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CHUNITHM의 수록곡]][[분류:온게키 시리즈/수록곡]] [include(틀:게키츄마이 그랜드슬램)] [[파일:garakuta_doll_play.png|width=400]] --OH MY GO-O-O-O-O-OD-- [목차] == 개요 == [youtube(I4MQd751wgM)] PV 영상 [youtube(Ug4v3dvUcLE)] 롱 버전 [youtube(XfCvWGR3qIM)] [[sasakure.UK]] 리믹스 버전 [[maima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t+pazolite]]로 멜로딕한 개버 악곡이다. [[Blew Moon]] 이후 두 번째로 [[maimai 시리즈]]에 제공한 곡이다. 가라쿠타는 '잡동사니'라는 뜻의 일본어로, 제목을 직역하면 잡동사니 --[[돌잔치]]-- 인형놀이 정도의 뜻. 이름이 비슷한 [[가락국수]]라 불리기도 한다. 2015년 [[코믹마켓]] 89에 발매된 t+pazolite의 3집 앨범 Ponko2 Girlish에 롱 버전과 [[sasakure.UK]]의 리믹스가 수록되었다. 후속작이라고 할 수 있는? [[QZKago Requiem]]이 Garakuta Scramble! 앨범에서 선행 공개되고 곧 인겜에도 추가되었다. 2019년 7월 18일에는 [[온게키]]에도 추가, 게키츄마이 [[그랜드슬램]] 곡이 되었다. BGA에 나오는 광대 캐릭터는 세가가 몇 안 되는 마이마이에서 쓸 수 있는 캐릭터라고 생각했는지 세가에서 SNS나 영상에 자주 등판시킨다. 이름은 조커 씨. 마이마이 DX의 로케테스트 기념 일러스트에도 다른 캐릭터들과 같이 나왔다. == [[maimai 시리즈]] == ||<-8> '''Garakuta Doll Play''' || ||<-8> [[파일:garakuta_doll_play.png|width=40%]] || ||<-2> 아티스트 ||<-6> [[t+pazolite]] || ||<-2> 장르 ||<-6> maimai || ||<-2> BPM ||<-6> 256 || ||<-2> 버전 ||<-6> [[maimai GreeN|GreeN]] || ||<-2> 최초 수록일 ||<-6> 2013/10/24 || ||<-8> '''[[maimai DX|{{{#ffcc21 m}}}{{{#3182ff a}}}{{{#54C320 i}}}{{{#ffcc21 m}}}{{{#fd006b a}}}{{{#d0f i}}} {{{#ffe302 D}}}{{{#a0b036 X}}}]] {{{#373a3c,#ddd 난이도 체계}}}''' || ||<-8> {{{#fff '''STANDARD'''}}} || ||<-2>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PERT || MASTER || Re:MASTER || ||<-2> 레벨 || 6 || 8 || 13 || 14 || 14+ || ||<|5> 노트 수 || TAP || 209 || 330 || 613 || 718 || 792 || || HOLD || 21 || 60 || 6 || 35 || 6 || || SLIDE || 12 || 3 || 36 || 134 || 154 || || BREAK || 4 || 39 || 31 || 19 || 29 || || 합계 || '''246''' || '''392''' || '''740''' || '''877''' || '''1010''' || ||<-2> 보면제작 || - || - || はっぴー || チャン@DP皆伝 || 小鳥遊さん || * [[maimai 시리즈/수록곡|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2013년 10월 24일 [[System "Z"]]와 함께 추가 되었으며, 마이마이 최초 12레벨 곡중의 하나이다. 등장하자마자 보스곡의 자리를 같이 차지했으며. 난이도 개편으로 12레벨이 늘어난 이후의 작품들에서도 [[Fragrance]]와 함께 maimai 3대장으로 불릴만큼 상당히 어려운곡이였다. 등장당시 MASTER 보면의 노트수가 877개로 가장 많았지만, [[maimai GreeN PLUS]]에서 [[Jack the Ripper◆]]에게 자리를 넘겨주게 된다. 이렇게 상징성이 많은 곡이어서 그런지 [[천하제일리겜축제]]의 maimai 대표곡으로 선정되었다. === EXPERT === [youtube(NVDsVZEcrSs)] EXPERT 난이도 AP 영상 EXPERT 보면은 전반적으로 박자는 정박 위주라서 박자 자체는 쉬운 편이나, 전반부 구성이 주로 동시치기로 구성이 되어있어서 동시치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에는 판정에 어려움을 겪는 편이다. 후반부에는 후살이 있는데 (채보영상 기준 1:56초) 16비트 줄연타로 4,4,3연 동치의 구성이다. 연타력이 부족한 경우 여기서 대량 점수 손실이 발생하므로 주의 요망. EXPERT 보면의 난이도가 상당히 오락가락하는 편이다. 11>10>10>11>10+>10+>11으로 [[maimai MURASAKi PLUS]]까지 6번의 난이도 변경이 있었는데. 정박 동시치기와 후반연타가 주가 되는 체력곡인지라 개인차가 심한것이 원인인듯. 난이도 개편이 이루어진 [[maimai DX PLUS]]엔 12를 받아 사실상 상향을 받았는데, [[maimai UNiVERSE PLUS|UNiVERSE PLUS]]에서는 한술 더 떠 바로 13레벨로 올라갔다. 아무래도 후살과 그 전의 난이도 차이가 극심해서 난이도를 매기기 어려운 게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 MASTER === [youtube(thgZIYALKZU)] MASTER 난이도 AP 영상 MASTER 보면은 EXPERT 보면에 슬라이드와 동시치기를 극강화시킨 보면이다. 전반부의 경우에는 주로 동시치기와 슬라이드 + 소량의 연타가 주가 된다. MASTER 보면에서 점수를 많이 깎아먹는 구간은 후반에만 두 구간이 있는데 둘 다 'OH MY GOD!' 샘플링후에 나온다. 첫번째 구간은 채보영상을 기준으로 회전이 끝난뒤에 나오는 1:34~1:48 구간과 바로 뒤의 1:50~2:03초까지 이어지는 16비트 긁기까지이다. 첫 번째 구간의 경우에는 박자자체는 정박이나, 슬라이드가 껴있는 것이 문제가 된다. 구성 자체는 6번의 좌우 미러와 상하 미러인데 1:34~1:37까지의 구간이 미러가 걸리면서 반복되는 구성이라고 보면 된다. 첫구간을 정배치라고 하면, 1:34~1:37 정배치 1:37~1:39 좌우미러 1:39~1:40 정배치 그 다음 잠시의 휴식 이후에 상하 미러가 걸리면서 1:42~1:44 상하미러 + 좌우미러 1:44~1:46 상하미러 1:46~1:48 상하미러 + 좌우미러 의 구성이다. 첫 3구간도 슬라이드 때문에 치는것이 까다로운 편인데, 상하미러가 걸리는 구간은 슬라이드를 중력을 거스르고 아래에서 위로 긁는 구성이라, 슬라이드 간접과, 탭 미스가 자주 발생하기 쉬운 구간이다. 풀콤 방지구간 두 번째 후살은 연타+슬라이드+브레이크 복합 구성으로 비주얼적로 슬라이드가 화면 채우는것이 보이는 구간이다. 박자의 기본 구성은 2연타+2연타+2연타+2연타+2연타+2연타+3연타으로 구성되나, 연타뒤에 슬라이드가 붙고, 3연타의 마지막은 브레이크 노트와의 동시치기이다. 이 구간에서는 슬라이드를 못치거나 브레이크 점수를 놓치면서 점수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구성이다. 가라쿠타의 최후반 후살은 2:00부터 시작되는 2연타 동치에 이어진 16비트 긁기이다. 바로 직전의 2연타 회전도 팔배치를 중간에 안바꾸면 꼬이는 배치인데, 바로 이어지는 동치로 시작하는 초고속 긁기는 풀콤+퍼펙방지+싱크100% 방지 구간이다. All Perfect영상의 1:57초나 4인 싱크 영상의 2:01초 참조. 이 긁기가 유비트 보면 마지막이 긁기로 들어간 이유이다. 곡도 빠르고 상당한 물량곡인 보면 특성 탓에 샘플링 마냥 OMG를 외치게 된다. 무라사키의 변경된 난이도 정책으로 12+가 신설되면서 승격되었다. MiLK+에서 13으로 승격. DX+에서 14로 승격. === Re:MASTER === [include(틀:maimai 시리즈의 14+레벨 수록곡)] [youtube(6LK1geoEfRs)] Re:MASTER 난이도 채보 영상 [youtube(-p7jV0GYm1g)] Re:MASTER 난이도 AP 영상 플레이어는 Amakage! MiLK PLUS에서 Re:MASTER가 나왔다. 기존의 마스터보다 상당히 강력한 패턴으로, 16비트 1자 5연타도 섞여있는가 하면 마지막 꼬인 대회전 구간이 [[Glorious Crown]]보다 빠른 256BPM의 32비트 속도로 나온다. 이 때문에 처음에 나왔을 무렵에는 [[Our Wrenally]]의 아성을 위협할 채보 중 하나로 취급되어 비공식 난이도 상수도 13.9를 받았는데, 시간이 흐르며 거품이 빠지고 13.7으로 재조정되었다. 그래도 밀크 플러스 신채보들 중에서는 가장 어렵다 평가된다. Re:MASTER 채보는 [[maimai DX PLUS]]에서 14+로 난이도가 상승하였다. === 연회장 [宴] === [youtube(9zTHCXf4tg8)] MASTER + 연회장 1~5번 채보 전체 동시재생 연회장 채보 답게 기존 마스터와 리마스터 채보와는 다른 고난이도 채보를 보여준다. [youtube(clqg6qi1oh0)] 연회장 1번 채보 AP 영상 기존 마스터 채보에서 배치만 살짝 바꾼 형태이다. [youtube(rJUOZmTvKZk)] 연회장 2번 채보 SSS 영상 [youtube(kxdrwT_QCAQ)] 연회장 3번 채보 SS 영상 여기서부터 기존 채보들보다 더 어려워지기 시작한다. [youtube(D_LtqEKsjz8)] 연회장 4번 채보 SS 영상 [youtube(grpjDWTjdVY)] 연회장 5번 채보 S 영상 비상식적인 물량과 동선으로 인해 보통 연회장 가라쿠타 보면 중 가장 어렵다고 평가된다. == [[CHUNITHM]] == === 원곡 === [youtube(BPJRt5LxDGI)] MASTER 채보영상 ||<-5> CHUNITHM NEW 난이도 체계 || || 곡명 ||<-4> Garakuta Doll Play || || 아티스트 ||<-4> t+pazolite || || BPM ||<-4> 256 || ||<|2>난이도|| {{{#green,#7fff7f BASIC}}} || {{{#orange,#ffa500 ADVANCED}}} || {{{#red,#ff0000 EXPERT}}} || {{{#8324ff,#5e00db MASTER}}} || || {{{#green,#7fff7f 5}}} || {{{#orange,#ffa500 8+}}} || {{{#red,#ff0000 13}}} || {{{#8324ff,#5e00db 14+}}} || ||노트수|| {{{#green,#7fff7f 378}}} || {{{#orange,#ffa500 708}}} || {{{#red,#ff0000 1414}}} || {{{#8324ff,#5e00db 1800}}} || [[FREEDOM DiVE]]와 같은 13+이지만 난이도를 올리는 요소의 차이는 꽤 크다. 전자가 물량으로 사람의 체력을 시험하는 패턴이라면 이 곡은 체력에 정신나간 손놀림과 츄니즘 특유의 '''에어+일반노트 동체시력'''을 요구로 한다. 타 리듬게임으로 손가락과 동체시력을 많이 단련해왔다면 의외로 프다의 경우는 점수를 후하게 받을 수 있지만 가라쿠타의 경우는 츄니즘이라는 게임 만의 독자적인 요소를 적극 가미해 어려움을 크게 어필한 케이스. 특히 후살에 있는 에어 노트가 낀 연타가 킬링 파트. 무인판 시절 채보 아니랄까봐 13+중에서도 노트 배치가 더럽게 바쁜데다가 maimai를 의식한 것인지는 몰라도 전반적으로 연타, 플릭이 과도하게 배치되어있다. 전체적으로 손이동이 빨라야하는데다가 후살에 돌입해서 연타 부분을 치는 도중에 체력이 바닥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급자에게 있어선 자신의 전반적인 실력, 체력을 보여주는 지표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건반게임이 아닌 츄니즘 자체의 실력을 시험하는 보면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개인차에 따라서 어지간한 13.9보다 우위로 쳐주는 경우도 있다. 후반의 연타 부분은 제대로 치지 못하면 체력이 받쳐주지 못해 점수를 크게 잃을 수 있다. 더군다나 스코어링 난이도는 1800의 적은 노트 수로 인해 더욱 극악으로 치솟는다. CHUNITHM NEW에서는 14.8(구 13.8 라인)로 배정받았으나, 많은 유저들이 여전히 닥치고 14.9로 내놓으라고 아우성칠 정도다. === Garakuta Doll Play(sasakure.UK clutter remix) === [youtube(GpM4oXh1_WQ)] WORLD'S END 채보영상 ||<-3> CHUNITHM 난이도 체계 || || 곡명 ||<-2> Garakuta Doll Play (sasakure.UK clutter remix) || || 아티스트 ||<-2> [[sasakure.UK]] || || BPM ||<-2> 256 || ||<|2>난이도||<-2> {{{#white WORLD'S END}}} || || {{{#white 改}}} || {{{#white ☆☆☆☆}}} || ||노트수||<-2> {{{#white 2525}}} || == [[온게키 시리즈]] == [youtube(C_WWLxAoZ-c)] == 타사 리듬 게임 수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arakuta Doll Play/타사 리듬 게임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