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ewJeans의 노래)] ||<-2> {{{+1 '''Hype Boy'''}}}[br]'''하입 보이''' || || '''발매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2년]] [[8월 1일]][* 정식 음원 기준. 뮤직비디오가 7월 23일 선공개되었으며, 피지컬 음반은 음원 8월 8일에 발매되었다.] || || '''러닝타임''' || 2:59 || || '''작사''' || Gigi / Ylva Dimberg / [[하니(NewJeans)|HANNI]] || || '''작곡''' || [[250(프로듀서)|250]] / Ylva Dimberg || || '''편곡''' || [[250(프로듀서)|250]] || || '''가수''' || [include(틀:NewJeans 로고)] || || '''장르''' || [[댄스 팝]] || || '''수록 앨범'''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b7bb0;" [[New Jeans|[[New Jeans|[[파일:New Jeans 음반 로고.jp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
{{{-2 {{{#6b7bb0 '''Track 2 〈Hype Boy〉'''}}}}}} || ||<#6b7bb0> {{{-1 {{{#fff '''뭄바톤(Moombahton)과 일렉트로팝(ElectroPop)을 결합한 사운드와 독특한 프리코러스가 매력적이며 각 파트마다 멤버들의 개성있는 가창이 돋보이는 곡. NewJeans의 또 다른 시크한 색깔을 보여주고 한번 들으면 끝까지 집중하게 만드는 노래이다. 그리고 이 곡의 스토리는 여러 가지로 나뉘어 있다.[*NC2 [NewJeans Commentary\] 우리의 또 다른 시크한 색깔을 보여주고 한번 들으면 끝까지 집중하게 만드는 노래인 것 같아. Attention과는 다른 느낌으로 들어봐 줘. 아 참, 이 곡의 스토리는 여러 가지로 나뉘어 있어, 보고 들으면서 어떤 스토리로 떠나고 싶은지 마음이 가는 데로 골라봐! 그리고 어땠는지 꼭 알려줘야 해~]'''}}}}}} || [[대한민국]]의 [[걸그룹]] [[NewJeans]]의 데뷔 음반 [[New Jeans]]의 두 번째 타이틀곡. == 가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hrlZIMDzbM)]}}} || ||
'''{{{#fff Hype Boy}}}'''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E8D955 민지}}} {{{#EAB3DD 하니}}} {{{#9EDD82 다니엘}}} {{{#B8B5AF 해린}}} {{{#92DEE4 혜인}}}'''^^ {{{#B8B5AF (1, 2, 3, 4) Baby, got me looking so crazy 빠져버리는 daydream Got me feeling you 너도 말해줄래}}} {{{#EAB3DD 누가 내게 뭐라든 남들과는 달라 넌 Maybe you could be the one}}} {{{#9EDD82 날 믿어봐 한 번 I'm not looking for just fun Maybe I could be the one}}} {{{#92DEE4 Oh baby 예민하대 나 lately 너 없이는 매일 매일이 yeah 재미없어 어쩌지}}} {{{#E8D955 I just want you Call my phone right now I just wanna hear you're mine}}} {{{#B8B5AF 'Cause I know what you like boy You're my chemical hype boy}}} {{{#9EDD82 내 지난 날들은 눈 뜨면 잊는 꿈 Hype boy 너만 원해 Hype boy 내가 전해}}} {{{#EAB3DD And we can go high 말해봐 yeah 느껴봐 mm mm Take him to the sky You know I hype you boy}}} {{{#92DEE4 눈을 감아 말해봐 yeah 느껴봐 mm mm Take him to the sky You know I hype you boy}}} {{{#E8D955 잠에 들려고 잠에 들려 해도 네 생각에 또 새벽 세 시 uh-oh 알려줄 거야 they can't have you no more 봐봐 여기 내 이름 써있다고}}} {{{#B8B5AF 누가 내게 뭐라든 남들과는 달라 넌 Maybe you could be the one}}} {{{#EAB3DD 날 믿어봐 한 번 I'm not looking for just fun Maybe I could be the one}}} {{{#92DEE4 Oh baby 예민하대 나 lately 너 없이는 매일 매일이 yeah 재미없어 어쩌지}}} {{{#E8D955 I just want you Call my phone right now I just wanna hear you're mine}}} {{{#B8B5AF 'Cause I know what you like boy You're my chemical hype boy}}} {{{#EAB3DD 내 지난 날들은 눈 뜨면 잊는 꿈 Hype boy 너만 원해 Hype boy 내가 전해}}} {{{#9EDD82 And we can go high 말해봐 yeah 느껴봐 mm mm Take him to the sky You know I hype you boy}}} {{{#92DEE4 눈을 감아 말해봐 yeah 느껴봐 mm mm Take him to the sky You know I hype you boy}}} }}} || == 뮤직비디오 == || {{{#fff '''{{{+1 Hype Boy}}}[br]Music Video (Intr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HYWqy_X-tU)]}}} || || {{{#fff '''{{{+1 Hype Boy}}}[br]Music Video (MINJI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rf8uQFvICE)]}}} || || {{{#fff '''{{{+1 Hype Boy}}}[br]Music Video (HANNI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M-K-h9gUdM)]}}} || || {{{#fff '''{{{+1 Hype Boy}}}[br]Music Video (HYEIN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6r7Px6w2ik)]}}} || || {{{#fff '''{{{+1 Hype Boy}}}[br]Music Video (DANIELLE&HAERIN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wUKhEgnllc)]}}} || || {{{#fff '''{{{+1 Hype Boy}}}[br]Music Video (Performance ver.1)'''}}}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1cta61wi0g)]}}} || || {{{#fff '''{{{+1 Hype Boy}}}[br]Music Video (Performance ver.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4UEJePR0UE)]}}} || == 안무 영상 == || {{{#fff '''{{{+1 Hype Boy}}}[br]Dance Practice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JcJ5E1BloU)]}}} || || {{{#fff '''{{{+1 Hype Boy}}}[br]Dance Practice Video (ver.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cqAB1tIfhg)]}}} || || {{{#fff '''{{{+1 Hype Boy}}}[br]Dance Practice Video (ver.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AjNQv5TXfU)]}}} || || {{{#fff '''{{{+1 Hype Boy}}}[br]Special Performance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w2jHej29QE)]}}} || || {{{#fff {{{+1 '''Hype Boy'''}}}[br]'''릴레이댄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cJo-T5Wo3U)]}}} || || {{{#fff {{{+1 '''Hype Boy'''}}}[br]'''[PICK][4K][선공개] 뉴진스(NewJeans) 'Attention' + 'Hype Boy' 포인트 안무✨ | 두시탈출 컬투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Eoh4Z4uH_0, start=22)]}}} || == 교차편집 == || {{{#fff '''{{{+1 Hype Boy}}}[br]엠 카운트다운 교차편집'''}}}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FnvcuXbPSo)]}}} || || {{{#fff '''{{{+1 Hype Boy}}}[br]뮤직뱅크 교차편집'''}}}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qoHoDFFlXg)]}}} || == 응원법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응원법, rd1=NewJeans/응원법, anchor1=Hype boy)] == 음원 성적 == ||<-3><#6b7bb0> {{{#fff '''〈Hype Boy〉 주요 음원 차트 최고 순위'''}}}[*출처 음원 성적 출처는 가이섬.com] || || '''음원 서비스''' || '''차트 종류''' || '''순위''' || ||<|6>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100]]]] || TOP100 ||<|5> {{{#orange '''2위'''}}} || || 실시간 차트 || || 일간 차트 || || 주간 차트 || || 월간 차트 || || 연간 차트 || 15위 || ||<|4> [[지니뮤직|[[파일:지니뮤직 로고.svg|width=80]]]] || 실시간 차트 || {{{#red '''1위'''}}} || || 일간 차트 ||<|4> {{{#orange '''2위'''}}} || || 주간 차트 || || 월간 차트 || || [[FLO|[[파일:FLO 로고.svg|width=70]]]] || FLO 24시간 차트 || ||<|3> [[벅스(음원 서비스)|[[파일:벅스 로고.svg|width=80]]]] || 실시간 차트 ||<|3> {{{#red '''1위'''}}} || || 일간 차트 || || 주간 차트 || || [[네이버 VIBE|[[파일:네이버 VIBE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네이버 VIBE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일간 차트 || {{{#orange '''2위'''}}} || ||<|4> [[Apple Music|[[파일:애플 뮤직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애플 뮤직 로고 흰색.svg|width=100&theme=dark]]]] || Top 100: 글로벌 || 35위 || || Top 100: 대한민국 ||<|3> {{{#red '''1위'''}}} || || Top 25: 서울 || || Top 25: 부산 || ||<|4> [[스포티파이|[[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 || Global Top Song Daily || 69위 || || Global Top Song Weekly || 85위 || || Korea Top Song Daily ||<|2> {{{#red '''1위'''}}} || || Korea Top Song Weekly || ||<|2> [[YouTube Music|[[파일:유튜브 뮤직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유튜브 뮤직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Global Top 100 Weekly || 18위 || || Korea Top 100 Weekly || {{{#orange '''2위'''}}} || ||<-3> {{{-1 [[https://xn--o39an51b2re.com/melon/song/35454426|주요 음원 서비스의 'Hype Boy' 차트 순위 추이]]}}} || '''대한민국 아이돌 사상 가장 장기적인 인기를 누리는 곡 중 하나'''로, 각종 차트 최고순위 1위를 달성하지는 못하였지만 엄청난 롱런으로 뉴진스의 최고 히트곡에 등극하였으며 나아가 [[2022년]] 음원 성적에서 흥행 성공한 걸그룹 곡들 중 하나이다. 차트에서도 손꼽히는 롱런 추이를 보이고 있는데, 기존 3위였던 멜론 일간차트 순위 피크를 음원 발매 129일 차인 2022년 12월 7일 2위로 갱신했고 [[Ditto(NewJeans)|Ditto]], [[OMG(NewJeans)|OMG]] 발매 후에는 Ditto, OMG와 같이 멜론 TOP100과 일간차트, 주간차트와 2023년 1, 2, 3월 월간차트에서까지 3개월 연속으로 월간 1, 2, 3위를 줄세우는 기염을 토했다. 심지어 멜론 일간 차트에서는 '''무려 339일 연속으로''' 단 한 번도 10위권, 즉 탑텐을 벗어난 적이 없었다.[* 2022년 8월 10일 (발매 10일차)~2023년 7월 14일 (발매 348일차).][* 이후 2주 동안 뉴진스 본인들을 비롯한 여러 아티스트들의 신곡 발표, OST 역주행 등으로 잠시 10위권에서 벗어났었으나, 발매 363일차인 2023년 7월 29일에 10위로 반등하며 탑텐에 재진입했다.] 지니 실시간 차트에서는 발매 225일 차인 2023년 3월 14일 오후 12시 차트에서 1위로 올라서며 3214시간 동안 5위권에서 머물다 첫 1위를 기록했다. == 음악 방송 == ||<:><-6>'''{{{#fff 〈Hype Boy〉 음악 방송}}}'''|| ||<:>'''{{{-1 날짜}}}'''||<:>'''{{{-1 방송사}}}'''||<:>'''{{{-1 프로그램}}}'''||<:>'''{{{-1 곡}}}'''||<:>'''{{{-1 영상}}}'''||<:>'''{{{-1 비고}}}'''|| ||<:>{{{-2 2022.08.04}}}||<:>[[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45]]]]||<:>'''[[엠 카운트다운]]'''||<:><|5>'''Hype Boy'''||<:>[[https://tv.naver.com/v/28372857|[[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18]]]] [[https://tv.kakao.com/v/430944499|[[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18]]]] [[https://youtu.be/DAEK5GrLb_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https://twitter.com/MnetMcountdown/status/1556867428277452801|[[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8&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8&theme=dark]]]][br][[https://naver.me/GUQyamFr|[[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15]]^^현장포토^^]]|| ||<:>{{{-2 2022.08.12}}}||<:><|2>[[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2>'''[[뮤직뱅크]]'''||<:>[[https://tv.naver.com/v/2853816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18]]]] [[https://tv.kakao.com/v/431148600|[[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18]]]] [[https://youtu.be/IQ69bf8uqM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https://youtu.be/_k61Y_gaOx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인터뷰캠^^]]|| ||<:>{{{-2 2022.08.19}}}||<:>[[https://tv.naver.com/v/2867369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18]]]] [[https://tv.kakao.com/v/431321985|[[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18]]]] [[https://youtu.be/iXM99GTJWs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https://vt.tiktok.com/ZSRB4kyak|[[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18]]]][br][[https://youtu.be/0E-gSXviJ3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인터뷰캠^^]]|| ||<:>{{{-2 2022.08.21}}}||<:>[[SB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SBS 로고.svg|width=40]]}}}]]||<:>'''[[인기가요]]'''||<:>[[https://tv.naver.com/v/2869772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18]]]] [[https://tv.kakao.com/v/431364532|[[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18]]]] [[https://youtu.be/E9VkRkKzkt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https://twitter.com/kpop_sbs/status/156120779236654285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8&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8&theme=dark]]]]|| ||<:>{{{-2 2022.08.25}}}||<:>[[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45]]]]||<:>'''[[엠 카운트다운]]'''||<:>[[https://tv.naver.com/v/2879567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18]]]] [[https://tv.kakao.com/v/431478436|[[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18]]]] [[https://youtu.be/GL2QFKnhxv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https://twitter.com/MnetMcountdown/status/156272702546681856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8&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8&theme=dark]]]][br][[https://naver.me/5kqBCdq9|[[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15]]^^현장포토^^]]|| == 여담 == * 제목인 Hype Boy의 어원은 Hype Man이다. [[힙합]] 공연에서 래퍼가 랩을 할 때 옆에서 [[더블링]]을 치거나 추임새를 넣는 등으로 래퍼를 서포트[* 래퍼가 숨을 쉴 타이밍을 만들어준다.]하고 관객의 호응을 유도해 현장의 분위기를 끌어올리는 전문 백업 래퍼를 가리킨다[* [[피처링]]과 다른 점은 딱히 벌스를 뱉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곡이나 무대에 이름이 안걸린다.]. 한마디로 래퍼를 돋보이게 하고 공연을 성공적으로 만들어주는 존재. chemical이라는 표현으로 보아 일종의 파트너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hype man 출신으로 커리어를 시작한 유명 래퍼로는 [[미국]]에서는 [[제이지]], [[한국]]에서는 [[팔로알토]] 등이 있다. 다만 미국에서는 hype boy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hypebeast[* 유행. 특히 패션 트랜드에 목을 매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단어다. 대표적인 이미지로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구찌]]나 [[발렌시아가]], [[슈프림]], [[오프화이트]], [[이지부스트]] 등등으로 몸을 휘감고 있는 인상.]를 떠올린다는 모양이다.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하자면 트렌디한 남자,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하자면 허세남[* 미국에서는 한국의 [[문신돼지]](…)와 같은 이미지로 밈화돼있기도 하다.]. * Hype Boy 작사에 [[하니(NewJeans)|하니]]가 참여했다.[* Baby got me looking so crazy 빠져버리는 Daydream Got me feeling you 너도 말해줄래] * 안무 도입 부분에 멤버들이 이야기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정해진 대사가 없고 실제로 잡담을 한다고 한다. 민지가 '아이스크림'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해린이 듣지 못해서 여러 번 반복해서 말해준 게 킬포인트라고 한다. * Hype Boy 뮤직비디오는 지금까지 K팝 씬에 없었던 신선한 시도를 했는데, 인트로 뮤비에서 4편의 분기를 제공해주고 한편 한편마다 서사를 부여해 스토리를 완성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또 같은 군무라도 멤버별 뮤비에 따라 카메라 앵글과 연출방식을 다르게 보여준다. * 기본적으로 템포가 적당히 빠르고 비트도 신나는 댄스곡이지만 코드나 멜로디 진행만 보면 세련된 R&B나 팝 계열 쪽 느낌을 준다. 그래서인지 어쿠스틱으로 편곡하여 커버하는 영상이 상당히 많다. * [[고양 데이원 점퍼스]] [[이정현(1999)|이정현]], [[전주 KCC 이지스]] [[허웅]], [[수원 kt 소닉붐]] [[이두원]], [[청주 KB 스타즈]] [[박지수(농구선수)|박지수]] 4명의 선수 응원가이다. * [[보이즈플래닛]] K그룹 [[웨이크원]] 팀의 무대에서 하입보이의 하이라이트 안무가 있다. * 발매후 6개월 10일이 지난 2023년 2월 12일, [[인기가요]]에 1위 후보로 깜짝 등장하여 3위에 올랐다. * 데뷔 35주차인 2023년 4월 2일 [[인기가요]]에서 첫 1위를 차지했다. * 넷상에 수많은 리믹스가 존재하는데, 그중 [[민지]]가 한 [[https://youtu.be/zybsnUBtlSQ?t=1211|인터뷰]]에서 [[https://youtu.be/e77Qm-TMShk|디스코버전]]에 대해 언급하였다. * [[Hype Boy]] [[https://youtu.be/11cta61wi0g|M/V performance ver.1]]이 [[NewJeans]]의 뮤직비디오 중 처음으로 '''1억뷰 조회수'''를 달성했다. === [[뉴진스의 하입보이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진스의 하입보이요)] * 2022년 극후반부터 2023년 초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밈. [[TikTok|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의 SNS에서 "여기 ~로 가는 길이 어디예요?" 등 길을 물어보는 어떤 질문을 해도 '''"[[동문서답|NewJeans의 Hype Boy요]]"'''라고 말하며 춤을 추며 그냥 지나가는 밈이 [[SNS]]에서 [[유행]] 중이다. == 평가 == [include(틀:타임지 선정 2022년 최고의 K-POP 노래 및 앨범)] [include(틀:온음 2022 총결산 선정 결과)] *같은 앨범의 Attention이 먼저 큰 주목과 인기를 얻으며 NewJeans의 개성을 잘 드러내면서 대중에게 강렬한 첫인상을 남겼다면, Hype Boy는 한국 대중음악 역사에 길이 남을 장기적인 흥행을 통해 Attention으로 시작된 뉴진스의 인기와 화제성이 식지 않고 지속되게 하여, 뉴진스를 4세대 걸그룹 중에 가장 인기있는 그룹 중 하나로 자리매김시켰다. 또한 [[뉴진스의 하입보이요]]와 같은 밈까지 생성되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신인 그룹답지 않은 놀라운 문화적 파급력을 보였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New Jeans, version=1117)] [[분류:NewJeans/음반]][[분류:가요]][[분류:2022년 노래]][[분류:한국 노래]][[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분류:인터넷 밈/음악/대한민국]][[분류:인물 속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