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HyperCLOVA'''}}} [br] NAVER | LI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yperCLOVA.jp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언어''' ||한국어, 일본어 지원 || || '''링크''' ||KR [[https://www.ncloud.com/product/aiService/clovaStudi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클로바 스튜디오(CLOVA Studio)] JP [[https://clova.line.me/hyper-clov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LINE HyperCLOVA 공식 사이트] [[https://blog.naver.com/clova_ai|[[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30]]]][* 네이버 클로바 공식 블로그]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어와 일본어를 가장 잘 이해하는 AI >AI가 일상이 되고, 상상이 비즈니스가 되는 세상 > - HyperCLOVA X == LINE HyperCLOVA == >“あなたならではの” 想い、創造力を発揮できる余白をつくる >Designing 『』 to fill with ideas & creativity. LINE HyperCLOVA는 영어를 주로 하는 GPT-3이나 OPT를 비롯한 자연언어 처리 시스템이 아닌, LINE 주식회사와 NAVER 주식회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일본어에 특화된 기반 모델이다. 일본어 텍스트의 기초 모델로서, 데이터 학습량은, 일본어 텍스트만으로도 「신문 축쇄의 약 2,700년분에 상당」하다. 또한, 각각의 업무 요건에 맞춘, 개별화된 모델 구축이 아닌 공통의 인텔리전스를 가지는 모델 구축을 실현함으로써, 개발 공수를 압축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어에 특화된 기반 모델로, 일본어의 특성이 반영된 토큰화 기법(Morpheme-aware byte-level byte pair encoding)을 통해서,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일본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 https://blog.clova.line.me/hyperclova-202112] [* https://blog.clova.line.me/hyperclova-202212] == 네이버 HyperCLOVA X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네이버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rd1=CLOVA X)] ||<-2>
'''{{{+1 HyperCLOVA X}}}'''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yperCLOVA X.jpg|width=100%]]}}} || || '''분류''' ||LLM|| || '''개발사''' ||[[NAVER]] || || '''출시일''' ||'''공개'''[br] 2023. 08. 24. || || '''링크''' ||[[https://clova-x.naver.com/welcom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clearfix] === 개요 === 네이버가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인 ‘하이퍼클로바X’는 최근 주목받는 [[ChatGPT]] 대비 한국어를 6,500배 더 많이 학습한 언어모델이며, 최적화된 초대규모 AI 프로덕트 구축이 가능하다고 한다. 하이퍼클로바X는 최근 가장 주목받는 ChatGPT에 비해서도 한국어 데이터를 6,500배 더 학습했으며, 자연스러운 한국어 표현은 물론이고 한국 사회의 법, 제도, 문화적 맥락까지 이해해서 소통하는 AI이다. 8월 24일 ‘하이퍼클로바X’ 공개로 네이버의 AI 사업이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한 네이버의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CLOVA X]], [[Cue:]]의 공개로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국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잃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일본이나 비영어권 국가로의 확장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이다.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TINZAL9C] == 기타 == [[분류:2023년 공개]][[분류:네이버]][[분류:대화형 인공지능]]