC || || 아바타 70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HUMAN(3D) || □GC || || 아바타 71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RAPID(3D) || □GC || || 아바타 72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UFO(3D) || □GC || || 아바타 73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SPARK(2D) || □GC || || 아바타 74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GENE(2D) || □GC || || 아바타 75 || 【카운트】Freedom을 1회 플레이 || SILVER HAWK(3D) || □GC || || 아바타 76 || 【카운트】Bubble Bobble Medley를 1회 플레이 || BUBBLUN(2D) || □GC || || 아바타 77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SPACE INVADERS(2D) || □GC || || 아바타 78 || 【카운트】Bubble Bobble Medley를 1회 플레이 || BOBBLUN(2D) || □GC || || 아바타 79 || 【카운트】Sayo No Theme ~t+pazolite Arrange~를 1회 플레이 || SAYO(2D) || □GC || || 아바타 80 || 【카운트】A Lightning Dual Hope (GC Mix)를 1회 플레이 || Iron Fossil(3D) || □GC || || 아바타 81 || 【카운트】THE SEVENTH BOSS 2019(GC Mix)를 1회 플레이 || Great Thing(3D) || □GC || || 아바타 82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CANNON(2D) || □GC || || 아바타 83 || 【카운트】300GC으로 교환 || R-GRAY1(3D) || □GC || || 아바타 84 || 【카운트】FULL CHAIN을 10회 달성 || PEGASUS(3D) || □GC || || 아바타 85 || 【카운트】FULL CHAIN을 10회 달성 || SEA TURTLE(3D) || □GC || || 아바타 86 || 【카운트】FULL CHAIN을 10회 달성 || DRAGON(3D) || □GC || || 아바타 87 || 【카운트】FULL CHAIN을 10회 달성 || PAPER CRANE(3D) || □GC || || 아바타 88 || 【카운트】NO MISS를 10회 달성 || HORSE(3D) || 1000GC || || 아바타 89 || 【카운트】NO MISS를 10회 달성 || SHEEP(3D) || 1000GC || || 아바타 90 || 【카운트】NO MISS를 10회 달성 || BOAR(3D) || 1000GC || || 아바타 91 || 【카운트】NO MISS를 10회 달성 || DOG(3D) || 1000GC || || 아바타 92 || 【카운트】NO MISS를 10회 달성 || CHICK(3D) || 1000GC || || 아바타 93 || 【카운트】NO MISS를 10회 달성 || MONKEY(3D) || 1000GC || || 아바타 94 || 【카운트】PERFECT를 10회 달성 || HELICOPTER(3D) || □GC || || 아바타 95 || 【카운트】PERFECT를 10회 달성 || SKULL(3D) || □GC || || 아바타 96 || 【카운트】PERFECT를 10회 달성 || SCISSORS(3D) || □GC || || 아바타 97 || 【카운트】PERFECT를 10회 달성 || GEAR(2D) || □GC || }}} || ||<-4> {{{#664B00,#fff '''그루코 (GC)'''}}}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그루코 01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2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2 || 【카운트】애니메이션 ・ 팝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2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3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2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4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2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5 || 【카운트】게임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2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6 || 【카운트】버라이어티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2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7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 중에서 S평가 이상으로 2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8 || 【카운트】애니메이션 ・ 팝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09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10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11 || 【카운트】게임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12 || 【카운트】버라이어티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13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14 || 【카운트】애니메이션 ・ 팝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15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5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16 || 【카운트】애니메이션 ・ 팝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1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2000GC || 2000GC || || 그루코 17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1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2000GC || 2000GC || || 그루코 18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1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2000GC || 2000GC || || 그루코 19 || 【카운트】게임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1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2000GC || 2000GC || || 그루코 20 || 【카운트】버라이어티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1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2000GC || 2000GC || || 그루코 21 || 【카운트】오리지널 장르의 곡으로 S평가 이상을 받으며 1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2000GC || 2000GC || }}} || ||<-4> {{{#fff '''아이템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아이템 01 || 300GC으로 교환 || SAFE || 300GC || || 아이템 02 || 【카운트】아이템을 사용해서 5회 플레이 || EASY TARGET || □GC || || 아이템 03 || 【카운트】아이템을 사용해서 5회 플레이 || ONE HAND || □GC || || 아이템 04 || 【카운트】아이템을 사용해서 30회 플레이 || PERFECT PLAYER || 3000GC || || 아이템 05 || 【카운트】아이템을 사용해서 10회 플레이 || BREAK || □GC || || 아이템 06 || 【카운트】아이템을 사용해서 5회 플레이 || SUPER SAFE || □GC || || 아이템 07 || 【카운트】아이템을 사용해서 10회 플레이 || VISIBLE || 1000GC || }}} || ||<-4> {{{#fff '''네비게이터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네비게이터 01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1회 플레이 || [[하쿠레이 레이무]] || □GC || || 네비게이터 02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1회 플레이 || [[키리사메 마리사]] || □GC || || 네비게이터 03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1회 플레이 || [[치르노]] || □GC || || 네비게이터 04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1회 플레이 || [[레밀리아 스칼렛]] || □GC || || 네비게이터 05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3회 플레이 || [[사이교우지 유유코]] || □GC || || 네비게이터 06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3회 플레이 || [[호라이산 카구야]] || □GC || || 네비게이터 07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3회 플레이 || [[스쿠나 신묘마루]] || □GC || || 네비게이터 08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3회 플레이 || [[순호]] || □GC || || 네비게이터 09 || 【카운트】동방 어레인지 장르의 곡을 3회 플레이 || [[마타라 오키나]] || □GC || || 네비게이터 10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을 1회 플레이 || [[하츠네 미쿠]] || □GC || || 네비게이터 11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을 1회 플레이 || [[IA -ARIA ON THE PLANETES-|IA]] || □GC || || 네비게이터 12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을 1회 플레이 || [[ONE -ARIA ON THE PLANETES-|ONE]] || □GC || || 네비게이터 13 || 【카운트】보컬로이드 장르의 곡을 1회 플레이 || [[Megpoid|GUMI]] || □GC || || 네비게이터 14 || 【카운트】[[아무말이나 해도 다 들어주는 아카네짱|Seyana.~何でも言うことを聞いてくれるアカネチャン~]]을 1회 플레이 || [[코토노하 아카네·아오이|코토노하 아카네]] || □GC || || 네비게이터 15 || 【카운트】[[아무말이나 해도 다 들어주는 아카네짱|Seyana.~何でも言うことを聞いてくれるアカネチャン~]]을 1회 플레이 || [[코토노하 아카네·아오이|코토노하 아오이]] || □GC || || 네비게이터 16 || 【카운트】[[チュルリラ・チュルリラ・ダッダッダ!]]를 1회 플레이 || [[유즈키 유카리]] || □GC || || 네비게이터 17 || 【카운트】[[나유탄 성인#s-3.3|ミライトミライ]]를 1회 플레이 || [[미라이 아카리]] || □GC || || 네비게이터 18 || 【카운트】보컬에 「[[전뇌소녀 시로]]」나「[[카구라 스즈]]」혹은「[[모코타 메메메]]」가 포함되는 곡을 1회 플레이 || [[전뇌소녀 시로]] || 100GC || || 네비게이터 19 || 【카운트】보컬에 「[[츠키노 미토]]」가 포함된 곡을 1회 플레이 || [[츠키노 미토]] || □GC || || 네비게이터 20 || 【카운트】[[ヒトガタ]]를 1회 플레이 || [[히메히나|타나카 히메]] || □GC || || 네비게이터 21 || 【카운트】[[ヒトガタ]]를 1회 플레이 || [[히메히나|스즈키 히나]] || □GC || || 네비게이터 22 || 【카운트】보컬에 「[[키즈나 아이|Kizuna AI]]」가 포함되는 곡을 1회 플레이 || [[키즈나 아이|Kizuna AI]] || □GC || }}} || ||<-4> {{{#002c00,#fff '''스킨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스킨 01 || 【카운트】[[U.S.A.(DA PUMP)|U.S.A.]]를 S평가 이상으로 1회 클리어 || BASIC || □GC || || 스킨 02 || 【카운트】Lost Colors를 S평가 이상으로 1회 클리어 || FLOWER || □GC || || 스킨 03 || 【카운트】[[月に叢雲華に風]]를 S평가 이상으로 1회 클리어 || FIREWORKS || □GC || || 스킨 04 || 【카운트】[[ウミユリ海底譚]]를 S평가 이상으로 1회 클리어 || MARBLES || □GC || || 스킨 05 || 【카운트】[[すーぱーぬこになりたい]]를 S평가 이상으로 1회 클리어 || MID-CENTURY || □GC || || 스킨 06 || 【카운트】[[ロストワンの号哭]]를 S평가 이상으로 1회 클리어 || INFINITY GENE || □GC || || 스킨 07 || 【카운트】[[드라마투르기(VOCALOID 오리지널 곡)|ドラマツルギー]]를 S평가 이상으로 1회 클리어 || MOLECULES || □GC || || 스킨 08 || 【카운트】500GC으로 교환 || BUTTERFLY || 500GC || || 스킨 09 || 【카운트】THE SEVENTH BOSS 2019 (GC Mix)를 S평가 이상으로 2회 클리어 || PAISLEY || □GC || || 스킨 10 || 【카운트】KUNG FU GIRL를 S평가 이상으로 2회 클리어 || 8BIT || □GC || || 스킨 11 || 【카운트】[[B.B.K.K.B.K.K.]]를 S평가 이상으로 2회 클리어 || BRIGHTNESS || □GC || || 스킨 12 || 【카운트】[[ゴーストルール]]를 S평가 이상으로 2회 클리어 || HOLOGRAM || □GC || || 스킨 13 || 【카운트】[[Lemon(요네즈 켄시)|Lemon]]를 S평가 이상으로 2회 클리어 || HEAVEN || □GC || || 스킨 14 || 【카운트】1000GC으로 교환 || SNOW || 1000GC || || 스킨 15 || 【카운트】[[明星ロケット]]를 S평가 이상으로 3회 클리어 || FEATHER || □GC || || 스킨 16 || 【카운트】飛び立て!ドリームパーティー를 S평가 이상으로 3회 클리어 || NOTE || □GC || || 스킨 17 || 【카운트】君のStarlight Road를 S평가 이상으로 3회 클리어 || STAR || □GC || || 스킨 18 || 【카운트】[[Bad ∞ End ∞ Night]]를 S평가 이상으로 3회 클리어 || HORROR || □GC || || 스킨 19 || 【카운트】[[森羅万象/앨범#s-2.10|あうんどばいみー]]를 S평가 이상으로 3회 클리어 || HEART || □GC || }}} || ||<-4> {{{#fff '''칭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칭호 01 || 【스페셜】튜토리얼을 플레이 || GROOVER || □GC || || 칭호 02 || 【토탈】1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ルーキー || □GC || || 칭호 03 || 【토탈】2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駆け出し || □GC || || 칭호 04 || 【토탈】6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練習中 || □GC || || 칭호 05 || 【토탈】10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中級者 || □GC || || 칭호 06 || 【토탈】20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一人前 || □GC || || 칭호 07 || 【토탈】30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上級者 || □GC || || 칭호 08 || 【토탈】40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ベテラン || □GC || || 칭호 09 || 【토탈】50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大物 || 8000GC || || 칭호 10 || 【토탈】600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 ?? || 8000GC || || 칭호 11 || 【토탈】S평가를 1개의 EASY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幼稚園児 || □GC || || 칭호 12 || 【토탈】S평가를 10개의 EASY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小学生 || □GC || || 칭호 13 || 【토탈】S평가를 20개의 EASY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中学生 || □GC || || 칭호 14 || 【토탈】S평가를 40개의 EASY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高校生 || □GC || || 칭호 15 || 【토탈】S평가를 60개의 EASY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準学士 || □GC || || 칭호 16 || 【토탈】S평가를 100개의 EASY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学士 || □GC || || 칭호 17 || 【토탈】S평가를 140개의 EASY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修士 || □GC || || 칭호 18 || 【토탈】S평가를 180개의 EASY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博士 || □GC || || 칭호 19 || 【토탈】S평가를 200개의 EASY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名誉博士 || □GC || || 칭호 20 || 【토탈】S평가를 1개의 NORMAL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少尉 || □GC || || 칭호 21 || 【토탈】S평가를 10개의 NORMAL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中尉 || □GC || || 칭호 22 || 【토탈】S평가를 20개의 NORMAL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大尉 || □GC || || 칭호 23 || 【토탈】S평가를 40개의 NORMAL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少佐 || □GC || || 칭호 24 || 【토탈】S평가를 60개의 NORMAL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中佐 || □GC || || 칭호 25 || 【토탈】S평가를 100개의 NORMAL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大佐 || □GC || || 칭호 26 || 【토탈】S평가를 140개의 NORMAL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少将 || □GC || || 칭호 27 || 【토탈】S평가를 180개의 NORMAL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中将 || □GC || || 칭호 28 || 【토탈】S평가를 200개의 NORMAL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大将 || □GC || || 칭호 29 || 【토탈】S평가를 1개의 HARD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凡人 || □GC || || 칭호 30 || 【토탈】S평가를 10개의 HARD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名人 || □GC || || 칭호 31 || 【토탈】S평가를 20개의 HARD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達人 || □GC || || 칭호 32 || 【토탈】S평가를 40개의 HARD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超人 || □GC || || 칭호 33 || 【토탈】S평가를 60개의 HARD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仙人 || □GC || || 칭호 34 || 【토탈】S평가를 100개의 HARD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鬼神 || □GC || || 칭호 35 || 【토탈】S평가를 140개의 HARD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修羅 || □GC || || 칭호 36 || 【토탈】S평가를 180개의 HARD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羅刹 || □GC || || 칭호 37 || 【토탈】S평가를 200개의 HARD 스테이지에서 달성 || S級神 || □GC || || 칭호 38 || 【토탈】S평가를 1개의 MASTER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STER級序の口 || □GC || || 칭호 39 || 【토탈】S평가를 5개의 MASTER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STER級三段目 || □GC || || 칭호 40 || 【토탈】S평가를 10개의 MASTER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STER級幕下 || □GC || || 칭호 41 || 【토탈】S평가를 20개의 MASTER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STER級十両 || □GC || || 칭호 42 || 【토탈】S평가를 30개의 MASTER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STER級前頭 || □GC || || 칭호 43 || 【토탈】S평가를 50개의 MASTER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STER級小結 || □GC || || 칭호 44 || 【토탈】S평가를 70개의 MASTER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STER級関脇 || □GC || || 칭호 45 || 【토탈】S평가를 90개의 MASTER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STER級大関 || □GC || || 칭호 46 || 【토탈】S평가를 100개의 MASTER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STER級横綱 || □GC || || 칭호 47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1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一級 || □GC || || 칭호 48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5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初段 || □GC || || 칭호 49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1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二段 || □GC || || 칭호 50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2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三段 || □GC || || 칭호 51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3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四段 || □GC || || 칭호 52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4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五段 || □GC || || 칭호 53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5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六段 || □GC || || 칭호 54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6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七段 || □GC || || 칭호 55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7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八段 || □GC || || 칭호 56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8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九段 || □GC || || 칭호 57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9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十段 || □GC || || 칭호 58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100곡에서 달성 || グルーヴ皆伝 || □GC || || 칭호 59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1곡에서 달성 || S+級パン || □GC || || 칭호 60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10곡에서 달성 || S+級サラダ || □GC || || 칭호 61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20곡에서 달성 || S+級コーヒー || □GC || || 칭호 62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30곡에서 달성 || S+級ラーメン || □GC || || 칭호 63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40곡에서 달성 || S+級カレー || □GC || || 칭호 64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50곡에서 달성 || S+級パスタ || □GC || || 칭호 65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60곡에서 달성 || S+級ケーキ || □GC || || 칭호 66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70곡에서 달성 || S+級そば || □GC || || 칭호 67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80곡에서 달성 || S+級プリン || □GC || || 칭호 68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90곡에서 달성 || S+級オムライス || □GC || || 칭호 69 || 【토탈】각 조작 타입의 모든 난이도로 S+평가를 100곡에서 달성 || S+級うどん || □GC || || 칭호 70 || 【토탈】NO MISS를 1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PAWN || □GC || || 칭호 71 || 【토탈】NO MISS를 2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KNIGHT || □GC || || 칭호 72 || 【토탈】NO MISS를 6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BISHOP || □GC || || 칭호 73 || 【토탈】NO MISS를 1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ROOK || □GC || || 칭호 74 || 【토탈】NO MISS를 2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PRINCESS || □GC || || 칭호 75 || 【토탈】NO MISS를 300개 스테이지에서 달성 || PRINCE || □GC || || 칭호 76 || 【토탈】NO MISS를 4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QUEEN || □GC || || 칭호 77 || 【토탈】NO MISS를 5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KING || □GC || || 칭호 78 || 【토탈】FULL CHAIN을 1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MUSICIAN || □GC || || 칭호 79 || 【토탈】FULL CHAIN을 2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ARTIST || □GC || || 칭호 80 || 【토탈】FULL CHAIN을 4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TECHNICIAN || □GC || || 칭호 81 || 【토탈】FULL CHAIN을 6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MAGICIAN || □GC || || 칭호 82 || 【토탈】FULL CHAIN을 1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PRO || □GC || || 칭호 83 || 【토탈】FULL CHAIN을 2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STAR || □GC || || 칭호 84 || 【토탈】FULL CHAIN을 3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BIG STAR || □GC || || 칭호 85 || 【토탈】FULL CHAIN을 4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SUPER STAR || □GC || || 칭호 86 || 【토탈】FULL CHAIN을 5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FANTASISTA || □GC || || 칭호 87 || 【토탈】PERFECT를 1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初PERFECT || □GC || || 칭호 88 || 【토탈】PERFECT를 1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入門者 || □GC || || 칭호 89 || 【토탈】PERFECT를 2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玖級 || □GC || || 칭호 90 || 【토탈】PERFECT를 4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捌級 || □GC || || 칭호 91 || 【토탈】PERFECT를 6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漆級 || □GC || || 칭호 92 || 【토탈】PERFECT를 8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陸級 || □GC || || 칭호 93 || 【토탈】PERFECT를 1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伍級 || □GC || || 칭호 94 || 【토탈】PERFECT를 12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肆級 || □GC || || 칭호 95 || 【토탈】PERFECT를 14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参級 || □GC || || 칭호 96 || 【토탈】PERFECT를 16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弐級 || □GC || || 칭호 97 || 【토탈】PERFECT를 18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壱級 || □GC || || 칭호 98 || 【토탈】PERFECT를 200개의 스테이지에서 달성 || 神・初段 || □GC || }}} || ||<-4> {{{#000,#fff '''효과음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효과음 01|| 【카운트】[[チルドレンレコード]]를 S평가 이상으로 1회 클리어 || Drums || □GC || || 효과음 02|| 【카운트】揺蕩うLove (feat. らっぷびと)를 S평가 이상으로 1회 클리어 || Percussion || □GC || || 효과음 03|| 【카운트】While Shining feat. Yukacco를 S평가 이상으로 2회 클리어 || Synthesizer || □GC || || 효과음 04|| 【카운트】影の伝説 ~豚乙女mix~를 S평가 이상으로 2회 클리어 || Japanese || □GC || || 효과음 05|| 【카운트】[[脳漿炸裂ガール]]를 S평가 이상으로 2회 클리어 || Chinese || □GC || || 효과음 06|| 【카운트】[[LINK LINK FEVER!!!]]를 S평가 이상으로 3회 클리어 || Space Invaders || □GC || || 효과음 07|| 【카운트】The world of spirit를 S평가 이상으로 3회 클리어 || DARIUS || □GC || }}} || ==== [[언더테일|UNDERTALE]] 팩 미션 목록 ==== || {{{#fff '''UNDERTALE 팩 미션 맵'''}}} || || [[파일:슻그코_ミッションマップ undertale.jpg|width=100%]][br][[https://www.wikihouse.com/groove/index.php?plugin=attach&refer=Groove%20Coaster%A1%CASwitch%C8%C7%A1%CB%2F%A5%DF%A5%C3%A5%B7%A5%E7%A5%F3&openfile=%A5%DF%A5%C3%A5%B7%A5%E7%A5%F3%A5%DE%A5%C3%A5%D7%20undertale.jpg|원본 이미지]]|| ||<-4> {{{#664B00,#fff '''노래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노래 01 || 【카운트】UNDERTALE 팩에서 초기 상태부터 플레이 할 수 있는 모든 곡을 1회씩 플레이 || [[제빌#s-2.1|THE WORLD REVOLVING]] || □GC || }}} || ||<-4> {{{#fff '''아바타 [[파일:external/cdn.wikimg.net/Space_Invaders_medium.png|width=30]]'''}}}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아바타 01 || 【카운트】UNDERTALE 팩의 모든 곡을 2회씩 플레이 || [[주인공(언더테일)|인간]] || □GC || || 아바타 02 || 【카운트】UNDERTALE 팩의 모든 곡을 2회씩 플레이 || [[플라위]] || □GC || || 아바타 03 || 【카운트】UNDERTALE 팩의 모든 곡을 2회씩 플레이 || [[언더테일/여섯 인간|영혼]] || □GC || || 아바타 04 || 【카운트】UNDERTALE 팩의 모든 곡을 2회씩 플레이 || [[냅스타블룩]] || □GC || || 아바타 05 || 【카운트】UNDERTALE 팩의 모든 곡을 2회씩 플레이 || [[테미]] || □GC || || 아바타 06 || 【카운트】UNDERTALE 팩의 모든 곡을 2회씩 플레이 || [[짜증나는 개]] || □GC || }}} || ||<-4> {{{#664B00,#fff '''그루코 (GC)'''}}}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그루코 01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중 S평가 이상으로 2 스테이지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2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2 스테이지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3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2 스테이지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4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2 스테이지 클리어 || 500GC || 500GC || || 그루코 05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5 스테이지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06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5 스테이지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07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5 스테이지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08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5 스테이지 클리어 || 1000GC || 1000GC || || 그루코 09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10 스테이지 클리어 || 2000GC || 2000GC || || 그루코 10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10 스테이지 클리어 || 2000GC || 2000GC || || 그루코 11 || 【카운트】UNDERTALE 팩의 곡 S평가 이상으로 10 스테이지 클리어 || 2000GC || 2000GC || }}} || ||<-4> {{{#fff '''네비게이터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네비게이터 01 || 【카운트】UNDERTALE 팩의 모든 곡을 2회씩 플레이 || [[파피루스(언더테일)|파피루스]] || □GC || || 네비게이터 02 || 【카운트】UNDERTALE 팩의 모든 곡을 2회씩 플레이 || [[샌즈]] || □GC || }}} || ||<-4> {{{#fff '''칭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션''' || '''조건''' || '''보상''' || '''해금 필요 양''' || || 칭호 01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S평가를 EASY 20 스테이지에서 달성 || 大学資金 || □GC || || 칭호 02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S평가를 NORMAL 20 스테이지에서 달성 || ホットドッグ屋のスケルトン || □GC || || 칭호 03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S평가를 HARD 20 스테이지에서 달성 || ふじみ || □GC || || 칭호 04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S평가를 MASTER 10 스테이지에서 달성 || こねこちゃん || □GC || || 칭호 05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각 조작 타입 모든 난이도의 S평가를 10곡 달성 || 地底に落ちたニンゲン || □GC || || 칭호 06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각 조작 타입 모든 난이도의 S+평가를 10곡 달성 || ・・・ダメダワン、もうネタ切れワン || □GC || || 칭호 07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20 스테이지 클리어 || I♥UNDERTALE || □GC || || 칭호 08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NO MISS를 30스테이지 달성 || メランコリックなゴースト || □GC || || 칭호 09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FULL CHAIN를 30스테이지 달성 || ニャハハハ! || □GC || || 칭호 10 || 【토탈】UNDERTALE 팩의 곡에서 PERFECT를 30 스테이지에서 달성 || 蜘蛛の女王 || □GC || }}} || === 설정 === ==== 언어 ==== ||[[파일:슻그코_언어설정.png|width=100%]]|| *Voice Language: 네비게이터 음성의 언어를 설정할 수 있다 *Display Language: 표기 언어를 설정할 수 있다. ==== 음악 ==== ||[[파일:슻그코_연주설정.png|width=100%]]|| *Auto Song Playback: [[키음]] 자동 재생을 끄고 켤 수 있다. 퍼펙트 플레이어와 다르게 AD-LIB 노트는 자동재생 되지 않는다. *Show Game Info: 게임 시작 시 나오는 노래 정보 표시, 플레이어 이름 표시를 끄고 켤 수 있다. *Show Others in Game: *FAST/SLOW: 노트 판정의 빠름, 느림의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인게임 아바타 위에 띄우기, 오른쪽 상단에 띄우기, 화면에 띄우지 않기로 설정 가능하다. *FEVER/TRANCE: FEVER/TRANCE의 이펙트를 끄고 켤 수 있다. *Target Size: 인게임 노트 타켓의 사이즈를 설정 할 수 있다. *Avatar Size: 인게임 아바타의 사이즈를 설정 할 수 있다. ==== 판정 ==== ||[[파일:슻그코_판정설정.png|width=100%]]|| *Settings Number ==== 화면 ==== || [[파일:슻그코_화면설정.png|width=70%]] || [[파일:슻그코_화면설정1.png|width=100%]] || *Screen Direction: 화면 방향 설정이며 가로, 세로 모드로 변경 가능하다. *Gameplay Aspect Ratio: 인게임 화면 비율 설정이다. 1:1, 9:16 비율로 설정 가능하다. *Menu Brightness: 메뉴 밝기 *Game Brightness: 게임 밝기 *Gameplay Background: 인게임 배경 온, 오프 설정이 가능하다. ==== 사운드 ==== ||[[파일:슻그코_사운드설정.png|width=100%]]|| *Menu, Gameplay: 메뉴 사운드와 인게임 사운드를 조절할 수 있다. *Vibration: 컨트롤러의 진동을 끄고 켤 수 있다. ==== 기타 ==== ||[[파일:슻그코_기타설정.png|width=100%]]|| *Credits :게임 [[크레딧#s-2|크레딧]]을 볼 수 있다. *Reset All Settings :게임 설정 초기화 == 기본 네비게이터 / 아바타[* DLC 제외 해금 포함] == ||<-2> {{{#fff '''GROOVE COASTER[br]네비게이터 / 아바타'''}}} || || [[파일:그코린카_.webp|height=100]] ||<|2> {{{#000 [[GROOVE COASTER 3 LINK FEVER|아케이드 3 LINK FEVER]] 업데이트 캐릭터[br][br]성우:[[토요타 모에]][br]일러스트:[[야스다 스즈히토]][br][br][[:파일:그코린카.png|전신 일러스트]][* [[파일:그코린카.png|height=400]]] [[https://groovecoaster.jp/artist/rinka.html|프로필]]}}} || || [[파일:그코_린카_아바타.png|height=30]] '''[ruby(린카,ruby=リンカ,color=#gray)]''' || || [[파일:그코유메_.webp|height=100]] ||<|2> {{{#000 [[GROOVE COASTER 3 LINK FEVER|아케이드 3 EX DREAM PARTY]] 업데이트 캐릭터[br][br]성우:[[타카하시 나나미(성우)|타카하시 나나미]][br]일러스트:[[https://twitter.com/sanapon7777|未早(さなぽん)]][br][br][[:파일:그코유메.webp|전신 일러스트]][* [[파일:그코유메.webp|height=350]]] [[https://groovecoaster.jp/artist/yume.html|프로필]]}}} || || [[파일:그코_유메_아바타.png|height=30]] '''[ruby(유메,ruby=ユメ,color=#gray)]''' || || [[파일:그코세이네_.jpg|height=100]] ||<|2> {{{#000 [[GROOVE COASTER 4 STARLIGHT ROAD|아케이드 4 STARLIGHT ROAD]] 업데이트 캐릭터[br][br]성우:[[https://ja.wikipedia.org/wiki/%E6%B2%B3%E4%B8%8A%E8%8B%B1%E9%87%8C%E5%AD%90|카와카미 에리코]][br]일러스트:[[https://twitter.com/sanapon7777|未早(さなぽん)]][br][br][[https://groovecoaster.jp/artist/seine.html|프로필]]}}} || || [[파일:그코_세이네_아바타.png|height=30]] '''[ruby(세이네,ruby=セイネ,color=#gray)]''' || || [[파일:그코유메11_-.png|height=100]] ||<|2> {{{#000 11주년 기념 신의상[br][br]성우:[[오다 카린]][* [[타카하시 나나미(성우)|기존 성우]]의 은퇴 성우변경]}}}[br][br][[https://twitter.com/groove_coaster/status/1605503594194575361?s=20&t=6PMybJyej3jnsqeCqLlswg|프로필]][* [[파일:슻그코_유메11ㅍ.jpg]]] || || [[파일:그코_유메11_아바타.png|height=30]] '''[ruby(유메,ruby=ユメ,color=#gray)]{{{-5 (11th)}}}'''[*** 2022년 12월 22일 업데이트] || || [[파일:그코유우_-.png|height=100]] ||<|2> {{{#000 11주년 기념 신캐릭터[br][br]유메의 쌍둥이 자매[br][br]성우:[[타카츠키 미유우|타카츠키 미유]][[https://ja.wikipedia.org/wiki/%E9%AB%98%E6%A7%BB%E3%81%BF%E3%82%86%E3%81%86|#]]}}}[br][br][[https://twitter.com/groove_coaster/status/1605503594194575361?s=20&t=6PMybJyej3jnsqeCqLlswg|프로필]][* [[파일:슻그코_유우11ㅍ.jpg]]] || || [[파일:그코_유우11_아바타.png|height=30]] '''[ruby(유우,ruby=ユウ,color=#gray)]{{{-5 (11th)}}}'''[***] || [br][[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roovecoaster&no=4402| 네비게이터 프로필 변역]] ---- ||<-2> {{{#fff '''Vtuber[br]네비게이터 / 아바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그코_키즈나아이.png|height=100]] ||<|2> {{{#000 [[버츄얼 유튜버]][br][br][[키즈나 아이]][br][br][[https://kizunaai.com/biography/|프로필]]}}} || || [[파일:그코_키즈나아이_.png|height=30]] '''[ruby(키즈나 아이,ruby=キズナ アイ,color=#gray)]''' || || [[파일:그코_미라이.png|height=100]] ||<|2> {{{#000 [[버츄얼 유튜버]][br][br][[미라이 아카리]][br][br][[https://akari-mir.ai/|프로필]]}}} || || [[파일:그코_미라이_.png|height=30]] '''[ruby(미라이 아카리,ruby=ミライ アカリ,color=#gray)]''' || || [[파일:그코_시로.jpg|height=100]] ||<|2> {{{#000 [[버츄얼 유튜버]][br][br][[전뇌소녀 시로]][br][br][[https://www.appland.co.jp/news/aixvrx3dx%E3%82%A2%E3%82%A4%E3%83%89%E3%83%ABxyoutuber%E2%89%92%E9%9B%BB%E8%84%B3%E5%B0%91%E5%A5%B3youtuber%E3%82%B7%E3%83%AD%E3%80%80youtube%E3%83%81%E3%83%A3/|프로필]]}}} || || [[파일:그코_시로.png|height=30]] '''[ruby(시로,ruby=シロ,color=#gray)]''' || || [[파일:그코_미토.png|height=100]] ||<|2> {{{#000 [[니지산지]] 소속 [[버츄얼 유튜버|버츄얼 라이버]][br][br][[츠키노 미토]][br][br][[https://www.nijisanji.jp/talents/l/mito-tsukino|프로필]]}}} || || [[파일:그코_미토_.png|height=30]] '''[ruby(츠키노 미토,ruby=月ノ 美兎,color=#gray)]''' || || [[파일:그코_구라.png|height=100]] ||<|2> {{{#000 [[hololive ENGLISH|hololive EN]] 소속[br][br][[가우르 구라]][br][br][[https://hololive.hololivepro.com/talents/gawr-gura/|프로필]]}}} || || [[파일:그코_구라_.png|height=30]] '''[ruby(가우르 구라,ruby=Gawr Gura,color=#gray)]'''[** 2021년 12월 16일 업데이트] || || [[파일:그코_소라.png|height=100]] ||<|2> {{{#000 [[hololive|hololive JP]] 소속[br][br][[토키노 소라]][br][br][[https://hololive.hololivepro.com/talents/tokino-sora|프로필]]}}} || || [[파일:그코_소라_.png|height=30]] '''[ruby(토키노 소라,ruby=ときの そら,color=#gray)]'''[**] || || [[파일:그코_페코라.png|height=100]] ||<|2> {{{#000 [[hololive|hololive JP]] 소속[br][br][[우사다 페코라]][br][br][[https://hololive.hololivepro.com/talents/usada-pekora/|프로필]]}}} || || [[파일:그코_페코라_.png|height=30]] '''[ruby(우사다 페코라,ruby=兎田 ぺこら,color=#gray)]'''[***] || || [[파일:그코_칼리오페.png|height=100]] ||<|2> {{{#000 [[hololive ENGLISH|hololive EN]] 소속[br][br][[모리 칼리오페]][br][br][[https://hololive.hololivepro.com/talents/mori-calliope/|프로필]]}}} || || [[파일:그코_칼리오페_.png|height=30]] '''[ruby(모리 칼리오페,ruby=Mori Calliope,color=#gray)]'''[***] || }}} || ---- ||<-2> {{{#fff '''동방 프로젝트[br]네비게이터 / 아바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그코_레이무.png|height=100]] ||<|2> {{{#000 [[동방 프로젝트]] 시리즈 주인공[br][br][[하쿠레이 레이무]]}}} || || [[파일:그코_레이무_.png|height=30]] '''[ruby(하쿠레이 레이무,ruby=はくれい れいむ,color=#gray)]''' || || [[파일:그코_마리사.png|height=100]] ||<|2> {{{#000 [[동방 프로젝트]]의 서브 주인공[br][br][[키리사메 마리사]]}}} || || [[파일:그코_마리사_.png|height=30]] '''[ruby(키리사메 마리사,ruby=きりさめ まりさ,color=#gray)]''' || }}} || ---- ||<-2> {{{#fff '''보컬로이드[br]네비게이터 / 아바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그코_미쿠.png|height=100]] ||<|2> {{{#000 캐릭터 보컬 시리즈 1번 이미지 캐릭터이자[br][[보컬로이드]]를 대표하는 마스코트 캐릭터[br][br][[하츠네 미쿠]]}}} || || [[파일:그코_미쿠_.png|height=30]] '''[ruby(하츠네 미쿠,ruby=初音 ミク,color=#gray)]''' || || [[파일:그코_IA.png|height=100]] ||<|2> {{{#000 [[1st PLACE]] 소속 가수 [[Lia]]를[br][[VOCALOID]]화한 VOCALOID3 가수[br][br][[IA -ARIA ON THE PLANETES-|IA]]}}} || || [[파일:그코_IA_.png|height=30]] '''IA''' || || [[파일:그코_one.png|height=100]] ||<|2> {{{#000 [[1st PLACE]]에서 개발한 [[CeVIO]]용[br]음성 라이브러리 및 캐릭터[br][br][[ONE -ARIA ON THE PLANETES-|ONE]]}}} || || [[파일:그코_one_.png|height=30]] '''ONE''' || }}} || == [[GROOVE COASTER WAI WAI PARTY!!!!/수록곡|수록곡]] == ||<-2> {{{#fff '''현재 공개된 수록곡 수'''}}}[*기준 2023.2.28] || || {{{#fff '''기본'''}}}[* 메인 미션 29곡 해금곡 포함] || 105곡 || || {{{#fff '''DLC'''}}}[* 한 팩당 9곡 + 시크릿 1곡] || 370곡 || || {{{#fff '''총합'''}}} || '''475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ROOVE COASTER WAI WAI PARTY!!!!/수록곡)] == 기타 == *한국 한정으로 스위치 내 e숍에서만 dlc 구매가 가능하고 웹 e숍에서 dlc 구매는 불가능하다. *체험판이 있다. 체험판은 e숍내에서 혹은 [[https://ec.nintendo.com/redeem|다운로드 번호 입력 사이트]]에서 직접 입력해 다운 받을 수 있다.[*번호 D3GM33046FYB2HCB] *2021년 6월 초, 북미, 유럽 e숍에서 일부 [[失礼しますが、RIP♡|DLC곡]]의 가사의 문제로 판매 중단이 되었으며[[https://twitter.com/TaitoCorp/status/1405367945224622083|#]] 7월 15일에[* 북미, 유럽] 복구 되었다.[* 일본은 20일 갱신[[https://twitter.com/groove_coaster/status/1417313541506232320|#]]][[https://twitter.com/TaitoCorp/status/1415561090373619714|#]] 동시에 심의 등급이 (E10+)에서 (M)으로 상향 조정 되었다. *[[Brain Power]], [[失礼しますが、RIP♡]], [[Sound Chimera]] 등 일부 노래의 가사가 검열 되었다.[* 검열과 동시에 한국 심의 등급도 12세에서 15세로 상향 조정 되었다.] *ver1.0.8 까지 내장 캡쳐, 녹화기능을 사용할 수 없었지만 1.0.9 업데이트 이후 캡쳐 기능은 해금 되었다. 녹화는 여전히 불가능 *2022년 12월 16일 홀로라이브와 콜라보를 하여 4개의[* [[토키노 소라]], [[가우르 구라]], [[우사다 페코라]], [[모리 칼리오페]] ] 블루투스 이어폰을 16일 오후 12시부터 예약 판매하고있다.[br]2023년 5월 31일 하순 발매 예정[*링크 [[https://www.cafereogroup.com/cr-goods/groovecoaster_hololive_wirelessearphone_vol2/|페코라, 칼리오페]], [[https://www.cafereogroup.com/cr-goods/groovecoaster_hololive_wirelessearphone/|소라, 구라]] ] *2022년 12월 22일 무료 업데이트로 네비게이터 / 아바타 유메(11th ver.), 유우(11th ver.) 가 추가되었으며 새로운 오리지널 곡으로 타이토 유튜브 채널의 음악 소개 프로그램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jNGOnquY5GX9qcFD4VsO71-Y_mA1jRWA|타이토 리겜부]]"의[*タ タイトー音ゲー部] [[テッテーテレ!ゲーミングデイズ!|주제가]]가 추가되었다.[br]동시에 콜라보 네비게이터가[* [[우사다 페코라]], [[모리 칼리오페]]] 추가되었으며 홀로라이브 프로덕션 2곡이[* [[https://youtu.be/1fX6qYFXemY|Prism Melody]], [[Journey Like a Thousand Years|Journey Like a Thousand Years ~千年の旅~]]] 추가되었다. *인게임, e숍 내에서 DLC 곡 미리듣기를 지원하지 않아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Ur64bJswwoEOJ4MvMwEaqcRsJvHzizn9|유튜브 재생 목록]]을 참고하며 구매하면 된다. *새로운 DLC 팩이 나올 때마다 같은 장르 혹은 타 장르의 DLC 팩을 할인하여[* 30%] 판매한다. 본편 같은 경우 2~3달 주기로 할인을[* 40%] 한다.[[https://gall.dcinside.com/m/groovecoaster/7221|#]] == 관련 문서 == * [[GROOVE COASTER]] * [[Nintendo Switch/게임 목록/2019년#s-12|Nintendo Switch/게임 목록]] * [[리듬 게임/목록]] == 외부 링크 ==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jNGOnquY5GX9qcFD4VsO71-Y_mA1jRWA|타이토 리겜부]][*タ] : 매월 4째주 화요일 20시 ~ 타이토 리듬게임 4 타이틀의[* [[그루브 코스터]], [[동방스펠버블]], [[https://tetoteconnect.jp/|테토테×커넥트]], [[https://musicdiver.jp/|뮤직 다이버]] ] 최신정보 전달 Live 방송 프로그램. * 와이와이파티!!!! 업데이트, DLC 정보가 올라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