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국어의 '헬', rd1=헬, other2=지옥, rd2=지옥)] [목차] [[팝픈뮤직]]의 EXPERT COURSE 중 하나. == 개요 == 해당 시리즈에서 가장 어려운 곡 4개를 모아서 플레이할 수 있는 코스이다. 대개 각 시리즈 해금 이벤트의 최후반 요소이며, EXPERT COURSE 게이지가 적용되기 때문에 당연히 해당 곡들을 챌린지에서 따로따로 플레이하는 것보다는 쉽다. 이것을 클리어하는 것으로 해당 시리즈를 완결낸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 헬코스에는 [[Des-ROW]]와 [[あさき|아사키]]의 곡들이 가장 많이 수록됐었다. Des-ROW는 6-13까지 개근, 아사키는 12-16 버전에 꾸준히 수록됐었다. 이 외에도 [[카타오카 츠구미]]나 팝픈뮤직 시리즈 디렉터를 맡았었던 [[무라이 세이야]], [[wac]], [[TOMOSUKE]]의 곡들이 많이 들어가 있는 편. EXPERT COURSE가 짤린 18 전국열전에서는 HELL 코스라는 개념은 사라졌으나, 같은 작품에서 도입된 '팝픈검정'의 '기본검정 10-2' 코스가 사실상의 HELL 코스 역할을 하고 있다. 단 팝픈검정은 초CHALLENGE 모드에서 플레이하는 것이라 익스퍼트 게이지가 적용되지 않는데다가, BAD 수 제한까지 있기 때문에 더 어렵다. 19 TUNE STREET에서는 팝픈검정 모드까지 사라지면서 HELL 코스 자체가 없어졌으나,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에서 코스 모드가 추가됨으로써 부활하였다. [[팝픈뮤직 에클랄]]부터는 코스 모드가 삭제되면서 HELL 코스의 계보도 다시 끊겼다. 난이도는 현행 50단계 기준. 50단계 책정 이전에 삭제된 곡은 현행 환산 난이도[* 당시 난이도 + 6]를 표기하되 취소선으로 표시했다. == 시리즈별 HELL 코스 == === HELL6 === [[파일:external/www.konami.jp/c_hell6.jpg]] [youtube(DOrgD-A1mWg)] ||<-4> '''HELL 6''' || || '''1st''' || MOODY || Midnight Yoghurt (女SPY☆お色気ゴーゴー脱出大作戦) || {{{#red,#ff0000 EX 38}}} || || '''2nd''' || K-EURO || [[작은 행복]] || {{{#red,#ff0000 EX ~~38~~}}} || || '''3rd''' || MELO CORE || [[H@ppy Choice]] || {{{#red,#ff0000 EX 40}}} || || '''Final''' || HIP ROCK || [[大見解]] || {{{#orange HYPER 40}}} || 팝픈뮤직 시리즈 최초의 헬코스. 의외로 발매 당시에는 처음부터 고를 수 있는 오픈 코스였다. K-EURO는 17 THE MOVIE에서 삭제되었다. 힙락은 당시에는 EX가 없었기 때문에 하이퍼다. (EX는 파티에서 추가, 45레벨). 팝픈뮤직 6에는 색보면이라고 해서 어처구니 없는 난이도의 곡들도 많았으나 결국엔 코스 자체는 정식 보면들만 채택되었다. === HELL7 === [[파일:external/www.konami.jp/15.gif]] [youtube(lL5R4-_7O-o)] ||<-4> '''HELL 7''' || || '''1st''' || BALI TRANCE || [[Denpasar]] || {{{#red,#ff0000 EX 41}}} || || '''2nd''' || HARD ROCK || [[SA-DA-ME]] || {{{#red,#ff0000 EX 45}}} || || '''3rd''' || DES-REGGAE || [[夜間行]] || {{{#red,#ff0000 EX 48}}} || || '''Final''' || SPECIAL ENDING 2 || Ending theme of pop'n music 6 || {{{#red,#ff0000 EX 41}}} || 발리 트랜스는 개발 당시 매우 어려운 채보가 만들어졌다고 하나 보류되었다고 하는 코멘트가 당시 공식 홈페이지에 적혀있는데, 당시 다크니스EX(현행 44) 대신 발리트랜스가 들어간 것은 이런 배경 때문일지도 모른다. 어찌됐든 덕분에 good-cool은 헬7 코스의 본인이 곡이 2곡이나 들어가는 기록을 세웠다. 당시에 기각되었다던 문제의 발리 트랜스 초기 보면은 팝픈뮤직 11에서 추가된 우라 보면으로 재현된 듯 하다.(현행 46)[[https://www.youtube.com/watch?v=6IuoNfBG_ow|#]] === HELL 8 === || [[파일:external/www.konami.jp/sp_ex05.gif]]|| [youtube(J-IfFc8D8S8)] ||<-4> '''HELL 8''' || || '''1st''' || EUROBEAT || [[♥Love²シュガ→♥]] || {{{#red,#ff0000 EX 44}}} || || '''2nd''' || LADY METAL || Over the Night || {{{#red,#ff0000 EX 43}}} || || '''3rd''' || MELO PULK || [[pure]] || {{{#red,#ff0000 EX 46}}} || || '''Final''' || TRAUMA PUNK || [[석가(근육소녀대)|釈迦]] || {{{#red,#ff0000 EX ~~48~~}}} || 레이디메탈은 원래 39(현 45)였으나 37(현 43)으로 강등되었다. 난이도 급상승 조짐이 보이던 팝픈뮤직 7때 보다 한층 더 강화된 물량과 난이도로 당시 유저들에게 충공깽을 선보였다. 특히 42 (현 48) 난이도의 첫 등장과 구 기판 말기 해상도 문제로 최대 배속인 4배속에도 느리게 보이는 고수 유저들의 증가로, 지금도 올드 유저들에게는 고난이도 코스로 기억되는 편. 아케이드판 8에서는 노트수 1025개 이상이면 내부적으로 0으로 카운트되어 게이지 설정이 이상해지는 버그가 있었다고 한다. 코스 총 노트수에 비례해서 허용 BAD수가 결정되는데 무려 두 곡이나 노트수가 0으로 처리되니 허용 BAD수가 실제 총 노트수에 비해 극단적으로 적어지는 것이다. 참고로 점포 오리지널 코스를 노트수 1025개 이상인 곡으로만 설정하면 1BAD로 폭사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도 발생한다.[[http://nicovideo.jp/watch/sm12367663|동영상]]. 노트수 1025개라고 하면 현재의 '약간 짠 게이지'에 해당하는 노트수인데 당시에는 노트수가 4자리인 곡이 별로 없었다(카레EX, 석가EX, 유로비트EX 3곡이 끝). CS 8, AC 9에서 수정되어 CS판에서는 정상적인 HELL 8을 즐길 수 있다. === HELL 9 === [[파일:external/www.konami.jp/e12.gif]] [[파일:external/www.konami.jp/ec12.gif]] [youtube(pvgsyGsGnNw)] ||<-4> '''HELL 9''' || || '''1st''' || CYBER ROCKABILLY || Dynamic! Atomic! S.C.B.G. ~ver.1~ || {{{#red,#ff0000 EX ~~45~~}}} || || '''2nd''' || DEPA PUNK || [[デパ地下のお話]] || {{{#red,#ff0000 EX 47}}} || || '''3rd''' || HIP ROCK 2 || [[男々道]] || {{{#red,#ff0000 EX 47}}} || || '''Final''' || OI PUNK 0 || [[ブタパンチのテーマ]] || {{{#red,#ff0000 EX 49}}} || 사이버 로커빌리는 [[신도 아츠시]]의 표절 문제로 인해 삭제. 데파펑크는 원래 40(현 46)이었고 오이펑크0은 원래 42(현 48)이었다. 힙락2는 첫 등장시 41(현 47)이었다가 40으로 격하당했지만 서니파크에서 47로 재상향. === HELL 10 === ||<-4> '''HELL 10''' || || '''1st''' || ZEN JAZZ || [[明鏡止水]] || {{{#red,#ff0000 EX 46}}} || || '''2nd''' || MIXTURE || [[Jack]] || {{{#red,#ff0000 EX 45}}} || || '''3rd''' || SYMPHONIC METAL || [[Holy Forest]] || {{{#red,#ff0000 EX 47}}} || || '''Final''' || GRUNGE-DES || [[ULTRA BUTTERFLY(坤剛力)]] || {{{#red,#ff0000 EX 48}}} || 1스테이지의 명경지수보다 2스테이지의 Jack이 표기 난이도가 1 적은데, 그건 팝픈뮤직10 당시에 난이도 표기도 마찬가지라서 명경지수가 40, Jack이 39였다. 아무래도 --룰렛 난이도-- 특정 부분에 노트가 몰려있는 명경지수와 전체적으로 노트수가 많은 Jack의 체감 난이도를 고려한 듯. 해당 작품 의 신곡 중에 다른 42(현 48)인 [[DDR MEGAMIX]]도 있지만 이식곡 취급을 받아서인지 헬 코스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 HELL 11 === [[파일:external/www.konami.jp/07.gif]] ||<-4> '''HELL 11''' || || '''1st''' || NEBUTA || [[烏(BEMANI 시리즈)|烏]] || {{{#red,#ff0000 EX 46}}} || || '''2nd''' || MONGOL || [[怒れる大きな白い馬]] || {{{#red,#ff0000 EX 47}}} || || '''3rd''' || RINSEI || [[カゲロウ]] || {{{#red,#ff0000 EX 47}}} || || '''Final''' || NANIWA HERO || [[でんがなマンガナ]] || {{{#red,#ff0000 EX 47}}} || 원래 전곡 다 41(현 47)이었으나 네부타가 46으로 강등되었다. 개그곡인 뎅가나 만가나가 최종 보스라는 점에 충공깽을 느낀 사람이 더러 있었다(...) ~~그 와중에 [[KONMAI|HLL]]~~[* 사실은 팝픈뮤직 11의 컨셉이 여행인 만큼, 코스명을 공항의 약자처럼 3글자로 줄인 것이다.] === HELL 12 === ||<-4> '''HELL 12''' || || '''1st''' || LAMENTO || [[雫(BEMANI 시리즈)|雫]] || {{{#red,#ff0000 EX 48}}} || || '''2nd''' || CYBER GAGAKU || [[Vairocana]] || {{{#red,#ff0000 EX 48}}} || || '''3rd''' || KEI-ROW PUNK || [[進め! 爺ちゃん!]] || {{{#red,#ff0000 EX 48}}} || || '''Final''' || HIP ROCK 3 || [[雪上断火]] || {{{#red,#ff0000 EX 48}}} || 원래 앞 두 곡이 41(현 47)이었으나 격상되었다. 4곡이 모두 '''변속곡'''이었는데, 이 당시에는 배속조절이 불가능해서 극악으로 불렸다.[* 곡별로 배속조절이 가능한건 14 이후로, 그 전에는 처음정한 배속으로 마지막곡까지 간다. 이 문제인지 CS판은 팝픈9부터 배속 조절이 스테이지별로 자유로웠고 심지어 헬코스를 NORMAL-HYPER-EX로 골라서 플레이 할 수도 있었다(...)] 거기에 하필이면 앞에 3곡의 메인 BPM이 210-290-356으로 상당한 고속인데 마지막 스테이지 곡인 힙락3은 메인 BPM 180이였기 때문에 --이 곡도 적지않게 빠른 BPM임에도 불구하고-- [[DDR MEGAMIX|배속을 정하는데도 상당히 애로사항이 발생]]했다. 결정적으로 이 4곡들은 2019년 기준으로도 써니 파크 이후 48 인플레에도 불구하고 48 내에서 중박 이상의 난이도를 보여주는, 배속 문제가 아니더라도 당시 기준으로는 흉악한 난이도의 곡들이였기 때문에, 올드 플레이어들 중에 역대 헬코스에서 최흉의 코스를 꼽으라고 할 때 자주 언급되는 편. === HELL 13 === [[파일:external/www.konami.jp/course_06.gif]] ||<-4> '''HELL 13''' || || '''1st''' || ELECTRICAL PARADE || [[Baroque Hoedown]] || {{{#red,#ff0000 EX 46}}} || || '''2nd''' || JAM || [[HypArcSin(x)]] || {{{#red,#ff0000 EX 47}}} || || '''3rd''' || CHIN-DON-JAZZ || [[文明開化]] || {{{#red,#ff0000 EX 47}}} || || '''Final''' || HARD pF || [[fffff]] || {{{#red,#ff0000 EX 48}}} || 1차 해금이벤트였던 '두근두근 팝픈랜드'의 최종 해금 요소. 전곡이 일반 통상곡이였지만 BAROQUE HOEDOWN을 제외하고는 EX보면은 봉인되어 있어서 해금이벤트에서 HELL 코스가 등장해야 일반 플레이에서 고를 수 있었다. BAROQUE HOEDOWN은 트라우마 펑크 이후 2번째로 라이센스 곡 중에 헬코스에 배치됐다. [[파일:external/www.konami.jp/course_07.gif]] ||<-4> '''真 HELL 13''' || || '''1st''' || CIRCUS || [[フリーパス]] || {{{#red,#ff0000 EX 47}}} || || '''2nd''' || 海賊 || [[KING of the SEA]] || {{{#red,#ff0000 EX 47}}} || || '''3rd''' || SYMPHONIC METAL op.2 || [[Sanctum Crusade]] || {{{#red,#ff0000 EX 48}}} || || '''Final''' || COREDUST BEAT || [[真超深TION]] || {{{#red,#ff0000 EX 47}}} || 2차 해금이벤트였던 '두근두근 팝픈월드'의 최종 해금 요소. 서커스는 팝픈뮤직 7의 수록곡으로 EX 보면 자체는 추가채보다. 과거곡 중 현행코스에 수록된 최초의 케이스. 코어더스트 비트는 원래 42(현 48)였으나 41로 격하되었다. ~~명색이 최종보스인데~~ === HELL 14 === [[파일:external/www.konami.jp/c_hell14.gif]] ||<-4> '''HELL 14''' || || '''1st''' || CYBER FLAMENCO || [[hora de verdad]] || {{{#red,#ff0000 EX 48}}} || || '''2nd''' || KENKA DRUMS || [[BBLLAASSTT!!]] || {{{#red,#ff0000 EX 47}}} || || '''3rd''' || ENZETSU || [[猿の経]] || {{{#red,#ff0000 EX 47}}} || || '''Final''' || PROGRESSIVE BAROQUE || [[Übertreffen]] || {{{#red,#ff0000 EX 49}}} || 원래 4곡 다 42(현 48)인 최초의 코스였으나 가운데의 두 곡이 41(현 47)로 격하되고, 프로그레시브 바로크가 43(현 49)으로 격상되었다. 이 코스부터 헬코스 수록곡은 무조건 해금곡 위주로만 편성되게 된다. === HELL 15 === [[파일:external/www.konami.jp/course_15.jpg]] ||<-4> '''HELL 15''' || || '''1st''' || ANTHEM TRANCE REMIX || [[Votum stellarum]] -forest #25 RMX- || {{{#red,#ff0000 EX 47}}} || || '''2nd''' || 近代絶頂音樂 || [[天庭]] || {{{#red,#ff0000 EX 47}}} || || '''3rd''' || IDM || [[ZETA ~素数の世界と超越者~]] || {{{#red,#ff0000 EX 48}}} || || '''Final''' || NIENTE || [[neu]] || {{{#red,#ff0000 EX 49}}} || 니엔테가 43(현 49)으로 격상되었고 천정이 서니파크에서 47(구 41)로 격하되었다. 이 버전부터 기기 기판이 PC기반(Windows XP)로 변경되었기 때문인지 데이터가 금방 누출되어 헬코스의 오토 플레이 영상이 가동 초기에 인터넷에 돌아다니기도 했다. 코스 구성 및 채보 난이도와는 별개로 이 코스는 해금시키는 것 자체가 어려웠는데, 해금 이벤트 진행 중에 '''니엔테 EX를 클리어해야''' 이 코스가 등장했다. === HELL 16 === [[파일:external/www.konami.jp/card_06.gif]] ||<-4> '''HELL 16''' || || '''1st''' || VIKING || [[バイキングマン]] || {{{#red,#ff0000 EX 48}}} || || '''2nd''' || PSG BREAK CORE || [[CHIP'N'RIDDIM]] || {{{#red,#ff0000 EX 48}}} || || '''3rd''' || GLOSSOLALIA || [[万物快楽理論]] || {{{#red,#ff0000 EX 48}}} || || '''Final''' || TOY CONTEMPORARY || [[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 || {{{#red,#ff0000 EX 50}}} || 당시기준으로 최초로 AC 43(현 49~50)이 나온 시리즈. === HELL 17 === [[파일:external/www.konami.jp/c_09.gif]] ||<-4> '''HELL 17''' || || '''1st''' || HARD PF+ || [[fffff]] op.2 || {{{#red,#ff0000 EX 48}}} || || '''2nd''' || カイジュウ || [[突然ゴルゴンゾーラ]] || {{{#red,#ff0000 EX 47}}} || || '''3rd''' || METALLIC OPERA || [[Geiselhaus]] || {{{#red,#ff0000 EX 49}}} || || '''Final''' || SILENT || [[音楽]] || {{{#red,#ff0000 EX 50}}} || 네 곡 다 42라는 무시무시함을 자랑했으나 뒤의 두곡이 43으로 격상(音楽은 현 50레벨 난이도 체계에서 당당히 50으로 입성)되었고 두번째 곡은 써니파크에서 47(구 41)로 격하되었다. === HELL 18 === ||<-4> '''기본검정 10-2''' || || '''1st''' || 戦乱絵巻 || [[西軍∥∴⊂SEKIGAHARA⊃∴∥東軍]] || {{{#red,#ff0000 EX 48}}} || || '''2nd''' || HIP ROCK 5 || [[一激必翔]] || {{{#red,#ff0000 EX 48}}} || || '''3rd''' || MUHON TRANCE || [[NOBUNAGA]] || {{{#red,#ff0000 EX 48}}} || || '''Final''' || ふること || [[序]] || {{{#red,#ff0000 EX 48}}} || 클리어 조건 : 각 곡 당 BAD 40 이하 기본검정 10-2가 HELL18이지만, 기본검정 10-1[*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나데시코락(46)]]-[[怒れる大きな白い馬|몽골(47)]]-[[音楽|사일런트('''50''')]]-[[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토이컨템포러리('''50''')]]]이 더 어렵다. 굳이 말하면 HELL15와 HELL1-14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4> '''전국지옥 코스''' || || '''1st''' || ORIENTAL MYTHOLOGY || [[蛇神]] || {{{#red,#ff0000 EX 48}}} || || '''2nd''' || 戦乱絵巻 || [[西軍∥∴⊂SEKIGAHARA⊃∴∥東軍]] || {{{#red,#ff0000 EX 48}}} || || '''3rd''' || MUHON TRANCE || [[NOBUNAGA]] || {{{#red,#ff0000 EX 48}}} || || '''Final''' || ふること || [[序]] || {{{#red,#ff0000 EX 48}}} || 48-48-48-48.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의 코스 모드에 4월 13일자로 추가. 힙락5가 쫓겨나고 오리엔탈미솔로지가 그 자리를 채웠다. 오리엔탈미솔로지가 등장 당시에는 41이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안 들어간 듯. 역시 49, 50레벨 곡이 없기 때문에 최신작 치고는 만만한 HELL 코스. === HELL TUNE STREET === ||<-4> '''HELL [[팝픈뮤직 19 TUNE STREET|TUNE STREET]]''' || || '''1st''' || RUINOUS SPIRITUALS || [[Remain]] || {{{#red,#ff0000 EX 49}}} || || '''2nd''' || SPIRAL STAIRS || [[BabeL ~Grand Story~]] || {{{#red,#ff0000 EX 48}}} || || '''3rd''' || SCALE OUT || [[BabeL ~Next Story~]] || {{{#red,#ff0000 EX 49}}} || || '''Final''' || TWILIGHT CHIME || [[BabeL ~roof garden~]] || {{{#red,#ff0000 EX '''38'''}}} || BabeL ~roof garden~은 강제 HI-SPEED 1.0x이며 히든/서든 옵션을 사용할 수 없다.[* 오쟈마도 사용할 수 없지만 이건 다른 HELL 코스도 모두 못 건다.] 옵션 제한이 걸린 최초의 HELL 코스. 라피스토리아 2015/3/16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 HELL fantasia === ||<-4> '''HELL [[팝픈뮤직 20 fantasia|fantasia]]''' || || '''1st''' || STARRY†TRANCE || [[Southern Cross(BEMANI 시리즈)|Southern Cross]] || {{{#red,#ff0000 EX 48}}} || || '''2nd''' || NORMADIC NATION || [[カラルの月]] || {{{#red,#ff0000 EX 48}}} || || '''3rd''' || VELLUM || [[Eine Haube ~聖地の果てにあるもの~]] || {{{#red,#ff0000 EX 49}}} || || '''Final''' || MURAKUMO || [[少年は空を辿る]] || {{{#red,#ff0000 EX 50}}} || 라피스토리아 2015/2/16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 HELL Sunny Park === ||<-4> '''HELL [[팝픈뮤직 Sunny Park|Sunny Park]]''' || || '''1st''' || WARABE STEP || [[コドモライブ]] || {{{#red,#ff0000 EX 48}}} || || '''2nd''' || NIGHTMARE METAL || [[背徳と邪悪のエピタフ]] || {{{#red,#ff0000 EX 48}}} || || '''3rd''' || IMBOLC || [[生命の焔纏いて]] || {{{#red,#ff0000 EX 49}}} || || '''Final''' || ANGELION || [[生命の環を紡いで]] || {{{#red,#ff0000 EX 50}}} || 이전의 헬코스가 현행 버전 신곡으로 구성된 데 비해 이 코스는 다음 버전인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에서 등장. 첫 스테이지의 [[コドモライブ]]는 등장 당시에는 49였으나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에서 48로 강등되었다. ~~어째 담당 캐릭터가 전부 여자들이다.~~ == 과거 보스곡 HELL 코스 == === HELL 1-5 === [[파일:external/www.konami.jp/c_hell15.jpg]] ||<-4> '''HELL 1-5''' || || '''1st''' || HEAVY METAL || [[I'm on Fire]] || {{{#green,#7fff7f NORMAL 30}}} || || '''2nd''' || BONUS TRACK REMIX || すれちがう2人 Millennium mix || {{{#green,#7fff7f NORMAL 33}}} || || '''3rd''' || CLASSIC 2 || R.C. || {{{#orange HYPER 41}}} || || '''Final''' || PERCUSSIVE || [[西新宿清掃曲]] || {{{#red,#ff0000 EX 43}}} || 팝픈뮤직 6의 히든 코스. HELL6에 커서를 맞추고 노란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고를 수 있었다. 팝픈 2, 3, 4, 5의 곡을 모은 것이 특징. 엄밀히 말하면 순서는 2-4-3-5다.(클래식2는 CS2에서 AC3으로 이식). 팝픈 1의 곡은 없지만, 애교로 봐주자.(팝픈 1의 보스곡은 [[SPICY PIECE]] 노멀. 현행 난이도 23). 보너스트랙REMIX를 빼고는 하나같이 변태적인 곡들만 모아놓아 개발진의 악의를 느낄 수 있다. === HELL 1-14 === [[파일:external/www.konami.jp/course_14.jpg]] ||<-4> '''HELL 1-14''' || || '''1st''' ||CYBER GAGAKU || [[Vairocana]] || {{{#red,#ff0000 EX 48}}} || || '''2nd''' || GRUNGE-DES || [[ULTRA BUTTERFLY(坤剛力)]] || {{{#red,#ff0000 EX 48}}} || || '''3rd''' || OI PUNK 0 || [[ブタパンチのテーマ]] || {{{#red,#ff0000 EX 49}}} || || '''Final''' || PROGRESSIVE BAROQUE || [[Übertreffen]] || {{{#red,#ff0000 EX 49}}} || 팝픈뮤직 15 ADVENTURE의 히든 코스 == ReNew HELL 코스 ==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의 코스 모드에 업데이트로 추가된 코스. 5월 현재 1-5, 6-7이 있다. === HELL 1-5 ReNew === ||<-4> '''HELL 1-5 ReNew ''' || || '''1st''' || MASALA || すてきなタブーラ || {{{#red,#ff0000 EX 44}}} || || '''2nd''' || CELT || 水中家族のテーマ || {{{#red,#ff0000 EX 44}}} || || '''3rd''' || ENKA REMIX || [[お江戸花吹雪 TEYAN-day MIX]] || {{{#red,#ff0000 EX 47}}} || || '''Final''' || CLASSIC 4 || [[Concertare]] || {{{#orange HYPER 48}}} || 2015년 5월 18일 추가. 앞의 두 곡은 튠스트릿에서 추가된 신규 패턴이다. === HELL 6-7 ReNew === ||<-4> '''HELL 6-7 ReNew ''' || || '''1st''' || CLASSIC 6 || [[maritare!]] || {{{#red,#ff0000 EX 47}}} || || '''2nd''' || CLASSIC 7 || [[The tyro's reverie]] || {{{#red,#ff0000 EX 47}}} || || '''3rd''' || OI PUNK || [[悲しいね]] || {{{#red,#ff0000 EX 48}}} || || '''Final''' || DES REGGAE || [[夜間行]] || {{{#red,#ff0000 EX 48}}} || 5월 18일 추가. 각각 CS6, CS7 출신인 클래식6과 클래식7, 오이펑크가 있으므로 AC판 기준 6-7은 아니다.(AC에는 9에 이식) 첫판부터 짜릿한 무리배치를 자랑하는 클래식6이 들어있어 플레이하면서 개발진의 악의를 느낄 수 있다. [[분류:팝픈뮤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