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중국 항공병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PLAAF_Xian_HY-6_Li_Pang.jpg]] [목차] == 개요 == [[중국 공군]]과 [[해군 항공대]]가 보유하고 있는 쌍발 전략-전술 [[폭격기]]. [[중국]]이 [[소련]]의 [[Tu-16]]을 라이센스해서 만든 폭격기이다. == 제원 == ||<-2> '''XIAN H-6 (西安轰六)''' || || '''승무원''' ||4명|| || '''전장''' ||34.8m|| || '''날개폭''' ||33.0m|| || '''높이''' ||10.36 m|| || '''익면적''' ||165 m² || || '''공허중량''' ||37,200 kg|| || '''만재중량''' ||76,000 kg || || '''최대 이륙중량''' ||79,000 kg (174,000 lb)|| || '''엔진''' ||2 × 시안 WP8 터보제트, 93.2 kN (20,900 lbf) each|| || '''최대속도''' ||1,050 km/h|| || '''항속거리''' ||6000km|| || '''실용 상승한도''' ||12,800 m|| || '''날개하중''' ||460 kg/m² || || '''작전반경''' ||1,800 km|| ||<|2> '''무장''' ||''' 기관포 ''' 2× 23 mm (0.906 in) Nudelman-Rikhter NR-23 cannons in remote dorsal turret 2× NR-23 cannons in remote ventral turret 2× NR-23 cannons in manned tail turret 1× NR-23 cannons in nose (occasional addition) '''미사일/폭탄''' 7× KD-88 미사일 (공대함, 공대지 미사일) 6× [[CJ-10]] 공대지 순항미사일, 마하 0.75, 사거리 3,000 km 6× YJ-12 대함 미사일, 마하 4, 사거리 400 km C-601 대함미사일 YJ-62 (C-602) 대함미사일 1× Kh-10 (AS-2 'Kipper') 대함미사일 1× Kh-26 (AS-6 'Kingfish') 대함미사일 9,000 kg (20,000 lb) 자유낙하폭탄 || == 개발 == 중국은 1950년대 소련과 광범위한 기술교류 협정을 맺었고, 이에 따라 소련제 전투기 [[MiG-17]], [[MiG-19]] 및 해군 함정들을 라이센스 생산하기 시작했다. Tu-16도 1958년부터 라이센스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H-6이라는 이름으로 라이센스판이 나오기 시작했다. Tu-16은 소련에서 개발한 최초의 전략폭격기였고, [[Tu-95]]와 함께 한동안 소련 전략폭격기대의 주전력이었으나 여러 미흡한 점이 많아서인지 1980년대 본고장에서는 모두 퇴역했다. 하지만 중국은 1959년부터 [[중소결렬|소련과의 교류가 단절]]되었고, 이어 1980년대까지 여러 정치적 격변이 있어서 나라가 어수선했던데다가 굳이 전략폭격기가 필요할만한 국제정치학적인 위치가 아니었으므로 1980년대 이후에도 후속기 개발은 하지 않고, 계속 H-6이 현역으로 머무르고 있었다. 어쨌든 구식이지만, 현재 세계에서 전략폭격기대를 굴리고 있는 나라는 미국, 러시아에 이어 중국밖에 없다. 195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설계의 한계 때문에 원형인 H-6A에 뒤이어 중국은 계속 개량을 단행하였다. [[이라크]]와 [[이집트]]에도 수출된 바 있다. 또한 이것을 개조하여 [[공중급유기]]로도 사용하고 있다. == 형식 == === H-6K === [[파일:external/sinodefence.files.wordpress.com/h-6ka.jpg|w=698&h=355]] 신형 H-6K. 문서 상단의 이미지와 비교해보면 기수부분이 완전히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해상교통로 확보와 해상패권 장악의 필요성이 제기되자 해군의 증강을 서두르는 한편, 적의 함대를 원거리에서 타격할 수 있는 수단을 찾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런 목적의 컨셉을 가진 러시아의 최신형 초음속 폭격기인 [[Tu-22M]]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러시아는 전략폭격기로 사용될 수 있는 Tu-22M의 수출은 거부했고[* 냉전 이후 중국과 러시아는 전략적 동반자로서 미국을 견제하는데 크게 협력하고 있으나, 러시아는 Tu-22M과 그밖의 전략무기들은 판매하지 않고 있다. 사실 러시아는 중국과 수천km의 국경을 맞대고 있기 때문에, 사이가 나빠지면 미국보다도 더 위험한 상대가 될 수 있다.], 중국은 하는수 없이 H-6을 전면 개량한 H-6K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0년대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H-6을 현대해전에서 가상 적국인 미국/일본의 방공구축함을 상대할 수 있도록 전자화된 설계로 완전히 뜯어 고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사실 H-6과 이복형제라고도 할 수 있는 B-52나 Tu-95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렇게 현대화 업그레이드를 실시해서 계속 띄우고 있다.)그리하여 2007년 5월 초도비행을 실시했으며 2009년 실전배치했다. 레이더뿐만 아니라 엔진까지 업그레이드([[MiG-35]]에 장착한 엔진)용을 사용하여 전투반경을 3,500km로 늘렸고, 기계식이던 콕핏도 전자식으로 개량했다. 여기에 중국제 크루즈 미사일이나 공대함 미사일인 CJ-10A를 달 수 있게 날개에 6개의 파일런을 장착하였다. 기체 후미의 기관총좌 같이 현대전에 불필요한 부분은 생략되고 전자장비로 대체되었다. 중국공군은 이 기체를 이용하여 동태평양 깊숙한 곳까지 공중급유를 받아가며 (미해군을 겨냥한) 훈련을 해왔다고 한다. H-6K의 최대 주익폭장량은 약 9000kg정도로 대한민국 공군의 F-15K 슬램이글의 11톤 보다 적기 때문에 자칫 별로 위협이 되지 않는 폭격기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 사거리가 약 2000km '''에 달하는 CJ-10 순항미사일을 6발이나 장착할 수 있어 중국 본토 내에서 한국, 일본, 동남아 등 동아시아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위협이 된다고 볼 수 있는 기체이다. 그리고 순항미사일을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956157?sid=104|#]] 하지만 아무리 개량을 했다고 해도, 근본적으로 195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아음속기이기 때문에 중국군도 이의 한계를 인식, 스텔스 폭격기 [[H-20]]의 제작을 서두르고 있다고 한다. [[파일:external/theaviationist.com/Chinese-Stealth-fighter-bomber-side-view-706x441.jpg]] 중국이 개발중인 스텔스 폭격기 [[H-20]]의 개념도 == 실전 == 2017년 1월 초, 남중국의 기지에서 출동한 H-6K 6대와 Y-8 [[조기경보기]] 1대[* Y-8로 발표되었지만, 실제로는 Y-8의 공중경보기 버전인 KJ-200일 것이다.], Y-9 정찰기[* 정찰기로 발표났지만, 실제로는 전자전기로 쓰이는 기종이다.], 그리고 호위기로 J-11 여러대로 이루어진 중국 폭격기 편대가 한국-일본의 [[방공식별구역]][* 방공식별구역은 영공의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중국이 여기에 진입한 것은 중대한 군사적 도발행위는 아니다. 다만 신경전의 의미가 있다.]에 진입해 동해까지 진입한 후, 동해에 대기하고 있던 중국 함대와 훈련을 하고 다시 기지로 돌아갔다. 이를 요격[* 격추한다는 것이 아니라 감시한다는 뜻으로 요격]하기 위해 한국 공군 전투기 10여대 일본 자위대의 전투기들이 출격했다고 한다. 중국측으로서는 무력시위 겸 폭격기대의 장거리 작전 능력을 점검한 듯.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AKR20170109178551073_01_i.jpg]] H-6 폭격기대의 경로. == 대중매체에서 == * [[DCS World]] [[파일:FB_IMG_1680609814065.jpg]] DCS World에서 폭격기로 등장한다. * [[모던 워십]] [[파일:20230402_235325.jpg|width=100%]] 2022년 8월, 4티어 배틀패스 보상로 출시되었다. 극초음속 핵미사일인 CH-AS-X-13을 장비한데다 랜서급의 속도와 체력을 가지고 있던 탓에 [[Tu-22M]]과 [[SR-72]]같은 강력한 폭격기들이 출시되기 전까지 폭격기중 가장 밸붕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Tu-22M보다 한방딜은 낮으나, 미사일 위주 무장이라 안전성은 H-6이 더 좋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폭격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중국군/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