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데이비드 보위/앨범)] ||<-5><#000> [[데이비드 보위|[[파일:Bowie.jpg|width=110]][br]'''{{{#fff 데이비드 보위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 ||<#3d494f> {{{#cba18a {{{-2 1970년 11월 4일}}}[br]{{{-2 3집}}} [[The Man Who Sold the World|{{{#cba18a '''The Man Who Sold the World'''}}}]]}}} || → ||<#c3bc9e> {{{#fff {{{-2 1971년 12월 17일}}}[br]{{{-2 4집}}} [[Hunky Dory|{{{#fff '''Hunky Dory'''}}}]]}}} || → ||<#38344b> {{{#e6c349 {{{-2 1972년 6월 16일}}}[br]{{{-2 5집}}}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e6c349 '''Ziggy Stardust'''}}}]]}}} || ||<-5><#c3bc9e> '''{{{#fff 수상 내역}}}'''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22)]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1위~10위))] ---- [include(틀:멜로디 메이커 선정 100대 명반,순위=7)]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16)]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앨범)] ---- [Include(틀:Rate Your Music, 항목=전체 앨범 차트, 순위=93)]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75)]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108,연도2=2020,순위2=88)] ---- [include(틀:VH1 선정 100대 앨범(11~100위), 순위=47)]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80)]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5)]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16, 연도=1998, 순위2=23,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86)] ---- [include(틀:WXPN 선정 2021대 명반,순위=162, 연도=2005, 순위2=111, 연도2=2022)] ---- }}} || ||<-2><#c3bc9e> '''{{{#ffffff {{{+1 Hunky Do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unky Dory HQ.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국반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Hunky Dory.jpg|width=100%]]}}}}}}}}} || || '''발매일''' ||[[1971년]] [[12월 17일]]|| || '''녹음일''' ||[[1971년]] [[6월 8일]] - [[8월 6일]] || || '''장르''' ||[[아트 팝]], [[팝 록]] || || '''재생 시간''' ||41:50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켄 스콧[br][[데이비드 보위]] || || '''레이블''' ||[[RCA 레코드|[[파일:RCA 레코드 로고.svg|width=65]]]] || [목차][clearfix] == 개요 == 1971년 발매된 [[데이비드 보위]]의 4집 앨범. 보위가 머큐리에서 나와 RCA 레코드와 계약을 하고 발매한 앨범이다. == 상세 == 이전까지의 보위는 [[자크 브렐]]과 같은 유럽 쪽 대중 음악에 영향을 받았지만, 이후에는 [[벨벳 언더그라운드]], 특히 [[루 리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사실상 벨벳을 재발굴한 첫 인물이며, 심지어 뉴욕에서 좌절 중이던 루 리드를 영국으로 데려와 2집 제작을 지원해(믹 론슨과 함께 프로듀싱을 해 주었고, 일부 세션으로도 참여했다.) 그가 솔로 뮤지션으로서 경력을 이어 갈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쯤 되면 은인이다.[* 실제로 루 리드는 그가 공연장에서 [[White Light/White Heat]]를 부르는 것을 듣고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그 뿐만 아니라 [[앤디 워홀]], [[밥 딜런]] 등에도 영향을 받아 앨범에 이들의 이름을 넣은 곡들을 수록했다. 발매 당시엔 망하고, 후에 데이빗 보위의 대표작인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가 대흥행을 하면서 이 앨범도 재평가를 받으며, UK 차트 3위까지 오른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 88위에 선정되었다. 자크 브렐이나 프랭크 시내트라 같은 오케스트라와 피아노가 동원된 스탠더드 팝, 영국 포크 음악, 벨벳 언더그라운드와 50년대 로큰롤 같은 다양한 장르들을 섭렵하면서 일관성 있는 결과물을 내놨기에 보위판 [[화이트 앨범]]이라 평가를 받는다. 보통 보위의 가장 성공한 앨범하면 꼽히는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의 [[글램 록]]적인 분위기가 취향에 안맞는 사람이나 보위의 다양한 음악스타일이 알고싶은 사람에게는 최고로 꼽히기도 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평가가 올라가는 작품이다. [[비틀즈]]의 [[Sgt. Pepper]]와 [[Revolver]]의 관계와 비슷하다. 앨범 커버 사진을 찍을 당시 보위는 [[마를레네 디트리히]] 사진집을 가져갔다고 한다. == 트랙 리스트 == === Side A === ==== [[Changes(노래)|Changes]] - 3:3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hanges(노래))] ==== [[Oh! You Pretty Things]] - 3:1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Oh! You Pretty Things)] ==== Eight Line Poem - 2:55 ==== [youtube(aVqNJKQiPCA)] ==== [[Life on Mars?]] - 3:53 ==== [youtube(Enzxdvo8NOk)]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ife on Mars?)] 동명의 영국 드라마가 이 노래에 이름을 따와 만들었다. ==== Kooks - 2:53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6177)] [youtube(jCaMwqtwJTc)] * 당시 막 결혼하고 아들인 [[던칸 존스]]를 낳았을때의 행복감을 담은 곡이다. 영국의 록밴드 쿡스는 이 곡에서 밴드명을 따왔다. * Don't pick fights with the bullies or the cads/Cause I'm not much cop at punching other people's Dads(다른 양아치나 남자와 싸우지마/다른 아빠한테 맞을 용기는 없으니깐) 이라는 가사도 있다. ==== [[Quicksand(노래)|Quicksand]] - 5:08 ==== [youtube(kFN_bEgDE0M)]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Quicksand(노래))] === Side B === ==== Fill Your Heart - 3:07 ==== [youtube(uD1M6XAQELg)] Biff Rose의 'Fill Your Heart With Biff Rose' 앨범의 타이틀곡인 Fill Your Heart의 커버 ==== Andy Warhol - 3:56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8580)] [youtube(n--Ro4-hNbo)] * [[앤디 워홀]] 헌정곡. 그런데 정작 앤디 워홀은 이 노래를 듣고 질겁했다고 한다. *이때 한 에피소드가 있는데 보위와 엔디 워홀이 저녁 만남이 있었을때 보위가 이 곡을 틀어줬었다. 그후 잠시동안 어색한 침묵이 있었고 마침내 워홀이 '''오늘 신은 신발이 참 멋지네요.'''라고 말한것. 이후 둘은 신발 얘기만 하다 헤어졌다고 한다(...) 곡자체는 70년대 보위곡중 가장 독특하다고 인정받는다. * 기타 리프는 [[메탈리카]]의 [[Master of Puppets]]의 일부분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 Song for Bob Dylan - 4:12 ==== [youtube(v23YSyH3Fe8)] ==== Queen Bitch - 3:1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777)] [youtube(2_ayFz62eYE)] 여장남자가 화자인 직선적인 개러지 록 트랙. 가사나 기타 리프는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영향을 받았다. ==== The Bewlay Brothers - 5:22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931)] [youtube(r8IGkLWmf4E)] * 독특한 음색과 은유적으로 들리는 멜로디로 인해 게이 아젠다, 또는 귀신에 관한것이라는 실로 다양한 해석 이 있었다. 그중 가장 유명했던 것은 역시 조현병 환자였던 자살한 그의 사촌형을 이야기한 것이라는 해석. *정작 보위는 2008년 인터뷰에서 이 곡은 미국 시장을 생각하며 쓴 곡이라고 하였고 가사는 그 위의 아무 의미 없이 덮어 쓴 것이라고 말했다....지만 그 이야기를 무려 히트 여하에 상관없이 보위 자신이 좋아하는 자신의 곡을 직접 열 곡 정도 골라 만든 베스트 앨범인 '''iSelect의 곡 선정 이유를 밝힐 때 했다.''' 오히려 노래가 나온지 30년이 지난 2002년이 되어서야 첫 라이브를 한 것, 이 노래를 특이하게 소개하는 것 등을 보았을 때 보위 자신만 알고 싶었던 숨겨진 의미가 있었던 듯. == 참여자 == * [[데이비드 보위]] - 보컬, 기타, 색소폰, 피아노 * 믹 론슨 - 보컬, 기타, 멜로트론 * 트레버 볼더 - 베이스, 트럼펫 * 믹 우드맨시 - 드럼 * [[릭 웨이크먼]] - 피아노 [[분류:1971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데이비드 보위 음반]][[분류:아트 팝]][[분류:팝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