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Google Pixel 라인업)] ||<-3> [br] {{{#888888,#777777 {{{+5 {{{#!html Google Pixel 3 XL}}} }}}}}} [br] {{{#888888,#777777 {{{-3 {{{#!html G013C & G013D}}} }}}}}} [br] [br]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xel3xl.jpg|width=75%]] }}} || || {{{#ee9674 '''Not Pink'''}}} || {{{#8e9091 '''Just Black'''}}} || {{{#222 '''Clearly White'''}}} || ||<-3> [[https://support.google.com/pixelphone/answer/7161658?hl=ko|{{{#ffffff 구글 Pixel 시리즈 스마트폰 고객지원 사이트}}}]] || [목차] == 개요 == [[구글]]이 한국 시간 [[2018년]] [[10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제조사||[[Foxconn|폭스콘]]|| ||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Platform.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2> [[CPU]] ||[[ARM big.LITTLE]]↓ ||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Gold MP4 2.8 GHz [[CPU]][br][[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Silver MP4 1.77 GHz [[CPU]] || ||<-2> [[GPU]] ||[[퀄컴 Adreno]] 630 710 MHz [[GPU]] || ||<-2> NPU & DSP ||[[퀄컴]] Hexagon 685 DSP || ||<-2> Sensor Hub ||DSP 대체 || ||<-2>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20 LTE Modem]] ||}}}}}}|| ||[[메모리]]||4 GB LPDDR4X SDRAM, 64 / 128 GB [[UFS]] 2.1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6.3인치 18.5:9 비율 [[해상도/목록|2960 x 1440]] flexible OLED (523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HDR]] 지원 [[AMOLE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고릴라 글래스 5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캐리어 어그리게이션|-5CA]] Cat.16·5 FDD & [[TD-LTE|TDD]]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5.0+LE, [[NFC]] Type A/B/[[FeliCa|F]][*일본 NFC Type F ([[FeliCa]]) 는 일본향 제품에만 탑재된 사양이다.]||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Galileo|| ||[[카메라]]||{{{#!folding [ 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 800만 화소|| ||광각 || 800만 화소||}}}후면 [[OIS]] 지원 1,2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Ion 343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USB PD|USB Power Delivery]] 2.0 (18 W) || ||<|2> 무선[br]충전 || 고속 ||Pixel Stand (10 W) || || 일반 ||Qi(WPC 1.2.4) (5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9 (Pie) → 10 → 11 → 12|| ||규격||76.7 x 158 x 7.9 mm, 184 g||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저스트 블랙''', '''클리어리 화이트''', '''낫 핑크'''|| ||단자정보||[[USB 3.0|USB 3.1 Gen1]] Type-C x 1||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기타||IP6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 == 상세 == 2018년도 Pixel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 중 하나이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전작인 [[Google Pixel 2#s-2.2 |Pixel 2 XL]]과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다. 특히, 16:9 비율의 해상도에서 세로 부분을 확장한 비율을 가진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기기의 전면 면적 대부분을 [[디스플레이]]가 차지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상단에 전면 [[카메라]] 및 각종 센서 배치를 위한 [[노치 디자인]]까지 적용되었다. 기본 색상은 저스트 블랙, 클리어리 화이트, 낫 핑크로 총 3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사용한다.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Gold 쿼드코어 [[CPU]]와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3XX|Qualcomm Kryo 385]] Silver 쿼드코어 [[CPU]]에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630 [[GPU]]를 사용한다. 제조사의 공식 스펙 발표에서는 빅 클러스터의 [[CPU]] 클럭이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의 정규 클럭인 2.8 GHz에서 2.5 GHz로 다운클럭되었다고 나왔지만, 실제 제품은 다운클럭되지 않은 제품으로 출시되었다. RAM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4 GB다. 내장 메모리는 [[UFS]] 2.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64 GB와 128 GB로 이원화되었다. 다만, 전작인 [[Google Pixel 2#s-2.2 |Pixel 2 XL]]과 동일하게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6.3인치 18.5:9 비율의 2960 x 144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AMOLED]] 방식의 flexible OLED이다. 패널 공급사는 [[삼성디스플레이]]이며 픽셀 배열은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이다. 16:9 비율인 WQHD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구글]]은 이를 QHD+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자체에서 [[HDR]]을 지원한다. 지원 [[LTE]] 레벨은 Cat.16·5로 다운로드는 Cat.16를 적용해 최대 1 Gbps를 보장하고 업로드는 Cat.5를 적용해 최대 75 Mbps를 보장한다.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자체는 [[LTE]] Cat.18·13을 지원하지만 [[구글]]이 의도적으로 제한을 건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430 mAh이다. 또한, USB Power Delivery 2.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 퀄컴 퀵 차지 계열의 고속충전 기술은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과 Qi 규격의 자기유도 방식인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1,200만 화소 [[카메라]]를 76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그리고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또한, 조리개값은 F/1.8이다. 전면 [[카메라]]는 800만 화소 [[카메라]]를 75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기본 카메라로 탑재하고 별도로 800만 화소 [[카메라]]를 97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광각 카메라로 탑재하여 이 둘로 듀얼 렌즈를 구성했다. 또한, 조리개값은 기본 카메라가 F/1.8이고 광각 카메라가 F/2.2이다. 특히, 전작인 [[Google Pixel 2#s-2.2 |Pixel 2 XL]]과 동일하게 촬영된 결과물을 후처리해주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로 모바일 AP인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에 내장된 것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개발한 Pixel Visual Core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3.0|USB 3.1 Gen1]]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3.5 mm 단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운드 출력은 [[USB 3.0|USB 3.1 Gen1]] Type-C가 담당한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후면에 탑재되어 있다. 전체적인 기술은 'Pixel Imprint'로 명명되었다. 그리고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등급은 IP68로, 이는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지만, 방수 등급은 IPX9K 등급보다 1단계 낮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9 파이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다. 미국 시장 기준, 출고가는 64 GB 모델이 $899, 128 GB 모델이 $999로 책정되었다. 여담으로, [[노치 디자인]]에 대한 [[https://www.theverge.com/2018/10/29/18039170/pixel-3-xl-glitch-second-notch-fix|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노치 디자인]] 적용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시 여기에 대응한 것이 들어가는데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단이 아닌 [[http://bbs.ruliweb.com/mobile/board/1004/read/2147850|디스플레이 우측에 만들어진다]]고 한다. 형제모델(하위형)인 [[Google Pixel 3a XL|3a XL]]과의 성능 비교는 이 페이지를 참고하자.[[https://thdev.net/828|#]] == 기능 == * [[구글 어시스턴트|어시스턴트]] * Active Edge HTC의 Edge Sense와 유사한 기능으로 전작인 [[Google Pixel 2|Pixel 2 및 2 XL]]에도 탑재되었던 기능이다. 기기의 측면에 압력을 가한 채로 쥐면 [[구글 어시스턴트|어시스턴트]]가 실행된다. * e-[[SIM]] [[일본]] 내수용 모델인 G013B & G013D는 지원하지 않는다. 기기에 내장되는 방식의 [[SIM]] 카드로, 일부 기기에서 지원한다. 다만, nano [[SIM]] 역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듀얼 심이 아닌 싱글 나노 심을 지원하면서 이를 이용해 [[Apple|애플]]의 [[iPhone XS|아이폰 XS]] 및 [[iPhone XS Max|XS Max]] 그리고 [[iPhone XR|아이폰 XR]]와 동일하게 [[듀얼 SIM]]을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FeliCa]] [[일본]] 내수용 모델인 G013B & G013D만 지원[* 이 때문에 일본 내수용 모델은 후면 [[NFC]] 안테나 부분 바로 위에 [[https://novlog.me/cms/wp-content/uploads/shnk38/2016/04/logo-felica.jpg|FeliCa 로고]]가 들어가져 있는 외관적 차이가 있다. 이는 사용자가 [[FeliCa]] 사용 시 빠른 접촉과 인식률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을 포함해 일본 시장에서 [[FeliCa]]를 지원하는 모든 기기에는 [[FeliCa]] 로고를 삽입하도록 의무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iPhone 8|아이폰 8]] 등 예외도 있기 때문에 법제화된 의무사항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한다. 이는 [[구글 픽셀 시리즈|Pixel 시리즈]]와 그 이전의 [[구글 넥서스|넥서스 시리즈]]까지 일본 출시 여부를 막론하고 구글이 관여한 스마트 디바이스로는 최초로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능을 이용한 [[Suica]] 등 각종 서비스[* おサイフケータイ(오사이후케타이)라 하며 오프라인에서 결제, 금융 서비스 등 [[FeliCa]]를 기반으로 한 모든 서비스를 총칭하는 말이자 기술 상표이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https://youtu.be/4gZW7HRHJmM|エリアメール]](에리어 메일) [[일본]] 내수용 모델인 G013B & G013D만 지원한다. 한국의 [[긴급재난문자]]와 비슷하며 일본 기상청에 의해 [[긴급지진속보]]가 발령되면 발령된 지역에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든 휴대 전화에 즉시 실시간으로 속보를 발신하는데 기기에서 이를 수신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이미 안드로이드에는 긴급속보(Cell Broadcast)[* 한국의 [[긴급재난문자]]가 이 시스템을 이용한다.]이나 ETWS(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가 운영체제 단에서 탑재되어 있지만 이를 이용하지 않은 일본 독자 시스템[* ETWS를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것 역시 가능하지만 에리어 메일보다 수신속도가 떨어지며 정보의 질적 요소에서도 최초 수신 시 어느 지역에서 어느정도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내용이 없어서 지진 발생 후 지진 정보를 포함한 속보를 한 번 더 발신하고 수신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수신 시 휴대 전화의 무음 설정이나 진동 설정과는 무관하게 최대 볼륨으로 [[https://youtu.be/4gZW7HRHJmM|경고 부저]][* TV에서 나오는 경보음과 같이 [[긴급지진속보|일본 국민에겐 공포적인 소리]]이다.]가 울리며 지진 이외에도 국지도발 발생 시 사용되는 위기관리시스템인 [[J알러트]][* 예를 들어, 북한의 도발 시에도 알림이 발신된다.]도 수신받을 수 있다. 해당 기기의 주요한 소프트웨어 기능이 아닐 수도 있지만 [[구글 픽셀 시리즈|Pixel 시리즈]]와 그 이전의 [[구글 넥서스|넥서스 시리즈]]까지 일본 출시 여부를 막론하고 구글이 관여한 스마트 디바이스로는 최초로 지원하는 것이다. 일본 국적이 아닌 제조사가 일본 시장에 [[스마트폰]]을 출시하면 기존에는 ETWS로만 정보를 수신할 수 밖에 없었다. 그 이후에 일본 정부가 일본 내에 출시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필수적으로 탑재할 것을 법제화해서 탑재한 것인데 별도의 일본 내수용 모델이 아닌 글로벌 모델을 그대로 출시한 [[넥서스 5X]]는 법제화 이전에 출시되어서 필수 탑재에 해당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프로젝트 파이|Project Fi]] == 출시 == 공개와 동시에 출시국 목록이 공개되었다. Pixel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으로는 최초로 일본에 출시되지만 한국은 여느 때처럼 포함되지 않았다.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인도,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싱가포르, 스페인, 타이완, 영국, 미국 ||<-2> {{{#ffffff '''Pixel 3'''}}} ||<-2> {{{#ffffff '''Pixel 3 XL'''}}} || || G013A[br](글로벌 모델) || G013B[br](일본 내수용) || G013C[br](글로벌 모델) || G013D[br](일본 내수용) || 기본적으로 글로벌 모델이 국가 및 지역을 막론하고 공급되지만 일본 시장에는 별도의 일본 내수용 모델만 공급된다. ==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 == * Pixel Stand 무선충전기이다. Qi 규격의 자기유도 방식인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하는 __기본형 모델__인 Pixel 3 및 3 XL만 지원한다. 출고가는 $79로 책정되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안드로이드 8.0 오레오를 기본으로 탑재한 [[스마트폰]]이며 안드로이드 8.0 오레오의 [[안드로이드(운영체제)/문제점#s-7.1.4|기능 중 하나]]인 [[https://source.android.com/devices/architecture/treble|Treble]]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또한, 구글이 약 3년 간 운영체제 및 보안 업데이트를 보증한다고 한다. 2018년 5월 8일, 구글이 안드로이드 8.1 오레오의 후속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 P에 대한 베타 테스트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동시에 배포한 안드로이드 P 개발자 프리뷰 2를 안드로이드 8.0 오레오의 주요 기능인 Treble을 이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안드로이드 P 개발자 프리뷰 2 베타 테스트 펌웨어를 [[https://web.archive.org/web/20180711075137/https://developer.android.com/preview/devices/|설치할 수 있는 기기 목록에 포함]]되었다.[* 단, Treble을 지원한다고 모두 안드로이드 P 개발자 프리뷰 2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019년 5월 8일, 구글이 안드로이드 9 파이의 후속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 Q에 대한 베타 테스트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동시에 배포한 안드로이드 Q 베타 테스트 펌웨어를 [[https://web.archive.org/web/20190509093258/https://developer.android.com/preview/devices|설치할 수 있는 기기 목록에 포함]]되었다. 대상 기기는 전 제품군이다. 2019년 8월 21일, 구글이 안드로이드에 대해서 [[https://www.androidauthority.com/android-10-1021205/|디저트 명칭으로 부여하던 코드네임 정책을 폐기]]함에 따라 운영체제 명칭이 [[안드로이드 10]]으로 확정되었다. 따라서, 베타 테스트 프로그램 역시 안드로이드 Q에서 [[안드로이드 10]]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9월 4일, [[안드로이드 1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10.0.0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9월 1일이다. 대상 기기는 전 제품군이다. 2020년 9월 9일, [[안드로이드 1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11.0.0이며 대상 기기는 전 제품군이다. == 홍보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Y0oLfhnV-8)]}}}|| ||<:>'''글로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E4Zca1p64s)]}}}|| ||<:>'''[[Marshmello]] 콜라보'''||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_FEY9qyxbk)]}}}|| ||<:>'''일본'''|| == [[Google Pixel 3/논란 및 문제점|논란 및 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oogle Pixel 3/논란 및 문제점)] == [[Google Pixel 3/공개 전 루머|공개 전 루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oogle Pixel 3/공개 전 루머)]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Google Pixel 3, version=274, paragraph=2)]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Google Pixel 3, version=274, paragraph=3.1.2)] [[분류:구글 픽셀 시리즈]][[분류:인공지능 디바이스(구글 어시스턴트)]][[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8년]][[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