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VH1 선정 1980년대 최고의 노래)] ||<-2><#000> '''{{{+1 Here I Go Aga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gSYGbkOmu4,width=100%, height=250)]}}} || || '''싱글 발매일''' ||[[1982년]] [[11월 15일]] || || '''싱글 B면''' ||Bloody Luxury || || '''앨범 발매일''' ||[[1982년]] [[11월 25일]] || || '''수록 앨범''' ||Saints & Sinners || || '''장르''' ||[[블루스 록]], [[하드 록]] || || '''재생 시간''' ||5분 9초 || || '''작사/작곡''' ||[[데이비드 커버데일]], [[버니 마스덴]] || || '''프로듀서''' ||마틴 버치 || || '''레이블''' ||[[게펜 레코드]]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SlSaGcc0QM, width=100%, height=250)]}}} || ||<#000> '''공식 뮤직비디오'''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하드 록]] 밴드 [[화이트 스네이크]]의 1982년 싱글로, 싱글 발매 후 열흘 뒤에 발매된 앨범 "Saints & Sinners"에도 수록되었다. == 상세 == 앨범의 리드 싱글로, 당시까지 발매된 모든 화이트 스네이크의 노래중 3번째로 높은 영국 차트 최고 순위를 기록한 화이트 스네이크의 초기 명곡이다.[* 당시는 Fool for Your Loving이 13위로 첫번째, Don't Break My Heart Again이 17위로 두번째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 영국 차트 31위와 서독 차트 51위를 차지하였다. [[딥 퍼플]]의 옛 동료였던 [[이안 페이스]]와 [[존 로드]]도 참여하였으며 [[딥 퍼플]] 시대의 [[블루스 록]]을 추구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다. [[데이비드 커버데일]]은 이 곡이 자신의 첫번째 이혼을 다룬 노래라고 밝혔다. 커버데일은 1974년 폴란드인 아내와 결혼했다가 이후 이혼하였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 노래는 'Crying in the Rain'과 같은 감정으로 작곡된 곡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자신은 자기의 인생을 기록하기 위해 노래를 만든다고.--쓸데 없이 간지-- 다만 후술할것처럼 1987년 버전이 대단한 히트곡이기 때문에, 어지간한 화이트 스네이크의 팬인 아닌 이상 1982년 버전을 아는 사람들의 수는 적다. == 가사 == ||<#000> ---- {{{+2 '''Here I Go Again'''}}} ---- I don't know where I'm going But I sure know where I've been Hanging on the promises In songs of yesterday And I've made up my mind I ain't wasting no more time Here I go again Here I go again Though I keep searching for an answer I never seem to find what I'm looking for Oh, Lord, I pray You give me strength to carry on 'Cause I know what it means To walk along the lonely street of dreams Here I go again on my own Goin' down the only road I've ever known Like a hobo I was born to walk alone But I've made up my mind I ain't wasting no more time Just another heart in need of rescue Waiting on love's sweet charity I am gonna hold on For the rest of my days 'Cause I know what it means To walk along the lonely street of dreams Here I go again on my own Goin' down the only road I've ever known Like a hobo I was born to walk alone And I've made up my mind I ain't wasting no more time But here I go again Here I go again Here I go again Here I go And I've made up my mind I ain't wasting no more time Here I go again on my own Goin' down the only road I've ever known Like a hobo I was born to walk alone 'Cause I know what it means To walk along the lonely street of dreams Here I go again on my own Goin' down the only road I've ever known Like a hobo I was born to walk alone I have made up my mind I ain't wasting no more time But here I go again Here I go again Here I go again Here I go Here I go again || == 1987년 버전 == ||<#FFFFFF><:><-5> {{{+1 [[빌보드 핫 100]] {{{#B2A529 ''' 역대 1위곡 ''' }}} }}} || || ''[[Didn't We Almost Have It All]]''[br][[휘트니 휴스턴|{{{#000 Whitney Houston}}}]] || → || ''[[|Here I Go Again' 87]]''[br]'''[[화이트 스네이크|{{{#000 White Snake}}}]][br]{{{-1 {{{#808080 (1주)}}}}}}''' || → || ''[[Lost in Emotion]]''[br]{{{#000 Lisa Lisa and Cult Jam}}} || ||<-2><#D8D7D2> '''{{{+1 Here I Go Again '87}}}'''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XC_hoD1wxc,width=100%, height=250)]}}} || || '''싱글 발매일''' ||[[1987년]] [[7월]] || || '''싱글 B면''' ||Guilty of Love || || '''앨범 발매일''' ||[[1982년]] [[11월 25일]] || || '''수록 앨범''' ||[[1987(음반)|1987]] || || '''장르''' ||[[글램 메탈]], [[블루스 록]] || || '''재생 시간''' ||4분 36초(앨범 버전)[br]3분 54초(라디오 믹스 버전) || || '''작사/작곡''' ||[[데이비드 커버데일]], [[버니 마스덴]] || || '''프로듀서''' ||마이크 스톤, 키스 올슨 || || '''레이블''' ||[[게펜 레코드]]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yF8RHM1OCg, width=100%, height=250)]}}} || ||<#D8D7D2> '''공식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J6ETqK_JjM, width=100%, height=250)]}}} || ||<#D8D7D2> '''라디오 믹스 버전''' || [clearfix] 보통 원곡과 구분하기 위해 Here I Go Again' 87이라는 표현을 쓴다. [[주객전도|그런데 이 버전이 너무 유명해서 대부분은 1982년의 원곡을 Here I Go Again' 82라고 부르고 "Here I Go Again"이라고 하면 보통 이 곡을 가르킨다.]] 대중들에게는 1987년 리메이크한 버전이 훨씬 더 잘 알려져있다. 앨범 [[1987(음반)|1987]](미국에서는 Whitesnake)에 수록되었으며 원곡과 마찬가지로 리드 싱글이었다. 앨범 자체도 전세계적으로 1,000만장이 팔리면서 엄청나게 흥행했는데, 이 곡은 무려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하면서 [[화이트스네이크]]를 대표하는 최고의 명곡으로 등극했다.[* 비슷한 시기 발매된 또다른 싱글 Is This Love도 빌보드 핫 100 2위를 차지했다. 미국 출신이 아닌 글램 메탈 밴드의 앨범중 이정도로 성공한건 [[데프 레파드]]의 [[Hysteria(음반)|Hysteria]]정도밖에 없다.] [[1987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7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서 537위에 올랐다. 원곡과는 달리 [[블루스 록]]의 색체는 유지했지만 트렌디하게 [[글램 메탈]] 풍으로 편곡하였으며, 템포도 빨라지고 도입부 신디음, 중반 기타 솔로[* 사실 기타 솔로는 버전마다 다 다르다. 라디오 믹스에서는 원곡과 비슷한 기타 솔로가 수록되었다. 비교하면서 들어가는것도 묘미.] 등이 수정되었다. 결정적으로 82년과 달리 87년의 커버데일은 [[비중격만곡증]]수술 이후 그의 고음처리를 가로막던 비강호흡 문제가 해결되면서 고음이 터지기 시작해 82년과는 완전히 다른 보컬리스트가 되어있었다. 그 커버데일의 바뀐 창법과 세련된 편곡에 힘입어 단숨에 영국 차트 9위, 미국 차트 1위에 올랐고, 글램 메탈 역사상 가장 훌륭한 원작 초월이라고 불리는 곡이 되었다. 대체로 [[Pour Some Sugar on Me]], [[Livin' on a Prayer]], [[Sweet Child O' Mine]]과 더불어 1980년대 글램 메탈 씬을 대표하는 명곡으로 꼽힌다. 2012년 [[롤링 스톤]] 선정 최고의 글램 메탈 송 9위, 데일리 텔레그레프 선정 최고의 파워 발라드 21위, VH1 선정 1980년대 최고의 명곡 17위 등 평론단과 골수 글램 메탈 팬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에서도 크게 히트 친 몇 안되는 글램 메탈 곡중 하나. 다만 한국에서는 [[소프트 록]] 넘버인 'Is This Love'가 이 곡보다 더 큰 인기를 끌었다. === 가사 === ||<#D8D7D2> ---- {{{+2 '''Here I Go Again '87'''}}} ---- I don't know where I'm going 전 제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몰라요 But I sure know where I've been 하지만 제가 어디를 가봤는지는 알죠 Hangin' on the promises in songs of yesterday 어제의 노래들 속에 있는 약속들을 붙잡으며 And I've made up my mind 저는 제 마음을 굳혔어요 I ain't wasting no more time 더이상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래요 Here I go again 다시 시작할거에요 Here I go again 다시 시작할거에요 Though I keep searching for an answer 전 여전히 답을 찾고 있지만, I never seem to find what I'm looking for 제가 어떤 답을 찾고 있는지 모를 것 같아요 Ooh Lord, I pray you give me strength to carry on 오 신이여, 저는 기도합니다, 저에게 계속 해나갈 힘을 주세요 'Cause I know what it means 왜냐하면 저는 그게 어떤 의미인지 알거든요 To walk along the lonely street of dreams 외로운 꿈의 거리를 걸어가는 것의 의미를 Here I go again on my own 그리고 전 스스로 다시 시작해요 Goin' down the only road I've ever known 제가 알던 유일한 길을 걸어가면서 Like a drifter I was born to walk alone 마치 홀로 걸어가도록 태어난 방랑자처럼 and I've made up my mind 그리고 저는 제 마음을 굳혔어요 I ain't wasting no more time 더이상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래요 I'm just another heart in need of rescue 저는 그저 구원이 필요한 또 다른 사람이에요 Waiting on love's sweet charity 사랑의 달콤한 자비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죠 And I'm gonna hold on for the rest of my days 그리고 저는 제 여생동안 기다릴거에요 'Cause I know what it means 왜냐하면 저는 그게 어떤 의미인지 알거든요 To walk along the lonely street of dreams 외로운 꿈의 거리를 걸어가는 것의 의미를 Here I go again on my own 그리고 전 스스로 다시 시작해요 Goin' down the only road I've ever known 제가 알던 유일한 길을 걸어가면서 Like a drifter I was born to walk alone 마치 홀로 걸어가도록 태어난 방랑자처럼 and I've made up my mind 그리고 저는 제 마음을 굳혔어요 I ain't wasting no more time 더이상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래요 But here I go again 하지만 이제 다시 시작할거에요 Here I go again 다시 시작할거에요 Here I go again 다시 시작할거에요 Here I go 이제 시작할거에요 (기타 솔로) 'Cause I know what it means 왜냐하면 저는 그게 어떤 의미인지 알거든요 To walk along the lonely street of dreams 외로운 꿈의 거리를 걸어가는 것의 의미를 Here I go again on my own 그리고 전 스스로 다시 시작해요 Goin' down the only road I've ever known 제가 알던 유일한 길을 걸어가면서 Like a drifter I was born to walk alone 마치 홀로 걸어가도록 태어난 방랑자처럼 and I've made up my mind 그리고 저는 제 마음을 굳혔어요 I ain't wasting no more time 더이상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래요 Here I go again on my own 그리고 전 스스로 다시 시작해요 Goin' down the only road I've ever known 제가 알던 유일한 길을 걸어가면서 Like a drifter I was born to walk alone 마치 홀로 걸어가도록 태어난 방랑자처럼 'Cause I know what it means 왜냐하면 저는 그게 어떤 의미인지 알거든요 To walk along the lonely street of dreams 외로운 꿈의 거리를 걸어가는 것의 의미를 Here I go again on my own 그리고 전 스스로 다시 시작해요 Goin' down the only road I've ever known 제가 알던 유일한 길을 걸어가면서 Like a drifter I was born to walk alone 마치 홀로 걸어가도록 태어난 방랑자처럼 ---- || 1982년의 원곡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대표적으로 코러스 부분에 "Like a hobo I was born to walk alone"(무임승차자와 마찬가지로 나는 홀로 걷기 위해 태어났어)라는 구절이 있었는데, 이 부분이 [[호모|homo]]라고 몬더그린되어 화이트 스네이크가 [[호모포비아]] 밴드로 여겨질 것을 우려한 [[데이비드 커버데일]]은 1987년 버전을 제작하면서 이 부분을 "Like a drifter I was born to walk alone"으로 바꿨다. == 다른 버전 == [youtube(2a9k8ADjUag)] 1997년 라이브 앨범 "Starkers in Tokyo"에 수록된 어쿠스틱 버전 [youtube(u2VhwVLkQjY)] 2004년 [[영국]] [[런던]] [[해머스미스]] 라이브 버전 [youtube(eORqxoMbhFU)] 2011년 [[일본]] [[도쿄]] 라이브 버전 == 참여자 == === 1982년 === * [[데이비드 커버데일]] - 리드 보컬 * 버니 마스덴 - 기타 * 미키 무디 - 기타, 백킹 보컬 * 닐 머레이 - 베이스 * [[이언 페이스]] - 드럼 * [[존 로드]] - 키보드 * 멜 겔리 - 백킹 보컬 === 1987년 === * [[데이비드 커버데일]] - 리드 보컬 * 존 사이크스 - 기타, 백킹 보컬 * 닐 머레이 - 베이스 * 에인슬리 던바 - 드럼 * 에드리언 밴든버그 - 기타 솔로 * 돈 에이리 - 키보드 * 빌 쿠오모 - 키보드 [[분류:1982년 노래]][[분류:1982년 싱글]][[분류:1987년 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블루스 록]][[분류:하드 록]][[분류:글램 메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