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e0e0e '''Horses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21)]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2, 순위=44, 연도2=2020, 순위2=26)]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12)] ---- [include(틀:멜로디 메이커 선정 100대 명반,순위=39)]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대 여성 아티스트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대 여성 아티스트 명반(2002))]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25)]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위대한 앨범 커버들 (1위~10위))]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88, 연도=1998, 순위2=291,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442)]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38)] ---- }}} || ||<-2><#e3e4e4> '''{{{#0e0e0e {{{+1 Hors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orses.jpg|width=100%]]}}} || || '''발매일''' ||[[1975년]] [[11월 10일]]|| || '''녹음일''' ||[[1975년]] 8월 - 9월 18일 || || '''장르''' ||[[프로토 펑크]], [[싱어송라이터(장르)|싱어송라이터]], [[아트 록]] || || '''재생 시간''' ||43:10 || || '''곡 수''' ||8곡 || || '''프로듀서''' ||[[존 케일]] || || '''스튜디오''' ||일렉트릭 레이디 스튜디오 || || '''레이블''' ||아리스타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1975년]] 발매된 [[패티 스미스]]의 데뷔 앨범. == 상세 == Horses의 수록곡들은 미니멀한 개러지 록-당시 초기 미국 펑크 록 운동의 미학에 의해 만들어졌다. 스미스와 그녀의 밴드는 간단한 코드 진행을 중심으로 앨범의 노래를 작곡했다. 그러나 뮤지션들의 잦은 즉흥 연주는 다른 현대 펑크 록과 차별화되었다. 레게와 재즈, 스포큰워드의 영향도 강한 편. 곡들의 가사는 가족에 대한 회상, 죽은 록 아이콘에 대한 찬사, 상상된 내러티브 등에 관한 것이었다. 이 음반은 미국 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서 상위 50위권에 진입하는 등 데뷔 앨범 치고는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미국 펑크 록 씬 뿐만 아니라 대중 음악 역사상 가장 크고 가장 영향력있는 앨범 중 하나로 널리 인정받는다. 이 음반은 [[R.E.M.]], [[더 스미스]], [[PJ 하비]] 등 수많은 아티스트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여담으로 중성적인 느낌을 주는 커버 사진 또한 매우 유명하다. 여성 뮤지션 [* 이 앨범을 낼 당시 여성 뮤지션의 이미지는 [[캐롤 킹]]이나 [[조니 미첼]] 같은 부드럽고 따뜻한 이미지가 강했다.], 나아가 현대 여성상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들을 정도. 당시 예술적 동지였던 [[로버트 메이플소프]]가 동성 연인의 펜트하우스 아파트에서 찍은 사진으로, 자연광으로 찍었다고 한다. 패티 스미스의 회고에 따르면 총 12장 정도 찍었고 8장쯤에서 메이플소프가 이거면 되겠다고 밝혔다. 패션에 대해서 패티 스미스는 [[샤를 보들레르]]와 [[프랭크 시나트라]]의 조합을 의도했다고 밝혔다. [* 나중에 밝히길 엄청나게 혁명적인 의도는 없었다고 한다. 보들레르처럼 입고 싶었던게 전부였다고.] 입었던 셔츠는 보워리 [[구세군]] 상점에서 산 것이었으며 재킷에 낀 말 핀은 친구가 줬다고. == 트랙 리스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트랙'''}}} || {{{-1 '''곡명'''}}} || {{{-1 '''작사 / 작곡'''}}} || {{{-1 '''재생 시간'''}}} || ||<-4><#e3e4e4> {{{#!wiki style="margin:-3px 0px" {{{#0e0e0e {{{-1 '''Side 1'''}}}}}}}}} || || {{{-2 '''1'''}}} || {{{-1 Gloria}}} || {{{-2 패티 스미스}}}, {{{-2 밴 모리슨}}} || {{{-1 5:54}}} || || {{{-2 '''2'''}}} || {{{-1 Redondo Beach}}} || {{{-2 패티 스미스 / 리처드 솔 / 레니 카예}}} || {{{-1 3:24}}} || || {{{-2 '''3'''}}} || {{{-1 Birdland}}} || {{{-2 패티 스미스 / 리처드 솔 / 레니 카예 / 이반 크랄}}} || {{{-1 9:16}}} || || {{{-2 '''4'''}}} || {{{-1 Free Money}}} || {{{-2 패티 스미스 / 레니 카예}}} || {{{-1 3:47}}} || ||<-4><#e3e4e4> {{{#!wiki style="margin:-3px 0px" {{{#0e0e0e {{{-1 '''Side 2'''}}}}}}}}} || || {{{-2 '''1'''}}} || {{{-1 Kimberly}}} || {{{-2 패티 스미스 / 앨런 래니어 / 이반 크랄}}} || {{{-1 4:26}}} || || {{{-2 '''2'''}}} || {{{-1 Break It Up}}} || {{{-2 패티 스미스}}} / {{{-2 톰 벌레인}}} || {{{-1 4:05}}} || || {{{-2 '''3'''}}} || {{{-1 Land}}} || {{{-2 패티 스미스 / 크리스 캐너 / 안토인 도미노}}} || {{{-1 9:36}}} || || {{{-2 '''4'''}}} || {{{-1 Elegie}}} || {{{-2 패티 스미스}}} / {{{-2 앨런 래니어}}} || {{{-1 2:42}}} ||}}} === Side A === ==== Gloria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20)] [Youtube(bXXQNtsBXYU)] * Part I: In Excelsis Deo; Part II: Gloria (Version)의 두 파트로 나뉘어진다. * 파트 2에서 [[밴 모리슨]][* [[짐 모리슨|또 다른 모리슨]] 이 커버하기도 했다.] 의 곡을 커버한 곡.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서 97위에 랭크되었다. * Jesus died for somebodys sins but not mine(예수는 내 죄가 아니라, 그 누군가의 죄를 위해 죽었다네)라는 곡의 첫구절이 유명하다. ==== Redondo Beach ==== [Youtube(H4iksb1HG9E)] ==== Birdland ==== [Youtube(ABUuggupMEo)] ==== Free Money ==== [Youtube(U-ZJGfA0UxY)] === Side B === ==== Kimberly ==== [Youtube(AKaMd-LNEvQ)] ==== Break It Up ==== [Youtube(6QNOPYpIa3Q)] ==== Land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93)] [Youtube(cSk6jfln84A)] * Part I: Horses; Part II: Land of a Thousand Dances; Part III: La Mer(de)의 세 파트로 나뉘어진다. ==== Elegie ==== [Youtube(E1VDF3l4NzM)] === CD 보너스 트랙 === ==== [[My Generation(곡)|My Generation]] (Live) ==== [Youtube(Fs1WeB02d2o)] * [[더 후]]의 곡을 커버. [[분류:1975년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프로토 펑크]][[분류:아트 록]][[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