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글 글꼴]][[분류:산세리프 글꼴]][[분류:2014년 출시]] ||<-2> {{{#FFF,#000 {{{+1 '''HG꼬딕씨'''}}}[br]HGGGothicss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0px 10px" [[파일:HG꼬딕씨.svg|width=300&theme=light]][[파일:HG꼬딕씨 (화이트).svg|width=300&theme=dark]]}}}|| || '''분류''' ||고딕, 헤드라인 || || '''제작 연도''' ||[[2014년]] || || '''제작사''' ||한글씨 || || '''제작자''' ||김동관[* 폰트 디자이너 겸 한글씨 대표이사. [[한화그룹]] 부회장인 [[김동관|김동관(기업인)]]과는 관계가 없다.]|| || '''웨이트''' ||6종 (00g, 20g, 40g, 60g, 80g, 99g) || || '''관련 링크''' ||[[https://hangulssi.com/|한글씨 홈페이지]][* 해당 홈페이지의 본문 폰트, 즉 웹폰트가 모두 HG꼬딕씨로 이루어져 있다.][br][[https://hangulssi.com/index.php/portfolio_page/hgggothicssi/|관련 항목]]||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파일:HG꼬딕씨문장.svg|width=100%&theme=light]][[파일:HG꼬딕씨 문장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FFF,#000 HG꼬딕씨 [[팬그램|{{{#FFF,#000 팬그램}}}]] 문장 }}}''' || >''' 여러가지 친애하는 꼬딕씨들 ''' >---- >HG꼬딕씨 소개 문구 '''[[https://hangulssi.com/|한글씨]]'''에서 [[2014년]]에 출시된 꽉찬 네모꼴 구조의 [[한글]] 서체이다. 2024년 기준으로 출시 10주년을 맞이하였다. == 상세 == '''[[대한민국]]의 여러 [[광고]]에서 아주 흔히 사용되는 국내에서 엄청나게 인지도가 높은 헤드라인 폰트이다.''' 독립 서체 스튜디오라는 소규모 기업인 한글씨에서 2014년에 출시되자마자 출시한지 1년도 안되서 영화 [[비긴 어게인|비긴 어게인]]의 타이틀 폰트로 쓰이는 등 각종 매체에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그로부터 시간이 지나서 그때까지만 해도 널리 사용되고 있었던 [[윤고딕]]을 대체하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민 폰트로써 자리잡게 되었다.'''[* 사실은 HG꼬딕씨보다 3년 전에 등장한 [[산돌네오|산돌고딕 Neo]]도 윤고딕 대체자로 널리 쓰이고 있었으나, 임팩트적인 차원에서는 꼬딕씨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후 2024년 현재까지도 여러가지 광고에서 강조 폰트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웨이트는 대부분 80g, 99g[* 이 웨이트들은 각각 Bold, Heavy(혹은 Black)와 같은 포지션에 있다.]가 많이 쓰여지고 있다. 한글씨 폰트 내에서도 '''독보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폰트이다.''' 배리에이션으로는 이 폰트에서 파생된 [[https://hangulssi.com/index.php/portfolio_page/hgtallggothicssi/|HG키큰꼬딕씨]], [[https://hangulssi.com/index.php/portfolio_page/hgsoftggothicssi/|HG굴린꼬딕씨]]가 존재하지만, HG꼬딕씨만큼의 인지도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용 예시로 [[SBS]]에서 송출하는 지상파 스포츠 프로그램에서 2022년 2월부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KBO 리그]],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등에서 쓰여지고 있는 문구[* 다만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의 경우는 '''[[대한축구협회|KFA]]고딕체'''가 사용되었다.], [[비디오머그]], [[SBS 뉴스]] 유튜브 채널 섬네일, SBS24 채널 등의 타이틀 폰트, [[문화방송|MBC]] 연계 유선 TV채널 [[MBC PLUS]]의 [[MBC every1]], [[MBC 드라마넷]]에서의 본문 스크립트 폰트, [[한국방송공사|KBS]]의 [[고려 거란 전쟁]] 포스터 하단의 시간대 문구 등이 있다. 또한 상업 광고, 예를 들어 광고 배너 및 CF에서 다방면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용 예시로서 [[넷플릭스]], [[아큐브]]{{{-2 [[존슨앤드존슨|(존슨앤드존슨)]]}}}, [[CJ그룹]]{{{-2 (대표적으로 [[CJ제일제당]], [[CJ ENM]])}}}, [[해커스]], [[시원스쿨]], [[케이뱅크]], [[노란우산공제]], [[NH농협은행]], [[신세계그룹]][[이마트|(이마트)]] 등등 '''사용 예시 또한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편이다.''' 최근에 들어서 정치 분야에서도 [[국민의힘|여]][[더불어민주당|야]] 상관없이 간간히 쓰이고 있으며, 심지어는 정당의 로고 자체가 HG꼬딕씨로만 이루어져 있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제21대 국회]] 기준으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소속으로서 민주당을 탈당한 [[비이재명|비-이재명계]](비명계)의 계파 중 하나인 [[원칙과상식]]을 주축으로 세워진 '''[[미래대연합]]'''([include(틀:미래대연합)])이 대표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 특징 == 같은 해인 2014년에 출시되었던 [[Sandoll 격동#s-2.1|산돌 격동고딕]]과는 닮은 구석이 많다.[* 그래서인지는 모르지만 실제 광고에서 '''꼬딕씨와 격동고딕이 서로 같이 쓰이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차이점이 있다면 HG꼬딕씨는 'ㅅ', 'ㅈ', 'ㅊ'의 형태가 서로 두 줄기로 갈라져 있는 격동고딕과 달리 두 개의 선이 불규칙적인 브랜치 형태를 띄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 외에도 네모 모양으로 반듯하고 특유의 잘 다듬어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가독성이 매우 높아 특히 광고 디자인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다운로드 방법 == [[https://markethiut.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462&cate_no=58&display_group=1|마켓히읗]]과 [[https://www.sandollcloud.com/font//864.html|산돌구름]]에서 유료 구매가 가능하다. '''단, 무료로 다운로드하면 저작권 침해 분쟁이 일어날 수 있으니 가급적으로는 지양하도록 하자.''' * '''마켓히읗''' - 소장형 라이선스로 유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개별 구매가 가능하며, 무기한으로 소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산돌구름]]''' - 구독형 라이선스로 유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구독 형태인 만큼 기한이 존재한다. == 여담 == * 영문 명칭인 'HGGGothicssi'[* 제작사인 한글씨의 이니셜인 HG와 '꼬딕씨'의 영문 스펠링인 GGothicssi가 문자 그대로 붙은 것이다.] 에서 알 수 있듯이 대문자 'G'가 3번 연속(GGG)으로 나와 '''[[666]]'''이 연상되고 있는데, 해당 폰트가 [[음모론]]과도 엮이고 있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