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4년 노래]][[분류:그린 데이]][[분류:팝 펑크]][[분류:얼터너티브 록]] ||<#0C0C0C><-2> '''{{{+1 Holida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onsequenceofsound.files.wordpress.com/greendaycover.jpg|width=100%]]}}} || || '''앨범 발매일''' ||[[2004년]] [[9월 21일]] || || '''싱글 발매일''' ||[[2005년]] [[3월 14일]] || || '''녹음일''' ||[[2004년]] [[3월 26일]] || || '''장르''' ||[[팝 펑크]], [[얼터너티브 록]] || || '''러닝 타임''' ||3:52 || || '''작사/작곡''' ||[[그린 데이]] || || '''연주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빌리 조 암스트롱|{{{#ff0d13 '''빌리 조 암스트롱'''}}}]]}}} 리드 보컬, 리드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ff0d13 '''마이크 던트'''}}}}}} 베이스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ff0d13 '''트레 쿨'''}}}}}} 드럼 }}} || || '''프로듀서''' ||[[그린 데이]], 롭 카발로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American Idiot|{{{#ff0d13 '''American Idiot'''}}}]]}}} || || '''레이블''' ||리프라이스, 워너 레코드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노래, 순위=5168)] [목차] == 개요 == ||<#ff0d13>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1OqtIqzScI,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GUSz5MbcqE, height=200)]}}} || || '''뮤직 비디오''' || '''2010년 라이브''' || 2004년에 발매된 [[그린 데이]]의 7번째 정규 앨범 《[[American Idiot]]》의 3번 트랙곡이자 세 번째 싱글. == 상세 == 당시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와 [[이라크 전쟁]]과 같은 불합리한 정책을 가장 통렬하게 비판하고 있는 곡이다. 《American Idiot》 앨범 자체가 서사적 흐름이 중요한 [[콘셉트 앨범|록 오페라]]임에도 불구하고, 이 곡의 경우에는 전체 줄거리와 별개로 단독으로 떼어놓아도 이해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참고로 제목이 "Holiday"인 이유는 이 곡의 주 비판 대상인 [[조지 W. 부시]]와 관련이 있다. 당시 부시는 대통령 임기 중에 하도 자주 장기 [[휴가]]를 많이 떠나서[* 부시는 4년 간의 1기 임기를 끝낸 2005년 여름에 벌써 8년간 재임했던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공식 휴가 기록인 335일을 깨고 무려 총 1년에 가까운 휴가 기록을 세울 정도로(!) 잦은 휴가를 내서, 이에 대한 비판 여론이 이미 이 전부터 상당했다.] 미국 국민들 사이에서 "휴가 전문 대통령"이라고 불릴 정도였는데, 이 때문에 부시 본인은 이 단어를 매우 싫어했다고 한다. 그래서 역으로 '''이 단어가 부시를 상징하는 말로 쓰이곤 했는데, 이걸 [[빌리 조 암스트롱]]이 노리고 노래 제목을 "Holiday"라고 지었다'''고 한다(...). 참고로 이 곡 끝부분의 [[일렉트릭 기타]]와 [[베이스 기타]]가 울리는 소리는 다음곡 [[Boulevard of Broken Dreams]]의 시작 부분과 [[The Dark Side of the Moon|이어진다.]] 곡들 간의 긴밀성을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그렇게 만든 것. 덕분에 신선한 충격을 선사해주었다. == 가사 == ||<:> ---- '''{{{+4 {{{#ff0d13 Holiday}}}}}}''' ---- Hear the sound of the falling rain 저기 [[폭격|아마겟돈 화염]]처럼 쏟아져 내리는 Coming down like an Armageddon flame (Hey!) 빗소리를 들어봐[* [[커티스 르메이|폭격]]을 은유하는 어구.] The shame, the ones who died without a name 안타깝게도 [[군인|이름도 없이 죽어버린 수많은 이들]] Hear the dogs howling out of key “신념과 고통”이라는 송가[* [[이라크 전쟁]]을 은유함.]에 맞춰서 To a hymn called "Faith and Misery" (Hey!) 미친듯이 짖어대는 저 개들의 울음소리를 들어 봐[* 이때 빌리 조가 라이브 때마다 성호를 긋는다.] And bleed, the company lost the war today 그리고 오늘도 병사들이 [[이라크 전쟁|전쟁]]에서 패배하여 피를 흘리지 I beg to dream and differ from the hollow lies 난 허울뿐인 거짓들과는 다르길 간절히 바라며[* 이게 절묘한게, 앞과 연결시켜 ‘beg to differ’로 풀이하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된다.] 꿈을 꾸고 싶어 This is the dawning of the rest of our lives 이것이 우리의 남은 삶의 시작인거야 On holiday ‘휴일’에 말이야![* [[조지 W. 부시]]를 겨냥한 말.] Hear the drum pounding out of time 엇박자를 내는 북소리를 들어 봐 Another protester has crossed the line (Hey!) 시위하던 또다른 동지가 또 선을 넘었어[* 뒤의 어구와 이어서 해석하는 것이 맞으므로, 함께 시위하던 동지가 반대편으로 변절했다는 뜻이 된다.] To find, the money's on the other side 반대편은 돈이 제법 되니까 Can I get another Amen? (Amen!) 왜 또 기도하셔야지? There's a flag wrapped around a score of men (Hey!) 저기 수십 명의 군인들을 휘감고 있는 국기를 봐[* 전사한 군인의 운구에는 성조기를 두른다. 즉, 군인들이 또 여럿 죽어나갔다는 의미.] A gag, a plastic bag on a monument 웃기는 광경이지, 기념비에 씌워놓은 비닐봉지 같잖아 I beg to dream and differ from the hollow lies 난 허울뿐인 거짓들과는 다르길 간절히 바라며 꿈을 꾸고 싶어 This is the dawning of the rest of our lives 이것이 우리의 남은 삶의 시작인거야 On holiday ‘휴일’에 말이야! (Hey!) (Say, hey!) "The representative from California has the floor"[* 라이브 때는 캘리포니아 부분이 지역마다 바뀐다.] "캘리포니아 하원의원께서 발언하시겠습니다" "Sieg Heil to the president Gasman "[[조지 W. 부시|석유맨 각하]]께 승리를![* Sieg Heil은 [[나치당]]에서 쓰던 인사 구호로, "승리 만세"라는 뜻이다. Gasman 대통령은 [[조지 W. 부시]]를 의미함. [[이라크 전쟁|왜 석유맨이라는 별명을 사용하는지는 상상에 맡긴다.]]] Bombs away is your punishment 폭격으로 너희를 응징하리다! Pulverize the Eiffel towers 에펠탑도 박살내자[* 당시 프랑스는 이라크 전쟁에 반대했기 때문에 미국 내에서 큰 비난을 받았다.] Who criticize your government 미국 정부를 비판하는 것들은 뭐든 쳐부숴라! Bang bang goes the broken glass and 탕! 탕! 저기 유리창이 깨지고 Kill all the fags that don't agree 반대하는 병신들[* 사실 fag는 [[게이|성소수자]]를 비하하는 단어이다. 여기서는 모든 ‘정치적, 사회적 소수발언을 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였는데, 이는 성소수자를 혐오하는 공화당 지지 보수파들이 이 단어를 ‘병신’ 혹은 ‘또라이’ 같은 욕으로 자주 쓰는 것과 연관되어 있기도 하다.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이 가사에서는 진짜로 성소수자를 비하하는 단어로 쓰인 것이 아니라, 그런 표현을 쓰는 사람들을 비꼬기 위해 쓰인 것이다. --애초에 [[빌리 조 암스트롱]] 본인부터가 [[양성애자]]인데 그런 욕을 진심으로 쓸리가(...)--]은 전부 죽여버려라! Trials by fire, setting fire"[* 여기까지가 앞의 ‘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의 발언 내용인 것.] 화형으로 심판한다, 불을 지펴라!" Is not a way that's meant for me 하지만 이런 방식은 나를 위한 것이 아니야[* 즉, 이러한 국수주의나 [[이라크 전쟁|전쟁]]은 국민을 진정으로 위한 것이 아니라는 의미.] Just cause, just cause, because we're outlaws yeah! 왜냐면 그냥 당신들 눈에 우리는 무법자니까! I beg to dream and differ from the hollow lies 난 허울뿐인 거짓들과는 다르길 간절히 바라며 꿈을 꾸고 싶어 This is the dawning of the rest of our lives 이것이 우리의 남은 삶의 시작인거야 I beg to dream and differ from the hollow lies 난 허울뿐인 거짓들과는 다르길 간절히 바라며 꿈을 꾸고 싶어 This is the dawning of the rest of our lives 이것이 우리의 남은 삶의 시작인거야 This is our lives on holiday 이것이 ‘휴일’을 보내는 우리의 삶이다 ---- [[그린 데이|[[파일:external/fanart.tv/green-day-51a28bb94ea69.png|width=150]]]] ----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홀리데이, version=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